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897A - 의도되지 않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harq-ack 핸들링 - Google Patents

의도되지 않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harq-ack 핸들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897A
KR20150002897A KR1020147033839A KR20147033839A KR20150002897A KR 20150002897 A KR20150002897 A KR 20150002897A KR 1020147033839 A KR1020147033839 A KR 1020147033839A KR 20147033839 A KR20147033839 A KR 20147033839A KR 20150002897 A KR20150002897 A KR 20150002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sub
response
ack
bundl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397B1 (ko
Inventor
승희 한
홍 헤
종-캐 푸
Original Assignee
인텔 코오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오퍼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오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02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28List acknowledgements,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consisting of a list of identifiers, e.g. of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35Cumulative acknowledgement,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applying to all previous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7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04W28/022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power availability o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0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t the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PUCCH 포맷 1b에 대한 LTE 네트워크에서 HARQ 응답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일부 예들에서 개시되어 있다. 방법은 무선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번들링 윈도우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할당들을 수신하는 단계; 번들링 윈도우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수신 상태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상의 서브-프레임이 수신된 다운링크 할당들 중 특정 하나와 연관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그리고 서브-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단계; 대응하는 다운링크 할당을 가지지 않은 번들링 윈도우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서브-프레임들의 수신 상태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 응답은 응답 모듈에 의해 설정된 수신 상태들에 기초함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도되지 않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HARQ-ACK 핸들링{HARQ-ACK HANDLING FOR UNINTENDED DOWNLINK SUB-FRAMES}
우선권 주장
이 출원은 2012년 12월 20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13/721,458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고, 2012년 7월 2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61/667,325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들은 그 전체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롱 텀 에볼루션(LTE) 및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와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 사이의 신뢰가능하지 않은 매체를 통한 메시지들의 전송에 의존한다. LTE에서, RAN은 하나 이상의 eNodeB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신뢰가능하지 않은 통신 매체는, 데이터가 낮은 신호 품질, 간섭, 또는 무선 매체와의 다른 문제들로 인해 유실되거나 손상될 수 있음에 따라, RAN과 UE 사이의 데이터의 적절한 전송에 대한 문제점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라 HARQ-ACK 응답으로부터 3의 번들링 윈도우를 가지는 2개의 셀들에 대한 리소스, 성상도(constellation) 및 RM 코드 입력 비트들로의 매핑을 도시하는 표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라 HARQ-ACK 응답으로부터 4의 번들링 윈도우를 가지는 2개의 셀들에 대한 리소스, 성상도 및 RM 코드 입력 비트들로의 매핑을 도시하는 표이다.
도 2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도 2의 표의 계속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리소스 할당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리소스 할당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HARQ-ACK 응답을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HARQ-ACK 응답을 프로세싱하는 바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UE와 eNodeB의 특정 기능들을 도시하는 블록 기능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머신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신뢰가능하지 않은 무선 통신 매체를 다루기 위해, LTE 및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들은 에러 정정 및 패킷 확인응답들을 제공하여 RAN과 UE 사이의 데이터의 안전한 전달을 보장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이라고 명명되는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HARQ는 순방향 에러 정정 코딩(FEC) 뿐만 아니라 자동 피드백 메커니즘(자동 반복 요청(ARQ))을 사용하여 수신기 측에서 에러 정정을 제공하여 패킷들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를 송신기에게 표시한다. 데이터의 패킷의 수신 시에, 수신기는 에러 검출 코드(예를 들어, 순환 중복 검사(CRC))를 사용하여 패킷이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한다.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된 경우, 수신기는 피드백 메커니즘(예를 들어, ACK)을 사용하여 송신기에게 확인응답한다.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 수신기는 FEC 정보를 사용하여 패킷을 복원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수신기가 FEC 정보를 사용하여 패킷을 복원하는데 성공하는 경우, 수신기는 송신기에게 ACK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수신기는 부정 확인응답(NACK)을 이용하여 송신기에게 응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수신기(UE)는 자신이 불연속적 전송 모드(DTX) 모드에 있었다고 응답할 수 있다. DTX 응답은 UE가 제어 채널(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 PDCCH) 상에서 정보를 적절하게 검출할 수 없고 따라서 패킷이 UE에 송신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없었던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이들 HARQ 응답들은 통상적으로 제어 채널 상에서 전송된다. RAN으로부터 UE로 송신된 다운링크 트래픽에 대한 응답은 통상적으로 업링크 제어 채널들(예를 들어,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에서 송신된다. UE로부터 RAN으로 송신된 업링크 트래픽에 대한 응답들은 통상적으로 다운링크 HARQ-ACK 채널들(예를 들어, 물리적 하이브리드 HARQ 표시자 채널: PHICH)에서 송신된다. 확인응답되지 않은 패킷들(NACK되거나 또는 단순히 전혀 확인응답되지 않음)은 송신기에 의해 재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시스템들에서, 업링크 통신들(UE로부터 RAN으로)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다운링크 통신으로부터 분리된다. 즉,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무선 통신들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발생한다. 이들 시스템들은 주파수 듀플렉스 분할(FDD) 시스템으로서 지칭된다. 다른 예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무선 통신들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들을 공유할 수 있지만, 시간 도메인에서는 분할될 수 있다. 즉, 주파수 대역들은 일부 시간 인스턴스들(예를 들어, 시간 슬롯들이라고 명명됨)에서의 업링크 무선 전송들, 및 다른 시간 인스턴스들(예를 들어, 시간 슬롯들)에서의 다운링크 무선 전송들에 대해 예약된다. 이러한 방식은 시간 분할 듀플렉스(TDD)라고 명명된다. 또 다른 예들에서, 하프-듀플렉스 FDD(H-FDD) 시스템들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그러나 역시 시간 도메인에서 분할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무선 통신들을 특징으로 한다.
셀룰러 네트워크의 바로 그 속성은 UE와 RAN 사이의 통신들이 다운링크 무선 링크에 대해 비대칭이라는 점이다. 즉, 일반적으로 UE로부터 RAN으로보다는 RAN으로부터 UE로 더 많은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셀 플래너(cell planner)들은 종종 업링크 무선 통신들에 할당되는 것보다는 다운링크 무선 통신들에 (네트워크가 FDD인지 또는 TDD인지에 따라) 더 많은 주파수 또는 시간 리소스들을 할당할 것이다.
이들 응답들을 전송하기에는 업링크 제어 채널들 상에 불충분한 업링크 리소스들이 종종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리소스 비대칭은 UE가 필요한 HARQ 확인응답들을 관리하려고 시도할 시에 문제점들을 생성한다. 이 문제점은 다수의 캐리어들 및 채널 상태 정보와 같은 다른 업링크 시그널링의 추가로 인해 악화될 뿐이다.
LTE에서, 무선 전송들은 통상적으로 프레임들이라 명명되는 이산 유닛들로 분절되어 있으며, 프레임들은 이후 서브-프레임들로, 그리고 서브-프레임들은 하나 이상의 코드 워드들로 세부 분절될 수 있다. 각각의 코드 워드는 특정 전송 블록과 매핑 관계를 가질 수 있고,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FDD 시스템들을 통해, HARQ 응답은, 전송이 수신된 이후에 고정된 개수의 서브-프레임들에서 (통상적으로, 4개의 서브-프레임들 이후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TDD 시스템들을 통해서는, 비대칭 무선 불균형으로 인해 라디오 프레임에서 가변적 개수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시간슬롯들이 종종 존재함에 따라 고정된 지연이 가능하지 않다.
