KR20150003462A - 수동 블렌더 - Google Patents

수동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62A
KR20150003462A KR1020130076311A KR20130076311A KR20150003462A KR 20150003462 A KR20150003462 A KR 20150003462A KR 1020130076311 A KR1020130076311 A KR 1020130076311A KR 20130076311 A KR20130076311 A KR 20130076311A KR 20150003462 A KR20150003462 A KR 20150003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rotating shaft
actuating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7218B1 (ko
Inventor
김동하
김봉겸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7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2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동력원을 공급 없이 각종 채소류나 과일류 등을 갈아서 주스나 과즙을 만들거나 곡물 등을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는 수동 블렌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면에 중공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의 외측 둘레면에 스크루홈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고정된 분쇄날과, 상기 분쇄날을 커버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와, 상기 몸체의 중공홈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승강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스크루홈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작동체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작동체 사이에 내장되어 상기 작동체가 상승 시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수동 블렌더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수동 블렌더{Manual blender}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이나 야외 등에서 별도의 동력원을 공급 없이도 각종 채소류나 과일류 등을 갈아서 주스 또는 과즙을 만들거나 곡물 등을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는 수동식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소나 과일의 주스를 만드는 것을 비롯하여 곡물, 마늘, 고추 따위의 각종 음식물을 잘게 다지거나 혼합, 교반 또는 절단, 분쇄하는 데 사용하는 이른바 푸드 프로세서(food processor)로는 음식물을 갈아 고체성분을 가진 입자와 액체성분을 가진 즙으로 분리하여 즙을 짜내는 주스기(juicer), 음식물을 용기 내에서 갈아 혼합하는 믹서기(mixer), 액체성분이 거의 없는 음식물을 분쇄하여 분말 형태로 만드는 분쇄기(crusher) 등이 있다.
이러한 푸드 프로세서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전동기)과, 동력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음식물을 미세하게 갈거나 분쇄하는 분쇄날(cutting blade)이 필수로 구비되어 있으며, 음식물의 형태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분쇄날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갈아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푸드 프로세서 중에서도 특히 가정이나 소형 업소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소형 푸드 프로세서는 동력원인 전동기를 내장한 본체와, 전동기의 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쇄날과, 본체와 나사결합 또는 잠금되는 투명한 재질의 용기(cup)로 구성되어 전동기의 구동에 따른 축의 회전에 의해 분쇄날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용기의 내의 음식물을 으깨거나 갈아서 분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주스기, 믹서기, 분쇄기 등과 같이 동력원과 분쇄날을 구비하여 다목적용으로 사용하는 푸드 프로세서를 블렌더(blender)로 통칭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블렌더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가 내장되고, 그 전동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각종 스위치가 구비된 본체(40)와, 이 본체(40)의 상부에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닥면의 중심부에는 전동기축과 맞물려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부가 음식물을 넣을 수 있도록 개구된 용기(10)와, 이 용기(10)의 회전축에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동기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을 절단 및 분쇄하는 분쇄날(30) 및 용기(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음식물을 용기(10)에 넣고 뚜껑(200)을 덮은 후 본체(40)의 스위치를 다양한 기능별로 조작하여 전동기를 구동시키면, 전동기의 축과 맞물린 분쇄날(30)이 회전하면서 용기(10) 내의 음식물을 절단 및 분쇄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블렌더는 분쇄날(30)이 공회전하는 것과 같은 상태가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면서 음식물이 고르게 절단 및 분쇄되지 않고 전동기의 부하만 많이 걸려 고장이 잦아지고 전력 낭비를 초래하는 데다 작동 중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등산, 낚시, 트래킹, 캠핑 등과 같이 야외에서 일시적인 생활을 즐기는 다양한 여가 활동 시 전동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에너지와 같은 동력원 없이는 사용할 수 없는 사용상의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2956호(2002.11.0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59684호(1998.10.2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4820호(2013.01.2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1135호(2011.12.01)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전기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지 않고서도 각종 음식물을 용이하게 믹싱 또는 갈거나 분쇄할 수 있고, 아울러 그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수동식 블렌더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별도의 동력원을 공급 없이 음식물을 갈거나 분쇄하면서 그 작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블렌더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해결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하면에 중공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측 둘레면에 스크루홈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고정된 분쇄날과, 상기 분쇄날을 커버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와, 상기 몸체의 중공홈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스크루홈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작동체 및 상기 몸체와 상기 작동체 사이에 내장되어 상기 작동체가 상승 시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블렌더를 제공한다.
