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487U -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487U
KR20150002487U KR2020140009298U KR20140009298U KR20150002487U KR 20150002487 U KR20150002487 U KR 20150002487U KR 2020140009298 U KR2020140009298 U KR 2020140009298U KR 20140009298 U KR20140009298 U KR 20140009298U KR 20150002487 U KR20150002487 U KR 201500024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tray
card
slider
car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2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이와사키
무츠히로 타나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07141U external-priority patent/JP3189195U/ja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50002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4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4Hybrid r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록킹 강도를 높인 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측면에 록킹 요부가 형성된 트레이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수용 공간에 수용된 트레이의 록킹 요부에 파고들어 트레이를 록킹하는 록킹부를 갖는 후크 스프링과, 해당 후크 스프링의 압입부의 압입을 받는 압입홈을 갖는 돌기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슬라이더와, 이젝트 레버를 구비하고, 슬라이더가 돌기부가 감입하여 그 돌기부를 폭방향 양측에서 협지하여 돌기부의 변위를 억제하는 협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카드 커넥터{Card Connector}
본 고안은 메모리 카드나 SIM(가입자 식별모듈)카드 등과 같은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카드 커넥터의 경우 카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다소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카드가 정상 삽입 위치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 유지해 둘 필요성이 있다.
특허문헌 1, 2에는 카드를 2개소에서 록킹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개2005-243489호 공보
특개2006-100210호 공보
카드의 록킹 부분을 증가시키면 충격에 대해 강고해지지만, 메모리 커넥터의 대형화를 초래하기 쉽다. 한편 록킹 부분의 증가를 억제하여 록킹 강도를 높이고자 하면, 대형 록킹 부재를 필요로 하거나 해당 록킹 부재를 강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는 등, 록킹 부분을 증가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카드 커넥터의 대형화를 초래할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록킹 강도를 높인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카드 커넥터는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 해당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측면에 록킹 요부(凹部)가 형성된 삽입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수용 공간에 수용된 삽입체의 록킹 요부에 파고 들어 삽입체를 록킹하는 록킹부를 갖고, 상기 록킹부에서 연장되어 내측에 압입부를 갖는 후크 스프링과, 후크 스프링의 압입부를 받는 압입홈을 갖는 돌기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수용 공간에 수용된 삽입체에 대한 상기 폭방향에 대해 후크 스프링이 배치된 측과 같은 측에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배치된 슬라이더와, 수용 공간 내측에 배치되어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중에 회동축을 갖고, 삽입 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한 슬라이더에 제1단이 밀려 회동하여, 삽입체를 제2단에서 압출하는 이젝트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된 삽입체로 제2단이 밀려 회동한 이젝트 레버의 제1단에서 밀려 삽입 방향 앞측으로 슬라이딩한 때에, 상기 돌기부가 감입하고, 해당 돌기부를 폭방향 양측에서 협지하여 돌기부의 변위를 억제하는 협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카드 커넥터는 슬라이더가 상기 협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삽입체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후크 스프링의 압입부가 압입되어 있는 돌기부의 강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슬라이더에 상기 협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도 불필요하다. 따라서 돌기부를 대형화하여 강성을 높일 필요가 없고, 부품수의 증가도 없기 때문에, 대형화가 억제되면서 후크 스프링에 의한 록킹 강도가 높아진다.
