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452A - 질량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 Google Patents

질량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452A
KR20150002452A KR1020140061166A KR20140061166A KR20150002452A KR 20150002452 A KR20150002452 A KR 20150002452A KR 1020140061166 A KR1020140061166 A KR 1020140061166A KR 20140061166 A KR20140061166 A KR 20140061166A KR 20150002452 A KR20150002452 A KR 2015000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nergy
triboelectric
generating element
substr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731B1 (ko
Inventor
박영준
허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540,622 priority Critical patent/US9837933B2/en
Publication of KR2015000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Landscapes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질량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가 개시된다.개시된 에너지 하베스터는, 질량체(mass)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질량체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질량체의 움직임에 의해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질량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Energy harvester using mass and mobile device having the energy harvester}
질량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가 제공된다.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는데, 이와 더불어 스마트폰과 주변 기기와의 상호 제어 방법에 대한 시도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시계를 결합한 스마트 시계(smart watch)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시제품도 상용화되고 있다. 스마트 시계는 손목 시계로서, 스마트폰의 전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이용 등과 같은 기능을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시계는 일반적인 손목 시계에 비하여 전력 소비가 늘어나게 되므로, 스마트 시계에 상시 전력을 공급해주기 위해서는 수시로 충전을 하거나 또는 대용량의 배터리를 장착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는 질량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질량체(mass);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질량체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질량체의 움직임에 의해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은 밴드형 구조, 평판형 구조 또는 코어-셸(core-sh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압전 발전소자(piezoelectric generator)와 마찰전기 발전소자(triboelectric gener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압전 나노와이어들은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 사이에 마련되는 유전성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압전 박막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1 전극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제1 마찰전기층과, 상기 제2 전극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하는 제2 마찰전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의 표면에는 복수의 제1 돌기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의 표면에는 제2 돌기부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2 전극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2 전극 상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2 전극 상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spacer)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튜브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의 내면에 마련되는 마찰전기층;
상기 기판의 외측 또는 내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 및
상기 마찰전기층의 내측의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체;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찰전기층과 상기 질량체 중 어느 하나는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 본체; 및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의 움직임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의 움직임에 의해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가 제공된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 본체; 및
적어도 하나가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의 움직임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에너지 하베스터들;을 구비하고,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의 움직임에 의해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가 제공된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 본체;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와 상기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는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와 상기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밴드형 구조 또는 평판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는, 질량체(mass);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질량체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질량체의 움직임에 의해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는, 튜브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의 내면에 마련되는 마찰전기층; 상기 기판의 외측 또는 내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 및 상기 마찰전기층의 내측의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캐비티가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서로 나란하게 연결된 상기 복수의 에너지 하베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외부 환경(예를 들면, 인체의 움직임, 기계적인 진동, 바람, 물의 흐름, 전자기적인 진동 등)에 의해 질량체 및/또는 모바일 기기 본체가 움직이게 되면, 에너지 하베스터는 에너지 하베스터에 인가되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질량체인 모바일 기기 본체에 공급되거나 또는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인체에 부착되는 기기, 예를 들면 스마트 시계, MP3 플레이어, 블루투스 기기, 휴대폰, 라디오, 바이오 센서, 위치 센서, 체온 센서 또는 혈압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를 손목에 찬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의 B-B'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에너지 하베스터들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22은 도 21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에서 제1 기판의 상면(또는 제2 기판의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에너지 하베스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의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7a는 도 26의 ?-Ι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27b는 도 26의 Ⅱ-Ⅱ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27c는 도 26의 Ⅲ-Ⅲ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28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물질층이 기판이나 다른 층 상에 존재한다고 설명될 때, 그 물질층은 기판이나 다른 층에 직접 접하면서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다른 제3의 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아래의 실시예에서 각 층을 이루는 물질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외에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는 질량체(mass, M)와 상기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하베스터(100)를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는 예를 들면, 인체에 부착되는 기기가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질량체(M)는 모바일 기기 본체를 의미한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질량체(M)는 모바일 기기 본체 이외의 다른 물체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질량체(M)는 에너지 하베스터(100)와 연결되어 그 움직임에 의해 에너지 하베스터(100)에 기계적인 힘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가해진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평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112,1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량체(M)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는 질량체(M)가 제2 기판(120)과 연결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질량체(M)는 제1 기판(110)과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210,220)은 평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기판(210,220)은 예를 들면, 웨이퍼 또는 글라스 등과 같은 단단한 재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직물(textile), 섬유(fiber), 또는 금속 호일(metal foil)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은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10)의 상면에는 제1 전극(1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판(120)의 하면에는 제2 전극(12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은 예를 들면, 그라핀(graphene), CNT(Carbon NanoTube), ITO(Indium Tin Oxide), 금속 또는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금속은 예를 들면 Ag, Al, Cu 또는 Au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적인 힘에 의해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두 개의 층이 서로 마찰되거나 또는 두 개의 층 사이의 간격이 변화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마찰전기 발전소자(triboelectric generator)가 될 수 있다. 