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002A -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 Google Patents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002A
KR20150003002A KR1020130075478A KR20130075478A KR20150003002A KR 20150003002 A KR20150003002 A KR 20150003002A KR 1020130075478 A KR1020130075478 A KR 1020130075478A KR 20130075478 A KR20130075478 A KR 20130075478A KR 20150003002 A KR20150003002 A KR 20150003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outlet
passbook
main body
guid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8770B1 (ko
Inventor
안병만
선동훈
이경태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5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77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 B41J3/28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on bank book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세트의 수납공간에 적재된 통장의 발급시 카세트의 출구에서 통장이 걸림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장의 수납공간(S)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통장이 상면에 적재되는 푸쉬플레이트(142)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140); 상기 승하강부재(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상기 승하강부재(140)와 연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하강 기구(160); 상기 수납공간(S)에 적재된 통장을 출구(192) 측으로 이송하는 분리부(180); 상기 분리부(180)에 의해 분리되는 통장을 상기 출구(192) 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수납공간(S)의 상부에 상기 출구(192) 측을 향하여 하향의 구배를 가지며 배치된 가이드플레이트(150); 및 상기 출구(192)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50)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구(192)의 상단에는 상기 출구(192)를 향해 이송되는 통장의 상면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출구(192)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부가 형성된 게이트부재(19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Cassette device of banknote dispenser}
본 발명은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세트에 적재된 통장이 잼 발생 없이 원활하게 발급될 수 있는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는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 등에서 장소와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고객에게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 중에서 통장류를 취급하는 기기는, 통장의 거래정보를 인자하는 기능과 함께 모든 통장의 페이지의 인자가 종료되어 통장이월이 발생한 경우에 구통장을 정리하고 신통장을 발급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기기의 내부에는 발급될 신통장이 적재되는 카세트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도 1은 공개특허 제10-2008-0062800호에 개시된 카세트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 카세트 장치(1)는, 통장(M)의 수납공간(S)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10)와, 통장이 적재되며 본체(1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푸쉬플레이트(20)와, 상기 푸쉬플레이트(20)가 상측으로 가압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적재된 통장을 분리하여 이송하는 분리부(40)와, 상기 분리부(40)에 의해 분리된 통장이 반출되는 출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장류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겉표지의 안쪽에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다수매의 속지가 결합되어 중간부가 접힌 형태로 이루어져, 그 접힌 측은 납작하게 결합되고, 그 타측은 펼쳐질 수 있는 책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수납공간(S)에 다수매의 통장이 적재될 경우 일측에 비하여 타측은 상향으로 부풀어 오르게 되어 출구(50) 측을 향하여 하향지게 경사진 형태로 적재되게 된다.
이와 같은 통장 형태의 특성에 의해, 통장을 분리부(40)에서 1매씩 분리하여 출구(50) 측으로 반출하는 과정에서, 통장의 정렬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반출되는 통장이 출구(50)에 걸려 잼(jam) 현상이 발생할 경우, 기기의 가동을 중단하고 기기의 유지보수를 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통장 발급의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카세트의 수납공간에 적재된 통장의 발급시 카세트의 출구에서 통장이 걸림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100)는, 통장의 수납공간(S)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통장이 상면에 적재되는 푸쉬플레이트(142)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140); 상기 승하강부재(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상기 승하강부재(140)와 연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하강 기구(160); 상기 수납공간(S)에 적재된 통장을 출구(192) 측으로 이송하는 분리부(180); 상기 분리부(180)에 의해 분리되는 통장을 상기 출구(192) 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수납공간(S)의 상부에 상기 출구(192) 측을 향하여 하향의 구배를 가지며 배치된 가이드플레이트(150); 및 상기 출구(192)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50)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구(192)에는 상기 출구(192)를 향해 이송되는 통장의 상면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출구(192)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부가 형성된 게이트부재(19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50)의 후단부에서 상기 출구(192) 측으로 연결되도록 후방 측으로 하향의 구배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출구(192)의 좌우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는, 