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666U - 골프 퍼터 - Google Patents

골프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666U
KR20150002666U KR2020130010884U KR20130010884U KR20150002666U KR 20150002666 U KR20150002666 U KR 20150002666U KR 2020130010884 U KR2020130010884 U KR 2020130010884U KR 20130010884 U KR20130010884 U KR 20130010884U KR 20150002666 U KR20150002666 U KR 201500026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b
club head
shaft
putting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웬-치엔 추
Original Assignee
웬-치엔 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웬-치엔 추 filed Critical 웬-치엔 추
Priority to KR2020130010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666U/ko
Publication of KR201500026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6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사용자가 골프공을 퍼트하기 위한 골프 퍼터가 개시되며, 골프 퍼터는, 클럽 샤프트; 및 골프공과 접촉하여 골프공이 퍼트되어 퍼팅 방향으로 롤링하도록 하기 위한 퍼팅면을 구비하는 클럽 헤드를 포함하고, 퍼팅 방향의 축은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발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 연결축에 수직이고, 클럽 샤프트의 축은 클럽 헤드의 종축(縱軸)의 측방향 중앙선과 실질적으로 교차하거나 연장 교차한다.

Description

골프 퍼터{GOLF PUTTER}
본 고안은 골프 클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더 안정되고 더 정확하게 골프공을 퍼트하는 골프 퍼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골프 스포츠는 세계적으로, 특히 젊은 세대에게 점점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모든 제조 업체들이 보다 긴 거리의 샷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부드럽게 스윙되는 골프 클럽을 추구하기 위해 전력을 다함에 따라, 골프 클럽의 기술 혁신이 넘쳐나고 있다.
골프 퍼터는, 짧은 거리 떨어진 곳에서 공이 롤링되어 홀(hole) 내로 들어가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대적으로 짧고 저속(low-speed)인 스트로크(stroke) 또는 소위 퍼트(putt)를 위한 것이다. 퍼트의 정확성은 골프 게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실질적으로, 그린(green) 및 형상, 무게, 재질, 발란스(balance), 길이, 라이 각도(lie degree)를 포함하는 골프 퍼터 자체에 대한 사용자의 판단뿐만 아니라, 가장 중요하게는 어드레스, 퍼팅 경로, 손 제어, 클럽 헤드의 릴리즈(release) 등에 관한 퍼터를 제어하는 경기자의 기술에 의하여 결정된다. 퍼터의 기술은 일부 골프 경기자들에게 게임 스코어의 많은 부분을 결정하고, 따라서, 퍼터의 기술은 대부분의 골퍼들에게 추구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 경기자가 골프공을 퍼트할 때, 롤링 방향과 조준 방향은 경기자의 어드레스 방향에 수직이므로, 공 조준 및 클럽 헤드의 릴리징(releasing)은 다소 자연스럽지 못하고 어렵다. 종래 퍼터의 어려운 어드레스는, 더욱 많은 연습 또는 전문적인 교습이 필요할 수 있고, 퍼터와 골프공 사이의 스퀘어 페이스 임펙트(square face impact)를 제한하며, 이는, 공을 퍼트하기 위한 종래의 방식이 팔, 어깨, 및 몸통의 모션을 수반하는 매우 복잡한 움직임이고, 조절되지 못한 작은 움직임으로 퍼트가 안정적이지 못하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낳는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골퍼가 안정적이고 정확한 골프 퍼팅을 하는 것이 용이한 골프 퍼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 퍼터의 단점을 극복하여, 사용자가 골프공을 퍼트하기 위한 골프 퍼터에 있어서, 클럽 샤프트; 골프공과 접촉하여 상기 골프공이 퍼트되어 퍼팅 방향으로 롤링하도록 하기 위한 퍼팅면을 구비하는 클럽 헤드를 포함하고, 퍼팅 방향의 축은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발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 연결축에 수직이고, 클럽 샤프트의 축은 상기 클럽 헤드의 종축(縱軸)의 측방향 중앙선과 실질적으로 교차하거나 연장 교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럽 샤프트의 축은, 클럽 헤드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럽 헤드는, 클럽 헤드의 종축의 중앙점(midpoint)에 위치되는 접합부를 갖는 상면(upper surface)을 구비하고, 접합부는 클럽 샤프트를 부착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럽 샤프트의 축은, 퍼팅 방향의 축과 교차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럽 샤프트는, 접합부와 접합되는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럽 샤프트는, 클럽 샤프트와 클럽 헤드의 상면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럽 샤프트는, 퍼팅면의 맞은편(opposite)의 클럽 헤드의 면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럽 샤프트는, 클럽 헤드의 두 종축단(two longitudinal ends)에서 클럽 헤드와 부착되는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럽 샤프트는, 클럽 샤프트의 축이 접합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는 방식으로 클럽 헤드의 접합면과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럽 헤드의 이동 라인은 가상 연결축과 교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럽 헤드 및 클럽 샤프트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유의 특징들로, 골퍼는 골퍼의 두 발 사이의 가상 라인에 수직인 방향으로 골프공을 퍼트할 수 있어, 따라서 안정적이고 정확한 퍼팅을 얻기 위한 몸 조절에 있어서 퍼팅 움직임이 보다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의 사시도,