상기 마찰전기 발전소자는 제1 전극(112) 상에 마련되는 제1 마찰전기층(113)과 제2 전극(122) 상에 마련되는 제2 마찰전기층(1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마찰전기층(113)은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은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찰전기층(113)은 양(+)으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로서, 예를 들면 Polyformaldehyde, Etylcellulose, Polyamide, wool, silk, Al, paper, cotton, steel, wood, Ni, Cu, Ag 또는 PV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은 음(-)으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로서, silicone rubber, Teflon, PDMS(polydimethylsiloxane), Kapton,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또는 PV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은 강유전체(ferroelectrics) 또는 일렉트릿(electrets) 등과 같은 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일렉트릿은 예를 들면, flouropolymers, PVF(polyvinylfluorid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CTFE(polychlorotri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polymer),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TFE(polyethylenetetrafluoro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quartz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마찰전기층(113)이 음(-)으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이 양(+)으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은 서로 상대적 대전(charging) 정도의 차이가 큰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113)과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은 외부의 압력에 의해 직접 접촉에 의해 대전된 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은 질량체(M)의 움직임에 따른 기계적인 힘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거나 또는 서로 마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에 전하 밀도(charge density)의 차이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대략 0~10m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1mm 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마찰전기층(113)은 제1 전극(112)의 상면에 마련된 복수의 제1 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은 제2 전극(122)의 하면에 마련된 복수의 제2 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와이어들은 상기 제1 와이어들과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들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와이어들은 예를 들면 나노와이어 형상 또는 마이크로 와이어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들은 그 직경이 대략 1nm ~ 1mm 정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와이어들은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한 패터닝(patterning), 플라즈마 에칭, 3D 프린팅, 박막 전사(thin film transfer), 코팅, 나노 임프린팅(nano-imprinting), 또는 직접 성장에 의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이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미세한 힘에 의해서도 에너지 하베스터(100)가 반응할 수 있고 또한 마찰이 발생되는 유전체 계면의 면적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70)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페이서(170)는 예를 들면, 스프링, 러버(rubber) 등과 같은 탄성 물질이나 또는 자석 등과 같은 자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기판(110,12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170)를 배치시키게 되면 질량체(M)의 움직임에 따른 기계적인 힘이 보다 효과적으로 에너지 하베스터(100)에 전달되어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서, 질량체(M)인 모바일 기기 본체가 좌우 및/또는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에너지 하베스터(100)에는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한 기계적인 힘이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계적인 힘에 의해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은 그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거나 또는 서로 마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에 전하 밀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이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질량체(M)가 다양한 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는 경우에도 에너지 하베스터(100)가 반응할 수 있고 마찰이 발생하는 유전체 계면의 면적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질량체(M)인 모바일 기기 본체에 공급되거나 또는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에너지 하베스터(100)가 하나의 마찰전기 발전소자를 포함하는 단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며,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복수개의 마찰전기 발전소자들이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100)에 적용될 수 있는 외부 환경에는 예를 들면, 사람의 움직임, 기계적인 진동, 바람, 회전체의 진동, 물의 흐름 또는 전자기적인 진동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100a)의 단면도이다. 도 3은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100)의 변형예로서, 에너지 하베스터(100a)의 단면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도면들에서도 같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100a)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112,1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량체(M)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찰전기 발전소자는 제1 전극(112) 상에 마련되는 제1 마찰전기층(113')과 제2 전극(122) 상에 마련되는 제2 마찰전기층(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113')은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은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마찰전기층(113')과 제2 마찰전기층(123')은 외부의 압력에 의해 직접 접촉에 의해 대전된 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은 질량체(M)의 움직임에 따른 기계적인 힘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거나 또는 서로 마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에 전하 밀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대략 0~10m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1mm 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a)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도 1의 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70)는 예를 들면, 스프링, 러버 등과 같은 탄성 물질이나 또는 자석 등과 같은 자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a)는 하나의 마찰전기 발전소자를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층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복수개의 마찰전기 발전소자들이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100b)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100b)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112,1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량체(M)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찰전기 발전소자는 제1 전극(112) 상에 마련되는 제1 마찰전기층(113")과 제2 전극(122) 상에 마련되는 제2 마찰전기층(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113")은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은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은 질량체(M)의 움직임에 따른 기계적인 힘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거나 또는 서로 마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에 전하 밀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대략 0~10m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1mm 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의 표면은 거칠게 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마찰전기층(113")의 표면에는 제1 돌기부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의 표면에는 제2 돌기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들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으며, 서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돌기부들은 예를 들면 나노 피라미드 형상 등과 같은 나노 표면 구조 또는 마이크로 피라미드 형상 등과 같은 마이크로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들은 대략 1nm ~ 1mm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돌기부들은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한 패터닝(patterning), 플라즈마 에칭, 3D 프린팅, 박막 전사(thin film transfer), 코팅, 나노 임프린팅(nano-imprinting), 또는 직접 성장에 의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123")의 표면에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돌기부들이 형성된 경우에는 질량체(M)가 다양한 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는 경우에도 에너지 하베스터(100b)가 반응할 수 있고 마찰이 발생하는 유전체 계면의 면적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b)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도 1의 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70)는 예를 들면, 스프링, 러버 등과 같은 탄성 물질이나 또는 자석 등과 같은 자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b)는 하나의 마찰전기 발전소자를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층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복수개의 마찰전기 발전소자들이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0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100f)의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100f)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112,1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량체(M)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찰전기 