이들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TDD 시스템들에 대해, 4G (LTE)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표준을 공표한 제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는 몇몇 메커니즘을 개발하였다. 첫번째는 ACK/NACK/DTX 시간 도메인 번들링이다. HARQ-ACK 번들링에 대해, 다운링크 채널(예를 들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 - PDSCH) 상에서 수신된 특정 수의 서브 프레임들(번들링 윈도우라고 명명됨)에 대한 각각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각각의 특정 코드 워드에 대한 ACK, NACK, 또는 DTX 결과가 논리적으로 AND 연산되어 번들링 윈도우의 모든 서브프레임들 내의 각각의 코드워드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복합 결과를 생성한다. 생성된 복합 ACK/NACK/DTX 결과들의 수는 서브-프레임 내의 코드 워드들의 수와 같다. 예를 들어, 번들링 윈도우의 사이즈가 4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고, 각각의 서브-프레임이 2개의 코드 워드들을 가지는 경우, 서브-프레임들 0-3의 제1 코드 워드의 확인응답들은 논리적으로 함께 AND 연산되고, 서브-프레임들 0-3의 제2 코드 워드들도 함께 AND 연산되어 2개의 확인응답 비트들을 생성한다. 이 기법의 이점은, 이 기법이 매우 간결하며 소수의 비트를 사용하여 업링크 커버리지가 보장될 수 있다는 점이다. 단점은 서브-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코드 워드들 중 어느 하나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은 경우, 모든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특정 코드 워드가 재전송될 것이라는 점이다. 또 다른 기법은 각각의 다운 링크 서브프레임 당 하나의 확인응답 비트를 생성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각각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코드 워드들(즉, 공간적 도메인 번들링이라고 명명됨)에 걸친 코드 워드들을 논리적으로 AND할 수 있는 HARQ-ACK 멀티플렉싱을 사용하는 것이다. 결과는 번들링 윈도우 내의 각각의 연관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ACK/NACK/DTX 결과이다. 4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서브-프레임 당 2개의 코드 워드들을 통해, 논리 AND 연산에 의한 2개의 코드 워드들(존재하는 경우)에 걸친 공간 도메인 번들링이 서브-프레임에 적용되고, 서브-프레임들 내의 다수의 번들링된 ACK/NACK들은 번들링 윈도우 내의 하나의 복합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상에서 송신된 HARQ-ACK 응답에 대해, 복합 상태는 PUCCH 리소스와 성상도 포인트들의 결합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이는 4개의 확인응답 결과들을 초래하며, 하나가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특정 HARQ-ACK 기법에 대한 명칭이 "멀티플렉싱"이라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명세서 전반에 걸쳐 용어 "번들링 윈도우"가 사용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번들링 윈도우는, 특정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의 다운링크 트래픽에 대응하는 HARQ-ACK 피드백이 업링크에서 전송될 때를 특정하는 시간 유닛(예를 들어, 서브-프레임들의 수)이다. UE는 서브-프레임 n에서 PUCCH를 사용하여 HARQ-ACK 피드백을 전송하며, 여기서 HARQ-ACK 피드백은 n-ki에 대한 것이고, ki∈K(표 1에 정의됨)이고, 0≤i≤M-1이다. 번들링 윈도우는 일반적으로, 서브-프레임 n에서 업링크 HARQ-ACK 피드백에 대한 n-ki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로서 정의된다.
Figure pct00001
TDD UL-DL 구성 표가 표 2로서 주어져 있다.
Figure pct00002
LTE 어드밴스드는 다수의 캐리어들이 다운링크에서 이용될 수 있는 캐리어 집성을 지원한다. 이것은 다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다수의 ACK/NACK 정보 비트들이 업링크에서 피드백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LTE는 시간 도메인 번들링을 가지는 채널 선택으로서 공지되어 있는 기법을 정의한다. 이 기법은 이 기법의 시간 도메인 번들링이 기존의 것과는 약간 상이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HARQ-ACK 멀티플렉싱과 유사한 기법을 이용한다. 캐리어 집성을 위한 시간 도메인 번들링은 각각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대해서는 다수의 연속적인 ACK들을 전달하기 위한 것인 반면 단일 캐리어를 위한 것은 논리적으로 번들링된 HARQ-ACK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결과적인 ACK/NACK 정보는 채널 및 QPSK 성상도 심볼의 공동 선택에 의해 인코딩될 수 있다. 본질적으로, 멀티플렉싱된 확인응답 결과는 이후 PUCCH 전송을 위한 2비트 필드(QPSK 성상도) 및 PUCCH 리소스(선택된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로 인덱싱될 수 있다. RM 코드 입력 비트 세트는 또한 HARQ-ACK가 PUSCH 상에서 피기백(piggyback)되는 경우에 제공된다. 매핑 표들은 상이한 번들링 윈도우 사이즈들에 대해 도 1 및 2에 도시되어 있다(도 2는 도 2a에 계속된다). 열에 대해 라벨링된 도 1에 대한 HARQ-ACK(0)-(2)와 도 2 및 도 2a에 대한 HARQ-ACK(0)-(3)는 프라이머리 셀 및 세컨더리 셀(각자 PCell 및 SCell) 모두에 대한 그 특정 서브-프레임에 대한 ACK, NACK, 또는 DTX 결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4개 서브프레임 번들링 윈도우의 경우, 프라이머리 셀 상에서 서브-프레임(0)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고(ACK), 서브-프레임(1)이 비성공적으로 수신되었고(NACK), 서브프레임(2)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고(ACK), 서브-프레임(3)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고(ACK), 세컨더리 셀 상에서 ACK, ACK, ACK, NACK의 응답이 수신되었다면, UE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3에 대응하는 피드백 리소스를 이용하여, 그리고 0,0,1,1의 코드 입력 비트들을 사용하여 (0, 1)의 성상도를 선택할 것이다. 간략하게는, HARQ-ACK(j) 열은 (다수의 캐리어들에 대한) 프라이머리 셀 및 세컨더리 셀 각각에 대한 각각의 특정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및 프라이머리 셀과 세컨더리 셀 각각에 대해 선택된 HARQ-ACK(j)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대응하는 PUCCH 리소스들, 성상도들 및 RM 코드 입력 비트들에 대한 ACK/NACK/ 또는 DTX 응답이다. 이 기법은 HARQ-ACK가 PUCCH를 사용하여 전송될 때 PUCCH 포맷 1b을 이용한다.