도 2는 사용중일 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를 도시한 부분 개략도,
도 4a 내지 4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를 도시한 부분 개략도들이다.
상기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해 채용된 구조 및 기술적 수단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4c를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며, 이 설명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사용되고,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는 사용되지 않는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100)는, 클럽 샤프트(1), 골프공(3)과 접촉하여 골프공(3)이 퍼트되어 퍼팅 방향(D3)으로 롤링하도록 하기 위한 퍼팅이면(21)을 구비하는 클럽 헤드(2)를 포함하며, 퍼팅 방향(D3)의 축(A3)은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발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 연결축(A4)에 수직이고, 클럽 샤프트(1)의 축(A1)은 클럽 헤드(2)의 종축(A2)(縱軸, longitudinal axis)의 측방향 중앙선(L2)(lateral middle line)과 실질적으로 교차하거나 연장 교차한다. 바람직하게, 퍼팅 방향(D3)의 축(A3)은 클럽 헤드(2)의 종축(A2)과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구조에 의해, 골프 퍼터(100)는 경기자의 정면에서 경기자에 의해 파지되며, 경기자들이 골프 퍼터(100)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스윙함으로써 골프공은 경기자의 전방 방향을 향해 퍼트된다. 클럽 헤드(2)의 이동 라인은 사용자의 발(F)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 연결축(A4)과 교차하고, 클럽 샤프트(1)의 축(A1)은 퍼팅 동안 퍼팅 방향(D3)의 축(A3)과 교차 또는 연장 교차를 유지하며, 따라서, 안정적이고 정확한 퍼팅을 얻기 위한 몸 조절에 있어서 퍼팅 움직임이 보다 용이해진다.
본 고안에 있어서, 클럽 샤프트(1)와 클럽 헤드(2)의 연결은 다른 다양한 구조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100)에 있어서, 클럽 샤프트(1)는 부착부(11)를 구비하며, 클럽 헤드(2)는 클럽 헤드(2)의 종축(縱軸)(A2)의 중앙점(midpoint)(P2)에 위치되는 접합부(221)를 갖는 상면(22)(upper surface)을 구비하고, 클럽 샤프트(1)의 부착부(11)와 접합(jointed)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부(11)가 볼록부(convex portion)이고 접합부(221)가 오목부(concave portion)이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부착부(11)가 오목부일 수 있고 접합부가(221)가 볼록부일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에 있어서, 클럽 샤프트(1)가 클럽 헤드(2)의 상면(22)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12)를 구비한다. 클럽 샤프트(1)는 클럽 헤드(2)의 접합면, 즉, 상면(22)과, 클럽 샤프트(1)의 축(A1)이 접합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는 방식으로, 접합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에 있어서, 클럽 샤프트(1)는 퍼팅면(21)의 맞은편의 클럽 헤드(2)의 면(23)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12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클럽 샤프트(1)의 축(A1)은 상면(22)에 수직하지 않지만, 클럽 샤프트(1)의 축(A1)은 여전히 클럽 헤드(2)의 종축(縱軸)(A2)의 측방향 중앙선(L2)과 실질적으로 교차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 퍼터에 있어서, 클럽 샤프트(1)는 클럽 헤드(2)의 두 종축단(two longitudinal ends)에서 클럽 헤드와 부착되는 부착 부재(12b)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클럽 샤프트(1)의 축(A1)은 클럽 헤드(2)의 종축(A2)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클럽 헤드(2)의 종축(A2)의 측방향 중앙선(L2)과 실질적으로 교차하며, 클럽 샤프트(1)의 축(A1)은 클럽 헤드(2)의 종축(A2)의 중앙점(P2)과 더 교차한다.
나아가, 상기에서는 클럽 샤프트(1)와 클럽 헤드(2)는 부착 과정(attaching process)에 의해 서로 접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클럽 샤프트(1)와 클럽 헤드(2)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본 고안에 있어서, 클럽 샤프트(1)와 클럽 헤드(2)는 여하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여하한 다양한 접합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의 기재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만 고려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에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나아가, 그러한 변형은 여전히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사상 및 범위에 속한다.
1: 클럽 샤프트
2: 클럽 헤드
11: 부착부
21: 퍼팅면
22: 상면
100: 골프 퍼터
221: 접합부
A1, A2, A3: 축
D3: 퍼팅 방향
P2: 중앙점
F: 발
L2: 측방향 중앙선

