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777A -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777A
KR20160149777A KR1020150087397A KR20150087397A KR20160149777A KR 20160149777 A KR20160149777 A KR 20160149777A KR 1020150087397 A KR1020150087397 A KR 1020150087397A KR 20150087397 A KR20150087397 A KR 20150087397A KR 20160149777 A KR20160149777 A KR 20160149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otor
stopper
rotated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준
이명우
장현수
최순호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9777A/ko
Publication of KR20160149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을 본체의 상측으로 선회시켜 본체의 상부를 개방시킨 후 모듈의 선회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작업과, 잠금해제 후 모듈을 하측으로 선회시켜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원위치시키는 작업을 작업자가 한 손만을 사용하더라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구비된 모듈의 선회중심이 되는 제1힌지축; 상기 모듈과 제1힌지축 사이를 연결하며 양측으로 이격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 상기 양측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 방향으로 한 쌍의 스토퍼가 돌출형성된 로터를 구비한 잠금부; 상기 모듈의 선회 시 상기 가이드축과 잠금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양측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걸림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슬라이드 브라켓; 및 상기 모듈의 선회 시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의 선회중심이 되는 제2힌지축을 포함하되, 상기 로터는, 상기 모듈이 상측으로 선회된 후에 하측으로 선회되는 동안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 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모듈이 상기 걸림 위치로부터 상측으로 선회된 후에 하측으로 선회되는 동안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과 걸림해제되는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Auto lock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module}
본 발명은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구비된 모듈의 개폐 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현금 입출금은 물론 수표(Check)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는, 입출금을 위하여 고객이 지폐나 수표 등의 매체를 투입하거나 수취하는 공간인 입출금부, 상기 입출금부를 통해 입출금되는 매체가 이송되는 반송로, 상기 반송로 상에 구비되어 매체의 이상유무를 감별하는 감별부, 상기 감별부를 거친 후 입금된 매체가 일시적으로 수납되는 일시저장부, 입금 또는 출금되는 수표에 정보를 인자하는 프린트부, 고객으로부터 입금된 매체가 수납되고 그 수납된 매체가 출금됨으로써 환류기능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리사이클부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에서 매체가 반송로를 따라 반송되는 도중에 잼(jam) 등의 기기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프린트부 모듈이나 일시저장부 모듈 등의 단위모듈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선회시켜 반송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잼이 발생된 매체를 제거하거나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07-0119342호에는, 제1선회식반송모듈, 제2선회식반송모듈, 제3반송부상부모듈, 지폐감별상부모듈 등 여러개의 단위모듈이 각각의 힌지축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선회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잼 제거구조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0773233호에는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된 반송로모듈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되고 반송로모듈의 선회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되는 2단락 브라켓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모듈 탈착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 제10-2007-0119342호 및 등록특허 제10-0773233호에 개시된 선행기술들의 구성에 의하면, 단위모듈을 상측으로 선회시켜 위치를 고정시켜 잠금작업을 수행하거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단위모듈을 하측으로 선회시켜 원위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자가 한 손으로는 단위모듈을 잡고 선회시켜야 하고, 나머지 한 손은 단위모듈의 고정을 위해 잠금장치를 조작해야 하므로, 양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듈을 본체의 상측으로 선회시켜 본체의 상부를 개방시킨 후 모듈의 선회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작업과, 잠금해제 후 모듈을 하측으로 선회시켜 본체의 상부를 덮도록 원위치시키는 작업을 작업자가 한 손만을 사용하더라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는, 본체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구비된 모듈의 선회중심이 되는 제1힌지축; 상기 모듈과 제1힌지축 사이를 연결하며 양측으로 이격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 상기 양측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 방향으로 한 쌍의 스토퍼가 돌출형성된 로터를 구비한 잠금부; 상기 모듈의 선회 시 상기 가이드축과 잠금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양측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걸림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슬라이드 브라켓; 및 상기 모듈의 선회 시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의 선회중심이 되는 제2힌지축을 포함하되, 상기 로터는, 상기 모듈이 상측으로 선회된 후에 하측으로 선회되는 동안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 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모듈이 상기 걸림 위치로부터 상측으로 선회된 후에 하측으로 선회되는 동안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과 걸림해제되는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제2힌지축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와 연결되며 상부 일측에는 돌출부가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하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방향전환부와, 상기 방향전환부에 연결되며 끝단에는 걸림면이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의 일측면에는 로터의 회전중심과 편심된 위치에 복수의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드홀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로터는 상기 방향전환부에서 상기 걸림부로 이동 시 상기 걸림돌기 중 하나가 상기 돌출부와 걸림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90°의 각도 간격으로 4개소에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걸림돌기의 양측부 간의 간격은 상기 직선부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터는 상기 방향전환부에서 상기 걸림부로 이동 시 상기 걸림돌기 중 하나가 상기 돌출부와 걸림되어 90°회전될 수 있다.