HARQ-ACK 번들링 또는 HARQ-ACK 멀티플렉싱은, UE가 임의의 스케줄링된 프레임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적절하게 기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eNodeB가, 오직 마지막 프레임을 수신한 UE를 제외한, 번들링 윈도우 사이즈 2를 가지는 2개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단말을 스케줄링하지만, 그것이 제1 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되었음을 알지 못한 경우, UE는 ACK를 이용하여 응답할 것이다. eNodeB는 양 서브-프레임들의 확인응답으로서 이 ACK를 해석할 것이다. UE에 대한 다운링크 승인이 언제 유실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LTE 사양은 PDCCH 상에서 다운링크 스케줄링 정보와 함께 RAN으로부터 UE로 송신된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를 제공한다. 다운링크 승인 시에 전달된 DAI는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릴리즈를 나타내는 PDCCH 및 할당된 PDSCH 전송(들)을 가지는 PDCCH(들)의 누적 수를 각각의 구성된 서빙 셀의 동일한 번들링 윈도우 내의 현재 서브-프레임까지 강등시킨다. UE는 이후 번들링 윈도우 내에 HARQ-ACK(j)를 생성하기 위해 DAI를 이용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응답 계산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예에서, 4개의 서브-프레임들의 번들링 윈도우(M=4)가 2개의 구성된 셀들 내에 도시되어 있다. 프라이머리 셀(PCell)에 대한 HARQ-ACK(j) 응답은 ACK, ACK, DTX, ACK이고 세컨더리 셀(SCell)에서는 그것은 각각 ACK, NACK, NACK, ACK이다. PCell에 대해 PDCCH 상에서 수신된 DAI들은 서브-프레임 0에 대해 1, 서브-프레임 1에 대해 2, 그리고 서브-프레임 3에 대해 4이다. UE가 서브-프레임 2(m=2) 상에서 PDCCH를 디코딩할 수 없었고, 따라서 그것의 DAI 값을 업데이트하지 않았음에 유의한다. UE가 업데이트된 DAI 값을 유실했을지라도, UE는 서브프레임 m=3에서 그것을 복원하며, 따라서, DAI가 번들링 윈도우의 종단에서 4임을 알고 있다. DAI 값이 4이기 때문에, UE는 자신이 4개의 HARQ-ACK(j) 응답을 필요로 함을 알고 있다. SCell에 대해, PDCCH 상에서 수신된 DAI들은 서브-프레임 0, 1 ,2, 및 3에 대해 각각 1, 2, 3 및 4이다.
도 2 및 2a에서의 매핑 표에 기초하면, 이것은:
Figure pct00003
의 응답을 생성한다. 특정 번들링 윈도우의 모든 서브-프레임들이 RAN에 의해 스케줄링되지 않을 때 문제점이 존재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특정 프레임들이 스케줄링되지 않기 때문에, DAI는 증분되지 않을 것이며, 번들링 윈도우의 종단에서 번들링 윈도우 사이즈보다 더 작을 것이다. 도 1 및 도 2의 피드백 표들은 모든 프레임들이 스케줄링된다고 가정한다. 도 4는 이 이슈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PCell 내의 처음 2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은 스케줄링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프레임 2에 대해, DAI는 1이고, 서브-프레임 3에 대해, DAI는 2이다(서브-프레임 2 및 3에 대해 각각 DAI가 3 및 4였던 도 3에 비해). HARQ-ACK(j)가 DAI 값과 함께 결정되기 때문에, HARQ-ACK(0)은 서브-프레임 2에 대응하고, HARQ-ACK(1)은 서브-프레임 3에 대응한다. 그러나, HARQ-ACK(2) 및 HARQ-ACK(3)은, DAI의 정의에 따라 번들링 윈도우 내에 3 및 4의 대응하는 DAI 값들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정의되지 않는다. 이것은, DAI 값이 번들링 윈도우 내의 현재 서브-프레임까지의 다운링크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릴리즈를 나타내는 PDCCH 및 할당된 PDSCH 전송(들) 내의 PDCCH(들)의 누적 수로서 정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번들링 윈도우 내에서 DAI 값과 관련된 HARQ-ACK(j)에 대해 UE에 의해 모니터링될 예상되는 DL 서브-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UE 동작이 특정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마지막 수신된 DAI(LDAI) 값이 번들링 윈도우의 사이즈 미만인 상황에 대한 확인응답을 생성하는 이슈를 해결하는 시스템들, 방법들, UE들 및 기계-판독가능한 매체가 개시된다. 일부 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상태가 LDAI<=j<M-1 경우에 대해 HARQ-ACK(j)에 대해 이용되며, M은 멀티플렉싱 또는 번들링 윈도우 사이즈이다. 예를 들어, DTX 상태는 이들 HARQ-ACK 응답들에 패딩(pad)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4에서, 적절한 응답 파라미터들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할 PCell에 대한 HARQ-ACK(j)는 ACK, ACK, DTX, DTX일 것이다.
PCell에 대한 마지막 2개의 상태들이 DTX에 의해 패딩되기 때문에, UE는 사용할 표로부터의 정확한 매핑을 알 것이다. 추가로, 네트워크 측에서, eNodeB가 이미 마지막 2개의 상태들이 DTX들로 패딩됨을 알고 있기 때문에, DTX가 아닌 무관한 상태들은 HARQ-ACK 검출 성능들을 개선할 수 있는 PUCCH 검출 가설 테스트들 동안 배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PCell 내의 HARQ-ACK 응답이 {ACK, ACK, DTX, DTX}, {ACK, NACK, DTX, DTX}, {NACK, ACK, DTX, DTX}, 또는 {NACK, NACK, DTX, DTX}이기 때문에, {임의값, 임의값, ACK/NACK, ACK/NACK}의 상태들은 eNB 검출 시에 배제될 수 있다. 검출 가설 테스트들을 감소시킴으로써, PUCCH 검출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 이 방법을 적용하면 다음을 산출한다:
Figure pct00004
일부 예들에서 HARQ-ACK(j)는, 번들링 윈도우 내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 스케줄링되지 않은 경우에 대해 DTX로 채워질 수 있고, 다른 예들에서, ACK, NACK, 또는 또 다른 정의된 값과 같은 다른 값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eNodeB가 이들 값들을 무시할 만큼 충분한 시스템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부 예들에서, UE는 임의의 ACK/NACK/DTX 값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제 도 5a를 참조하면, 특정 번들링 윈도우 내의 모든 다운링크 프레임이 스케줄링되지 않은 때의 전송을 확인응답하는 방법(5000)이 도시되어 있다. 동작(5010)에서, UE는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프레임들을 나타내는 스케줄링 정보를 PDCCH 상에서 수신한다. 동작(5020)에서, UE는 자신이 특정 번들링 윈도우에 대한 마지막 다운링크 할당을 수신했다고 결정하고, 동작(5030)에서, 마지막 DAI 값(LDAI)이 번들링 윈도우 사이즈보다 더 작다고 결정한다. 동작(5040)에서, UE는 UE가 그것이 스케줄링되었다고 알고 있었던 프레임들에 대한 ACK/NACK/DTX 응답들을 결정한다. 동작(5050)에서, 대응하는 DAI 값들을 가지지 않는 나머지 HARQ-ACK(j)는 미리 결정된 값(예를 들어, DTX)으로 채워진다.
