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44U -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 Google Patents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44U
KR20150003444U KR2020140003784U KR20140003784U KR20150003444U KR 20150003444 U KR20150003444 U KR 20150003444U KR 2020140003784 U KR2020140003784 U KR 2020140003784U KR 20140003784 U KR20140003784 U KR 20140003784U KR 20150003444 U KR20150003444 U KR 201500034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arent plastic
plastic layer
fiber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123Y1 (ko
Inventor
메이-라이 왕
Original Assignee
메이-라이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이-라이 왕 filed Critical 메이-라이 왕
Publication of KR201500034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1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2Flat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0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6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de by work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3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stitching and discrete fastener[s], coating or bo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 및 섬유층을 포함하는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이 개시됨. 섬유층은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과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 사이에 적층되며, 장식 재봉실에 의하여,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이 섬유층에 결합되도록 재봉되거나 및/또는 섬유층 및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의 양자와 결합되도록 재봉되어 봉제 패턴을 형성하며, 그에 의하여, 방수성, 방오성, 강성 및 내구성과 같은 상부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의 특성들이 일용품의 제조에 적용되도록 섬유층의 다양한 질감과 결합된다. 부가적으로, 상부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 층들의 강성과 함께, 레이스 및 면사와 같은 경량의 섬유들이 가방의 제조 시에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STITCHING-TO-COMBINED COMPONENT OF TEXTILE AND PLASTIC}
본 고안은 평면 작업 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에 관한 것이다.
가방, 신발 및 우비와 같이, 일상 생활에 사용되는 수만 종의 일용품이 존재한다. 이들 일용품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재질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다. 예를 들어, 나일론으로 만든 우비는 방수기능이 있고 변화가 많은 가죽으로 만들어진 가방은 상이한 질감 및 기능을 제공한다. 더욱이, 기타 플라스틱 및 섬유 재료들도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품은 방수성, 방오성, 강성 및 내구성의 장점을 가지며, 섬유로 만들어진 제품은 방수성, 방오성, 강성 및 내구성의 면에서는 플라스틱 재질처럼 좋지는 않지만, 질감, 패턴 및 감촉에 있어서는 훨씬 풍부하며 보다 변화가 많다. 따라서, 핸드백과 같은 일용품을 생산하기 위한 재료로서 섬유는 플라스틱 만큼이나 쓸모가 많다.
하지만, 플라스틱 또는 섬유 재질의 단일 재질로 만들어진 제품은 품질이 떨어지고 스타일의 변화에 한계가 있으며 방수성, 방오성, 강성 및 내구성에 있어서 성능이 한계를 가진다. 플라스틱 또는 섬유 재질의 단일 재질로 만들어진 제품은 양자의 장점을 동시에 가질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수성, 방오성, 강성, 내구성 등과 같은 플라스틱 제품의 장점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질감 및 패턴에 있어서의 다양성이라는 장점을 유지할 수 있는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이 부품들은 가방, 신발, 우비 및 다양한 기타 일용품의 넓은 범위에서의 생산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은,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 및, 상기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과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 사이에 적층된 섬유층을 포함하며, 장식 재봉실에 의하여,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이 섬유층에 결합되도록 재봉되거나 및/또는 섬유층 및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의 양자와 결합되도록 재봉되어 봉제 패턴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 또는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은 반투명 플라스틱층 또는 투명 플라스틱층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본체와 결합된 외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층 및 하부 프레임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층은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 상에 놓여지고, 하부 프레임층은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의 하부에 놓여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섬유층은 레이스층, 섬유층, 면사층 또는 그물층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섬유층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은 장식 재봉실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재봉됨으로써 섬유층의 상부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의 하부에 봉제 패턴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식 재봉실은 상부 투명 플라스틱 층을, 사전에 재봉된 섬유층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에 재봉 및 결합하도록 적용되어, 상기 봉제 패턴과 중첩되는 다른 봉제 패턴을 형성함으로서,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 상에 중첩되는 패턴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섬유층,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들은 장식 재봉실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재봉됨으로써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의 상부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의 하부에 봉제 패턴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프레임은 가죽, 금속, 플라스틱, 섬유 또는 천으로 만든 프레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프레임에는 다수 개의 절결부가 마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섬유층과 결합된 장식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식 부재는 금속 장식부재, 보석 장식부재, 플라스틱 장식부재 또는 유리 장식부재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투명 플라스틱층은 장식 재봉실에 의하여 상이하게 결합되도록 재봉됨으로써 섬유층과 결합되어 신규한 부품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섬유층은 2개의 반투명 플라스틱층 사이, 또는 2개의 투명 플라스틱층 사이에 적층됨으로써, 다양한 질감 및 변화를 보유할 뿐 아니라 플라스틱 제품에서 발견되는 바와 같은 방수성, 방오성, 강성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부품은 가방, 신발, 우비 및 기타 일용품의 제조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다.