이로써 동력원을 이용하지 않고도 간편하면서 효율적으로 음식물을 으깨거나 갈아서 분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아 에너지 절감 및 전력 소비를 줄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중공홈의 내측 둘레면에는 잠금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체의 외측 둘레면에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잠금홈과 선택적으로 대응 결합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작동체의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잠금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작동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부피를 축소하여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작동체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몸체의 하단 테두리가 삽입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중공홈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잠금돌기와 접촉 간섭으로 걸림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작동체가 사용 과정에서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작동체는 상기 회전축의 스크루홈을 따라 승강하는 볼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작동체를 테이블 등의 바닥에 밀착시켜 세워놓은 상태에서 용기나 몸체를 하방으로 누르면 회전축의 스크루홈과 작동체의 볼너트 간의 상호 작동 관계에 의해 용기와 몸체 및 회전축이 동시에 하강하면서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인해 분쇄날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용기나 몸체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탄성 작용에 의해 용기와 몸체가 동시에 상승하면서 분쇄날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분쇄날이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으깨거나 갈아서 분쇄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 등의 동력원을 이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수동으로 작동 가능하므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장소에서도 힘들이지 않고 효율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 블렌더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블렌더 중 몸체와 용기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블렌더 중 몸체와 용기가 하강되고 작동체가 몸체에 잠금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블렌더 중 작동체가 몸체와 잠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블렌더는 크게 몸체(100), 회전축(200), 분쇄날(300), 용기(400), 작동체(500) 및 스프링(6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몸체(100)의 중심부에는 회전축(200)이 몸체(100) 내에서 자유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몸체(100)의 하면에는 작동체(500)의 상부를 삽입 및 스프링(600)을 수납하기 위한 원형의 중공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홈(110)의 내측 둘레면 중 일부에는 호형의 잠금홈(120)과 잠금해제홈(121)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향하는 작동체(500)의 외측 둘레면 중 일부에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잠금홈(120) 및 잠금해제홈(121)과 선택적으로 대응 결합되면서 몸체(100)와 작동체(500)의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잠금돌기(5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작동체(500)를 동작시키지 않는 등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를 기준으로 작동체(500)를 최대한 상승시킨 후 그 잠금돌기(520)가 몸체의 잠금홈(120)에 삽입되도록 회전시켜 상호 잠금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높이 및 부피를 축소하여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동체(500)를 동작시킬 경우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체의 잠금돌기(520)가 몸체의 잠금홈(120)에서 이탈되도록 회전시켜 잠금해제홈(121)에 위치시킴으로써 상호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작동체의 잠금돌기(520)가 잠금해제홈(121) 내에서 승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중공홈(110) 내측 둘레면에는 잠금돌기(520)와 접촉 간섭으로 걸림되면서 작동체(500)가 완전히 이탈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3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몸체(100)의 외형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상면은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둘레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 시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논슬립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축(200)은 하부의 외측 둘레면에 나선 모양으로 홈을 깎은 형태의 스크루홈(210)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100)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축(200)과 몸체(100)의 장착부 사이에는 회전축(200)을 몸체(100)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회전축(200)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축(200)의 회전 시 마찰 저항을 적게 하여 더욱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날(300)은 회전축(200)의 상단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회전축(200)의 회전과 동시에 그와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음식물을 타격하면서 용기(400)의 내의 음식물을 으깨거나 갈아서 분쇄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분쇄날(300)은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리스 소재를 이용하여 단일품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티타늄과 같은 특수소재로 표면을 코팅 처리하거나 음식물을 갈거나 분쇄 시 발생되는 열을 흡수 및 분산시켜 영양분의 파괴를 최소화하는 소재를 채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분쇄날(300)은 상부 및 하부 커터가 복수로 적층되는 이중 구조의 커터를 채용할 수 있고, 또는 칼날 부분에 톱니를 갖는 커터나 휘거나 구부러진 칼날을 갖는 커터 등 다양한 형상의 커터를 적용할 수 있다.