발전소자는 제1 전극(112) 상에 마련되는 제1 마찰전기층(113a)과 제2 전극(122) 상에 마련되는 제2 마찰전기층(123a)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113a)은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a)은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a,123a)은 질량체(M)의 움직임에 따른 기계적인 힘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거나 또는 서로 마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a,123a)에 전하 밀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a,123a)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대략 0~10m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1mm 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a,123a)은 라인 어레이(line array)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마찰전기층(113a)은 제1 전극(112)의 상면에 제1 라인들이 서로 나란한 형태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a)은 제2 전극(122)의 하면에 제2 라인들이 서로 나란한 형태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에너지 하베스터(100f)에서는 제1 및 제2 라인들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질량체(M)가 움직이게 되면,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도 21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2은 도 21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에서 제1 기판의 상면(또는 제2 기판의 하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100g)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112,1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량체(M)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찰전기 발전소자는 제1 전극(112) 상에 마련되는 제1 마찰전기층(113b)과 제2 전극(122) 상에 마련되는 제2 마찰전기층(123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113b)은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b)은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b,123b)은 질량체(M)의 움직임에 따른 기계적인 힘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거나 또는 서로 마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b,123b)에 전하 밀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b,123b)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대략 0~10m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1mm 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113b,123b)은 라인 어레이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마찰전기층(113b)은 제1 전극(112)의 상면에 제1 라인들이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b)은 제2 전극(122)의 하면에 제2 라인들이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에너지 하베스터(100g)에서는 제1 및 제2 라인들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질량체(M)가 회전하게 되면,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100c)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100c)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112,1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량체(M)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압전 발전소자(piezoeletric generator)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전 발전소자는 복수의 압전 나노와이어들(130)을 포함한다.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130)은 제1 전극(112) 상에 수직 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 전극(112)의 상면에는 압전 나노와이어들(135)을 균일하게 성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높은 절연 상수를 가지는 절연층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130)은 예를 들면, ZnO, SnO, PZT, ZnSnO3,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또는 P(VDF-TrFE)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c)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도 1의 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70)는 예를 들면, 스프링, 러버 등과 같은 탄성 물질이나 또는 자석 등과 같은 자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서, 질량체(M)인 모바일 기기 본체가 좌우 및/또는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에너지 하베스터(100c)에는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한 기계적인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기계적인 힘은 압전 나노와이어들(130)을 변형시키게 되고, 이렇게 변형된 압전 나노와이어들(130)의 양단에는 압전 포텐셜(piezoelectric potential)이 형성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질량체(M)인 모바일 기기 본체에 공급되거나 또는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에너지 하베스터(100c)가 하나의 압전 발전소자를 포함하는 단층 구조가 설명되었으나,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c)는 복수개의 압전 발전소자가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100d)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100d)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112,1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량체(M)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압전 발전소자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전 발전소자는 압전 박막층(140)을 포함한다. 상기 압전 박막층(140)은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인가되는 기계적인 힘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압전 박막층(140)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압전 포텐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전 박막층(140)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압전 박막층(140)은 ZnO, ZnSnO3, SnO, BaTiO3, NaNbO3, PZT, PVDF 또는 P(VDF-TrFE)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d)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도 1의 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70)는 예를 들면, 스프링, 러버 등과 같은 탄성 물질이나 또는 자석 등과 같은 자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d)는 하나의 압전 발전소자를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층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복수개의 압전 발전소자들이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100e)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100e)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112,1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량체(M)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압전 발전소자와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복합된 하이브리드 발전소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발전소자는 제1 전극(112)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압전 나노와이어들(150)과, 상기 제2 전극(122) 상에 마련되는 유전성 필름(160)을 포함한다.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150)은 제1 전극(112) 상에 수직 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 전극(112)의 상면에는 압전 나노와이어들(150)을 균일하게 성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높은 절연 상수를 가지는 절연층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150)은 변형에 의해 그 양단에 압전 포텐셜을 발생시키는 물질, 예를 들면 ZnO, SnO, PZT, ZnSnO3, PVDF 또는 P(VDF-TrFE)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유전성 필름(160)은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150)과 상기 제2 전극(122)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유전성 필름(160)은 제1 전극(112)과 제2 전극(122) 사이를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유전성 필름(160)과 상기 제1 전극(112)과의 간격 변화에 따른 전하 밀도의 차이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유전성 필름(160)은 강유전 물질, 압전 물질, 정전 물질, 초전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전성 필름은 연속막 구조, 다공성 구조, 나노 와이어 구조 또는 이들의 복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전성 필름은 예를 들면, 증착, 코팅, 성장 또는 부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유전성 필름(160)은 무기물 또는 폴리머 계열의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성 필름(160)은 silicone rubber, Teflon, PDMS, PVD, Kapton, Polypropylene, Polyethylene, PVC, Polyformaldehyde, Etylcellulose, Polyamide, wool, silk 또는 PV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e)는 제1 및 제2 기판(110,120)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도 1의 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70)는 예를 들면, 스프링, 러버 등과 같은 탄성 물질이나 또는 자석 등과 같은 자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한 기계적인 힘이 에너지 하베스터(100e)에 가해지게 되면, 압전 나노와이어들(150)이 변형됨에 따라 압전에 의한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유전성 필름(160)과 상기 제1 전극(112) 사이의 간격이 변화함에 따라 마찰전기에 의한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e)는 하나의 하이브리드 발전소자를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층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복수개의 하이브리드 발전소자들이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압전 발전소자, 마찰전기 발전소자 및 하이브리드 발전소자 중 적어도 두 개가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하베스터의 구현도 가능하다.
