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281A - 캡 조립체 - Google Patents

캡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281A
KR20150003281A KR1020147031280A KR20147031280A KR20150003281A KR 20150003281 A KR20150003281 A KR 20150003281A KR 1020147031280 A KR1020147031280 A KR 1020147031280A KR 20147031280 A KR20147031280 A KR 20147031280A KR 20150003281 A KR20150003281 A KR 20150003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lutch sleeve
outer cap
removable
bi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6725B1 (ko
Inventor
마티아스 다니엘
세바스티앙 칼슨
Original Assignee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0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0Closure caps or plugs for connectors or open ends of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61M5/1626Needle protec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13Caps placed axially onto the needle, e.g. equipped with finger protection gu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86Needle tip design, e.g. for improved pene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갖는 적합한 약물 전달 장치에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된 캡 조립체(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 조립체(10)는 서로에 관하여 제거가능하게 연결된 제거가능한 외측 캡(12) 및 제거가능한 내측 캡(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이 서로에 고정식으로 연결가능한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약물 전달 장치가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유지되는 때에만 제거가능한 외측 캡이 제거가능한 내측 캡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이 방지되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 둘 모두가 캡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Description

캡 조립체{CAP ASSEMBLY}
본 발명은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캡 조립체(cap assembly), 그리고 특히 향상된 안전 측면을 갖는, 외측 및 내측 캡을 포함하는 주사 니들(injection needle) 보호를 위한 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약물의 자가-투여를 위한 것으로 의도되는 많은 주사 장치의 경우에, 장치가 가능한 한 완전한 것, 즉 장치를 소정 투여량의 약물을 전달할 준비가 되도록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작업 또는 조립 단계의 수가 최소화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약물 전달 장치를 가능한 한 사전-조립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해법은 사전-부착된, 니들과 같은, 전달 부재를 갖는 약물 전달 장치를 배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법은 종종 니들의 후방 단부가 용기의 내부 내로 돌출하게 하며, 이는 소정 기간 동안 노출될 때 약물이 전달 부재의 재료와 반응한다면 결점일 수 있다. 그 점에 있어서, 전달이 수행될 때까지 전달 부재의 후방 부분을 용기 외부에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반면에, 전달 부재의 전방 부분은 의도하지 않은 니들 찌름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고 니들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 전에 보호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달 부재의 전방 단부는 종종 미리 제거되어야 하는 시스(sheath) 및/또는 캡(cap)을 갖도록 배열된다.
상기의 것을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성취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약물 전달 장치의 약물 용기 홀더에 연결가능한 리테이너 부재(retainer member)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를 개발하였다. 캡 조립체는 리테이너 부재 내에서 동축으로 이동가능한 허브(hub)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허브는 근위 단부(proximal end) 및 원위 단부(distal end)를 갖는 니들을 포함한다. 내측 캡이 허브 및 리테이너 부재에 상호작용식으로 연결된다. 외측 캡과 내측 캡 사이, 그리고 내측 캡과 리테이너 부재 사이의 맞물림은, 외측 캡의 제거가 허브로 하여금 원위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니들의 원위 단부가 약물 용기의 근위 단부에 침투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약물 전달 장치 내부에 배치된 약물 용기 내에 수용되는, 전달될 일부 유형의 약물의 경우에, 용기 내부에서 압력이 증가할 수 있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압력은 상당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에 기술된 것과 같은 캡 조립체가 그것을 제거하기 위해 작동되고 니들의 원위 단부가 약물 용기에 침투하면, 과압(over-pressure)이 니들을 통해 제거된다.
주사 니들의 근위 단부가 실질적으로 수직 상향을 향하는 상태로 장치가 올바르게 유지된다면, 대부분의 공기가 탈기(de-aeration) 동안 니들을 통해 제거될 것이다. 그러나, 장치가 기울어져서 보다 수평으로 유지된다면, 과압이 제거될 때 소정량의 약물이 니들을 통해 방출될 것이다.
이는 여러모로 결점이다. 약물 용기가 환자에게 전달될 규정된 소정 투여량을 포함한다면, 캡 조립체의 제거 동안의 소정 투여량의 의도하지 않은 방출은 후속 주사 동안 더 적은 투여량이 전달되게 할 것이다. 다중-투여량 용기가 사용된다면, 전달될 마지막 투여량은 더 적은 양을 가질 것이다. 이는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다소 특정한 투여량을 필요로 하는 약물의 경우에 심각한 일일 수 있다. 또한, 환경으로의 소정량의 약물의 비제어된 방출만으로도 번거롭고 불편하다.