이제 도 5b를 참조하면, 특정 번들링 윈도우 내의 모든 다운링크 프레임들이 스케줄링되지는 않은 전송의 eNodeB에서의 확인응답을 프로세싱하는 방법(5100)이 도시되어 있다. 동작(5110)에서,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은 특정 확인응답 기간(예를 들어, 번들링 윈도우)에 대한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전송들을 스케줄링하고,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과 같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UE에 통지할 수 있다. 동작(5120)에서, eNodeB는 스케줄링된 프레임들을 전송할 수 있다. 동작(5130)에서, eNodeB는 UE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5140)에서, eNodeB는 PDCCH 상에서 송신된 마지막 DAI 값이 번들링 윈도우 사이즈보다 더 작다고 결정할 수 있다. 동작(5150)에서, eNodeB는, HARQ-ACK(j) ― 여기서, j는 LDAI<=j<M-l이고, M은 멀티플렉싱 또는 번들링 윈도우 사이즈임 ― 가 패딩된 값들임을 감안하여, 응답을 결정하기 위해 수신된 성상도 및 RM 코드 비트들과 함께 응답이 수신된 리소스(예를 들어, PUCCH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다. eNodeB는 이후 임의의 필요한 재전송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전송들을 확인응답하기 위한 시스템(6000)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UE)(6010)는 하나 이상의 라디오 링크들(6040)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예를 들어, eNodeB)(6030, 6035)을 포함할 수 있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6020)와 통신한다. RAN(6020)은 향상된 패킷 코어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6045)에 접속될 수 있다. EPC(6045)는 인터넷,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network) 등과 같은 네트워크(6050)에 접속될 수 있다. 도 6의 시스템에서, 라디오 링크들(6040)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7은 UE(7000)의 부분적 기능도를 도시하고 있다(도시되지 않은 더 많은 컴포넌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UE(7000)는 전송 모듈(70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모듈(7010)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업링크 채널들을 통해 RAN에 제어 및 사용자 트래픽을 전송할 수 있다. 전송 모듈(7010)은 다운링크 채널들(예를 들어,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및 물리적 전용 제어 채널(PDCCH)) 상에서 RAN으로부터 UE(7000)로 송신된 사용자 트래픽 및 제어 트래픽의 확인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모듈(7020)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및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과 같은 다운링크 채널들 상에서 RAN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의 수신 상태를 응답 모듈(7030)에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서브-프레임들은 수신 모듈에서 디코딩될 수 있고(그리고 임의의 FEC 정정이 또한 여기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프레임이 ACK되어야 하는지, NACK되어야 하는지, 또는 DTX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표시가 응답 모듈(7030)에 송신될 수 있다. 수신 모듈(7020)은 또한 번들링 윈도우의 크기 및 그 윈도우에 대해 마지막으로 수신된 DAI와 같은 다양한 통신 파라미터들을 응답 모듈(7030)에 전달할 수 있다.
응답 모듈(7030)은 LDAI, 번들링 윈도우 사이즈 등에 기초하여 도 1 및 도 2(도 2a에 계속됨)의 표들에 따라 적절한 응답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PUCCH 리소스, RM 코드 비트들, 성상도)을 전송 모듈(7010)에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모듈(7030)은 수신된 다운링크 할당들의 수가 응답 번들링 윈도우 사이즈보다 더 작다는 결정을 수행할 수 있고, 그 결정에 기초하여, 각각의 수신된 다운링크 할당의 수신 상태를 그 특정 수신된 다운링크 할당과 연관된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설정하고, 대응하는 다운링크 할당을 가지지 않은 번들링 윈도우 내의 프레임의 수신 상태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모듈은 응답 번들링 윈도우 내의 복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각각의 인덱스 j에 대해 하나 이상의 수신된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 값들이 j+p와 같은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DAI 값들 중 하나가 j+p와 같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j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수신 상태(ACK/NACK/DTX)를 결정한다. 하나 이상의 DAI 값들 중 어느 것도 j+p와 같지 않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j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수신 상태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p는 상수(예를 들어, 0 또는 1)이고, 하나 이상의 DAI 값들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수신되고, j≤M-1이고, M은 HARQ 번들링 윈도우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이다. 응답 모듈(7030)은 또한 HARQ 모듈로 명명될 수 있고, 이후 전송 모듈(7010)에 적절하게 결정된 응답을 전송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변수 p는 번들링 윈도우 내에서 검출된 대응하는 PDCCH 없이 프라이머리 셀 상에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전송이 존재하는 경우 제로와 같을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 p는 1일 수 있다. 따라서, 값 p는 대응하는 PDCCH 없이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PDSCH가 번들링 윈도우 내에 존재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가 스케줄링된 다운링크 프레임에 대한 DAI 값을 가지는 PDCCH를 기술하지만, 개시내용이 또한 UE가 역시 DAI 값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반-지속적 스케줄링(SPS) 릴리즈 메시지를 나타내는 PDCCH를 수신할 때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7은 또한 eNodeB(7100)의 부분적 기능도를 도시한다(도시되지 않은 더 많은 컴포넌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eNodeB(7100)는 하나 이상의 채널들 상에서 사용자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모듈(711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는 물리적 전용 제어 채널(PDCCH) 또는 물리적 전용 공유 채널(PDSCH)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전송 모듈(7110)은 전송을 위한 프레임들을 스케줄링하고 PDCCH 상에서 UE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전송 모듈(7110)은 또한 PDCCH에서 DAI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 모듈(7120)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및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과 같은 업링크 통신 채널들 상에서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 모듈(7120)은 UE로부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로 HARQ 응답들(예를 들어, ACK-NACK-DTX 응답들)을 수신할 수 있다. 이 정보에 응답하여, 수신 모듈은 특정 데이터가 재전송될 필요가 있을 수 있음을 전송 모듈에 표시할 수 있다. 수신 모듈(7120)은 응답이 어느 PUCCH 리소스 상에서 수신되었는지, 수신된 성상도 비트들, 및 수신된 RM 코드들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응답을 디코딩할 수 있다. 수신 모듈(7120)은 또한 번들링 윈도우 내의 마지막 DAI 값이 번들링 윈도우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보다 더 작았으며, 서브-프레임들의 ACK/NACK/DTX 중 하나 이상이 실제 전송을 나타내지 않음에 따라 무시되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원에서 논의된 기법들(예를 들어,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머신(8000)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UE, RAN(eNodeB들을 포함함), 또는 EPC는 머신(8000)일 수 있거나, 또는 머신(8000)의 일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머신(8000)은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머신들에 접속(예를 들어, 네트워킹)될 수 있다. 네트워킹된 배치에서, 머신(8000)은 서버 머신, 클라이언트 머신의 자격으로,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네트워크 환경들 모두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신(8000)은 피어-투-피어(P2P)(또는 다른 분산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어 머신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머신(8000)은 개인용 컴퓨터(PC), 태블릿 PC, 셋톱 박스(STB), 개인용 디지털 보조 단말(PDA), 모바일 전화(예를 들어, UE), 웹 어플라이언스, 무선 기지국, 네트워크 라우터, 스위치 또는 브리지, 또는 그 머신에 의해 취해질 동작들을 특정하는 명령들(순차적인, 또는 다른 방식의)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머신일 수 있다. 또한, 단일 머신만이 예시되어 있지만, 용어 "머신"은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aaS), 다른 컴퓨터 클러스터 구성들과 같은, 본원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의 세트(또는 다수의 세트들)를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실행하는 임의의 머신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머신(8000)의 기능들은 네트워크 내의 다수의 다른 머신들에 걸쳐 분배될 수 있다.
예들은,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로직 또는 다수의 컴포넌트들, 모듈들, 또는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모듈들은 특정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유형 엔티티들이며, 특정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들은 모듈로서 특정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내부적으로 또는 다른 회로들과 같은 외부 엔티티들에 대해)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들(예를 들어, 독립형,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 컴퓨터 시스템)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들의 전체 또는 일부분은 특정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모듈로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명령들, 애플리케이션 부분,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1) 비-일시적 머신-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또는 (2) 전송 신호에 상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모듈의 기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때, 하드웨어가 특정된 동작들을 수행하게 한다.