Claims (11)

  1. 사용자가 골프공을 퍼트하기 위한 골프 퍼터에 있어서,
    클럽 샤프트; 및
    골프공과 접촉하여 상기 골프공이 퍼트되어 퍼팅 방향으로 롤링하도록 하기 위한 퍼팅면을 구비하는 클럽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퍼팅 방향의 축은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발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 연결축에 수직이고,
    상기 클럽 샤프트의 축은 상기 클럽 헤드의 종축(縱軸)의 측방향 중앙선과 실질적으로 교차하거나 연장 교차하는 골프 퍼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럽 샤프트의 상기 축은, 상기 클럽 헤드의 상기 종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골프 퍼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럽 헤드는, 상기 클럽 헤드의 상기 종축의 중앙점(midpoint)에 위치되는 접합부를 갖는 상면(upper surface)을 구비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클럽 샤프트와 부착되는 골프 퍼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럽 샤프트의 상기 축은, 상기 퍼팅 방향의 상기 축과 교차 유지되는 골프 퍼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럽 샤프트는, 상기 접합부와 접합되는 부착부를 포함하는 골프 퍼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럽 샤프트는, 상기 클럽 샤프트와 상기 클럽 헤드의 상면을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골프 퍼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럽 샤프트는, 상기 퍼팅면의 맞은편의 상기 클럽 헤드의 면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골프 퍼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럽 샤프트는, 상기 클럽 헤드의 두 종축단(two longitudinal ends)에서 상기 클럽 헤드와 부착되는 부착 부재를 포함하는 골프 퍼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럽 샤프트는, 상기 클럽 샤프트의 상기 축이 접합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는 방식으로, 상기 클럽 헤드의 상기 접합면과 부착되는 골프 퍼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럽 헤드의 이동 라인은 상기 가상 연결축과 교차되는 골프 퍼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럽 헤드 및 상기 클럽 샤프트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골프 퍼터.
KR2020130010884U 2013-12-30 2013-12-30 골프 퍼터 KR201500026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884U KR20150002666U (ko) 2013-12-30 2013-12-30 골프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884U KR20150002666U (ko) 2013-12-30 2013-12-30 골프 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666U true KR20150002666U (ko) 2015-07-08

Family

ID=5379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884U KR20150002666U (ko) 2013-12-30 2013-12-30 골프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66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571B1 (ko) 골프 클럽
US6767293B2 (en) Golf club putter and method of putting
KR200445545Y1 (ko) 골프 퍼터
KR101144352B1 (ko) 골프용 퍼터
CN109069910A (zh) 高尔夫推杆装置
US20130157775A1 (en) Golf Club for Bump and Run Golf Shot
KR200488904Y1 (ko) 퍼트용 방향설정 보조 장치
KR20150002666U (ko) 골프 퍼터
KR101789764B1 (ko) 중량 비대칭형 자립식 골프 퍼터 헤드
US20150182823A1 (en) Golf Putter
JP3190469U (ja) ゴルフパター
US20050153792A1 (en) Golf club putter head
JP3171065U (ja) パターゴルフクラブ
KR101438007B1 (ko) 자립식 골프 퍼터
KR101139924B1 (ko) 골프 퍼터
KR200403038Y1 (ko) 골프 퍼터
KR102346984B1 (ko) 골프 드라이버용 페이스
KR101224691B1 (ko) 퍼팅 교정용 퍼터
JP3125158U (ja) ゴルフクラブ
JP3208502U (ja) パターヘッド
JP3129437U (ja) ゴルフパターヘッド
KR20200137341A (ko) 정면으로 퍼팅을 하는 골프용 퍼터
KR200361087Y1 (ko) 골프용 퍼터
TW201507762A (zh) 高爾夫球桿
KR20220080665A (ko) 기준점을 활용한 일반 퍼터와 사이드 퍼터의 겸용 퍼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