약물 전달 장치가 소정의 취급 단계 동안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몇몇 해법이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문헌 국제 공개 팜플랫 제 WO 2007/099044 호는 다중-챔버 약물 용기를 취급하도록 배열된 약물 전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장치가 혼합 작업 후에 다중-챔버 용기의 프라이밍(priming) 동안 적절한 수직 위치에 유지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프라이밍을 가능하게 하는 맞물림 위치로부터 어떠한 프라이밍도 수행될 수 없는 맞물림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볼(ball)을 포함할 수 있는 방향 의존성(direction sensitive) 기계식 해법이 제시된다. 맞물림 위치에서, 프라이밍 슬리브를 수동으로 밀어내 사전-텐셔닝된(pre-tensioned) 플런저 로드가 소정의 사전결정된 거리만큼 해제되어 포집된 공기를 방출함으로써 약물 용기가 프라이밍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해법은 다소 복잡한데, 그 이유는 이 설계가 장치에 내장되어 이 설계에 비용이 많이 드는 특징부를 부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국제 공개 팜플랫 제 WO 2007/099044 호는 다중-챔버 용기의 혼합 후 프라이밍 동안의 상황만을 다룬다. 이 해법은 다수의 특징부 및 상호작용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더욱이, 그 문헌은 캡 조립체의 제거 동안 침투 니들에 의해 약물 용기의 내부가 갑자기 주위와 연통하는 때의 상황을 다루지 않는다.
상기에 언급된 문제 중 하나 또는 몇 개를 극복하기 위해, 독립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추가의 태양, 개선 및 변형예가 종속 청구항,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다.
본 출원에서, 용어 "원위"가 사용될 때, 이는 투여량 전달 부위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용어 "원위 부분/단부"가 사용될 때, 이는 투여량 전달 부위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되는 전달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전달 장치의 부재의 부분/단부를 말한다. 상응하여, 용어 "근위"가 사용될 때, 이는 투여량 전달 부위 쪽을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용어 "근위 부분/단부"가 사용될 때, 이는 투여량 전달 부위에 가장 가까이 위치되는 전달 장치의 부분/단부, 또는 전달 장치의 부재의 부분/단부를 말한다.
본 발명의 주요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위 단부(distal end) 및 근위 단부(proximal end)를 갖는 약물 전달 장치(medicament delivery device)에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서로에 관하여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제거가능한 내측 캡을 포함하는 캡 조립체(cap assembly)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이 서로에 고정식으로 연결가능한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약물 전달 장치가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유지되는 때에만 제거가능한 외측 캡이 제거가능한 내측 캡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이 방지되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 둘 모두가 캡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태양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제거가능한 내측 캡은 서로에 관하여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제거가능한 외측 캡은 제거가능한 내측 캡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것이 방지되지만 회전가능하고, 여기서 캡 조립체는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이 서로에 고정식으로 연결가능한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약물 전달 장치가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유지되는 때에만 제거가능한 외측 캡이 제거가능한 내측 캡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이 방지되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 둘 모두가 캡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기 캡 조립체는 캡 조립체와 약물 전달 장치 사이의 고정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약물 용기 홀더에 연결가능한 리테이너 부재를 포함한다. 캡 조립체는 약물 전달 장치에, 바람직하게는 약물 전달 장치의 이동가능한 차폐 슬리브에 또한 연결가능한 차폐 전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캡 조립체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니들(needle)을 포함하는 허브(hub)를 갖도록 배열되며, 여기서 허브는 리테이너 부재 내에서 동축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제거가능한 내측 캡은 허브에 그리고 리테이너 부재에 상호작용식으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거가능한 외측 캡은 내측 캡에 동축으로 배열되고 연결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해법에 따르면,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내측 캡과 상기 외측 캡 사이에 동축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내측 캡 및 상기 외측 캡 둘 모두에 해제가능하게 연결가능한 편의된 클러치 슬리브(biased clutch sleeve);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으로서, 외측 캡과 클러치 슬리브 사이에 동축으로 배열되고,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외측 캡 및 클러치 슬리브 둘 모두로부터 연결해제되는 연결해제된 위치와,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외측 캡 및 클러치 슬리브 둘 모두에 연결되는 연결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상기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 및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로서, 클러치 슬리브와 외측 캡 사이에 배열되고, 클러치 슬리브가 상기 내측 캡 및 상기 외측 캡에 관하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클러치 슬리브 및 외측 캡 둘 모두에 연결되는 차단 위치와, 클러치 슬리브가 내측 캡 및 외측 캡에 관하여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클러치 슬리브 및 외측 캡 둘 모두로부터 연결해제되는 비차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클러치 슬리브, 외측 캡, 및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는 약물 전달 장치가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유지되는 때에만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비차단 위치로부터 차단 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태양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외측 캡은 편의되어 클러치 슬리브로부터 연결해제되도록 구성되어,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연결해제된 위치에 있고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차단 위치 또는 비차단 위치에 있을 때에만 외측 캡은 클러치 슬리브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외측 캡은 클러치 슬리브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연결된 위치에 있고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비차단 위치에 있을 때 외측 캡 및 클러치 슬리브는 내측 캡에 대해서만 회전가능하고 클러치 슬리브는 내측 캡에 관하여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편의된 클러치 슬리브 및 내측 캡은 서로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차단 위치에 있고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연결된 위치에 있을 때에만 클러치 슬리브는 내측 캡에 대해 회전가능하지도 않고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하지도 않다.