용기(400)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마치 원통형 컵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수납공간의 내부에 분쇄날(300)을 위치시킨 상태로 몸체(100)의 상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용기(400)의 아가리 테두리에는 수나사(440)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몸체(100)의 상단 내측 테두리에는 암나사(14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용기(400)는 음식물 등에 의해 표면이 쉽게 긁히거나 손상되지 않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내열성과 강도가 크고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소재 또는 금속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기(400)의 외측 둘레면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작동체(500)는 몸체의 중공홈(110)을 따라 승강 또는 몸체의 중공홈(110)에 삽입 가능하도록 몸체(100)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몸체(10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즉, 작동체(500)는 몸체(100)나 용기(400)를 누르는 등의 승강 구동 동작에 의해 회전축의 스크루홈(210)을 따라 승강 또는 몸체(100)나 용기(400)를 동시에 하강시키면서 분쇄날(30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몸체(100)에 대한 승강 동작 시에는 회전되지 않도록 몸체(100)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체(500)의 외측 둘레에는 몸체(100)의 하단, 즉 중공홈(110)의 테두리가 삽입된 상태로 원활하게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530)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200)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회전축의 스크루홈(210)을 따라 승강하는 볼너트(51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작동체(500)는 테이블 등의 바닥에 밀착시켜 세워놓은 상태에서 몸체(100)나 용기(400)를 누르는 동작 시 회전 및 승강하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회전축의 스크루홈(210)이 작동체의 볼너트(510) 간의 상호 작동 관계에 의해 몸체(100)와 용기(400)가 동시에 하강하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회전축(200)이 회전하여 분쇄날(30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작동체(500)는 그 잠금돌기(520)가 몸체의 잠금해제홈(121)에 위치된 상태에서만 승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스프링(600)은 작동체(500)가 상승 시 또는 몸체(100)와 용기(400)가 하강 시 원래의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하도록 몸체(100)의 중공홈(110)과 작동체(500)의 상부와 사이에 내장되어 있다.
즉, 몸체(100)와 용기(400)를 가압하여 누르면 서서히 압축되다가 가압하는 힘을 해제 및 제거하면 몸체(100)와 용기(400)가 스프링(6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원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몸체(100)와 용기(40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상승 및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600)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하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탄성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블렌더는 사용 시에는 예를 들어 용기(400)에 과일이나 채소 등의 음식물을 담은 상태에서 몸체(100)와 서로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하여 용기(400)를 밀폐시킨 후, 즉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몸체(100)와 용기(40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작동체(500)를 누르면 작동체(500)는 쉽게 회전되지 않고 회전축(200)은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이므로 회전축의 스크루홈(210)이 작동체의 볼너트(510)를 따라 작동체(500)를 누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회전하여 회전축(200)에 고정된 분쇄날(30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때 스프링(600)은 도 3과 같이 압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작동체(500)를 누르는 힘을 해제 또는 제거하면 스프링(600)의 탄성 작용에 의해 회전축의 스크루홈(210)이 작동체의 볼너트(510)를 따라 작동체(500)를 누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강함과 동시에 회전하여 회전축(200)에 고정된 분쇄날(30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렇게 일정 시간 동안 동작을 수회 반복하면 분쇄날(300)이 고속으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자동으로 반복하면서 음식물을 으깨거나 갈아서 분쇄함으로써 작업 및 작동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작동체(500)를 테이블 등의 바닥에 밀착시켜 세워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작동체(50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작동체(500)와 이격된 상태의 몸체(100)와 용기(400)를 누르면 작동체(500)는 그 잠금돌기(520)와 몸체의 잠금해제홈(121)의 접촉 간섭으로 인해 회전되지 않고 회전축(200)은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이므로 회전축의 스크루홈(210)이 작동체의 볼너트(510)를 몸체(100)와 용기(400)를 누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하강함과 동시에 회전하여 회전축(200)에 고정된 분쇄날(30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때 스프링(600)은 도 3과 같이 압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작동체(500)를 누르는 힘을 해제 또는 제거하면 스프링(600)의 탄성 작용에 의해 회전축의 스크루홈(210)이 작동체의 볼너트(510)를 따라 몸체(100)와 용기(400)를 누르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회전하여 회전축(200)에 고정된 분쇄날(30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 블렌더는 동력원을 이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음식물을 으깨거나 갈아서 분쇄할 수 있고, 나아가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아 에너지 절감 및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몸체 110: 중공홈
120: 잠금홈 121: 잠금해제홈
130: 이탈방지턱 140: 암나사
200: 회전축 210: 스크루홈
300: 분쇄날 400: 용기
440: 수나사 500: 작동체
510: 볼너트 520: 잠금돌기
530: 가이드홈 600: 스프링

Claims (5)

  1. 하면에 중공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측 둘레면에 스크루홈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고정된 분쇄날;
    상기 몸체의 상부에 탈장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
    상기 몸체의 중공홈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스크루홈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작동체;
    상기 몸체와 상기 작동체 사이에 내장되어 상기 작동체가 상승 시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수동 블렌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중공홈 내측 둘레면에 잠금홈과 잠금해제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작동체의 외측 둘레면에 그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잠금홈 및 잠금해제홈과 선택적으로 대응 결합되어 상기 몸체와 상기 작동체의 잠금 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하는 잠금돌기가 형성된 수동 블렌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홈의 내측 둘레면에 상기 잠금돌기와 접촉 간섭으로 걸림되면서 상기 작동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수동 블렌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의 외측 둘레에 상기 몸체의 하단 테두리가 삽입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수동 블렌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는 상기 회전축의 스크루홈을 따라 승강하는 볼너트를 더 포함하는 수동 블렌더.