따라서, 용어 "모듈"은 유형적 엔티티를 포함하며, 특정 방식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본원에서 기술된 임의의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물리적으로 구성되거나, 구체적으로 구성되거나(예를 들어, 하드와이어링되거나), 또는 임시로(예를 들어, 일시적으로) 구성되는(예를 들어, 프로그래밍되는) 엔티티인 것으로 이해된다. 모듈들이 임시로 구성되는 예들을 고려하면, 모듈들 각각은 시간 상 임의의 한 순간에서 예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모듈들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성된 범용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 범용 하드웨어 프로세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 특정 모듈을 구성하고, 상이한 시간 인스턴스에서 상이한 모듈을 구성하도록,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다.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8000)은 하드웨어 프로세서(8002)(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PU),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PU), 하드웨어 프로세서 코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주 메모리(8004) 및 정적 메모리(8006)를 포함하고,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버스(8008)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머신(8000)은 디스플레이 유닛(8010), 영숫자 입력 디바이스(8012)(예를 들어, 키보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제어 디바이스(8014), 및/또는 다른 입력 디바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8010) 및 UI 제어 디바이스(8014)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머신(8000)은 추가적으로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드라이브 유닛)(8016), 신호 생성 디바이스(8018)(예를 들어, 스피커),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80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8016)는 본원에 기술된 기법들 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구현하거나 이에 의해 이용되는 데이터 구조들 또는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8024)(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이 저장된 머신-판독가능한 매체(8022)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8024)은 또한 머신(8000)에 의한 명령들(8024)의 실행동안, 주 메모리(8004) 내에, 정적 메모리(8006) 내에 또는 하드웨어 프로세서(8002) 내에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프로세서(8002), 주 메모리(8004), 정적 메모리(8006), 또는 저장 디바이스(8016)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은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머신-판독가능한 매체(8022)가 단일 매체로서 예시되어 있지만, 용어 "머신 판독가능한 매체"는 하나 이상의 명령들(8024)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단일 매체 또는 다수의 매체(예를 들어, 중앙화된 또는 분산된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연관된 캐시들 및 서버들)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머신-판독가능한 매체"는 머신(80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고, 인코딩하거나, 반송할 수 있으며, 머신(8000)이 본 개시내용의 기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거나, 또는 이러한 명령들에 의해 사용되거나 이러한 명령들과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하거나, 인코딩하거나 반송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적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머신-판독가능한 매체의 예들은 고체-상태 메모리들, 및 광학 및 자기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판독가능한 매체의 특정 예들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전기적 프로그래밍가능한 판독-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한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이동식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스크들; 자기-광학 디스크들;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8024)은 추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8020)를 통해 전송 매체를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8026)를 통해 전송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8020)는 다수의 전송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프레임 릴레이, 인터넷 프로토콜(IP),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등) 중 임의의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내의 다른 머신들과 통신하기 위해 다른 머신들의 네트워크에 머신(8000)을 접속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은 특히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모바일 전화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들),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네트워크들, 및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Wi-Fi®로서 공지되어 있는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802.11 표준 패밀리, WiMax®로서 공지되어 있는 IEEE 802.16 표준 패밀리), 피어-투-피어(P2P)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8020)는 통신 네트워크(8026)에 접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잭들(예를 들어, 이더넷, 동축, 또는 전화 잭들) 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고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8020)는 단일-입력 다중-출력(SIMO),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또는 다중-입력 단일-출력(MISO) 기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전송 매체"는 머신(80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거나, 인코딩하거나 반송할 수 있는 임의의 비유형적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통신 신호들 또는 다른 비유형적 매체를 포함한다.
다른 주석들 및 예들
예 1: 무선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번들링 윈도우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할당들을 수신하고; 번들링 윈도우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수신 상태를,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상의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할당들 중 특정한 하나와 연관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그리고 서브-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설정하고; 그리고 대응하는 다운링크 할당을 가지지 않는 번들링 윈도우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서브프레임의 수신 상태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하도록 배열된 응답 모듈; 및 응답을 전송하도록 배열된 전송 모듈 ― 응답은 응답 모듈에 의해 설정된 수신 상태들에 기초함 ―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가 개시되어 있다.
예 2: 예 1의 UE로서, 수신 상태는 확인응답(ACK), 부정 확인응답(NACK), 및 불연속적 수신(DTX) 중 하나이다.
예 3: 예 1-2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미리 결정된 값은 불연속적 전송(DTX)을 나타내는 값이다.
예 4: 예 1-3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UE는 시분할 듀플렉스(TDD)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배열되고, 전송 모듈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포맷 1b를 사용하여 응답을 전송하도록 배열된다.
예 5: 예 1-4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번들링 윈도우는 2개 서브-프레임들보다 더 크다.
예 6: 예 1-5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전송 모듈은 수신 상태들에 기초하여 PUCCH 업링크 리소스, 성상도, 및 코드 입력 비트들의 세트를 선택함으로써 응답을 전송하도록 배열된다.
예 7: 예 1-6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UE는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 패밀리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배열된다.
예 8: 예 1-7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UE는 2개의 서빙 셀 구성들을 가지는 캐리어 집성을 이용하도록 배열된다.
예 9: 복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각각의 인덱스 j에 대해 하나 이상의 수신된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 값들이 j+p와 같은지를 결정하는 단계 ― 하나 이상의 DAI 값들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수신되고, j ≤ M-1이고, M은 HARQ 번들링 윈도우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이고, p는 상수임 ― ; 하나 이상의 DAI 중 어느 것도 j+1과 같지 않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j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수신 상태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번들링 윈도우 M 내의 복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 j 각각의 수신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예 10: 예 9의 방법으로서, 미리 결정된 값은 불연속적 전송(DTX)을 나타내는 값이다.
예 11: 예 9-1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번들링 윈도우 내에서 검출된 대응하는 PDCCH 없이 프라이머리 셀 상에 프라이머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전송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대응하는 PDCCH 없이 PDSCH가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p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 대응하는 PDCCH 없이 PDSCH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p를 1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2: 예 9-1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수신 상태들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포맷 1b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예 13: 예 9-1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수신 상태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PUCCH 업링크 리소스, 성상도 및 코드 입력 비트들의 세트를 선택함으로써 수신 상태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4: 복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각각의 인덱스 j에 대해, 하나 이상의 수신된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 값들이 j+p와 같은지를 결정하고 ― p는 상수이고, 하나 이상의 DAI 값들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수신되고, j ≤ M-1이고, M은 HARQ 번들링 윈도우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임 ―; 하나 이상의 DAI 값들 중 하나가 j+p와 같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j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수신 상태를 결정하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DAI 값들 중 어느 것도 j+p와 같지 않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j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수신 상태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하도록 배열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모듈; 및 번들링 윈도우 M 내의 복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 j 각각의 수신 상태를 전송하도록 배열된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가 개시되어 있다.
예 15: 예 14의 UE로서, 수신 상태는 확인응답(ACK), 부정 확인응답(NACK), 및 불연속적 수신(DTX) 중 하나이다.
예 16: 예 14-15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미리 결정된 값은 불연속적 전송(DTX)을 나타내는 값이다.
예 17: 예 14-16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미리 결정된 값은 ACK, NACK 및 DTX를 나타내는 값과는 상이한 값이다.
예 18: 예 14-17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미리 결정된 값은 ACK, NACK 및 DTX를 나타내는 값 중 하나로부터 랜덤으로 선택된 값이다.
예 19: 예 14-18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UE는 시분할 듀플렉스(TDD)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배열된다.
예 20: 예 14-19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UE는 HARQ 수신 상태들을 멀티플렉싱하도록 배열된다.
예 21: 예 14-20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전송 모듈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포맷 1b을 사용하여 수신 상태들을 전송하도록 배열된다.
예 22: 예 14-21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HARQ 모듈은 추가로: 번들링 윈도우 내에서 검출된 대응하는 PDCCH 없이 프라이머리 셀 상에 프라이머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전송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대응하는 PDCCH 없이 PDSCH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p를 0으로 설정하고; 대응하는 PDCCH 없이 PDSCH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p를 1로 설정하도록 배열된다.
