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159U - 액체화물 카고 탱크 - Google Patents

액체화물 카고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159U
KR20150003159U KR2020140001037U KR20140001037U KR20150003159U KR 20150003159 U KR20150003159 U KR 20150003159U KR 2020140001037 U KR2020140001037 U KR 2020140001037U KR 20140001037 U KR20140001037 U KR 20140001037U KR 20150003159 U KR20150003159 U KR 201500031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shing
upper plate
primary
hull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075Y1 (ko
Inventor
백승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1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075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1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1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0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6Coverings, e.g. for insulat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2Anti-slosh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4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insulat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액체화물 카고 탱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액체화물 카고 탱크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에 있어서, 액체화물이 수용되는 선체 내측에 마련되는 1차 단열박스; 상기 1차 단열박스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선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슬로싱(sloshing) 완화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슬로싱 완화부의 상부에 액밀하게 마련되는 1차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체화물 카고 탱크{Liquid Cargo Tank}
본 고안은 액체화물 카고 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차 단열박스 상부에 마련된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선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복수의 슬로싱(sloshing) 완화부를 마련하고, 상부 플레이트와 슬로싱 완화부의 상부에 1차 멤브레인을 마련하여 슬로싱을 완화할 수 있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에 관한 것이다.
액체 상태로 운반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원유,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이산화탄소, 액화석유가스(LPG) 등이 있다.
생산지와 소비처가 달라 운송이 필요한 경우, 대상물이 상온에서 원래 액상인 경우도 있으나, 운송 시 부피를 줄이기 위해 액화시켜 운송하기도 한다.
특히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약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게 되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적합하다.
슬로싱이란, 선박이 다양한 해상 상태에서 운동할 때 저장탱크 내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물질이 유동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슬로싱에 의해 저장탱크의 벽면은 심한 충격을 받게 된다. 이러한 슬로싱 현상은 액체 화물의 부분적재 시에 더 심하게 발생한다. 저장탱크에 액체화물이 약 30 내지 50 % 내외로 부분 적재된 경우에, 슬로싱 하중을 가장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슬로싱 현상은 선박의 운항 중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므로, 슬로싱에 의한 하중을 견디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저장탱크 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LNG 저장탱크의 한 종류인 멤브레인형 저장탱크는 내부에 보강재를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슬로싱 하중을 감소시키고자 저장탱크의 측면 상부 및 하부에 약 45도 각도로 경사진 상부 및 하부 챔퍼(chamfer)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챔퍼를 갖는 종래의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경우, 저장탱크의 형성을 변형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하중을 견딜 수는 있었지만, 이 역시 표준 적재 조건에서만 운용이 가능하고 부분 적재 상태에 대해서는 슬로싱에 의한 충격력을 충분히 견딜 수 없었다.
슬로싱 충격력을 견딜 수 있도록 저장탱크의 내부 강도를 높일 경우, 단열성능이 떨어져 탱크 내부의 증발가스 발생량이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근래 선박의 대형화에 따라 LNG 저장탱크가 마련되는 액체화물 운반선 역시 대형화하는 추세에 있고, 액체화물 적재량이 늘어나면서 종래에 비해 더욱 슬로싱 현상으로 인한 하중, 즉 슬로싱의 충격력이 커지고 있으므로 이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도 1에는 멤브레인형 카고 탱크의 단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를 저장하는 멤브레인형 카고 탱크의 벽부에는 탱크 내부로 열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막고 탱크 내부에 수용된 LNG의 냉열이 선체 내벽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해, 1차 단열박스(10)와 2차 단열박스(20)가 탱크 내부와 선체 내벽 사이에 마련된다. 1차 단열박스(10)의 상부에는 액밀성을 띠도록 1차 멤브레인(30)이 마련되고, 1차와 2차 단열박스 사이에 2차 멤브레인(40)이 마련되는 구조이고, 탱크 내부에 LNG가 수용된다.
선박의 운항이나 파도 등으로 인해 탱크 내부에 수용된 LNG에 슬로싱(sloshing)이 발생하고, 이는 탱크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탱크 내부의 슬로싱 발생을 줄여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에 있어서,
액체화물이 수용되는 선체 내측에 마련되는 1차 단열박스;