상기 출구(192)의 상단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의 양측단에는, 상기 출구(192)의 좌우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내측에 위치하는 제1리브(193a,194a)와 외측에 위치하는 제2리브(193b,194b)가 상기 출구(192)의 상단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리브(193b,194b)의 선단부는 상기 제1리브(193a,194a)의 선단부 보다 전방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192)의 하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의 하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에 각각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출구(192)를 통과하는 통장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3가이드부(195)와 제4가이드부(196)가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192) 상단의 좌우방향 중간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 사이에 위치하며 전방으로 돌출된 제5가이드부(197)가 형성되되, 상기 제5가이드부(197)의 하단은 상기 제1가이드부(193)의 하단 및 제2가이드부(194)의 하단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부재(190)는 통장이 상기 가이드부에 타격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상기 출구(192)가 일정한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지지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부재(190)의 양측부에는 상하방향의 장공 형상으로 천공된 가이드 홀(198)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부재(190)는 상기 가이드 홀(198)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10)에 체결되는 가이드 돌기(11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90)의 양측 하단부와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90)에 하방향의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14)가 결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에 의하면, 통장 수납공간의 상부에 출구 측을 향하여 하향의 구배를 가지며 배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구비하고, 가이드플레이트의 후방에 위치하는 게이트부재에는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어 이송되는 통장을 출구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수납공간에 적재된 통장이 잼 발생 없이 출구를 통과하여 원활하게 발급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플레이트의 후단부에서 출구 측으로 연결되도록 가이드부를 후방 측으로 하향의 구배를 갖도록 형성하고,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 및 분리부는 그 하단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분리부에 의해 분리되는 통장이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에 의해 출구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는 게이트부재의 양측부에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하되, 외측에 위치하는 제2리브의 선단부가 내측에 위치하는 제1리브의 선단부보다 전방 측으로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통장의 상면이 제2리브의 선단부에 먼저 접촉하게 되므로 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통장이 일측으로 틀어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를 가이드부재의 출구 상단에 전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가이드부재의 출구 하단에는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에 각각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가이드부와 제4가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출구를 통과한 통장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의 출구 상단에는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 사이에 전방 측으로 돌출된 제5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제5가이드부의 하단은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의 하단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에 의해 그 양측부의 상면이 아래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통장의 중앙부가 제5가이드부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지지되므로, 통장이 수평한 상태로 정렬되어 출구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게이트부재가 하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장과 가이드부 간의 충돌에 의해 게이트부재가 상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므로, 게이트부재의 출구 위치를 정위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를 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락 기구가 잠금 상태인 경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락 기구가 풀림 상태인 경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에서 통장의 출구 측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게이트부재의 (a) 전면측 사시도, (b) 후면측 사시도,
도 10은 게이트부재의 (a) 측면도, (b)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에서 통장이 반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를 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100)는, 발급될 통장이 내부에 적재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20), 상기 도어(120)와 본체(110) 사이에 구비되어 도어(120)를 본체(110)에 잠금시키는 잠금부(130),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면에는 발급될 통장이 적재되는 승하강부재(140), 상기 승하강부재(140)와의 사이에 통장의 수납공간(S)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S)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통장의 반출을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150), 상기 승하강부재(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본체(110)의 내부에 승하강부재(140)와 연동 가능하게 구비된 승하강 기구(160), 상기 