예 23: 예 14-22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전송 모듈은 수신 상태들에 기초하여 PUCCH 업링크 리소스, 성상도 및 코드 입력 비트들의 세트를 선택함으로써 수신 상태를 전송하도록 배열된다.
예 24: 예 14-23 중 어느 하나의 UE로서, UE는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 패밀리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배열된다.

Claims (24)

  1. 사용자 장비(UE)로서,
    무선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번들링 윈도우(bundling window)의 하나 이상의 다운링크 할당들을 수신하고;
    특정 서브-프레임과 연관된 대응하는 다운링크 할당을 가지는 상기 번들링 윈도우 내의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수신 상태를 상기 서브-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수신되었는지에 기초하여 설정하고;
    대응하는 다운링크 할당을 가지지 않는 상기 번들링 윈도우 내의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대한 수신 상태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하도록 배열된 응답 모듈; 및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응답을 전송하도록 배열된 전송 모듈 ― 상기 응답은 상기 응답 모듈에 의해 설정된 수신 상태들에 기초함 ―
    을 포함하는 U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상태는 확인응답(ACK), 부정 확인응답(NACK), 및 불연속적 수신(DTX) 중 하나인 UE.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값은 불연속적 전송(DTX)을 나타내는 값인 UE.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시분할 듀플렉스(TDD)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전송 모듈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포맷 1b를 사용하여 상기 응답을 전송하도록 배열되는 UE.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링 윈도우는 2개 서브프레임들보다 더 큰 UE.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수신 상태들에 기초하여 PUCCH 업링크 리소스, 성상도(constellation), 및 코드 입력 비트들의 세트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응답을 전송하도록 배열되는 UE.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 패밀리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배열되는 UE.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2개의 서빙 셀 구성들을 가지는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도록 배열되는 UE.
  9. 방법으로서,
    복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한 각각의 인덱스 j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수신된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 값들이 j+p와 같은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DAI 값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되고, j≤M-1이고, M은 응답 번들링 윈도우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이고, p는 상수임 ― ;
    상기 하나 이상의 DAI 값들 중 어느 것도 j+1과 같지 않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j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수신 상태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번들링 윈도우 M 내의 상기 복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 j 각각의 수신 상태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값은 불연속적 전송(DTX)을 나타내는 값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링 윈도우 내에서 검출된 대응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없이 프라이머리 셀 상에 다운링크 공유 채널 전송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대응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없이 다운링크 공유 채널이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p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
    대응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 없이 다운링크 공유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p를 1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상태들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포맷 1b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상태들에 기초하여 적어도 PUCCH 업링크 리소스, 성상도, 및 코드 입력 비트들의 세트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수신 상태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사용자 장비(UE)로서,
    복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각각의 인덱스 j에 대해,
    하나 이상의 수신된 다운링크 할당 인덱스(DAI) 값들이 j+p와 같은지를 결정하고 ― p는 상수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DAI 값들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수신되고, j ≤ M-1이고, M은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번들링 윈도우 내의 서브-프레임들의 수임 ― ,
    상기 하나 이상의 DAI 값들 중 하나가 j+p와 같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j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수신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DAI 값들 중 어느 것도 j+p와 같지 않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j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수신 상태를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하도록 배열된 HARQ 모듈; 및
    상기 번들링 윈도우 M 내의 상기 복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 각각의 수신 상태를 전송하도록 배열된 전송 모듈
    을 포함하는 UE.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상태는 확인응답(ACK), 부정 확인응답(NACK), 및 불연속적 수신(DTX) 중 하나인 UE.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값은 불연속적 전송(DTX)을 나타내는 값인 UE.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값은 ACK, NACK, 및 DTX를 나타내는 값과는 상이한 값인 UE.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값은 ACK, NACK, 및 DTX를 나타내는 값 중 하나로부터 랜덤으로 선택된 값인 UE.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시분할 듀플렉스(TDD)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배열되는 UE.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HARQ 수신 상태들을 멀티플렉싱하도록 배열되는 UE.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포맷 1b을 사용하여 상기 수신 상태들을 전송하도록 배열되는 UE.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HARQ 모듈은 추가로:
    상기 번들링 윈도우 내에서 검출된 대응하는 PDCCH 없이 프라이머리 셀 상에 프라이머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전송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대응하는 PDCCH 없이 PDSCH가 존재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p를 0으로 설정하고;
    대응하는 PDCCH 없이 PDSCH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p를 1로 설정하도록 배열되는 UE.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수신 상태들에 기초하여 PUCCH 업링크 리소스, 성상도, 및 코드 입력 비트들의 세트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수신 상태를 전송하도록 배열되는 UE.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롱 텀 에볼루션(LTE) 표준 패밀리를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배열되는 UE.
KR1020147033839A 2012-07-02 2013-06-13 의도되지 않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harq-ack 핸들링 KR101702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67325P 2012-07-02 2012-07-02
US61/667,325 2012-07-02
US13/721,458 US8958331B2 (en) 2012-07-02 2012-12-20 HARQ-ACK handling for unintended downlink sub-frames
US13/721,458 2012-12-20
PCT/US2013/045599 WO2014007960A1 (en) 2012-07-02 2013-06-13 Harq-ack handling for unintended downlink sub-fram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495A Division KR101801240B1 (ko) 2012-07-02 2013-06-13 의도되지 않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harq-ack 핸들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97A true KR20150002897A (ko) 2015-01-07
KR101702397B1 KR101702397B1 (ko) 2017-02-03

Family

ID=745565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495A KR101801240B1 (ko) 2012-07-02 2013-06-13 의도되지 않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harq-ack 핸들링
KR1020147033839A KR101702397B1 (ko) 2012-07-02 2013-06-13 의도되지 않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harq-ack 핸들링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495A KR101801240B1 (ko) 2012-07-02 2013-06-13 의도되지 않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harq-ack 핸들링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5) US8958331B2 (ko)
EP (2) EP2868025A4 (ko)
JP (2) JP6050482B2 (ko)
KR (2) KR101801240B1 (ko)
CN (3) CN107592182B (ko)
AU (2) AU2013287185B2 (ko)
BE (2) BE1023157B1 (ko)
BR (1) BR112014030155A2 (ko)
CA (1) CA2874463C (ko)
ES (1) ES2447190B2 (ko)
FI (2) FI127102B (ko)
FR (1) FR2992804B1 (ko)
HK (1) HK1243841A1 (ko)
IT (1) ITMI20131102A1 (ko)
MX (2) MX364066B (ko)
MY (1) MY174519A (ko)
NL (2) NL2011073C2 (ko)
RU (3) RU2592872C2 (ko)
SE (1) SE545113C2 (ko)
TW (3) TWI590614B (ko)
WO (1) WO20140079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3939B2 (en) 2012-07-02 2017-06-06 Intel Corporation HARQ-ACK handling for unintended downlink sub-fram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1743B2 (en) * 2010-10-11 2016-1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same