여기서 본 고안의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가 상기 록킹 요부가 형성된 측면과 같은 측면이며, 상기 록킹 요부보다 삽입 방향 내측에 제2록킹 요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협지부에서 연장되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삽입체의 제2록킹 요부에 파고 들어 삽입체를 록킹하는 제2록킹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록킹부는 슬라이더의 협지부를 연장하는 것만으로 형성 가능하고, 상기 제2록킹부를 제2록킹 요부에 록킹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대형화를 억제한 채 삽입체의 예기치 못한 빠짐이 한층 강고하게 방지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카드 자체이며, 해당 카드 자체에 록킹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상기 삽입체는 카드가 탑재되어 카드와 함께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카드 트레이를 갖고, 상기 카드 트레이에 록킹 요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만 카드 트레이에 록킹 요부를 형성하고, 상기 카드 트레이에 카드를 탑재하여 수용 공간에 삽입하는 타입의 카드 커넥터의 경우, 카드 자체에는 상기 록킹 구조에 관한 고려는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카드 트레이를 구비한 타입의 카드 커넥터를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카드 커넥터에 의하면,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으며 삽입된 상태의 삽입체의 예기치 못한 빠짐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로서의 카드 커넥터의 트레이를 빼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드 커넥터로부터 금속쉘을 제거한 상태의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트레이가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의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트레이가 압출된 상태를 나타낸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의 트레이가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수용 공간에 수용된 트레이가 압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5의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로서의 카드 커넥터의 트레이를 빼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드 커넥터로부터 금속쉘을 제거한 상태의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여기서는 금속쉘의 유무에 관계없이 카드 커넥터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3은 트레이가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의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더욱이 도 4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트레이가 압출된 상태를 나타낸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 3, 도 4에서 금속쉘(20)은 제거되어 있다. 또한 이들 도 3, 도 4에서는 하우징 조립체(10)와 트레이(30)의 위치관계를 알 수 있도록 쌍방이 겹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카드 커넥터(1A)에는 하우징 조립체(10:도 2참조)와, 금속쉘(20:도 1참조)과, 트레이(30)가 구비되어 있다. 트레이(30)에는 중앙에 큰 개구(31)가 형성되고, 그 개구의 둘레에 지지대(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30)에는 SIM카드(미도시)가 상기 SIM카드 저면의 주위 둘레를 지지대(32)에 올리고, 상기 SIM카드 저면의 중앙 넓은 영역을 개구(31)에서 하방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지지된다.
하우징 조립체(10)와 금속쉘(20)과의 사이에는 트레이(30)가 삽입되는 삽입구(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해당 삽입구(1a)의 안쪽에는 트레이(30)에 재치된 상태의 SIM카드를 받아들이는 수용 공간(1b;예를 들면 도 2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30)는 하우징 조립체(10)에 대해 화살표A로 나타내는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트레이(30) 단일체이거나 혹은 트레이(30)와 상기 트레이(30)에 재치되는 SIM카드를 합친 것이며, 본 고안에서 말하는 삽입체의 일예에 상당한다.
또한 트레이(30)에는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측면에 록킹 요부(3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 조립체(10)에는 후크 스프링(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후크 스프링(12)에는 록킹부(121)가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30)가 수용 공간(1b)에 수용되면 후크 스프링(12)의 록킹부(121)가 트레이(30)의 록킹 요부(33)에 파고들어 트레이(30)를 록킹하고, 이 록킹에 의해 트레이(30)의 예기치 못한 빠짐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하우징 조립체(10)는 수지제의 하우징(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1)에 대해 각종 부품이 일체 성형되거나 혹은 압입 등에 의해 조립되어 하우징 조립체(10)를 구성하고 있다.
후크 스프링(12)은 트레이(30)의 록킹 요부(33)에 파고드는 록킹부(121)에서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그 내측에 압입부(122)를 갖는다. 한편 하우징(11)에는 돌기부(1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부(111)에는 후크 스프링(12)의 압입부(122)가 압입되는 압입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 스프링(12)은 상기 압입부(122)가 하우징(11)의 돌기부(111)의 압입홈(111a)에 압입됨으로써, 하우징(11)에 조립되어 하우징 조립체(10)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 조립체(10)에는 수지제의 하우징(11)과 일체로 형성된 금속제의 복수의 콘택트(13)가 구비되어 있다. 각 콘택트(13)는 회로 기판(미도시)의 표면에 납땜 접속되는 기판접속부(131)를 갖는다. 트레이(30)에 재치된 SIM카드의 하면에는 전기적인 접속을 담당하는 패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콘택트(13)는 트레이(30)에 재치되어 수용 공간(1b)에 수용된 SIM카드의 하면의 패드에 접촉하고, SIM카드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조립체(10)에는 슬라이더(14)와 이젝트 레버(15)가 더욱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더(14)는 후크 스프링(12)이 배치된 측과 같은 측에 배치되어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부재이며, 하우징(11)에 대해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해당 하우징(11)에 지지되어 있다. 트레이(30)에는 슬라이더(14)를 밀어넣기 위한 외부 핀(40;도 4, 도 5 참조)이 삽입되는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우징(11)에도 해당 핀(40)을 받아들이는 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4)에는 그 내측에 삽입 방향 앞측에 슬라이딩한 때에 하우징(11)의 돌기부(111)가 감입하고, 해당 돌기부(111)를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 양측에서 협지하는 협지부(141)가 설치되어 있다(도 3참조). 상기 협지부(141)는 돌기부(111)를 폭 방향 양측에서 협지함으로써, 후크 스프링(12)이 탄성 변형한 때의 돌기부(111)의 휨을 억제하고, 압입홈(111a)에 압입되어 있는 후크 스프링(12)의 압입부(122)의 위치를 소망하는 위치에 강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후크 스프링(12)의 압입부(122)가 강고하게 고정됨으로써 탄성 변형 시의 해당 압입부(122)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후크 스프링(12)의 록킹부(121)가 트레이(30)의 록킹 요부(33)에 파고들어, 트레이(30)를 록킹한 상태에서의 록킹 능력이 소망하는 능력으로 유지되어, 충격 등에 따른 트레이(30)의 예기치 못한 이동이나 빠짐, 탈락 등이 방지된다.