승하강 기구(160)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승하강 기구(160)와 본체(110) 사이에 구비된 락 기구(170), 상기 수납공간(S)에 적재된 통장을 1매씩 분리하여 본체(1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출구(192) 측으로 이송하는 분리부(180), 및 상기 출구(192)가 형성되며 분리되어 이송되는 통장의 반출을 안내하는 게이트부재(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120)는 그 일측이 본체(110)와 힌지부(121)를 통해 결합되고, 상기 잠금부(130)는 도어(120)의 타측과 본체(110)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잠금부(130)는 일측으로 회전되면 본체(110)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도어(120)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도어(120)를 닫은 상태에서 잠금부(130)가 타측으로 회전되면 본체(110)에 걸림되어 도어(120)의 개방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130)는 도어(120)의 개폐에 연동하여 후술되는 락 기구(170)가 잠금 또는 풀림 상태가 되도록 락 기구(170)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도어(1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락 기구(170)가 잠금 상태로 되어 승하강 기구(160) 및 이에 연결된 승하강부재(140)의 이동을 방지하고,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락 기구(170)가 풀림 상태가 되어 승하강 기구(160) 및 이에 연결된 승하강부재(140)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락 기구(170)의 구성을 설명하면서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승하강부재(140)는, 적재되는 통장의 매수에 대응하여 수납공간(S)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몸체부(141)와, 그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고 상면에는 통장이 적재되는 푸쉬플레이트(142)와, 상기 푸쉬플레이트(142)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몸체부(141)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손잡이부(143)와, 상기 몸체부(141)의 양측부에 결합되어 승하강 기구(160)에 연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브라켓(144a,144b, 도 7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41)의 상면과 푸쉬플레이트(142)의 저면 사이에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탄성부재(145)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푸쉬플레이트(142)와 가이드플레이트(150) 사이에 적재되는 다수매의 통장이 일측으로 부풀어져 기울어지라도 기울어진 측으로 탄성부재(145)가 변위되면서 푸쉬플레이트(142)의 경사각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동시에 적재된 통장이 가이드플레이트(150) 측으로 압착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게 되므로, 푸쉬플레이트(142) 상에 통장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50)는, 수납공간(S)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본체(110)에 고정 설치되고, 가이드플레이트(150)의 하면에는 수납공간(S)에 적재된 통장 중 최상단에 위치하는 통장의 상면이 접촉하게 된다. 수납공간(S)에 적재되는 통장의 전방 측은 출구(192)가 위치하는 후방 측에 비하여 상측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로 적재되므로, 가이드플레이트(150)에 통장의 상면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가이드플레이트(150)는 전방 측에 비해 후방 측이 하향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50)의 연장면(B)은 수평면(A)을 기준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도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50)의 후방 측에는 가이드플레이트(150)의 하면에 접하는 통장을 1매씩 분리하여 이송하는 분리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분리부(180)는 동일한 회전축(181)에 양측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롤러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부재의 하단부는 가이드플레이트(150)를 관통하여 가이드플레이트(150)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통장의 상면에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부(180)에서 분리되어 후방 측으로 이송되는 통장은 게이트부재(190)의 출구(192)를 통과하여 카세트 장치(100)의 외부로 반출된다. 상기 게이트부재(190)는 분리되어 이송되는 통장이 출구(192) 측으로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세한 구조의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승하강 기구(160)는, 승하강부재(140)의 몸체부(141)의 양측에 결합되는 연결 브라켓(144a,144b)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며 본체(110) 내부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61a,161b)과, 수납공간(S)의 일측으로 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1풀리(163a,163b)와, 수납공간(S)의 타측으로 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2풀리(164a,164b)와, 상기 제1풀리(163a,163b)에 연결되도록 수납공간(S)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승하강부재(140)의 일측에 위치하는 연결 브라켓(144a)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벨트(165a)와, 상기 제2풀리(164a,164b)에 연결되도록 수납공간(S)의 타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승하강부재(140)의 타측에 위치하는 연결 브라켓(144b)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2벨트(165b)를 포함한다.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는 제1풀리(163a)는 본체(110)의 상부 일측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샤프트(162a)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162a)에는 제1풀리(163a)의 일측으로 제1롤러(166a)가 결합된다. 상기 제1롤러(166a)의 외주면은 그 양측 가장자리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의 내측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의 내측에는 일단이 연결 브라켓(144a)에 고정되고 타단이 본체(110)에 고정되어 승하강부재(140)에 상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167a)가 걸쳐지도록 연결된다.