본 발명의 추가 태양에 따르면, 외측 캡 및 내측 캡은 클러치 슬리브를 통해 서로에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차단 위치에 있고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연결된 위치에 있을 때에만 외측 캡의 이동이 내측 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해법은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차단 위치에 있고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연결된 위치에 있을 때 외측 캡 및 내측 캡 둘 모두의 제거를 제공한다. 반면에,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비차단 위치에 있고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연결된 위치에 있을 때, 또는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차단 위치에 있고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연결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또는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비차단 위치에 있고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연결해제된 위치에 있을 때, 외측 캡의 회전은 내측 캡의 회전을 유발하지 않을 것이며 이에 따라 약물 전달 장치로부터의 캡 조립체의 제거가 달성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해법에 따르면, 외측 캡은 내측 캡의 근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중심 개구를 갖는 근위 단부 벽을 포함하여, 외측 캡은 내측 캡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것이 방지되지만 회전가능하다. 외측 캡은, 근위 단부 벽으로부터 장치의 원위 단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캡의 근위 부분이 통과해 연장되는 동축 관형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한다. 편의된 클러치 슬리브는, 그것의 근위 단부에서, 내측 캡의 근위 부분이 통과해 연장되는 중심 개구를 갖는 컵 형상의 부재를 포함한다. 클러치 슬리브를 편의시키기 위해, 동축 관형 차단 부재 주위에, 그리고 컵 형상의 부재의 원주방향 레지 표면(ledge surface)과 외측 캡의 내측 표면 상에 있는 지지 표면(들) 사이에, 탄성 부재가 배열된다.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는 컵 형상의 부재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되고,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는 롤링 부재(rolling member)이다. 편의된 클러치 슬리브는 캐밍 표면(camming surface)을 포함하고, 내측 캡은 대응하는 캐밍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캐밍 표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차단 위치에 있고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연결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밍 표면들은 회전 로킹되어서 상기 외측 캡의 회전은 상기 내측 캡의 회전을 유발하고,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비차단 위치에 있고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연결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밍 표면들은 회전-비로킹되어서 상기 외측 캡의 회전은 내측 캡에 관한 상기 편의된 클러치 슬리브의 회전 및 종방향 변위를 유발한다.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볼이다. 그러나, 그것은 맞물림 상태로 그리고 맞물림 상태로부터 벗어나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이점은 그 표면이 롤링 부재가 360도 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클러치 기구는 상기 외측 캡과 상기 내측 캡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배열된 클러치 슬리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표면은 상기 클러치 슬리브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밍 표면들은 협력하는 경사진 표면을 포함한다. 경사진 표면은 래칫(ratchet)을 이루는 치형부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또한 다른 형상이 바람직한 기능을 허용함에 있어서 가능하다.
안전 특징부로서,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은 클러치 편의 수단에 연결되거나 그것과 일체형이다. 상기 클러치 편의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에 일체형인 탄성 부재이다. 클러치 편의 수단의 기능은 만약 캡 조립체가 갑작스런 외력에 노출되었다면, 예를 들어 만약 이를테면 약물 전달 장치가 그것의 근위 단부가 딱딱한 표면 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떨어졌다면,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을 연결해제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태양과 본 발명에 의한 이점이 하기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하기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할 것이다.
도 1은 약물 전달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을 이루는 캡 조립체의 비제한적 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캡 조립체의 비제한적 예의 분해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캡 조립체의 비제한적 예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의 상세도,
도 6은 초기 상태에 있는 도 1의 캡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7은 활성화된 상태에 있는 도 1의 캡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8은 장치가 적절한 규정된 방향에 유지되지 않을 때의, 도 1의 캡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여러 작동 단계 동안의 도 1의 실시예의 상세 측면도.