상기 및 기타의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하여 채택되는 구성 및 기술적 수단을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1 실시예에 따른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의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으로 만들어진 가방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들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기재내용은 본 고안을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되며,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섬유 및 플라스틱의 복합 봉제 부품(100)은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과,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 및 섬유층(3)을 주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과,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은 그의 재질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또는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투명 플라스틱층 또는 반투명 플라스틱층으로 될 수 있다.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의 재질은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의 재질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의 재질이 폴리스티렌일 때,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의 재질은 폴리에틸렌이어서, 2개의 투명 플라스틱층들은 상이한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섬유층(3)은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과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의 사이에 적층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직물층이지만, 레이스층, 면사층 또는 그물층일 수 있다.
상부 플라스틱층(1),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 및 섬유층(3)들은 주로 장식 재봉(4)에 의하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섬유층(3)과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들은 장식 재봉실(4)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재봉됨으로써 봉제 패턴(7)이 섬유층(3)의 상부 및 하부 플라스틱층(2)의 하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장식 재봉실(4)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재봉되는 봉제 패턴(7)은 다이아몬드 패턴이다. 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봉제 패턴(7)은 섬유재의 종류, 질감 또는 특성에 따라서 다각형, 원형 또는 어떠한 다른 패턴이 될 수도 있다.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은 섬유층(3) 상에 놓여져 있고, 바늘의 파단, 녹 또는 손상으로부터 봉제 패턴(7)을 보호하도록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이 그와 함께 재봉된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 및 재봉된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 및 섬유층(3)은 외부 프레임(5)에 의하여 결합된다. 외부 프레임(5)은 상부 프레임층(51) 및 하부 프레임층(52)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층(51)은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 상에 놓여지고, 하부 프레임층(52)은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의 아래에 배치된다. 상부 프레임층(51)은 외부 프레임 재봉(6)에 의하여 하부 프레임층(51)과 결합되도록 재봉되고, 따라서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과 재봉된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 및 섬유층(3)은 상부 프레임층(51)과 하부 프레임층(52)의 사이에 적층된다. 상부 프레임층(51)과 하부 프레임층(52)의 중앙에 파인 부분인 창문부(53)는 섬유층(3) 및 봉제 패턴(7)이 그를 통하여 보여질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창문부(53)는 사각형 구멍으로 되어 있다.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창문부(53)는 원형, 다각형 또는 기타 어떠한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그 밖에도, 창문부(53)는 보여지기를 원하는 섬유층(3) 및 봉제 패턴(7)의 범위에 따라서 상이한 규격으로 조정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부 프레임층(51) 및 하부 프레임층(52)은, 예를 들면 진짜 가죽 또는 합성 피혁으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상부 프레임층(51) 및 하부 프레임층(52)은, 금속, 플라스틱, 섬유, 천 또는 기타 재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층(51)의 재질 및 하부 프레임층(52)의 재질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층(51)은 진짜 가죽으로 만들어지고 하부 프레임층(52)은 천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여, 섬유 및 플라스틱의 결합 봉제 부품은,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으로부터 유래되는 방수성, 방오성, 강성 및 내구성과 같은 특성들을 보유하게 되며, 섬유층(3)으로부터 구할 수 있는 바와 같은, 투명 플라스틱창을 통하여 보여지는 질감, 다양한 패턴, 색상 및 가변적인 봉제 패턴(7)의 장점을 유지할 수 있어서, 일용품의 제조에 적용하기에 적절하다. 예를 들어, 섬유 및 플라스틱의 복합 봉제 부품(100)은 가방(8)을 생산하는데 사용하기에 적절한데, 그 이유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과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의 강성이, 가방(8) 내부의 내용물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섬유층(3)에 가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방(8)은 기능성 및 개인적 프라이버시 보호라고 하는 두개의 장점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섬유 및 플라스틱의 복합 봉제 부품(100a)에 있어서는, 외부 프레임(5)에 다수개의 절결부(54)가 마련된다. 