WO2012099388A2 (ko) * 2011-01-21 2012-07-26 주식회사 팬택 Harq ack/nack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30125695A (ko) * 2012-05-09 2013-11-19 주식회사 팬택 인터밴드 tdd 전송 방식에서 채널 셀렉션 전송을 위한 harq-ack 인덱스 매핑 및 업링크 자원 할당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8923880B2 (en) * 2012-09-28 2014-12-30 Intel Corporation Selective joinder of user equipment with wireless cell
US10121263B2 (en) * 2013-10-31 2018-11-06 Uc Mobile Co., Ltd. Methods and devices for image loading and methods and devices for video playback
WO2015110243A1 (en) 2014-01-24 2015-07-30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US10779341B2 (en) 2014-01-31 2020-09-1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cell coordination for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source allocation
US9859972B2 (en) 2014-02-17 2018-01-02 Ubiqomm Llc Broadband access to mobile platforms using drone/UAV background
CN104935415B (zh) * 2014-03-21 2020-10-1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harq-ack传输的方法及用户设备
US9479964B2 (en) * 2014-04-17 2016-10-25 Ubiqomm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fading in a broadband access system using drone/UAV platforms
GB2539363A (en) 2014-06-12 2016-12-21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9614608B2 (en) 2014-07-14 2017-04-04 Ubiqomm Llc Antenna beam management and gateway design for broadband acces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UAV) platforms
US10039112B2 (en) 2014-10-10 2018-07-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a virtual network in software defined networks
US9571180B2 (en) 2014-10-16 2017-02-14 Ubiqomm Llc Unmanned aerial vehicle (UAV) beam forming and pointing toward ground coverage area cells for broadband access
US9712228B2 (en) 2014-11-06 2017-07-18 Ubiqomm Llc Beam forming and pointing in a network of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for broadband access
KR102518821B1 (ko) * 2015-01-20 2023-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906347B2 (en) * 2015-04-09 2018-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 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interval
US9590720B2 (en) 2015-05-13 2017-03-07 Ubiqomm Llc Ground terminal and gateway beam pointing toward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for network access
US9660718B2 (en) 2015-05-13 2017-05-23 Ubiqomm, LLC Ground terminal and UAV beam pointing in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for network access
JP6562434B2 (ja) 2015-06-01 2019-08-21 ホアウェイ・テクノロジーズ・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制御およびデータプレーンにおける仮想化された機能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700936B2 (en) 2015-06-02 2020-06-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s for virtual infrastructure management between operator networks
US10212589B2 (en) 2015-06-02 2019-02-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use infra-structure or network connectivity services provided by 3rd parties
JP6594539B2 (ja) * 2015-07-01 2019-10-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送信方法及び装置
WO2017026979A1 (en) * 2015-08-11 2017-02-16 Intel IP Corporation Harq feedback configuration techniques for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O2017030310A1 (ko) * 2015-08-14 2017-02-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면허 및 비면허 대역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US10862818B2 (en) 2015-09-23 2020-12-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network resources to network service providers
US10476641B2 (en) * 2015-11-17 2019-11-12 Qualcomm Incorporated Back-to-back reference signals
CN106998591B (zh) * 2016-01-24 2018-03-23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调度方法和装置
US9853713B2 (en) 2016-05-06 2017-12-26 Ubiqomm Llc Unmanned aerial vehicle (UAV) beam pointing and data rate optimization for high throughput broadband access
US10313686B2 (en) 2016-09-20 2019-06-04 Gopro,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pressing video content using adaptive projection selection
US10154496B2 (en) 2016-11-10 2018-12-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beamformed reference signals in three dimensional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s systems
CN108288989B (zh) 2017-01-09 2020-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反馈方法、用户设备及基站
US10680866B2 (en) 2017-03-24 2020-06-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ounding reference signal design
KR20220013019A (ko) 2017-05-05 2022-02-04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치, 기지국 및 방법
CN109729594B (zh) 2017-10-27 2021-03-23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的处理方法及系统、第一设备、第二设备
CN110138531B (zh) * 2018-02-09 2021-08-0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混合自动重传请求应答的传输方法及其装置
KR20200116392A (ko) 2019-04-01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승인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509424B2 (en) * 2019-04-01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rant free based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X2021012371A (es) 2019-04-19 2021-11-12 Ericsson Telefon Ab L M Configuracion de sincronizacion de harq para pdsch con indicador de sincronizacion de pdsch a harq pendiente.
US20220311555A1 (en) * 2020-04-08 2022-09-29 Apple Inc. Uplink Control Information Reporting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0482B2 (ja) 1982-10-06 1985-11-08 日立金属株式会社 沈砂掻揚装置
ATE309652T1 (de) * 2001-11-16 2005-11-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rq wiederübertragungsverfahren mit inkrementaler redundanz unter verwendung von bit umordnungsarten
US6717927B2 (en) 2002-04-05 2004-04-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efficient recovery of node B buffered data following serving high speed downlink shared channel cell change
KR100754658B1 (ko) * 2004-03-12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재전송 운용 방법
US7366477B2 (en) 2004-05-06 2008-04-29 Nokia Corporation Redundancy version implementation for an uplink enhanced dedicated channel
JP4592547B2 (ja) 2005-08-24 2010-12-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4684045B2 (ja) 2005-08-30 2011-05-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制御方法、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無線回線制御局
US8345605B2 (en) * 2008-02-21 2013-01-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bundled feedback in wireless networks
US8634333B2 (en) * 2008-05-07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Bundling of ACK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2084618B (zh) * 2008-06-23 2015-04-15 诺基亚通信公司 用于提供确认捆绑的方法和设备
JP5016138B2 (ja) * 2008-06-30 2012-09-0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603338B1 (ko) * 2008-08-11 201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HUE024468T2 (en) 2008-08-12 2016-01-28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Procedure and layout in communication system
JP5199223B2 (ja) 2008-12-30 2013-05-15 創新音▲速▼股▲ふん▼有限公司 Ack/nackバンドリングを改善する方法及び通信装置
CN101478383B (zh) * 2009-02-03 2014-03-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长期演进系统中的下行子帧应答信息的反馈方法
WO2010123893A1 (en) * 2009-04-22 2010-10-2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for carrier aggregated spectrums
WO2010121539A1 (zh) 2009-04-24 2010-10-2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tdd系统回程链路通信方法、设备和系统
CN101873630B (zh) * 2009-04-24 2013-04-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无线通信方法、系统及其装置
US9705653B2 (en) * 2009-05-04 2017-07-11 Qualcomm Inc. Downlink control transmission in multicarrier operation
US8885479B2 (en) * 2009-05-07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rrier retransmission feedback
US9106378B2 (en) * 2009-06-10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downlink information