이와 대칭된 구조로, 본체(110)의 상부 타측에 위치하는 제2풀리(164a)는 본체(110)의 상부 타측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샤프트(162b)에 공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162b)에는 제2풀리(164a)의 일측으로 제2롤러(166b)가 결합되며, 상기 제2롤러(166b)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연결 브라켓(144b)에 고정되고 타단이 본체(110)에 고정되어 승하강부재(140)에 상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167b)가 걸쳐지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하부 양측에 위치하는 제1풀리(163b)와 제2풀리(164b)는 동일한 샤프트(162c)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탄성부재(167a)와 제2탄성부재(167b)에 의해 승하강부재(140)는 상방향의 힘을 받게 되는데, 락 기구(170)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는 락 기구(170)에 의해 승하강부재(140)의 이동이 정지되지만, 락 기구(170)가 풀림 상태인 경우에는 승하강부재(140)가 승강되어 수납공간(S)에 적재된 통장을 가이드플레이트(150) 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적재된 통장이 1매씩 반출되어 그 적재된 매수가 감소하게 되면, 이에 대응하여 승하강부재(140)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락 기구가 잠금 상태인 경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락 기구가 풀림 상태인 경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락 기구(170)는, 도어(120)가 열린 상태에서는 승하강부재(140)의 상하 이동을 구속하고,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승하강부재(14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샤프트(162c)에는 상기 제1풀리(163b)의 일측으로 래치기어(171)가 결합되고, 상기 래치기어(171)의 상측에는 샤프트(172)를 중심으로 선회되어 래치기어(171)의 회전을 제한하는 락 레버(173)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기어(171)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들이 원주방향의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기울어진 측에 위치하는 기어치의 일측면은 기어치의 외측면과 예각을 이루며 그 경계부는 각진 형태로 형성되며, 기울어진 반대측에 위치하는 기어치의 타측면은 기어치의 외측면과 둔각을 이루며 그 경계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락 레버(173)는, 샤프트(172)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은 하측으로 선회시에는 래치기어(171)에 걸림되고 상측으로 선회시에는 래치기어(171)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걸림부(173a)와, 상기 걸림부(173a)와 사이에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걸림부(173a)의 일측단에서 연장되는 푸쉬부(173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72)에는 걸림부(173a)가 래치기어(171)에 걸림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73c)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173c)는 샤프트(172)의 외주면에 권취되고, 탄성부재(173c)의 일측단은 본체(110)에 지지되고 타측단은 걸림부(173a)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탄성부재(173c)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푸쉬부(173b)를 가압하게 되면, 걸림부(173a)는 샤프트(17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 래치기어(171)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푸쉬부(173b)를 놓게 되면 탄성부재(173c)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부(173a)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 래치기어(171)에 걸림된다.
상기 락 레버(173)에 의해 래치기어(171)의 회전이 구속되면, 래치기어(171)가 결합된 샤프트(162c)의 회전이 구속되고, 이와 연동하여 상기 샤프트(162c)에 결합된 제1풀리(163b)와 제2풀리(164b)의 회전이 구속되므로 이에 연결된 제1벨트(165a)와 제2벨트(165b)의 이동 또한 구속되어 승하강부재(140)의 상하 이동이 정지된다. 상기 락 레버(173)의 걸림부(173a)가 래치기어(171)에 치합된 상태에서는 래치기어(171)의 시계방향 회전이 억제되어 승하강부재(140)의 상방향 이동은 억제되지만, 사용자가 승하강부재(140)에 하방향의 힘을 가하게 되면, 락 레버(173)의 걸림부(173a)는 래치기어(171)의 기어치들의 만곡지게 형성된 면을 타고 넘어가게 되므로 래치기어(17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하강부재(140)의 하방향 이동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승하강부재(140)를 하방향으로 누르던 힘을 해제하게 되면, 그 위치에서 걸림부(173a)와 래치기어(171)가 치합되어 승하강부재(140)의 높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락 레버(173)와 래치기어(171) 간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래치기어(171)가 결합된 샤프트(162c) 및 이에 결합된 제1풀리(163b)와 제2풀리(164b)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제1벨트(165a)와 제2벨트(165b) 및 승하강부재(140) 또한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락 레버(173)의 상측에는 잠금부(130)의 회전 동작에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승하강 브라켓(174)이 구비된다.