상기 1차 단열박스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선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슬로싱(sloshing) 완화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슬로싱 완화부의 상부에 액밀하게 마련되는 1차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로싱 완화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일면이 부착되는 돌출 부재와, 상기 돌출 부재의 상부에 상기 1차 멤브레인과 접하도록 마련되는 표면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 부재는 강화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작되되, 테넌(tenon)이 마련된 소 부재를 조립하여 삼각뿔 또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표면 고정 부재는 플라이우드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 부재의 일면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접하도록 글루(glue)로 부착되고, 상기 돌출 부재 및 표면 고정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일단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screw)로 상기 슬로싱 완화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1차 단열박스에 스테이플(staple) 또는 스크류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단열박스로부터 상기 선체의 내벽 측에 마련되는 2차 단열박스와, 상기 1차 및 2차 단열박스 사이에 개재되는 2차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고 탱크는 NO 96형의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에 있어서,
액체화물이 수용되는 선체 내측에 1차 단열박스와, 1차 단열박스 상부에 상부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선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복수의 슬로싱(sloshing) 완화부를 마련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슬로싱 완화부의 상부에 액밀한 구조의 1차 멤브레인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로싱 완화부는 삼각뿔 또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제작된 강화 폴리우레탄 폼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액체화물 카고 탱크는 1차 멤브레인과 상부 플레이트 사이에 탱크 내부로 돌출되는 구조의 슬로싱 완화부를 마련하여 액체화물의 유동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되면서 탱크 내부에 수용된 액체화물의 슬로싱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슬로싱 충격력에 의한 탱크 손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고 탱크의 구조 일부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화물 카고 탱크의 일부 단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화물 카고 탱크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화물 카고 탱크의 일부 단면모습을, 도 3에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T)의 전체적인 단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화물 카고 탱크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어 액체화물을 수용하는 카고 탱크로서, 액체화물이 수용되는 선체 내측에 마련되는 1차 단열박스(100)와, 1차 단열박스(100)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플레이트(150), 1차 단열박스(100)로부터 선체의 내벽 측에 마련되는 2차 단열박스(400)와, 1차 및 2차 단열박스(400) 사이에 개재되는 2차 멤브레인(500)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카고 탱크는 예를 들어 NO 96형의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카고 탱크에서, 상부 플레이트(150)의 상부에 선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복수의 슬로싱(sloshing) 완화부(200)를 마련하고, 상부 플레이트(150) 및 슬로싱 완화부(200)의 상부에 액밀한 구조의 1차 멤브레인(300)을 덮이도록 마련한다.
상부 플레이트(150)는 1차 단열박스(100) 상에 스테이플(staple) 또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슬로싱 완화부(200)는, 상부 플레이트(150)에 일면이 부착되는 돌출 부재(210)와, 돌출 부재(210)의 상부에 1차 멤브레인(300)과 접하도록 마련되는 표면 고정 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돌출 부재(210)는 강화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작하고, 표면 고정 부재(220)는 플라이우드로 제작할 수 있다.
테넌(tenon, 230)이 마련된 소 부재(미도시)를 강화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작하여 소 부재의 테넌(230)을 다른 소 부재(미도시)에 끼워 넣어 조립하여 삼각뿔 또는 삼각기둥 형상의 돌출 부재(210)를 제작하여 상부 플레이트(150)에 부착하게 된다.
1차 단열박스(100)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플레이트(150)도 플라이우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상부 플레이트(150)에 돌출 부재(210)의 일면이 접하도록 글루(glue)로 부착하고, 복수의 스크류(screw, 240)를 이용하여 스크류(240)가 표면 고정 부재(220) 및 돌출 부재(210)를 관통하여 상부 플레이트(150)에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꽂아 넣어, 표면 고정 부재(220)와 돌출 부재(210)를 상부 플레이트(15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표면 고정 부재(220)와 돌출 부재(210) 간에도 글루를 도포하여 접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로싱 완화부(200)가 상부 플레이트(150)의 상부에 고정되면, 탱크 내부에 LNG와 같은 액체화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슬로싱 완화부(200)와 상부 플레이트(150)를 Invar 강 시트 또는 SUS 등으로 제작된 1차 멤브레인(300)으로 덮어 액밀한 구조를 완성한다.
슬로싱 완화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내벽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탱크 내부의 액체화물이 유동할 때 탱크 내벽의 돌출된 슬로싱 완화부(200)가 액체화물의 유동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함으로써 슬로싱을 감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액체화물 카고 탱크가 마련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은, 예를 들어 LNG 수송선, LPG 수송선, Oil Tanker를 비롯하여, LNG RV(Regasification Vessel),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일 수 있는데, 액체화물을 수용하는 모든 선박 및 특수 선박에 본 실시예는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T: 카고 탱크
100: 1차 단열박스
150: 상부 플레이트
200: 슬로싱 완화부
210: 돌출 부재
220: 표면 고정 부재
230: 테넌
240: 스크류
300: 1차 멤브레인
400: 2차 단열박스
500: 2차 멤브레인