상기 로터가 상기 직선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양측의 스토퍼는 상기 직선부와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로터를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축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은 상기 제2힌지축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탄성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에 의하면, 모듈이 본체의 상측으로 선회된 후에 하측으로 선회되는 동안 잠금부의 로터에 형성된 스토퍼가 슬라이드 브라켓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되는 위치로 회전되어 모듈의 선회된 위치를 고정하는 잠금 작업이 수행되고, 모듈이 잠금 상태로부터 상측으로 선회된 후에 하측으로 선회되는 동안 스토퍼가 걸림턱과 걸림해제되는 위치로 회전되어 잠금해제 작업이 수행되므로, 작업자가 한 손만을 사용하더라도 모듈의 개폐 및 잠금/잠금해제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모듈이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본체의 상측으로 선회되어 본체의 상부가 개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모듈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자동 잠금 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 9 내지 도 11은 모듈이 닫히는 과정에서 자동 잠금 장치의 동작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100)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는, 본체(10)와 그 상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구비된 모듈(20)과, 상기 모듈(20)의 선회 동작을 안내하는 동시에 모듈(20)이 상측으로 선회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자동 잠금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상부와 모듈(20)의 하부 사이에는 반송로(미도시됨)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반송로에서 지폐의 잼(jam) 등 기기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는 모듈(20)을 상측으로 선회시켜 반송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자동 잠금 장치(100)는, 모듈(20)의 선회중심이 되는 제1힌지축(110), 상기 모듈(20)과 제1힌지축(110) 사이를 연결하며 양측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20),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20)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축(130), 상기 가이드축(130)에 양측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잠금부(140), 상기 모듈(20)의 선회 시 상기 가이드축(130)과 잠금부(14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홀(151)이 형성된 슬라이드 브라켓(150), 및 상기 모듈(20)의 선회 시 슬라이드 브라켓(150)의 선회중심이 되는 제2힌지축(1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힌지축(160)은 본체(10)의 상면(11)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170)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잠금부(140)는, 상기 가이드축(1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터(141)와, 상기 로터(141)를 슬라이드 브라켓(150)의 일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142, 판 스프링)와, 상기 탄성부재(142)를 지지하며 가이드축(13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지지판(143)과,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150)의 타측면에 위치하며 가이드축(130)에 결합되어 로터(141)의 측방향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부재(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150)과 대면하는 상기 로터(141)의 일측면에는, 로터의 회전중심과 편심된 위치에 90°의 각도 간격으로 4개소에 걸림돌기(141a)가 형성되고, 로터(141)의 테두리에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스토퍼(14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150)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홀(151)은, 제2힌지축(160)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직선부(151a)와, 상기 직선부(151a)와 연결되며 상부 일측에는 돌출부(152)가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하부에는 경사면(153)이 형성된 방향전환부(151b)와, 상기 방향전환부(151b)에 연결되며 끝단에는 걸림면(154)이 형성된 걸림부(151c)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41a)는 인접하게 위치하는 걸림돌기(141a)의 양측부 간의 간격이 상기 직선부(151a)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41a)는 직선부(151a)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로터(141)가 직선부(151a)를 통과하는 경우, 로터(141)의 양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스토퍼(141b)는 직선부(151a)와 평행한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150)의 양측부에는, 모듈(20)이 상향 선회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잠금 상태일 때 로터(141)의 스토퍼(141b)가 걸림되는 걸림턱(15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150)은 제2힌지축(160)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탄성지지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제2힌지축(160)의 외측 둘레에는 탄성부재(161, 토션 스프링)의 코일부(161a)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161)의 일측단(161b)은 고정 브라켓(170) 상에 지지되며, 탄성부재(161)의 타측단(161c)은 슬라이드 브라켓(150)에 형성된 걸림홀(156)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모듈(20)을 상측으로 선회시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상부에 모듈(2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드 