도 8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는 질량체(M)와 상기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하베스터(200)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예를 들면, 인체에 부착되는 기기가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스마트 시계(smart watch)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모바일 기기는 인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MP3 플레이어, 블루투스(bluetooth) 기기, 휴대폰, 라디오, 바이오 센서, 위치 센서, 체온 센서 또는 혈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질량체(M)는 모바일 기기 본체를 말하는 것으로, 에너지 하베스터(200)와 연결되어 그 움직임에 의해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200)에 기계적인 힘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에너지 하베스터(200)는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200)는 밴드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200)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210,2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210,2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미도시)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미도시)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210,2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량체(M)와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는 질량체(M)가 제2 기판(220)과 연결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질량체(M)는 제1 기판(210)과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210,220)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210,220)은 밴드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210,220)은 유연한(flexible) 재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 직물(textile), 금속 호일(metal foi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상기 제1 및 제2 기판(210,220)은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210,220) 상에는 제1 및 제2 전극(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유연한 도전성 재질,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전극(112,122)은 그라핀(graphene), CNT(Carbon NanoTube), ITO(Indium Tin Oxide), 금속 또는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에너지 발생소자는 전술한 압전 발전소자, 마찰전기 발생소자 또는 압전 발전소자와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복합된 하이브리드 발전소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발생소자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서, 예를 들어 인체의 움직임에 의해 질량체(M)인 모바일 기기 본체가 좌우 및/또는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에너지 하베스터(200)에는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한 기계적인 힘이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200)는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압전 및/또는 마찰전기에 의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사람의 움직임 외에 모바일 기기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외부 환경으로는 기계적인 진동, 바람, 회전체의 진동, 물의 흐름 또는 전자기적인 진동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를 손목에 찬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스마트 시계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질량체(M)는 시계 본체가 될 수 있으며, 밴드형의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손목에 채워지는 시계줄이 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손목을 움직이게 되면 질량체(M)가 움직이게 되고, 이러한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에너지 하베스터(100)에 기계적인 힘이 인가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에너지 하베스터(100)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시계 본체에 공급되거나 또는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기기에는 스마트 시계 외에도 인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MP3 플레이어, 블루투스(bluetooth) 기기, 휴대폰, 라디오, 바이오 센서, 위치 센서, 체온 센서 또는 혈압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500)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는 질량체(M)와 상기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하베스터(500)를 포함한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500)는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500)는 밴드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500)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510,5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510,5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미도시)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미도시)와,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5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510,5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량체(M)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510,520)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전술한 압전 발전소자, 마찰전기 발생소자 또는 압전 발전소자와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복합된 하이브리드 발전소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발생소자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페이서(570)는 제1 및 제2 기판(510,5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 기판(510,5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페이서(570)는 예를 들면, 스프링, 러버 등과 같은 탄성 물질 또는 자석 등과 같은 자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기판(510,520) 사이에 스페이서(570)를 배치시키게 되면, 질량체(M)의 움직임에 따른 기계적인 힘이 보다 효과적으로 에너지 하베스터(500)에 가해져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300)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300)의 B-B'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는 질량체(M)와 상기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하베스터(300)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예를 들면, 인체에 부착되는 기기가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질량체(M)는 모바일 기기 본체를 말하는 것으로, 에너지 하베스터(300)와 연결되어 그 움직임에 의해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300)에 기계적인 힘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에너지 하베스터(300)는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300)는 코어-셸(core-sh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300)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310,3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312,3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2,3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량체(M)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은 코어-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310)은 와이어 형상의 코어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기판(310)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튜브 형상의 코어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기판(320)은 제1 기판(310)을 둘러싸는 튜브 형상의 셸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320)은 유연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은 플라스틱, 직물(textile), 섬유(fiber), 금속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기판(310)의 외면 상에는 제1 전극(3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판(320)의 내면 상에는 제2 전극(322)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전극(312,322)은 유연한 도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2,322)은 그라핀, CNT, ITO(Indium Tin Oxide), 금속 또는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금속은 예를 들면 Ag, Al, Cu 또는 Au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2,3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찰전기 발전소자는 제1 전극(312) 상에 마련되는 제1 마찰전기층(313)과 제2 전극(322) 상에 마련되는 제2 마찰전기층(3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마찰전기층(313)은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마찰전기층(323)은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찰전기층(313)은 양(+)으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로서, 예를 들면 Polyformaldehyde, Etylcellulose, Polyamide, wool, silk, Al, paper, cotton, steel, wood, Ni, Cu, Ag 또는 PV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은 음(-)으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로서, silicone rubber, Teflon, PDMS(polydimethylsiloxane), Kapton,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또는 PV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마찰전기층(123)은 강유전체(ferroelectrics) 또는 일렉트릿(electrets) 등과 같은 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일렉트릿은 예를 들면, flouropolymers, PVF(polyvinylfluorid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CTFE(polychlorotri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polymer),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TFE(polyethylenetetrafluoro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quartz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마찰전기층(313)이 음(-)으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323)이 양(+)으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은 서로 상대적 대전(charging) 정도의 차이가 큰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313)과 상기 제2 마찰전기층(323)은 외부의 압력에 의해 직접 접촉에 의해 대전된 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은 질량체(M)의 움직임에 따른 기계적인 힘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거나 또는 서로 마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에 전하 밀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대략 0~10m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1mm 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마찰전기층(313)은 제1 전극(312)의 외면에 마련된 복수의 제1 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323)은 제2 전극(322)의 내면에 마련된 복수의 제2 와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와이어들은 상기 제1 와이어들과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들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와이어들은 예를 들면 나노와이어 형상 또는 마이크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들은 그 직경이 대략 1nm ~ 1mm 정도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와이어들은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한 패터닝(patterning), 플라즈마 에칭, 3D 프린팅, 박막 전사(thin film transfer), 코팅, 나노 임프린팅(nano-imprinting), 또는 직접 성장에 의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이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미세한 힘에 의해서도 에너지 하베스터(300)가 반응할 수 있고 또한 마찰이 발생되는 유전체 계면의 면적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제1 기판(310)과 제2 기판(32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스프링, 러버 등과 같은 탄성 물질이나 또는 자석 등과 같은 자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기판(310,32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배치시키게 되면 질량체(M)의 움직임에 따른 기계적인 힘이 보다 효과적으로 에너지 하베스터(300)에 전달되어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서, 질량체(M)인 모바일 기기 본체가 좌우 및/또는 상하로 움직이게 되면, 에너지 하베스터(300)에는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한 기계적인 힘이 가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계적인 힘에 의해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은 그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거나 또는 서로 마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에 전하 밀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이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질량체(M)가 다양한 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는 경우에도 에너지 하베스터(300)가 반응할 수 있고, 마찰이 발생하는 유전체 계면의 면적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질량체(M)인 모바일 기기 본체에 공급되거나 또는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에너지 하베스터(300)가 하나의 마찰전기 발전소자를 포함하는 단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으며,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300)는 복수개의 마찰전기 발전소자들이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4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300a)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300)의 