상기 잠금부(130)는, 도어(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핸들(131)과, 상기 핸들(131)의 일측단에 결합되고 도어(120)를 관통하여 본체(11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연결축(132)과, 상기 연결축(132)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연결축(132)이 시계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3)와, 상기 도어(12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연결축(132)의 회전 가능한 각도를 90°범위 내로 제한하는 스토퍼(134)와, 상기 연결축(132)의 단부에 결합된 걸림부재(135)로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 브라켓(174)에는, 상기 걸림부재(135)가 핸들(131)의 조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선회되는 경우에 걸림부재(135)의 단부가 삽입되는 관통홀(174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74a)의 상단에는 걸림부재(135)에 의해 지지되는 플랜지부(17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하강 브라켓(174)의 상부와 하부 일측에는 상하방향의 장공 형상으로 천공된 가이드홀(174c)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174c)에는 본체(110)에 고정되는 가이드돌기(175)가 삽입되어 승하강 브라켓(174)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승하강 브라켓(174)의 일측에는 승하강 브라켓(174)에 하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76)가 결합된다. 따라서, 승하강 브라켓(174)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176)의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 브라켓(174)은 가이드돌기(175)의 상단에 가이드홀(174c)의 상단이 걸리는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또한, 승하강 브라켓(174)의 하부에는 걸림홀(174d)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홀(174d)의 내측에는 락 레버(173)의 걸림부(173a)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173d)가 삽입된 형태로 위치한다. 따라서, 승하강 브라켓(174)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걸림홀(174d)에 위치하는 돌출부(173d)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되어 락 레버(173)와 래치기어(171)간의 잠금상태가 풀어지고, 승하강 브라켓(174)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락 레버(173)의 걸림부(173a)는 탄성부재(173c)의 탄성력에 의해 래치기어(171)에 치합되어 잠금상태가 된다.
상기 잠금부(130)와 승하강 브라켓(174)의 연동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잠금부(130)의 핸들(13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걸림부재(135)의 상단은 승하강 브라켓(174)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74b)의 저면에 접촉되어 승하강 브라켓(174)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131)을 놓게 되면,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핸들(131)과 연결축(132) 및 이에 연결된 걸림부재(135)는 스토퍼(134)의 수직면에 닿는 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경우 걸림부재(13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승하강 브라켓(174)은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승하강 브라켓(174)의 걸림홀(174d)에 삽입되어 있는 돌출부(173d)가 상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락 레버(173)가 시계방향으로 선회되는 동시에 락 레버(173)와 래치기어(171) 간의 잠금상태가 풀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락 기구(170)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승하강부재(140)는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핸들(13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걸림부재(135)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걸림부재(135)는 승하강 브라켓(174)의 플랜지부(174b)로부터 이격되어 관통홀(174a)의 외측으로 빠져나오게 되며, 이와 동시에 승하강 브라켓(174)은 걸림부재(135)에 의한 구속으로부터 벗어나 탄성부재(176)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승하강 브라켓(174)의 걸림홀(174d)에 삽입되어 있는 돌출부(173d)는 하방향으로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나 탄성부재(173c)의 탄성력에 의해 락 레버(173)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되면서 락 레버(173)의 걸림부(173a)는 래치기어(171)에 치합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어(120)가 열린 상태에서는 락 기구(170)가 잠금부(130)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잠금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락 기구(170)의 푸쉬부(173b)를 가압하여 잠금상태를 임의로 해제하지 않는 한 승하강부재(140)의 상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도어(12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승하강부재(140)와 가이드플레이트(150) 사이의 수납공간(S)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승하강부재(140)가 급작스럽게 승강하는 경우에 초래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쉬부(173b)의 전면측에는 푸쉬부(173b)가 부주의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가림판(115)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푸쉬부(173b)와 가림판(115) 사이에는 좁은 조작공간만이 형성되므로, 상기 조작공간을 통하여 푸쉬부(173b)의 조작은 가능하되, 부주의에 의해 푸쉬부(173b)가 실수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카세트(100)에서 통장이 반출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게이트부재(19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에서 통장의 출구 측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게이트부재의 (a) 전면측 사시도, (b) 후면측 사시도, 도 10은 게이트부재의 (a) 측면도, (b)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에서 통장이 