도 1 및 도 2는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갖는 적합한 약물 전달 장치에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캡 조립체(10)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 조립체(10)는 서로에 관하여 제거가능하게 연결된 제거가능한 외측 캡(12) 및 제거가능한 내측 캡(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이 서로에 고정식으로 연결가능한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약물 전달 장치가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유지되는 때에만 제거가능한 외측 캡이 제거가능한 내측 캡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이 방지되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 둘 모두가 캡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거가능한 외측 캡(12) 및 제거가능한 내측 캡(16)은 서로에 관하여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제거가능한 외측 캡은 제거가능한 내측 캡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것이 방지되지만 회전가능하고, 여기서 캡 조립체는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제거가능한 내측 캡이 서로에 고정식으로 연결가능한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약물 전달 장치가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유지되는 때에만 제거가능한 외측 캡이 제거가능한 내측 캡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이 방지되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 둘 모두가 캡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캡 조립체는, 다른 요소 중에서도, 약물 전달 장치에 연결가능한 리테이너 부재(retainer member)(14), 약물 전달 장치에 연결가능한 차폐 전방부(17)로서, 리테이너 부재에 관하여 동축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차폐 전방부(17),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니들(30)을 포함하는 허브(26)로서, 리테이너 부재 내에서 동축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허브(26), 허브(26) 및 리테이너 부재(14)에 상호작용식으로 연결된 제거가능한 내측 캡(16), 상기 내측 캡과 상기 외측 캡 사이에 동축으로 그리고 이동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내측 캡 및 상기 외측 캡 둘 모두에 해제가능하게 연결가능한 편의된(biased) 클러치 슬리브(46),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으로서, 외측 캡과 클러치 슬리브 사이에 동축으로 배열되고,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외측 캡 및 클러치 슬리브 둘 모두로부터 연결해제되는 연결해제된 위치와,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외측 캡 및 클러치 슬리브 둘 모두에 연결되는 연결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상기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 및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60)로서, 클러치 슬리브와 외측 캡 사이에 배열되고, 클러치 슬리브가 상기 내측 캡 및 외측 캡에 관하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클러치 슬리브 및 외측 캡 둘 모두에 연결되는 차단 위치와, 클러치 슬리브가 내측 캡 및 외측 캡에 관하여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클러치 슬리브 및 외측 캡 둘 모두로부터 연결해제되는 비차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60)를 추가로 포함한다.
리테이너 부재(14)는 또한 소정의 피치를 갖는 나사산(thread)이 제공된 외측 나사산 구조물(22)(도 6)을 갖도록 배열된다. 이 나사산 구조물은 내측 캡(16)의 내측 원위 원통형 표면 상에 있는 대응하는 나사산 구조물(24)(도 4)과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된다.
내측 캡(16)의 내부에는, 허브(26)(도 2)가 배열된다. 허브(26)에는 그것의 외측 표면 상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나사산과 같은, 맞물림 부재(28)가 제공된다. 주사 니들(30)은 허브(26)에 부착되고 그것을 통과해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허브(26)의 맞물림 표면(28)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나사산인, 리테이너 부재(14)의 내측 원통형 표면 상에 있는 대응하는 맞물림 부재(32)(도 6)와 협력하도록 의도된다. 허브(26)의 나사산(28) 및 리테이너 부재(14) 상의 대응하는 나사산(32)은, 하기에 설명될 바와 같이, 리테이너 부재(14)의 나사산(22) 및 내측 캡(16) 상의 나사산(24)에 관하여 반대인 나사산 상의 피치 및 방향을 갖는다. 허브(26)는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34)(도 2)을 갖도록 배열되며, 이 슬릿(34)은 내측 캡(16)의 내측 표면 상에 있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rib)(36)(도 4)와 협력하도록 설계되어, 허브(26)는 내측 캡(16)에 관하여 회전 로킹되지만 활주가능하다.
내측 캡(16)의 외측 표면은 근위방향으로 지향된 원주방향 레지(ledge)(40) 상에 캐밍 표면(camming surface)(38)을 갖도록 배열된다(도 5).
클러치 슬리브의 내측 표면은 원위방향으로 지향된 원주방향 레지(48) 상에 캐밍 표면(50)을 갖도록 배열된다(도 4). 하기에 상세히 기술될 바와 같이, 상기 캐밍 표면(38, 50)은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클러치 슬리브(46)는 내측 캡(16)의 근위 부분이 통과해 연장되는 중심 개구(56)를 갖는 컵 형상의 부재(54)(도 5)를 그것의 근위 단부에서 포함한다. 컵 형상의 부재는 개구(56)를 향해 경사지도록 배열된 원추형 표면을 포함한다. 원주방향 측벽(58)이 컵 형상의 부재(54)의 에지에 배열된다.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60)(도 2)는 컵 형상의 부재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며, 그것의 기능은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외측 캡(12)은 근위 단부 벽(62)(도 2)을 갖는 대체로 관형인 형상을 갖도록 배열된다. 단부 벽(62)은 내측 캡(16)의 근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중심 개구(64)를 갖도록 배열되어, 외측 캡은 내측 캡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것이 방지된다. 외측 캡(12)은, 근위 단부 벽(62)으로부터 장치의 원위 단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 캡(16)의 근위 부분이 통과해 연장되는 동축 관형 차단 부재(66)를 추가로 포함한다(도 3).