변형예로서, 에너지 하베스터(300a)의 단면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도면들에서도 같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300a)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310,3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312,3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2,3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은 코어-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310)은 와이어 형상의 코어나 튜브 형상의 코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판(320)은 상기 제1 기판을 둘러싸는 튜브 형상의 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310)의 외면 상에는 제1 전극(3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판(320)의 내면 상에는 제2 전극(322)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기판(310,320)과, 제1 및 제2 전극(312,322)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2,3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찰전기 발전소자는 제1 전극(312) 상에 마련되는 제1 마찰전기층(313')과 제2 전극(322) 상에 마련되는 제2 마찰전기층(3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313')은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마찰전기층(323')은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마찰전기층(313')과 상기 제2 마찰전기층(323')은 외부의 압력에 의해 직접 접촉에 의해 대전된 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은 질량체의 움직임에 따른 기계적인 힘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거나 또는 서로 마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에 전하 밀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대략 0~10m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1mm 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300a)는 하나의 마찰전기 발전소자를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층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복수개의 마찰전기 발전소자들이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300b)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300b)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310,3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312,3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2,3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은 코어-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310)은 와이어 형상의 코어나 튜브 형상의 코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판(320)은 제1 기판(310)을 둘러싸는 튜브 형상의 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310)의 외면 상에는 제1 전극(3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판(320)의 내면 상에는 제2 전극(322)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기판(310,320)과, 제1 및 제2 전극(312,322)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2,3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찰전기 발전소자는 제1 전극(312) 상에 마련되는 제1 마찰전기층(313")과 제2 전극(322) 상에 마련되는 제2 마찰전기층(3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313")은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마찰전기층(323")은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은 질량체의 움직임에 따른 기계적인 힘에 의해 그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거나 또는 서로 마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에 전하 밀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대략 0~10m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1mm 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의 표면은 거칠게 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마찰전기층(313")의 표면에는 제1 돌기부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마찰전기층(323")의 표면에는 제2 돌기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들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어 있으며, 서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돌기부들은 예를 들면 나노 피라미드 형상 등과 같은 나노 표면 구조 또는 마이크로 피라미드 형상 등과 같은 마이크로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및 제2 돌기부들은 대략 1nm ~ 1mm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돌기부들은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에 의한 패터닝(patterning), 플라즈마 에칭, 3D 프린팅, 박막 전사(thin film transfer), 코팅, 나노 임프린팅(nano-imprinting), 또는 직접 성장에 의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마찰전기층(313",323")의 표면에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 돌기부들이 형성된 경우에는 질량체(M)가 다양한 방향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는 경우에도 에너지 하베스터(300b)가 반응할 수 있고 마찰이 발생하는 유전체 계면의 면적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300b)는 하나의 마찰전기 발전소자를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층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복수개의 마찰전기 발전소자들이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300c)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300c)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310,3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312,3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2,3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은 코어-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310)은 와이어 형상의 코어나 튜브 형상의 코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기판(320)은 제1 기판(310)을 둘러싸는 튜브 형상의 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310)의 외면 상에는 제1 전극(3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판(320)의 내면 상에는 제2 전극(322)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기판(310,320)과, 제1 및 제2 전극(312,322)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2,3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압전 발전소자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전 발전소자는 제1 및 제2 전극(312,322)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압전 나노와이어들(330)을 포함한다.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330)은 제1 전극(312)의 외면 상에 수직 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 전극(312)의 상면에는 압전 나노와이어들(330)을 균일하게 성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높은 절연 상수를 가지는 절연층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330)은 예를 들면, ZnO, SnO, PZT, ZnSnO3, PVDF 또는 P(VDF-TrFE)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질량체(M)인 모바일 기기 본체가 움직이게 되면, 에너지 하베스터(300)에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한 기계적인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기계적인 힘은 압전 나노와이어들(330)을 변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변형된 압전 나노와이어들(330)의 양단에는 압전 포텐셜이 형성됨으로써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질량체(M)인 모바일 기기 본체에 공급되거나 또는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300c)는 하나의 압전 발전소자를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층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복수개의 압전 발전소자가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300d)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300d)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310,3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312,3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2,3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은 코어-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310)은 와이어 형상의 코어나 또는 튜브 형상의 코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기판(320)은 제1 기판(310)을 둘러싸는 튜브 형상의 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310)의 외면 상에는 제1 전극(3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판(320)의 내면 상에는 제2 전극(322)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기판(310,320)과, 제1 및 제2 전극(312,322)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2,3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압전 발전소자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전 발전소자는 압전 박막층(340)을 포함한다. 상기 압전 박막층(340)은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적인 힘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압전 박막층(340)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압전 포텐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압전 박막층(340)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압전 박막층(340)은 ZnO, ZnSnO3, SnO, BaTiO3, NaNbO3, PZT, PVDF 또는 P(VDF-TrFE)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300d)는 하나의 압전 발전소자를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층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복수개의 압전 발전소자들이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300e)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300e)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310,3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312,3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2,3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은 코어-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310)은 와이어 형상의 코어나 또는 튜브 형상의 코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기판(320)은 제1 기판(310)을 둘러싸는 튜브 형상의 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판(310)의 외면 상에는 제1 전극(31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판(320)의 내면 상에는 제2 전극(322)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기판(310,320)과, 제1 및 제2 전극(312,322)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312,322) 사이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압전 발전소자와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복합된 하이브리드 발전소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발전소자는 제1 전극(312)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압전 나노와이어들(350)과, 상기 제2 전극(322) 상에 마련되는 유전성 필름(360)을 포함한다.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350)은 제1 전극(312) 상에 수직 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 전극(312)의 상면에는 압전 나노와이어들(350)을 균일하게 성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높은 절연 상수를 가지는 절연층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350)은 변형에 의해 그 양단에 압전 포텐셜을 발생시키는 물질, 예를 들면 ZnO, SnO, PZT, ZnSnO3, PVDF 또는 P(VDF-TrFE)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유전성 필름(160)은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350)과 상기 제2 전극(322)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유전성 필름(360)은 제1 전극(312)과 제2 전극(322) 사이를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유전성 필름(360)과 상기 제1 전극(312)과의 간격 변화에 따른 전하 밀도의 차이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유전성 필름(360)은 강유전 물질, 압전 물질, 정전 물질, 초전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전성 필름은 연속막 구조, 다공성 구조, 나노 와이어 구조 또는 이들의 복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전성 필름은 예를 들면, 증착, 코팅, 성장 또는 부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유전성 필름(360)은 무기물 또는 폴리머 계열의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전성 필름(360)은 silicone rubber, Teflon, PDMS, PVD, Kapton, Polypropylene, Polyethylene, PVC, Polyformaldehyde, Etylcellulose, Polyamide, wool, silk 또는 PV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1 및 제2 기판(310,3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한 기계적인 힘이 에너지 하베스터(300e)에 가해지게 되면, 압전 나노와이어들(350)이 변형됨에 따라 압전에 의한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유전성 필름(360)과 상기 제1 전극(312) 사이의 간격이 변화함에 따라 마찰전기에 의한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300e)는 하나의 하이브리드 발전소자를 포함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층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복수개의 하이브리드 발전소자들이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압전 발전소자, 마찰전기 발전소자 및 하이브리드 발전소자 중 적어도 두 개가 적층된 복층 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하베스터의 구현도 가능하다.