반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게이트부재(190)는, 통장의 수납공간(S)에 위치하는 가이드플레이트(150)와 분리부(180)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통장이 반출되는 출구(192)를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부재(190)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부(191)에 통장이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소정의 높이를 갖고 횡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천공된 출구(19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192)의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통장이 출구(192)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부(193,194,19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93,194,195)는, 출구(192)의 좌우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통장의 양측 상면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의 하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통장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3가이드부(195)와 제4가이드부(196), 및 상기 출구(192)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통장의 상면 중간부를 지지하는 제5가이드부(197)로 구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의 하면은 분리부(180)를 구성하는 롤러부재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부(180)에서 분리되어 후방 측으로 이송되는 통장의 상면이 상측으로 부풀어 오르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는 출구(192)의 상단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의 양측단에는, 출구(192)의 좌우방향 중앙부를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제1리브(193a,194a)와 외측에 위치하는 제2리브(193b,194b)가 상기 출구(192)의 상단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리브(193b,194b)의 선단부는 제1리브(193a,194a)의 선단부 보다 전방으로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부(180)를 통과하여 출구(192) 측으로 이송되는 통장의 양측 상면은 상기 제2리브(193b,194b)의 선단부에 먼저 접촉된 후에 상기 제1리브(193a,194a)의 선단부에 순차로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제2리브(193b,194b)에 의해 통장의 상면 양측부가 동일한 시점에 접촉되어 지지되므로 통장의 정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에 의해 상면이 지지되어 출구(192) 측으로 이송된 통장은, 출구(192)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에 의해 통장의 상면이 지지되고, 출구(192)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제3가이드부(195)와 제4가이드부(196)에 의해 통장의 하면이 지지되므로, 출구(192)를 통과한 통장의 상면과 하면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카세트 장치(100)의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 사이에 위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제5가이드부(197;197a,197b)는 그 하면이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의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출구(192) 측으로 진입하는 통장은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에 의해 그 양측부의 상면이 아래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측으로 부불어 오르는 통장의 중앙부는 상기 제5가이드부(197)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출구(192)를 통과하는 통장의 상면은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에 의해 지지되어 일측으로 틀어지지 않도록 정렬되는 동시에 제5가이드부(197)에 의해 상면 중앙부가 부풀어 오르는 것이 방지되어, 통장이 정렬된 상태로 출구(192)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 및 제5가이드부(197)에 통장의 상면이 충돌하는 경우 게이트부재(190)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 경우 게이트부재(190)의 위치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출구(192)가 정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는 동시에 그 충격의 반작용으로 게이트부재(190)에 충돌된 통장의 정렬상태가 나빠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게이트부재(190)는 상기 가이드부들(193,194,197)에 통장이 타격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상기 출구(192)가 일정한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부재(114)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114)는 그 상단이 게이트부재(190)의 몸체부(191)의 양측 하단에 지지되고, 그 하단은 본체(11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핀(113)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부재(190)의 양측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의 장공 형상으로 천공된 가이드 홀(198)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부재(190)는 상기 가이드 홀(198)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10)에 체결되는 가이드 돌기(11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돌기(112)와 가이드 홀(198) 사이에는 가이드 돌기(11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1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통장이 게이트부재(190)의 가이드부들(193,194,197)에 타격되는 경우 상기 게이트부재(190)는 상측으로 소정길이 이동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상측으로 소정길이 이동된 후에는 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부재(114)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출구(192)가 정위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부재(190)의 구성에 의하면, 수납공간(S)에 적재된 통장의 반출시, 통장이 출구(192) 측을 향해 정렬된 상태로 안내되어, 출구(192)를 통과하여 원활하게 반출될 수 있게 된다.