또한 이젝트 레버(15)는 수용 공간(1b)의 내측에 배치되어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 부재이며, 그 가운데가 하우징(11)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회동축(1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젝트 레버(15)는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한 슬라이더(14)에 제1단(152)이 밀려 시계 반대 방향(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하고, 트레이(30)를 제2단(153)에서 밀어내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빼내어져 있는 상태의 트레이(30)를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삽입구(1a)에서부터 삽입하고, 수용 공간(1b)에 수용시킨다. 그러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트 레버(15)의 제2단(153)이 트레이(30)로 밀려 시계 방향(화살표C 방향)으로 회동하고, 슬라이더(14)를 삽입 방향 앞측(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14)의 움직임에 따라 후크 스프링(12)의 록킹부(121)가 트레이(30)의 록킹 요부(33)에 파고들어 트레이(30)의 예기치 못한 빠짐을 방지한다.
또한 이와 함께 슬라이더(14)의 협지부(141)가 돌기부(111)를 협지하고, 이로 인해 후크 스프링(12)의 압입부(122)가 돌기부(111)만으로 고정되는 것보다 더욱 강고하게 고정된다. 이 때문에 후크 스프링(121)이 소망하는 강도로 작용하여 트레이(30)의 더 한층 강고한 빠짐 방지가 도모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30)의 관통공(34)에서부터 핀(40)을 꼽고 핀(40)으로 슬라이더(14)를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해당 슬라이더(14)에 의해 이젝트 레버(15)의 제1단(152)이 밀린다. 이에 따라 이젝트 레버(15)가 시계 반대 방향(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단(153)에서 트레이를 화살표 B방향으로 민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더(14)의 협지부(141)가 돌기부(111)를 협지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트레이(30)가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하고, 후크 스프링(12)의 록킹부(121)가 트레이(30)의 록킹 요부(33)에서 떨어지고, 트레이(30)가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까지 압출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압출된 후에는 손톱 등을 트레이(30)에 걸어 트레이(30)가 당겨져 빼내어진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의 설명을 종료하고, 이어서 제2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의 설명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와의 공통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의 트레이가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수용 공간에 수용된 트레이가 압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5의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5, 도 6은 제1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에서의 각각 도 3,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 5, 도 6에 있어서 상술한 제1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의 각 요소에 대응하는 요소에는 도 1 ~ 도 4에 있어서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있다.
도 5, 도 6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1B)의 트레이(30)에는 제1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1A)에도 설치되어 있는 록킹 요부(33) 외에, 상기 록킹 요부(33)보다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 내측에 제2록킹 요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슬라이더(14)에는 협지부(141)에서 연장된 끄트머리에 제2록킹부(1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록킹부(142)에는 수용 공간(1b)에 수용된 트레이(30)의 제2록킹 요부(35)에 파고들어 트레이(30)를 수용 공간(1b)에 수용된 상태로 록킹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상기 제2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1B)의 경우, 수용 공간(1b)에 수용된 트레이(30)는 록킹 요부(33)에 후크 스프링(12)의 록킹부(121)가 파고들어 록킹됨과 동시에, 제2록킹 요부(35)에 슬라이더(14)의 제2록킹부(142)가 파고들어 록킹된다.