또한, 클러치 슬리브(46)를 편의(biasing)시키기 위해, 동축 관형 차단 부재(66) 주위에, 그리고 컵 형상의 부재의 원주방향 레지 표면과 외측 캡의 내측 표면 상에 있는 지지 표면(들) 사이에, 탄성 부재(68)(도 2)가 배열된다.
클러치 슬리브(46)의 외측 표면은 다수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70)(도 5)를 갖도록 배열된다. 이들 리브(70)는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의 내측 표면 상에 있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홈(72)(도 3)과 협력하도록 의도되며, 이에 의해 회전 로크(rotational lock)가 달성되지만 이들 둘 사이의 종방향 이동을 제공한다.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에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체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74)(도 3)을 포함하는 제 1 맞물림 부재가 또한 제공된다. 아암은 대체로 반경 방향에서 가요성이도록 배열된다. 아암(74)의 외측 단부는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76)(도 3)를 갖도록 배열되며, 여기서 돌출부(76)는 근위 또는 원위 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웨지(wedge)-형상을 갖는다. 돌출부(76)는 그것의 원위 영역에서 외측 캡(12)의 내측 표면 상에 배열된 래칫(ratchet)(78)(도 3)과 협력하도록 배열된다. 래칫(78)의 치형부(tooth)는 바람직하게는 원위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웨지-형상을 형성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돌출부(76) 및 래칫(78)은 협력하도록 의도되어, 외측 캡(12)은 캡 조립체의 제거를 위해 그것과 함께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을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 래칫(78)은 돌출부(76) 위에서 활주할 것이며, 이에 의해 돌출부(76)는 아암(74)으로 인해 반경 방향으로 휘어질 것이다.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은 클러치 편의 수단(80)(도 3)에 연결되거나 그것과 일체형이다. 상기 클러치 편의 수단(80)은 외측 캡(12)의 내측 표면 상에 있는 원주방향 레지(67)(도 3) 상에 위치하는 근위 단부 표면을 갖고, 그것을 연결해제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을 편의시킬 수 있다. 클러치 편의 수단(80)은, 바람직하게는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에 일체형인 탄성 부재이다. 클러치 편의 수단의 기능은 만약 캡 조립체가 갑작스런 외력에 노출되었다면, 예를 들어 만약 이를테면 약물 전달 장치가 그것의 근위 단부가 바닥과 같은 딱딱한 표면 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떨어졌다면 - 여기서, 충격력으로 인해,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은 연결된 위치로 이동되었음 -,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을 연결해제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캡 조립체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때,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은 상기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이 외측 캡(12)으로부터 그리고 내측 캡(16)으로부터 연결해제되는 연결해제된 위치에 있어서, 외측 캡(12)은 상기 내측 캡(16)에 관하여 회전가능한데, 즉 외측 캡(12)의 래칫(78)은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의 돌출부(76)를 갖는 아암(74)과의 맞물림으로부터 벗어나는데, 그 이유는 클러치 편의 수단(80)이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을 차폐 전방부(17)의 근위 표면을 향하여 원위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상 사용 동안, 환자가 소정 투여량의 약물을 전달하기 위해 약물 전달 장치를 사용하려고 할 때, 약물 전달 장치 상에 배열된 투여량 노브(knob)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가 조작된다. 약물 전달 장치는 국제 공개 팜플랫 제 WO 2011/126439 A1 호에 개시된 일반적인 유형의 것이다. 본 명세서와 불일치하지 않는 정도까지, 국제 공개 팜플랫 제 WO 2011/126439 A1 호의 개시내용이 이에 의해 참조된다. 이는 이어서 에너지 축적 부재가 차폐 전방부(17)를 근위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한다. 