US8873454B2 (en) 2009-12-18 2014-10-2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response timing for relay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02123019B (zh) * 2010-01-11 2015-11-25 三星电子株式会社 针对无线通信系统的下行数据传输执行ack/nack反馈的方法
CN102215084A (zh) * 2010-04-02 2011-10-12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传输上行控制信息的方法
US9553697B2 (en) * 2010-04-05 2017-01-24 Qualcomm Incorporated HARQ ACK/NACK transmission for multi-carrier operation
JP5635623B2 (ja) * 2010-04-22 2014-12-03 シャープ株式会社 物理上りリンク制御チャネル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ための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基地局、ユーザ装置、および、集積回路
US8982743B2 (en) * 2010-05-14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DAI designs for FDD carrier aggregation
US8660107B2 (en) * 2010-06-18 2014-02-25 Mediatek Inc. Uplink HARQ feedback channel design for carrier aggregation in OFDMA systems
US10135595B2 (en) * 2010-06-21 2018-11-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mapping indicator for long term evolution (LTE) carrier aggregation
CN102378385A (zh) * 2010-08-16 2012-03-14 夏普株式会社 上行控制信息传输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8884888B2 (en) * 2010-08-30 2014-11-11 Apple Inc. Accelerometer determined input velocity
CN105898848B (zh) 2010-09-30 2019-08-06 索尼公司 电子设备、通信方法以及用户设备
CN102918793B (zh) * 2010-09-30 2016-05-18 Lg电子株式会社 发送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EP2637342B1 (en) * 2010-11-02 2020-05-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L2451223T3 (pl) * 2010-11-03 2018-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Generowanie informacji HARQ-ACK i sterowanie mocą sygnałów HARQ-ACK w systemach TDD o łączu pobierania z agregacją nośnych
CN102469596A (zh) 2010-11-08 2012-05-2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支持信道选择的分配ack/nack信道资源的方法
EP2639986B1 (en) * 2010-11-11 2023-05-10 LG Electronics Inc.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30883B2 (en) 2010-11-16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feedback
KR101191216B1 (ko) * 2010-11-24 2012-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제어정보 수신방법 및 기지국
CN105391528B (zh) 2010-12-15 2019-07-30 Lg电子株式会社 在基于tdd的无线通信系统中发射ack/nack的方法和装置
CN102098151B (zh) * 2010-12-28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正确/错误应答消息的发送方法及用户终端
CN102651678B (zh) * 2011-02-23 2015-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WO2012122170A1 (en) * 2011-03-07 2012-09-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operation
EP2515463B1 (en) * 2011-04-19 2020-04-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cknowledgement information in a tdd communication system
CN102170338B (zh) 2011-04-29 2013-09-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Ack/nack反馈信息的传输方法和设备
KR20120123848A (ko) * 2011-05-02 2012-11-12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9621323B2 (en) * 2011-07-14 2017-04-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same
WO2013055128A2 (ko) * 2011-10-11 201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번들링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095433B (zh) * 2011-11-04 2018-06-1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发送harq-ack反馈信息的方法
CN103188061B (zh) * 2011-12-31 2017-11-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混合自动重传请求应答信息的发送方法和装置
CN103188062B (zh) * 2011-12-31 2018-08-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混合自动重传请求应答信息发送方法及装置
WO2013125908A1 (ko) * 2012-02-22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3368709B (zh) * 2012-04-09 2018-08-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混合自动重传请求确认应答信息发送方法及装置
US8718558B2 (en) * 2012-04-18 2014-05-06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facilitating communications over first and second wireless connections of a wireless transceiver
CN103384188B (zh) * 2012-05-04 2017-03-0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载波聚合反馈方法、装置及系统
KR20130125695A (ko) * 2012-05-09 2013-11-19 주식회사 팬택 인터밴드 tdd 전송 방식에서 채널 셀렉션 전송을 위한 harq-ack 인덱스 매핑 및 업링크 자원 할당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185564B2 (en) * 2012-05-11 2015-11-10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sending and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US9094960B2 (en) * 2012-05-30 2015-07-28 Intel Corporatio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mapping for carrier aggregation (CA)
US9088977B2 (en) * 2012-05-30 2015-07-21 Intel Corporatio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mapping for carrier aggregation (CA)
US9749094B2 (en) * 2012-06-14 2017-08-29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sending and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WO2013191453A1 (ko) * 2012-06-19 2013-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9294230B2 (en) * 2012-07-02 2016-03-22 Intel Corporation Multiplexing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acknowledgement information
US8958331B2 (en) 2012-07-02 2015-02-17 Intel Corporation HARQ-ACK handling for unintended downlink sub-frame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TT, "Corrections on the notation of k and k_m", 3GPP TSG-RAN WG1 #66bis, R1-112936, 2011.10.04.* *
Ericsson 외, "PUCCH resource mapping", 3GPP TSG-RAN WG1 #69, R1-121988, 2012.05.12.* *
Samsung, "HARQ-ACK Bundling for PUCCH Format 3", 3GPP TSG-RAN WG1 #66, R1-112499, 2011.08.16.*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3939B2 (en) 2012-07-02 2017-06-06 Intel Corporation HARQ-ACK handling for unintended downlink sub-frames
US10027446B2 (en) 2012-07-02 2018-07-17 Intel Corporation HARQ-ACK handling for unintended downlink sub-frames
USRE49490E1 (en) 2012-07-02 2023-04-11 Apple Inc. HARQ-ACK handling for unintended downlink sub-fram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2012390A (en) 2014-04-29
CN106850129B (zh) 2020-09-22
FR2992804A1 (en) 2014-01-03
FI20135724A (fi) 2014-01-03
JP2015524205A (ja) 2015-08-20
AU2015249093A1 (en) 2015-11-12
RU2682915C1 (ru) 2019-03-22
US9106420B2 (en) 2015-08-11
US20140003302A1 (en) 2014-01-02
JP2017063479A (ja) 2017-03-30
BE1023157B1 (fr) 2016-12-02
ITMI20131102A1 (it) 2014-01-03
CA2874463C (en) 2019-05-14
TW201804748A (zh) 2018-02-01
MX345905B (es) 2017-02-23
EP3131221A1 (en) 2017-02-15
TWI517625B (zh) 2016-01-11
MX364066B (es) 2019-04-11
AU2013287185A1 (en) 2014-12-11
RU2014148570A (ru) 2016-06-27
FI127102B (en) 2017-11-15
CA2874463A1 (en) 2014-01-09
US20170338916A1 (en) 2017-11-23
TW201607268A (zh) 2016-02-16
KR101801240B1 (ko) 2017-11-24
TW201406096A (zh) 2014-02-01
KR20170015541A (ko) 2017-02-08
TWI632787B (zh) 2018-08-11
TWI590614B (zh) 2017-07-01
BE1023180B1 (fr) 2016-12-12
JP6050482B2 (ja) 2016-12-21
NL2011073A (en) 2014-01-06
MY174519A (en) 2020-04-23
US20150131496A1 (en) 2015-05-14
RU2639717C1 (ru) 2017-12-22
SE545113C2 (sv) 2023-04-04
AU2015249093B2 (en) 2016-09-08
BR112014030155A2 (pt) 2017-11-21
WO2014007960A1 (en) 2014-01-09
US10027446B2 (en) 2018-07-17
RU2592872C2 (ru) 2016-07-27
BE1023180B9 (fr) 2022-02-16
HK1243841A1 (zh) 2018-07-20
CN107592182A (zh) 2018-01-16
CN107592182B (zh) 2020-10-02
MX2014014725A (es) 2015-10-29
JP6275802B2 (ja) 2018-02-07
ES2447190R1 (es) 2014-12-30
AU2013287185B2 (en) 2015-09-17
ES2447190A2 (es) 2014-03-11
FR2992804B1 (fr) 2018-05-04
USRE49490E1 (en) 2023-04-11
CN103532680A (zh) 2014-01-22
SE1350813A1 (sv) 2014-01-03
NL2012390C2 (en) 2014-11-26
US20150263826A1 (en) 2015-09-17
KR101702397B1 (ko) 2017-02-03
ES2447190B2 (es) 2015-10-08
US8958331B2 (en) 2015-02-17
EP2868025A4 (en) 2016-03-16
US9673939B2 (en) 2017-06-06
CN103532680B (zh) 2017-09-15
CN106850129A (zh) 2017-06-13
NL2011073C2 (en) 2014-03-18
EP2868025A1 (en) 2015-05-06
FI20175940A (fi)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490E1 (en) HARQ-ACK handling for unintended downlink sub-frames
US10727988B2 (en) Efficient HARQ feedback
TWI628921B (zh) 有效率的混合式自動重送請求(harq)回授之可靠性的強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