도 19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에너지 하베스터들(400)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는 질량체(M)와 상기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에너지 하베스터들(400) 포함한다. 상기 질량체(M)는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를 말하는 것으로, 에너지 하베스터들(4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그 움직임에 의해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들(400)에 기계적인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들(400) 각각은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들(400)은 서로 연결되어 밴드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들(400) 각각은 전술한 압전 발전소자, 마찰전기 발전소자 또는 압전 발전소자와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복합된 하이브리드 발전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하베스터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예를 들어 인체의 움직임에 의해 질량체(M)가 움직이게 되면, 상기 질량체(M)와 연결된 에너지 하베스터들(400) 및 그 주위의 에너지 하베스터들(400)에 기계적인 힘이 가해지고, 이러한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에너지 하베스터들(400) 각각은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들(400)이 서로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면 보다 많은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질량체(M)인 모바일 기기 본체에 공급되거나 또는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모바일 기기 본체(910)의 내부에 마련된 에너지 하베스터(8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는 모바일 기기 본체(910)와,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910)를 지지하는 지지대(920)와,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9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에너지 하베스터(800)를 포함한다. 도 23에는 상기 지지대(920)가 밴드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지지대(920)는 평판형 구조나 그 외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800)는 모바일 기기 본체(9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800)는 질량체(M)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기판(810,820)과, 상기 제1 및 제2 기판(810,820)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812,822)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812,822) 사이에 마련되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810,8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량체(M)와 연결되어 있다. 도 24에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810,820)이 평판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제1 및 제2 기판(810,820)은 밴드형 구조 또는 튜브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에너지 발생소자는 전술한 마찰전기 발전소자(도 2 내지 도 4, 도 13 내지 도 15, 도 20, 도 21 참조), 압전 발전소자(도 5, 도 6, 도 16, 도 17 참조), 또는 압전 발전소자와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복합된 하이브리드 발전 소자(도 7, 도 18 참조)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24에는 에너지 발생소자로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사용되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서, 외부 환경(예를 들면, 인체의 움직임, 기계적인 진동, 바람, 물의 흐름, 전자기적인 진동 등)에 의해 모바일 기기가 움직이게 되면, 에너지 하베스터(800)는 모바일 기기 본체(910) 및/또는 질량체(M)의 움직임에 의해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모바일 기기 본체에 공급되거나 또는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하베스터(800)가 모바일 기기 본체(9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경우가 설명되었다. 하지만,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800)는 지지대(920)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또는 모바일 기기 본체(910)와 지지대(92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에너지 하베스터(800)는 모바일 기기 본체(910)의 표면이나 그 내부, 또는 지지대(920)의 표면이나 내부에 그 마련될 수 있다.