근위 방향으로의 차폐 전방부(17)의 이동은 또한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이 클러치 편의 수단(80)의 힘에 대항하여 근위 방향으로 변위되게 한다. 즉,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이 연결해제된 위치로부터, 상기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이 외측 캡(12)에 그리고 클러치 슬리브(46)에 연결되는 연결된 위치로 변위되게 하여, 외측 캡은 클러치 슬리브(46)에 회전 로킹된다.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의 변위가 완료된 후에, 돌출부(76)를 갖는 아암(74) 및 래칫(78)은 서로 접촉한다(도 7). 본 발명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는 캡이 제거되어야 할 때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가 상향으로 향하는 상태로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약물 전달 장치가 적절한 위치에 유지된 때,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60)는 컵 형상의 부재(54)의 경사진 표면으로 인해 컵 형상의 부재(54)의 중심을 향해 가압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캡(16)에 맞대어 위치하고 있다. 이제 사용자가 외측 캡을 적절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래칫(78)이 아암(74)의 돌출부와 맞물려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이 또한 회전된다.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과 클러치 슬리브(46) 사이의 회전 로크로 인해, 클러치 슬리브가 또한 회전할 것이다. 또한, 이제 사용자가 외측 캡을 회전시키면, 클러치 슬리브(46)의 캐밍 표면이 내측 캡(16)의 캐밍 표면과 상호작용하여, 클러치 슬리브가 탄성 부재(68)의 편의에 대항하여 내측 캡에 관하여 종방향으로 변위되려고 할 것이다(도 9). 그러나, 클러치 슬리브의 이러한 종방향 변위는 클러치 슬리브 로킹 수단(60)이 차단 위치에 있기 때문에 방지된다.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6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캡(16)과 접촉하여 그것의 최내측 위치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약물 전달 장치를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태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그리고 컵 형상의 부재의 원추형 표면의 경사로 인해,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60)는 이동되어 외측 캡(12)의 차단 부재(66)와 접촉할 것이며, 이에 의해 종방향으로의 클러치 슬리브(46)의 변위는 방지된다. 따라서, 내측 캡(16)은 클러치 슬리브와 함께 회전할 것이다.
이어서, 내측 캡(16)은 허브(26)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허브(26)가 또한 회전할 것이고, 이는 그것이 리테이너 부재(14) 내로 원위방향으로 나사조임이 되게 하며, 이에 의해 니들(30)의 뾰족한 원위 단부가 무균 배리어(barrier) 및 후속적으로 약물 용기의 멤브레인(membrane)(도시되지 않음)을 뚫고 들어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외측 캡(12) 및 내측 캡(16)이 제거될 수 있다. 약물 용기 내부의 임의의 과압은 이제 주사 니들을 통해 제거될 것이고, 장치의 적절한 위치로 인해 공기만이 방출되고 약물은 방출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사용자가 약물 전달 장치를 대체로 수직 위치에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허용된 것보다 더 많이 장치를 기울어지게 하면,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60)가 그것의 최내측 위치 밖으로, 즉 차단 위치로부터 비차단 위치로 이동할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이제 외측 캡(12)을 회전시키면, 클러치 슬리브(46)는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68)의 편의에 대항하여 종방향으로 변위될 것이다. 그러나,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60)가 비차단 위치에 있기 때문에, 내측 캡(16)에 관한 탄성 부재(68)의 편의에 대항한 클러치 슬리브(46)의 종방향 변위는 방지되지 않고, 클러치 슬리브(46)의 캐밍 표면은 내측 캡(16)의 캐밍 표면 위에 올라탈 것이다(도 10). 따라서, 외측 캡(12) 및 클러치 슬리브(46)의 회전은 내측 캡(16)의 어떠한 회전도 유발하지 않을 것이며, 이에 의해 약물 전달 장치가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지 않을 때의 캡의 임의의 제거가 방지된다.