따라서 상기 제2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1B)의 경우, 트레이(30)가 더욱 강고하게 록킹되어 트레이(30)의 예기치못한 빠짐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상기 제2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1B)의 경우도 트레이(30)의 관통공(34)에서부터 핀(40)이 삽입되고, 슬라이더(14)가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 내측으로 밀려 이젝트 레버(15)가 시계 반대 방향(화살표D 방향)으로 회동하여 트레이(30)를 민다. 그러면 록킹 요부(33) 및 록킹 요부(34)로부터 록킹부(121) 및 제2록킹부(142)가 빠져 록킹이 해제되고, 트레이(30)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압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1A, 1B)에서 SIM카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이들 카드 커넥터(1A, 1B)에는 SIM카드를 올린 상태의 트레이(30)가 삽입된다. 다만, 본 고안은 SIM카드 이외의 메모리 카드를 트레이에 올려 삽입하는 카드 커넥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들 제1, 제2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1A, 1B)는 SIM카드를 트레이(30)에 올려 삽입하는 타입의 카드 커넥터이지만, 본 고안은 메모리 카드 등의 카드를 트레이없이 삽입하는 타입의 카드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그 경우는 그 카드 자체에 록킹 요부가 설치되거나 혹은 제2록킹 요부가 더욱 설치될 필요가 있다.
1A, 1B 카드 커넥터
1a 삽입구
1b 수용 공간
10 하우징 조립체
11 하우징
12 후크 스프링
13 콘택트
14 슬라이더
15 이젝트 레버
20 금속쉘
30 트레이
31 개구
32 지지대
33 록킹 요부
34 관통공
35 제2록킹 요부
40 핀
111 돌기부
111a 압입홈
112 개구
121 록킹부
122 압입부
141 협지부
142 제2록킹부
151 회동축
152 제1단
153 제2단

Claims (3)

  1.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 상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폭방향 측면에 록킹 요부가 형성된 삽입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삽입체의 상기 록킹 요부에 파고들어 상기 삽입체를 록킹하는 록킹부를 갖고,
    상기 록킹부에서 연장되어 내측에 압입부를 갖는 후크 스프링;
    상기 후크 스프링의 상기 압입부를 받는 압입홈을 갖는 돌기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삽입체에 대한 상기 폭방향에 대해 상기 후크 스프링이 배치된 측과 같은 측에 상기 삽입 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배치된 슬라이더; 및,
    상기 수용 공간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도중에 회동축을 갖고, 삽입 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한 슬라이더에 제1단이 밀려 회동하여 상기 삽입체를 제2단에서 압출하는 이젝트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삽입된 상기 삽입체로 상기 제2단이 밀려 회동한 상기 이젝트 레버의 상기 제1단에서 밀려 상기 삽입 방향 앞측으로 슬라이딩한 때에, 상기 돌기부가 감입하고, 상기 돌기부를 상기 폭방향 양측에서 협지하여 상기 돌기부의 변위를 억제하는 협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가 상기 록킹 요부가 형성된 측면과 같은 측면이며 상기 록킹 요부보다 상기 삽입 방향 내측에 제2록킹 요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협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삽입체의 상기 제2록킹 요부에 파고들어 상기 삽입체를 록킹하는 제2록킹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카드가 탑재되어 상기 카드와 함께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카드 트레이를 갖고,
    상기 카드 트레이에 상기 록킹 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KR2020140009298U 2013-12-17 2014-12-16 카드 커넥터 KR20150002487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07141U JP3189195U (ja) 2013-12-17 カードコネクタ
JPJP-U-2013-007141 2013-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487U true KR20150002487U (ko) 2015-06-25

Family

ID=5351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298U KR20150002487U (ko) 2013-12-17 2014-12-16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48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0863B2 (en) DIMM socket positive lock extractor
US7220138B2 (en) Card connector
US5803761A (en) Edge connector
US9270042B2 (en) Card connector
US9640884B2 (en) Low profile circuit connector
US20100167592A1 (en) Connector
KR101204164B1 (ko) 커넥터
US8465314B2 (en) Card edge connector
JP2014096249A (ja) コネクタ
KR101745807B1 (ko)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드 커넥터
US20130065411A1 (en) Card Connector
EP3309906B1 (en) Card connector
US8303322B1 (en) Card connector anti-misinserting a micro SD card
US7070429B2 (en) Card connector that can prevent both leaping-out and ejection failure of a card
JP6587595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9209564B2 (en) Card connector
US7351079B2 (en) Card connector
JP2007134237A (ja) コネクタ
KR20150002487U (ko) 카드 커넥터
KR20150002486U (ko) 카드 커넥터
US9594931B2 (en) Card connector
JP3189195U (ja) カードコネクタ
US7651352B1 (en) Card connector
US7320612B2 (en) Card connector
JP6195797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