도 2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70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700)의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7a는 도 26의 ?-Ι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고, 도 27b는 도 26의 Ⅱ-Ⅱ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며, 도 27c는 도 26의 Ⅲ-Ⅲ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c를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700)는 기판(710)과, 상기 기판(710)의 외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73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732)과, 상기 기판(710)의 내면에 마련되는 마찰전기층(720)과, 상기 마찰전기층(720)의 내측에 마련되는 질량체(M)를 포함한다. 기판(710)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캐비티(74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기판(710)은 원형의 튜브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기판(710)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원통형 기판(71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731)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732)이 교대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731,732)은 원통형 기판(710)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731,732)은 예를 들면, 그라핀(graphene), CNT(Carbon NanoTube), ITO(Indium Tin Oxide), 금속 또는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금속은 예를 들면 Ag, Al, Cu 또는 Au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원통형 기판(710)의 내부에는 에너지 발생소자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물질이 서로 마찰되거나 또는 두 물질 사이의 간격이 변화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마찰전기 발전소자가 될 수 있다. 상기 마찰전기 발전소자는 원통형 기판(710)의 내면에 마련되는 마찰전기층(710)과, 상기 마찰 전기층(710)의 내측에 마련되는 질량체(M)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질량체(M)는 원통형 기판(510)의 내측에 형성된 캐비티(740)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질량체(M)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캐비티(740)에 대응되도록 원기둥 형상, 원통 형상 또는 볼(ball) 형상 등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찰전기층(720)은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질량체(M)는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전기층(720)은 양(+)으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로서, 예를 들면 Polyformaldehyde, Etylcellulose, Polyamide, wool, silk, Al, paper, cotton, steel, wood, Ni, Cu, Ag 또는 PV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질량체는 음(-)으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로서, silicone rubber, Teflon, PDMS(polydimethylsiloxane), Kapton,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또는 PV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량체(M)는 강유전체(ferroelectrics) 또는 일렉트릿(electrets) 등과 같은 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일렉트릿은 예를 들면, flouropolymers, PVF(polyvinylfluorid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CTFE(polychlorotrifluoroethylene), PFA(perfluoroalkoxy polymer),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ETFE(polyethylenetetrafluoro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quartz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마찰전기층(720)이 음(-)으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질량체(M)가 양(+)으로 대전되기 쉬운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찰전기층(720)과 상기 질량체(M)는 서로 상대적 대전(charging) 정도의 차이가 큰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마찰전기층(720)과 상기 질량체(M)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면 대략 0~10mm 정도가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1mm 정도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에너지 하베스터(700)에서, 질량체(M)가 자유 낙하 또는반동 등에 의해 기판(710) 내부의 캐비티(740)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 질량체(M)와 마찰전기층(720)이 서로 마찰되거나 질량체(M)와 마찰전기층(720)의 간격이 변화하게 되며, 이 경우 마찰전기층(720) 및 질량체(M)에 전하 밀도(charge density)의 차이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제1 및 제2 전극(731,732) 사이에는 전기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전기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마찰전기층(720)의 표면 및 질량체(M)의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표면 처리에 의해 마이크로 표면 구조 또는 나노 표면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700)는 질량체(M)의 진동 횟수, 속도 및 변위 등을 제어하기 위해 예를 들면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731,732)은 기판(710)의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가 설명되었으나, 상기 제1 및 제2 전극(731,732)은 기판(7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기판(710)의 캐비티(740) 내부에는 2개 이상의 질량체(M)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8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터(600)의 사시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600)는 기판(610)이 사각통 형상을 가진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25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500)와 동일하다.
도 28을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600)는 기판(610)과, 상기 기판(610)의 외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63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632)과, 상기 기판(610)의 내면에 마련되는 마찰전기층(620)과, 상기 마찰전기층(620)의 내측에 마련되는 질량체(M)를 포함한다. 기판(610)은 사각통 형상(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납작한 사각통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기판(610)은 납작한 사각형의 튜브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기판(61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631)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632)이 교대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질량체(M)는 기판(610)의 내측에 형성된 캐비티 내부를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질량체(M)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캐비티에 대응되도록 사각기둥 형상 또는 사각통 형상 등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기판(610) 및 질량체(M)는 그 단면이 사각형 이외에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9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는 모바일 기기 본체(1010)와,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1010)를 지지하는 지지대(1020)와,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10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에너지 하베스터(1000)를 포함한다. 도 29에는 상기 지지대(1020)가 밴드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지지대(1020)는 평판형 구조나 그 외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0)는 모바일 기기 본체(10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에는 도 25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500) 또는 도 28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60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5 또는 도 28을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500,600)는 그 내부에 캐비티(540,640)가 형성된 튜브 형상의 기판(510,610)과, 상기 기판(510,610)의 외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531,63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532,632)과, 상기 기판(510,610)의 내면에 마련되는 마찰전기층(520,620)과, 상기 마찰전기층(520,620)의 내측에 마련되는 질량체(M)를 포함한다. 도 25 및 도 28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500,60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서, 외부 환경(예를 들면, 인체의 움직임, 기계적인 진동, 바람, 물의 흐름, 전자기적인 진동 등)에 의해 모바일 기기가 움직이게 되면, 에너지 하베스터(1000)는 질량체(M)가 기판(510,610)의 캐비티(540,640) 내부를 움직임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모바일 기기 본체에 공급되거나 또는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하베스터(1000)가 모바일 기기 본체(1010)의 내부에 마련되는 경우가 설명되었다. 하지만,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1000)는 지지대(1020)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또는 모바일 기기 본체(1010)와 지지대(102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에너지 하베스터(1000)는 모바일 기기 본체(1010)의 표면이나 그 내부, 또는 지지대(1020)의 표면이나 내부에 그 마련될 수 있다.
도 30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는 모바일 기기 본체(1110)와,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1110)를 지지하는 지지대(1120)를 포함한다. 도 30에는 상기 지지대(1120)가 밴드형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지지대(1120)는 평판형 구조나 그 외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는 복수의 에너지 하베스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들은 서로 나란하게 연결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들 각각에는 도 25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500) 또는 도 28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60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5 또는 도 28을 참조하면, 에너지 하베스터(500,600)는 기판(510,610)과, 상기 기판(510,610)의 외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531,63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532,632)과, 상기 기판(510,610)의 내면에 마련되는 마찰전기층(520,620)과, 상기 마찰전기층(520,620)의 내측에 마련되는 질량체(M)를 포함한다. 도 25 및 도 28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500,60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서, 외부 환경(예를 들면, 인체의 움직임, 기계적인 진동, 바람, 물의 흐름, 전자기적인 진동 등)에 의해 모바일 기기가 움직이게 되면, 에너지 하베스터(1000)들 각각은 질량체(M)가 기판(510,610)의 캐비티(540,640) 내부를 움직임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들은 전기에너지 발생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모바일 기기 본체에 공급되거나 또는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31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도 32는 도 3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는 모바일 기기 본체(1210)와,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1210)를 지지하는 지지대(1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는 에너지 하베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220)에 포함된 에너지 하베스터는 튜브 형상의 기판(1211)이 폐회로(closed circuit)를 구성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25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500) 또는 도 28에 도시된 에너지 하베스터(600)와 동일하다.