KR20130076311A 2013-07-01 2013-07-01 수동 블렌더 KR101497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311A KR101497218B1 (ko) 2013-07-01 2013-07-01 수동 블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311A KR101497218B1 (ko) 2013-07-01 2013-07-01 수동 블렌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62A true KR20150003462A (ko) 2015-01-09
KR101497218B1 KR101497218B1 (ko) 2015-02-27

Family

ID=5247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6311A KR101497218B1 (ko) 2013-07-01 2013-07-01 수동 블렌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2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1092A (zh) * 2015-04-03 2015-07-15 惠阳亚伦塑胶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搅拌机的装配刀座
KR101655244B1 (ko) * 2015-04-08 2016-09-07 (주) 테콘 식재료 분쇄기용 수동 작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65408A1 (en) * 2020-04-30 2023-06-01 Spectrum Brands, Inc. Anti-cavitation blender with vertical jar actu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760Y1 (ko) * 1982-02-25 1983-12-09 김기세 수동 생즙기(手動生汁器)
US5735193A (en) * 1997-06-27 1998-04-07 Chang; Po Feng Food processor
AUPO908797A0 (en) 1997-09-10 1997-10-02 Lawson, Anthony Charles Improved food mixer
WO2005051150A1 (en) 2003-11-30 2005-06-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ood processor with inside mounted cover-retaining mea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1092A (zh) * 2015-04-03 2015-07-15 惠阳亚伦塑胶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搅拌机的装配刀座
CN104771092B (zh) * 2015-04-03 2017-08-25 惠阳亚伦塑胶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搅拌机的装配刀座
KR101655244B1 (ko) * 2015-04-08 2016-09-07 (주) 테콘 식재료 분쇄기용 수동 작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218B1 (ko) 201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0899B2 (ja) 食物処理システム
KR101490099B1 (ko) 텀블러형 블렌더
US8672250B2 (en) Hand held masher device
CN101291609A (zh) 用于切碎食品特别是冰块的装置
KR101497218B1 (ko) 수동 블렌더
JP2002336139A (ja) ミキサー
KR200441481Y1 (ko) 마늘박피용 커터를 구비하는 전기믹서기
TWM470619U (zh) 隨身杯與果汁機二合一結構
CN107752802B (zh) 研磨器
KR200277694Y1 (ko) 믹서기
KR200393606Y1 (ko) 푸드 프로세서에 구성되는 이중칼날 절삭부
KR101632395B1 (ko) 믹서기용 칼날 연결구
KR102094018B1 (ko) 진공텀블러 및 이를 구비한 믹서기
KR100789417B1 (ko) 다기능 분쇄기
CN213248648U (zh) 粉碎组件和料理机
KR200346869Y1 (ko)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KR200419018Y1 (ko) 믹서기의 안전장치
KR101462667B1 (ko) 수동 음식 재료 다짐기
KR200343854Y1 (ko) 소형믹서
KR200397272Y1 (ko) 핸드 쥬서기
KR20200005813A (ko) 소형 믹서기
CN220695074U (zh) 一种家用手摇式的辣椒研磨装置
US20220240721A1 (en) Modular hand-held kitchen applicance
CN219745034U (zh) 一种立式双档位绞肉机
KR200345441Y1 (ko) 믹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