상기에 기술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비제한적 예로서 간주되어야 하고, 그것은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원위 단부(distal end) 및 근위 단부(proximal end)를 갖는 약물 전달 장치(medicament delivery device)에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서로에 관하여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제거가능한 외측 캡(12) 및 제거가능한 내측 캡(16)을 포함하는 캡 조립체(cap assembly)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이 서로에 고정식으로 연결가능한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약물 전달 장치가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유지되는 때에만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이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에 대해 이동가능한 것이 방지되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 둘 모두가 상기 캡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12)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16)은 서로에 관하여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은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것이 방지되지만 회전가능하고,
    상기 캡 조립체는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이 서로에 고정식으로 연결가능한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약물 전달 장치가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유지되는 때에만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이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이 방지되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 및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 둘 모두가 상기 캡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조립체(10)는,
    - 상기 약물 전달 장치에 연결가능한 리테이너 부재(retainer member)(14),
    - 상기 약물 전달 장치에 연결가능한 차폐 전방부(shield front)(17)로서, 상기 리테이너 부재에 관하여 동축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차폐 전방부(17),
    -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니들(needle)(30)을 포함하는 허브(hub)(26)로서, 상기 리테이너 부재 내에서 동축으로 이동가능한, 상기 허브(26),
    - 상기 허브(26)에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 부재(14)에 상호작용식으로 연결된 상기 제거가능한 내측 캡(16),
    - 상기 내측 캡과 상기 외측 캡 사이에 동축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고, 상기 내측 캡 및 상기 외측 캡 둘 모두에 해제가능하게 연결가능한 편의된 클러치 슬리브(biased clutch sleeve)(46),
    -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으로서, 상기 외측 캡과 상기 클러치 슬리브 사이에 동축으로 배열되고, 상기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상기 외측 캡 및 상기 클러치 슬리브 둘 모두로부터 연결해제되는 연결해제된 위치와, 상기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상기 외측 캡 및 상기 클러치 슬리브 둘 모두에 연결되는 연결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상기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 및
    -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60)로서, 상기 클러치 슬리브와 상기 외측 캡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클러치 슬리브가 상기 내측 캡 및 상기 외측 캡에 관하여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상기 클러치 슬리브 및 상기 외측 캡 둘 모두에 연결되는 차단 위치와, 상기 클러치 슬리브가 상기 내측 캡 및 상기 외측 캡에 관하여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상기 클러치 슬리브 및 상기 외측 캡 둘 모두로부터 연결해제되는 비차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슬리브, 상기 외측 캡, 및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는 상기 약물 전달 장치가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유지되는 때에만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상기 비차단 위치로부터 상기 차단 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12)은 편의되어 상기 클러치 슬리브로부터 연결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상기 연결해제된 위치에 있고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상기 차단 위치 또는 상기 비차단 위치에 있을 때에만 상기 외측 캡은 상기 클러치 슬리브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능한 외측 캡은 상기 클러치 슬리브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상기 연결된 위치에 있고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상기 비차단 위치에 있을 때에만 상기 외측 캡 및 상기 클러치 슬리브는 상기 내측 캡에 대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된 클러치 슬리브(46) 및 상기 내측 캡은 서로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상기 차단 위치에 있고 상기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상기 연결된 위치에 있을 때에만 상기 클러치 슬리브는 상기 내측 캡에 대해 회전가능하지도 않고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하지도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캡 및 상기 내측 캡은 상기 클러치 슬리브를 통해 서로에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가 상기 차단 위치에 있고 상기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이 상기 연결된 위치에 있을 때에만 상기 외측 캡의 이동이 상기 내측 캡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캡(12)은 상기 내측 캡(16)의 근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중심 개구(64)를 갖는 근위 단부 벽(62)을 포함하여, 상기 외측 캡은 상기 내측 캡에 대해 종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것이 방지되지만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캡(12)은, 상기 근위 단부 벽(62)으로부터 상기 장치의 원위 단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측 캡(16)의 근위 부분이 통과해 연장되는 동축 관형 차단 부재(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된 클러치 슬리브(46)는, 상기 편의된 클러치 슬리브(46)의 근위 단부에서, 상기 내측 캡(16)의 근위 부분이 통과해 연장되는 중심 개구(56)를 갖는 컵 형상의 부재(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슬리브(46)를 편의시키기 위해, 상기 동축 관형 차단 부재(66) 주위에, 그리고 상기 컵 형상의 부재의 원주방향 레지 표면(ledge surface)과 상기 외측 캡의 내측 표면 상에 있는 지지 표면(들) 사이에, 탄성 부재(68)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는 상기 컵 형상의 부재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는 롤링 부재(rolling member), 바람직하게는 