Claims (8)

  1.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에 있어서,
    액체화물이 수용되는 선체 내측에 마련되는 1차 단열박스;
    상기 1차 단열박스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선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슬로싱(sloshing) 완화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슬로싱 완화부의 상부에 액밀하게 마련되는 1차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완화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일면이 부착되는 돌출 부재; 및
    상기 돌출 부재의 상부에 상기 1차 멤브레인과 접하도록 마련되는 표면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강화 폴리우레탄 폼으로 제작되되, 테넌(tenon)이 마련된 소 부재를 조립하여 삼각뿔 또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표면 고정 부재는 플라이우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의 일면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접하도록 글루(glue)로 부착되고, 상기 돌출 부재 및 표면 고정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일단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screw)로 상기 슬로싱 완화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1차 단열박스에 스테이플(staple) 또는 스크류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단열박스로부터 상기 선체의 내벽 측에 마련되는 2차 단열박스; 및
    상기 1차 및 2차 단열박스 사이에 개재되는 2차 멤브레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고 탱크는 NO 96형의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
  7.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에 있어서,
    액체화물이 수용되는 선체 내측에 1차 단열박스와, 1차 단열박스 상부에 상부 플레이트를 마련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선체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복수의 슬로싱(sloshing) 완화부를 마련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슬로싱 완화부의 상부에 액밀한 구조의 1차 멤브레인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완화부는 삼각뿔 또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제작된 강화 폴리우레탄 폼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화물 카고 탱크.
KR2020140001037U 2014-02-13 2014-02-13 액체화물 카고 탱크 KR200479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037U KR200479075Y1 (ko) 2014-02-13 2014-02-13 액체화물 카고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037U KR200479075Y1 (ko) 2014-02-13 2014-02-13 액체화물 카고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159U true KR20150003159U (ko) 2015-08-21
KR200479075Y1 KR200479075Y1 (ko) 2015-12-15

Family

ID=5433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037U KR200479075Y1 (ko) 2014-02-13 2014-02-13 액체화물 카고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07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1586A (zh) * 2015-09-07 2015-12-16 北京航天凯恩化工科技有限公司 车载推进剂废气处理装置吸收液贮箱
CN107996489A (zh) * 2017-12-09 2018-05-08 张孝勤 一种物流运输水产运输箱
CN110877662A (zh) * 2019-11-05 2020-03-1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lng加注船液货舱的止荡方法
KR102166040B1 (ko) 2019-12-03 2020-10-15 배하영 엘이디가 구비된 선형 큐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011Y1 (ko) 2007-05-30 2008-05-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수송선의 저장탱크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1586A (zh) * 2015-09-07 2015-12-16 北京航天凯恩化工科技有限公司 车载推进剂废气处理装置吸收液贮箱
CN107996489A (zh) * 2017-12-09 2018-05-08 张孝勤 一种物流运输水产运输箱
CN110877662A (zh) * 2019-11-05 2020-03-1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lng加注船液货舱的止荡方法
KR102166040B1 (ko) 2019-12-03 2020-10-15 배하영 엘이디가 구비된 선형 큐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075Y1 (ko) 201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075Y1 (ko) 액체화물 카고 탱크
KR20130046642A (ko) Lng 화물창
KR101670869B1 (ko) Lng 저장 탱크의 슬로싱 저감 장치
KR20240040691A (ko) 카고 매니폴드를 갖는 액체화물 운반선
KR20160007976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1836904B1 (ko) 슬로싱 충격 완화 기능이 구비된 화물창 및 방법
KR101310959B1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고정구조물
KR102348463B1 (ko) 액화가스 화물창 및 그 액화가스 화물창을 구비하는 운반선
KR101567874B1 (ko) 단열시스템의 체결 구조 및 체결 방법
KR20120126997A (ko) 저온액체화물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10168650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20160034517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20100003614U (ko) 슬로싱 억제수단을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1125104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60004756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1637415B1 (ko) 액체저장탱크의 압력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714671B1 (ko) 액체저장탱크의 압력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543441B1 (ko) 펌프타워 베이스 서포트 역할을 겸하는 비상배출장치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20150045765A (ko) 화물창의 단열시스템
KR102165068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112510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갖춘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2160477B1 (ko) 극저온 유체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
KR102291921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제조 작업용 개구 배치구조
KR20150095383A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제작 방법 및 단열박스 구조
KR20120000971A (ko) 안전밸브를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