브라켓(150)은 사이드 프레임(120)과 나란하게 수평 상태로 뉘어지고, 잠금부(140)는 직선부(151a) 내에 위치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듈(20)과 이에 연결된 사이드 프레임(120)이 제1힌지축(110)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선회되기 시작하면, 사이드 프레임(120)에 결합된 가이드축(130) 또한 제1힌지축(110)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축(130)에 결합된 잠금부(140)는 슬라이드 브라켓(150)에 형성된 가이드홀(151)의 직선부(151a)를 따라서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슬라이드 브라켓(150)은 제2힌지축(160)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선회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모듈(20)과 이에 연결된 사이드 프레임(120)이 제1힌지축(110)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더욱 선회되어 잠금부(140)의 로터(141)가 가이드홀(151)의 방향전환부(151b)까지 이동하게 되면, 로터(141)에 형성된 걸림돌기(141a) 중 하나가 슬라이드 브라켓(150)에 형성된 돌출부(152)에 걸림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브라켓(150)이 하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잠금부(140)가 상측으로 선회되려는 힘이 더욱 작용하게 되면, 로터(141)는 도 7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방향전환부(151b)로부터 걸림부(151c)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터(141)는 방향전환부(151b)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153)에 의해 확장된 공간을 통하여 간섭없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로터(141)의 양측에 형성된 스토퍼(141b) 또한 로터(141)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로터(141)가 걸림부(151c)의 상단 걸림면(154)에 걸림돌기(141a)가 맞닿는 위치까지 선회된 후에, 모듈(20)을 소정 각도 하향으로 선회시키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양측에 위치하는 걸림돌기(141a)가 직선부(151a)의 내측면에 각각 접하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스토퍼(141b)는 걸림턱(155)에 걸림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잠금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모듈(20)을 놓더라도 모듈(20)이 상측으로 선회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모듈(2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작업자는 본체(10)와 모듈(20)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반송로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잠금 상태에 있던 모듈(20)의 잠금을 해제하고 모듈(20)을 하향으로 선회시켜 본체(10)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잠금 상태에서 모듈(20)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선회시키면, 모듈(20)과 이에 연결된 사이드 프레임(120)이 제1힌지축(110)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더욱 선회되어 잠금부(140)의 로터(141)가 가이드홀(151)의 방향전환부(151b)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터(141)에 형성된 걸림돌기(141a) 중 하나가 슬라이드 브라켓(150)에 형성된 돌출부(152)에 걸림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브라켓(150)이 하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잠금부(140)가 상측으로 선회되려는 힘이 더욱 작용하게 되면, 로터(141)는 도 9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방향전환부(151b)로부터 걸림부(151c)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터(141)는 방향전환부(151b)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153)에 의해 확장된 공간을 통하여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로터(141)의 양측에 형성된 스토퍼(141b) 또한 로터(141)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스토퍼(141b)는 걸림턱(155)과 간섭되지 않는 걸림해제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로터(141)가 걸림부(151c)의 상단 걸림면(154)에 걸림돌기(141a)가 맞닿는 위치까지 들어올려진 후에, 모듈(20)을 소정 각도 하향으로 선회시키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양측에 위치하는 걸림돌기(141a)가 직선부(151a)의 내측면에 각각 접하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스토퍼(141b)는 직선부(151a)와 평행한 방향에 위치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141)는 걸림턱(155)에 걸림없이 직선부(151a)를 따라서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모듈(20)이 본체(10)의 상부를 덮는 위치까지 선회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터(141)는 가이드홀(151)의 방향전환부(151b)에서 걸림부(151c)로 이동되면서 걸림돌기(141a) 중 하나가 돌출부(152)와 걸림되어 90°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한 손만을 사용하더라도 모듈(20)의 잠금 및 잠금해제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장치 운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모듈(20)을 선회시켜 본체(10) 상부의 반송로를 개폐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모듈(20)에 대응하는 각종 덮개부재를 상측으로 선회시켜 선회된 위치를 고정시켜 잠그거나, 잠금해제한 후에 하측으로 선회시켜 원위치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 : 본체 20 : 모듈
100 : 자동 잠금 장치 110 : 제1힌지축
120 : 사이드 프레임 130 : 가이드축
140 : 잠금부 141 : 로터
141a : 걸림돌기 141b : 스토퍼
142 : 탄성부재 143 : 탄성부재 지지판
144 : 지지부재 150 : 슬라이드 브라켓
151 : 가이드홀 151a : 직선부
151b : 방향전환부 151c : 걸림부
152 : 돌출부 153 : 경사면
154 : 걸림면 155 : 걸림턱
156 : 걸림홀 160 : 제2힌지축
170 : 고정 브라켓

Claims (7)