100 : 카세트 장치 110 : 본체
111 : 지지부재 112 : 가이드돌기
113 : 걸림핀 114 : 탄성부재
120 : 도어 130 : 잠금부
131 : 핸들 132 : 연결축
133 : 탄성부재 134 : 스토퍼
135 : 걸림부재 140 : 승하강부재
141 : 몸체부 142 : 푸쉬플레이트
143 : 손잡이부 144a,144b : 연결브라켓
145 : 탄성부재 150 : 가이드플레이트
160 : 승하강 기구 161a,161b : 가이드레일
162a,162b,162c : 샤프트 163a,163b : 제1풀리
164a,164b : 제2풀리 165a : 제1벨트
165b : 제2벨트 166a : 제1롤러
166b : 제2롤러 167a : 제1탄성부재
167b : 제2탄성부재 170 : 락 기구
171 : 래치기어 172 : 샤프트
173 : 락 레버 173a : 걸림부
173b : 푸쉬부 173c : 탄성부재
173d : 돌출부 174 : 승하강 브라켓
174a : 관통홀 174b : 플랜지부
174c : 가이드 홀 175 : 가이드 돌기
176 : 탄성부재 180 : 분리부
190 : 게이트부재 191 : 몸체부
192 : 출구 193 : 제1가이드부
193a,194a : 제1리브 193b,194b : 제2리브
194 : 제2가이드부 195 : 제3가이드부
196 : 제4가이드부 197 : 제5가이드부
198 : 가이드 홀

Claims (9)

  1. 통장의 수납공간(S)이 내부에 마련된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통장이 상면에 적재되는 푸쉬플레이트(142)를 포함하는 승하강부재(140);
    상기 승하강부재(14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상기 승하강부재(140)와 연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하강 기구(160);
    상기 수납공간(S)에 적재된 통장을 출구(192) 측으로 이송하는 분리부(180);
    상기 분리부(180)에 의해 분리되는 통장을 상기 출구(192) 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수납공간(S)의 상부에 상기 출구(192) 측을 향하여 하향의 구배를 가지며 배치된 가이드플레이트(150); 및
    상기 출구(192)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50)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출구(192)에는 상기 출구(192)를 향해 이송되는 통장의 상면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출구(192)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부가 형성된 게이트부재(190);를 포함하는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50)의 후단부에서 상기 출구(192) 측으로 연결되도록 후방 측으로 하향의 구배를 가지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출구(192)의 좌우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으로 이격되어 서로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는, 상기 출구(192)의 상단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의 양측단에는, 상기 출구(192)의 좌우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내측에 위치하는 제1리브(193a,194a)와 외측에 위치하는 제2리브(193b,194b)가 상기 출구(192)의 상단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브(193b,194b)의 선단부는 상기 제1리브(193a,194a)의 선단부 보다 전방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192)의 하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의 하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에 각각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출구(192)를 통과하는 통장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3가이드부(195)와 제4가이드부(196)가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192) 상단의 좌우방향 중간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193)와 제2가이드부(194) 사이에 위치하며 전방으로 돌출된 제5가이드부(197)가 형성되되,
    상기 제5가이드부(197)의 하단은 상기 제1가이드부(193)의 하단 및 제2가이드부(194)의 하단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부재(190)는 통장이 상기 가이드부에 타격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상기 출구(192)가 일정한 위치로 복원되도록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부재(190)의 양측부에는 상하방향의 장공 형상으로 천공된 가이드 홀(198)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부재(190)는 상기 가이드 홀(198)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110)에 체결되는 가이드 돌기(11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90)의 양측 하단부와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90)에 하방향의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1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KR1020130075478A 2013-06-28 2013-06-28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KR102088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478A KR102088770B1 (ko) 2013-06-28 2013-06-28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478A KR102088770B1 (ko) 2013-06-28 2013-06-28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002A true KR20150003002A (ko) 2015-01-08