특히, 절결부(54)들은 어떠한 형상도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54)들은 사각형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절결부(54)들은 창문부(53)의 둘레로 외부 프레임(5)의 프레임부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절결부(54)는 외부 프레임(5) 상에서 불규칙하게 위치될 수도 있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외부 프레임(5)은 가죽 막대, 중국식 매듭 막대 등과 같이 다수개의 막대들을 직조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으며, 막대들 사이의 간격은 창문부(53) 또는 절결부(54)를 형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5)의 수단에 의하여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과 재봉된 섬유층(3)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 및 섬유층(3)을 결합하는 것에 부가하여, 접착, 체결 또는 열용융(hot melting)과 같은 결합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체결 방법은, 예를 들면, 버튼과 같은 것으로 단추채우기를 함으로써 수행되며, 또한 열용융은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을 가열하고 그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을 재봉된 섬유층(3) 및 하부 투명 틀라스틱층(2)에 녹여붙임으로써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프레임(5)은 단추채우기, 접착, 또는 기타 탈부착식 결합방법의 수단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섬유층(3)은 장식부재(9)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장식부재(9)는 금속 장식부재, 보석 장식부재, 플라스틱 장식부재 또는 유리 장식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장식부재는 리벳 또는 체인일 수 있다. 보석 장식부재는 준보석(gemstone) 또는 호박일 수 있다. 플라스틱 장식부재는 반짝이는 조각부재 또는 비드(bead)등 일 수 있다. 유리 장식부재는 유리알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장식부재(9)가 반짝이는 조각부재로서, 접착에 의하여 섬유층(3)과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반짝이는 조각부재 및 리벳과 같은 상이한 종류의 장식부재가 섬유층(3)과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섬유 및 플라스틱의 복합 봉제 부품(100)의 실용성 및 다양성이 더욱 개선된다. 부가적으로,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 및 섬유층(3)은 직접적으로 재봉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세한 구조는 이하에서 기술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섬유 및 플라스틱의 복합 봉제 부품(100b)에 있어서는,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 및 섬유층(3)들이 장식 재봉실(4)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재봉됨으로써,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의 상부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의 하부에 봉제 패턴(7)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외부 프레임(5)과 더 결합됨으로써 이들 층들 사이에 더 강한 결합을 이루게 된다.
도 7 및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섬유 및 플라스틱의 복합 봉제 부품(100c)에 있어서는, 섬유층(3)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이 장식 재봉실(4)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재봉됨으로써 섬유층(3)의 상부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의 하부에서 봉제 패턴(7)을 형성하게 된다. 다른 장식 재봉실(4')이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1)과 재봉된 섬유층(3)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2)에 재봉되고 결합됨으로써 봉제 패턴(7)과 중첩되는 다른 봉제 패턴(7')을 형성하고, 중첩되는 패턴을 형성한다. 2 개의 봉제 패턴(7) 및 (7')에 의하여 형성된 중첩 패턴은 구성에 있어서 보다 화려하고, 다양하며, 단단하기 때문에, 재봉실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논의로서만 고려되어야 한다. 동 기술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변경은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의되는 요지 및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 및,
    상기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과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 사이에 적층된 섬유층을 포함하며,
    장식 재봉실에 의하여,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이 섬유층에 결합되도록 재봉되거나 및/또는 섬유층 및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의 양자와 결합되도록 재봉되어 봉제 패턴을 형성하는,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 또는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은 반투명 플라스틱층 또는 투명 플라스틱층인,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3.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와 결합된 외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층 및 하부 프레임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층은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 상에 놓여지고, 하부 프레임층은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의 하부에 놓여지는,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층은 레이스층, 섬유층, 면사층 또는 그물층인,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층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은 장식 재봉실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재봉됨으로써 섬유층의 상부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의 하부에 봉제 패턴을 형성하는,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6. 제 5 항에 있어서,
    장식 재봉실은 상부 투명 플라스틱 층을, 사전에 재봉된 섬유층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에 재봉 및 결합하도록 적용되어, 상기 봉제 패턴과 중첩되는 다른 봉제 패턴을 형성함으로서,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 상에 중첩되는 패턴을 형성하는,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7.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층,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들은 장식 재봉실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재봉됨으로써 상부 투명 플라스틱층의 상부 및 하부 투명 플라스틱층의 하부에 봉제 패턴을 형성하는,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8. 제 3 항에 있어서,