볼(bal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의된 클러치 슬리브(46)는 캐밍 표면(camming surface)(50)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캡(16)은 대응하는 캐밍 표면(38)을 포함하며, 상기 캐밍 표면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60)가 상기 차단 위치에 있고 상기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이 상기 연결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밍 표면들은 회전 로킹되어서 상기 외측 캡(12)의 회전은 상기 내측 캡(16)의 회전을 유발하고, 상기 클러치 슬리브 로킹 부재(60)가 상기 비차단 위치에 있고 상기 편의된 외측 캡 로킹 수단(18)이 상기 연결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캐밍 표면들은 회전-비로킹되어서 상기 외측 캡(12)의 회전은 상기 내측 캡에 관한 상기 편의된 클러치 슬리브의 회전 및 종방향 변위를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KR1020147031280A 2012-04-10 2013-04-09 캡 조립체 KR101686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22256P 2012-04-10 2012-04-10
US61/622,256 2012-04-10
SE1250359 2012-04-10
SE1250359-5 2012-04-10
PCT/EP2013/057342 WO2013153045A1 (en) 2012-04-10 2013-04-09 Cap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281A true KR20150003281A (ko) 2015-01-08
KR101686725B1 KR101686725B1 (ko) 2016-12-14

Family

ID=4932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280A KR101686725B1 (ko) 2012-04-10 2013-04-09 캡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73014B2 (ko)
EP (1) EP2836260B1 (ko)
JP (1) JP6017672B2 (ko)
KR (1) KR101686725B1 (ko)
CN (1) CN104321100B (ko)
DK (1) DK2836260T3 (ko)
TW (1) TWI569837B (ko)
WO (1) WO20131530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443A (ko) 2017-02-13 2018-08-22 손익달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552517T3 (en) * 2010-03-31 2017-04-03 Shl Group Ab PHARMACEUTICAL DELIVERY DEVICE INCLUDING FEEDBACK SIGNALS
US11577030B2 (en) * 2013-12-04 2023-02-14 Embecta Corp. Pen needle attachment mechanisms
CN109219461B (zh) * 2016-06-21 2021-04-06 艾斯曲尔医疗公司 用于药剂输送装置的推除帽的安全机构
US10583255B2 (en) * 2016-07-27 2020-03-10 Shl Medical Ag Medicament container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10300214B2 (en) 2016-07-27 2019-05-28 Shl Medical Ag Cap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AU2017334989B2 (en) * 2016-09-30 2019-08-15 Terumo Kabushiki Kaisha Cap, syringe assembly, and prefilled syringe
US10307545B2 (en) 2017-05-01 2019-06-04 Shl Medical Ag Cap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EP3618903B1 (en) * 2017-05-01 2021-08-11 SHL Medical AG Needle shield remover
US11819666B2 (en) 2017-05-30 2023-11-21 West Pharma. Services IL, Ltd. Modular drive train for wearable injector
CN111065428B (zh) * 2017-05-30 2022-10-11 西医药服务以色列有限公司 用于注射针回缩的针罩
WO2023202885A1 (en) * 2022-04-19 2023-10-26 Shl Medical Ag A sub-assembly of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6638A (en) * 1921-07-18 1923-08-28 Barber Asphalt Co Mixing apparatus
US3835862A (en) * 1973-02-20 1974-09-17 Kendall & Co Sterile caps for a liquid drainage system and method
WO2011126439A1 (en) * 2010-04-07 2011-10-13 Shl Group Ab Medicament delive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6127A1 (de) * 2003-04-09 2004-11-04 Arzneimittel Gmbh Apotheker Vetter & Co. Ravensburg Vorgefüllte Spritze oder Karpule für medizinische Zwecke
GB2414400B (en) * 2004-05-28 2009-01-14 Cilag Ag Int Injection device
US20110098656A1 (en) * 2005-09-27 2011-04-28 Burnell Rosie L Auto-injection device with needle protecting cap having outer and inner sleeves
EP1991294A1 (en) * 2006-03-03 2008-11-19 SHL Medical AB Medical device with orientation sensitive priming mechanism
GB2438593B (en) * 2006-06-01 2011-03-30 Cilag Gmbh Int Injection device (cap removal fea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6638A (en) * 1921-07-18 1923-08-28 Barber Asphalt Co Mixing apparatus
US3835862A (en) * 1973-02-20 1974-09-17 Kendall & Co Sterile caps for a liquid drainage system and method
WO2011126439A1 (en) * 2010-04-07 2011-10-13 Shl Group Ab Medicament deliver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443A (ko) 2017-02-13 2018-08-22 손익달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836260T3 (en) 2016-08-01
US10173014B2 (en) 2019-01-08
CN104321100A (zh) 2015-01-28
EP2836260B1 (en) 2016-05-25
TW201404420A (zh) 2014-02-01
JP6017672B2 (ja) 2016-11-02
US20150065961A1 (en) 2015-03-05
TWI569837B (zh) 2017-02-11
JP2015512730A (ja) 2015-04-30
EP2836260A1 (en) 2015-02-18
KR101686725B1 (ko) 2016-12-14
WO2013153045A1 (en) 2013-10-17
CN104321100B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725B1 (ko) 캡 조립체
US11779710B2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AU2012205867B2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EP3337539B1 (en) Variable single dose medicament delivery device
EP3104909B1 (en) Automatic injection device
KR101621183B1 (ko) 캡 조립체
KR101664632B1 (ko) 최초 로크된 상태, 중간 프라이밍 상태, 및 약물 주입 상태를 갖는 약물 주입 장치
EP2326367B1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with mixing mechanism
EP3463513B1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TW201521808A (zh) 藥物輸送裝置
EP3823704A2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20230078909A1 (en) Locking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20210268202A1 (en) Safety c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