  1. 본체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구비된 모듈의 선회중심이 되는 제1힌지축;
    상기 모듈과 제1힌지축 사이를 연결하며 양측으로 이격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
    상기 양측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가이드축;
    상기 가이드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 방향으로 한 쌍의 스토퍼가 돌출형성된 로터를 구비한 잠금부;
    상기 모듈의 선회 시 상기 가이드축과 잠금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양측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걸림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 슬라이드 브라켓; 및
    상기 모듈의 선회 시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의 선회중심이 되는 제2힌지축;
    을 포함하되,
    상기 로터는, 상기 모듈이 상측으로 선회된 후에 하측으로 선회되는 동안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는 걸림 위치로 회전되고, 상기 모듈이 상기 걸림 위치로부터 상측으로 선회된 후에 하측으로 선회되는 동안 상기 스토퍼가 상기 걸림턱과 걸림해제되는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제2힌지축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와 연결되며 상부 일측에는 돌출부가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되고 하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방향전환부와, 상기 방향전환부에 연결되며 끝단에는 걸림면이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의 일측면에는 로터의 회전중심과 편심된 위치에 복수의 걸림돌기가 상기 가이드홀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로터는 상기 방향전환부에서 상기 걸림부로 이동 시 상기 걸림돌기 중 하나가 상기 돌출부와 걸림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로터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90°의 각도 간격으로 4개소에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걸림돌기의 양측부 간의 간격은 상기 직선부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상기 방향전환부에서 상기 걸림부로 이동 시 상기 걸림돌기 중 하나가 상기 돌출부와 걸림되어 90°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가 상기 직선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양측의 스토퍼는 상기 직선부와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로터를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축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은 상기 제2힌지축을 선회중심으로 하여 하방향으로 선회되도록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KR1020150087397A 2015-06-19 2015-06-19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KR20160149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397A KR20160149777A (ko) 2015-06-19 2015-06-19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397A KR20160149777A (ko) 2015-06-19 2015-06-19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777A true KR20160149777A (ko) 2016-12-28

Family

ID=5772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397A KR20160149777A (ko) 2015-06-19 2015-06-19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97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2788A (zh) * 2017-11-22 2018-03-3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介质鉴别终端及金融自助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62788A (zh) * 2017-11-22 2018-03-3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介质鉴别终端及金融自助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60094B (zh) 现金自动交易装置
EP2472481B1 (en) Paper money transmission and storage device
EP3032506B1 (en) Teller cash recycler
JP5268687B2 (ja) 自動取引装置
KR20090015322A (ko) 금융자동화기기용 회수함 구조
KR20160149777A (ko) 모듈의 개폐를 위한 자동 잠금 장치
US7370792B1 (e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US8517378B2 (en) Medium transfer apparatus for an automated teller machine
US11315390B2 (en) Transfer path unit structure for supply/collection cassette of ATM
US7870996B1 (en) Automated transaction machine
KR10198805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JP2011141637A (ja) 自動取引装置のシャッタ構造
WO2016194541A1 (ja) 媒体鑑別装置、及び、媒体取扱装置
KR10104129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잔류매체회수장치
KR101126082B1 (ko)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반송로 오픈유지장치
KR20220044051A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지폐저장장치
KR20160077908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11991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전면가이드판 록킹장치
US8360427B2 (en) Medium transfer apparatus for an automated teller machine
KR101628204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150079140A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1868151B1 (ko) 지폐출금장치의 커버 개폐 구조
KR10077323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모듈 탈착구조
KR101372255B1 (ko) 수표 처리 장치의 입금 박스 및 이를 이용한 수표 처리장치
KR101637570B1 (ko) 지폐입출금모듈의 개방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