    외부 프레임은 가죽, 금속, 플라스틱, 섬유 또는 천으로 만든 프레임인,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9. 제 3 항에 있어서,
    외부 프레임에는 다수 개의 절결부가 마련되는,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10. 제 1 항에 있어서,
    섬유층과 결합된 장식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식 부재는 금속 장식부재, 보석 장식부재, 플라스틱 장식부재 또는 유리 장식부재인,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KR2020140003784U 2014-03-06 2014-05-16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KR20047912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3203858U TWM481940U (zh) 2014-03-06 2014-03-06 織品塑料縫設結合構件
TW103203858 2014-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44U true KR20150003444U (ko) 2015-09-16
KR200479123Y1 KR200479123Y1 (ko) 2015-12-21

Family

ID=5172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784U KR200479123Y1 (ko) 2014-03-06 2014-05-16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99430B2 (ko)
EP (1) EP2915912A1 (ko)
KR (1) KR200479123Y1 (ko)
TW (1) TWM48194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96033S1 (en) * 2011-02-16 2017-08-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chanical fastener
USD794181S1 (en) * 2011-02-16 2017-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chanical closure element
KR102541378B1 (ko) * 2021-06-22 2023-06-12 우민우 하드케이스에 직물을 결합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하드케이스 가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474U (ko) * 1990-03-19 1991-12-06
JPH09109309A (ja) * 1995-10-17 1997-04-28 Toray Ind Inc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
KR20100000751A (ko) * 2008-06-25 2010-01-06 이근혁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58179A (ko) * 2009-11-26 201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출 성형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37393A (en) * 1940-03-21 1941-06-19 Hill Bros Birmingham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ornamental backings and to fancy goods provided therewith
FR1108023A (fr) * 1954-06-30 1956-01-09 Sac à faces amovibles
US4309784A (en) * 1980-06-09 1982-01-12 Patrice Cohen Pillow-display case
EP1044623A1 (en) * 1998-10-23 2000-10-18 Transparent Advertising Products, S.L.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document-holder wallets and the like with internal publicity patterns
US6976579B2 (en) * 2003-03-31 2005-12-20 Swing Ltd Compact disc case with display window
WO2011045085A1 (en) * 2009-10-13 2011-04-21 Andrea Moretti Multilayer textile material
CN102894593A (zh) * 2011-07-29 2013-01-30 郭亚娟 双面珠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474U (ko) * 1990-03-19 1991-12-06
JPH09109309A (ja) * 1995-10-17 1997-04-28 Toray Ind Inc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
KR20100000751A (ko) * 2008-06-25 2010-01-06 이근혁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58179A (ko) * 2009-11-26 201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출 성형품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123Y1 (ko) 2015-12-21
US20150251379A1 (en) 2015-09-10
US9199430B2 (en) 2015-12-01
EP2915912A1 (en) 2015-09-09
TWM481940U (zh) 2014-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8166B2 (ja) 熱可塑性不織布帛複合要素
CA2618299C (en) Embroidered emblem for securing to a first fabric
KR101250409B1 (ko) 접착성을 가지는 장식용 원단
KR200479123Y1 (ko)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KR20150117241A (ko) 바느질 구멍을 메우는 바느질용 실을 이용한 섬유제품의 제조방법
KR101540775B1 (ko) 기능성 부직포 원단
US7412935B2 (en) Method of producing functional embellished stitching and the product thereof
CA2747449A1 (en) Printed emblem for securing to a first fabric
JP3191994U (ja) プラスチック生地縫製結合部材
US20070234468A1 (en) No Sew Scarf and Fashion Accessory
US2387620A (en) Fabric
KR101651196B1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갑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갑피
US20060230492A1 (en) Three-dimensional neck ties
KR200395696Y1 (ko) 합성피혁 복합끈
JP7401884B2 (ja) 刺繍付き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ランドセル
KR20170069623A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
KR101237692B1 (ko) 이중편직물을 이용한 봉제장갑
KR101439181B1 (ko) 마감부가 형성된 접착성 원단
KR20160121898A (ko) 자카드 방식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KR100938494B1 (ko) 원단의 연결무늬 및 이의 형성방법
CN203752633U (zh) 织品塑料缝设结合构件
JP3104121U (ja) 生地素材
KR100843669B1 (ko) 원단의 이음부 및 이음방법
JPS6021428Y2 (ja) 重合構造材
RU24073U1 (ru) Комплект парадно-представительской одежды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