KR102088770B1 KR102088770B1 (ko) 2020-03-16

Family

ID=5247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478A KR102088770B1 (ko) 2013-06-28 2013-06-28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7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3136A (zh) * 2016-06-02 2016-09-2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Atm中纸币厚度检测模块的测试校正平台
KR20190131996A (ko) * 2018-05-18 2019-11-2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 저장 카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6550Y2 (ja) * 1991-04-11 1996-08-14 株式会社高見沢サイバネティックス 紙葉類繰出装置
JP2001067527A (ja) * 1999-08-30 2001-03-16 Fuji Electric Co Ltd 紙葉媒体一括投入装置
JP2002249252A (ja) * 2001-02-22 2002-09-03 Oki Electric Ind Co Ltd 紙葉媒体の自動取扱装置
JP4541872B2 (ja) * 2004-12-22 2010-09-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帳繰出し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6550Y2 (ja) * 1991-04-11 1996-08-14 株式会社高見沢サイバネティックス 紙葉類繰出装置
JP2001067527A (ja) * 1999-08-30 2001-03-16 Fuji Electric Co Ltd 紙葉媒体一括投入装置
JP2002249252A (ja) * 2001-02-22 2002-09-03 Oki Electric Ind Co Ltd 紙葉媒体の自動取扱装置
JP4541872B2 (ja) * 2004-12-22 2010-09-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帳繰出し機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3136A (zh) * 2016-06-02 2016-09-2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Atm中纸币厚度检测模块的测试校正平台
CN105973136B (zh) * 2016-06-02 2018-09-11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Atm中纸币厚度检测模块的测试校正平台
KR20190131996A (ko) * 2018-05-18 2019-11-2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 저장 카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8770B1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387B1 (ko) 현금 자동 거래 장치
EP2458125B1 (en) Cash box provided with self-locking mechanism
KR10072164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2단락구조
EP3032506B1 (en) Teller cash recycler
US10127756B2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US8256759B2 (en)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with protection cover
KR20150003002A (ko)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US8123121B2 (en) Apparatus for accepting and dispensing banknotes
US20090101724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storing banknotes
KR102165828B1 (ko) 카세트 커버 잠금장치
KR20150003003A (ko) 통장 발급기의 카세트 장치
JP5791330B2 (ja) ホームドア装置
KR101114634B1 (ko) 카세트의 도어 잠금 장치
KR102162452B1 (ko) 무인 현금 수납기
JP5355427B2 (ja) 自動取引装置のシャッタ構造
BRPI0721488A2 (pt) Aparelho; método para operação de um sistema de transações bancárias em resposta a um registro de suporte de dados; método de captar registros codificados; e método de captar as áreas de marcação magnéticas em registros codificados que incluem cheques financeiros
KR101181587B1 (ko) 보충회수박스 잠금 장치
JP2012150744A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KR200394657Y1 (ko) 현금 자동 지급 예입기용 지폐 보관장치
JP2014209377A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7197860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WO2023145198A1 (ja) 紙幣処理装置
KR2011003101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개폐장치
KR10112733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안전강화구조
KR20160149777A (ko)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