상기 지지대(1220)는 튜브 형상을 가지고 폐회로를 구성하는 기판(1211)과, 상기 기판(1211)의 내면에 마련되는 마찰전기층(1212)과, 상기 기판(1211)의 외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123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1232)과, 상기 마찰전기층(1212)의 내측에 마련된 질량체(M)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질량체(M)는 기판(1211)에 형성된 캐비티(1240) 내부를 움직일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서, 외부 환경(예를 들면, 인체의 움직임, 기계적인 진동, 바람, 물의 흐름, 전자기적인 진동 등)에 의해 모바일 기기가 움직이게 되면, 지지대(1220)에 포함된 에너지 하베스터는 질량체(M)가 기판(1211)의 캐비티(1240) 내부를 움직임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된 전기에너지는 모바일 기기 본체에 공급되거나 또는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기술적 내용을 설명하였으나,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200,300,400,500,600,700,800,1000,1100... 에너지 하베스터
110,210,310,510,810,... 제1 기판
112,212,312,631,731,812... 제1 전극
113,113,113“,113a,313,313,313”... 제1 마찰전기층
120,220,320,520,820... 제2 기판
122,222,322,632,732,822... 제2 전극
123,123a,323... 제2 마찰전기층
130,150,330,350... 압전 나노와이어
140,340... 압전 박막층 160,360... 유전성 필름
170,570... 스페이서 610,710… 기판
620,720… 마찰전기층 740,1240… 캐비티
910,1010,1110,1210… 모바일 기기 본체
920,1020,1120,1220… 지지대
M... 질량체

Claims (58)

  1. 질량체(mass);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질량체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질량체의 움직임에 의해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은 밴드형 구조, 평판형 구조 또는 코어-셸(core-shell) 구조를 가지는 에너지 하베스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은 플라스틱, 직물(textile), 섬유(fiber), 유리, 웨이퍼 또는 금속 호일(metal foil)을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그라핀(graphene), CNT(Carbon NanoTube), ITO(Indium Tin Oxide), 금속 또는 전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압전 발전소자(piezoelectric generator)와 마찰전기 발전소자(triboelectric gener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압전 나노와이어들은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은 ZnO, SnO, PZT, ZnSnO3,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또는 P(VDF-TrFE)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 사이에 마련되는 유전성 필름을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필름은 강유전(ferroelectric) 물질, 압전(piezoelectric) 물질, 정전 물질(electrostatic) 또는 초전(pyroelectric) 물질을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압전 박막층을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박막층은 ZnO, ZnSnO3, SnO, BaTiO3, NaNbO3, PZT,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또는 P(VDF-TrFE)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1 전극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제1 마찰전기층과, 상기 제2 전극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하는 제2 마찰전기층을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는 Polyformaldehyde, Etylcellulose, Polyamide, wool, silk, Al, paper, cotton, steel, wood, Ni, Cu, Ag 또는 PVA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전체는 silicone rubber, Teflon, PDMS(polydimethylsiloxane), Kapton, Polypropylene, Polyethylene, PVC, 강유전체 또는 일렉트릿(eletret)을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의 표면에는 복수의 제1 돌기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의 표면에는 제2 돌기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에너지 하베스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2 전극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2 전극 상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라인들을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라인들은 상기 질량체의 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에너지 하베스터.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2 전극 상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라인들을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과 상기 제2 마찰전기층 사이의 간격은 0 ~ 10mm 인 에너지 하베스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spacer)가 마련되는 에너지 하베스터.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는 모바일 기기 본체 및 별도의 물체(objec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22. 튜브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의 내면에 마련되는 마찰전기층;
    상기 기판의 외측 또는 내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 및
    상기 마찰전기층의 내측의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체;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원통 형상 또는 사각통 형상을 가지는 에너지 하베스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는 원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원통 형상 또는 볼(ball) 형상을 가지는 에너지 하베스터.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마련되는 에너지 하베스터.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전기층과 상기 질량체 중 어느 하나는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터.
  27. 모바일 기기 본체; 및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의 움직임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의 움직임에 의해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은 밴드형 구조, 평판형 구조 또는 코어-셸(core-shell) 구조를 가지는 모바일 기기.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압전 발전소자와 마찰전기 발전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압전 나노와이어들은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 사이에 마련되는 유전성 필름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압전 박막층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1 전극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제1 마찰전기층과, 상기 제2 전극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하는 제2 마찰전기층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의 표면에는 복수의 제1 돌기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의 표면에는 제2 돌기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모바일 기기.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2 전극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2 전극 상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라인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2 전극 상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라인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3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spacer)가 마련되는 모바일 기기.
  3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인체에 부착되는 기기로서, 스마트 시계(smart watch), MP3 플레이어, 블루투스 기기, 휴대폰, 라디오 또는 센서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40. 모바일 기기 본체; 및
    적어도 하나가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의 움직임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에너지 하베스터들;을 구비하고,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들 각각은,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의 움직임에 의해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압전 발전소자와 마찰전기 발전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42. 모바일 기기 본체;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와 상기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하베스터;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는 상기 모바일 기기 본체와 상기 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되는 모바일 기기.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밴드형 구조 또는 평판형 구조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4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는,
    질량체(mass);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질량체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상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질량체의 움직임에 의해 가해지는 기계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압전 발전소자(piezoelectric generator)와 마찰전기 발전소자(triboelectric gener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압전 나노와이어들은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압전 나노와이어들 사이에 마련되는 유전성 필름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49.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압전 박막층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50.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소자는 상기 제1 전극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제1 유전체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제1 마찰전기층과, 상기 제2 전극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유전체와 다른 제2 유전체를 포함하는 제2 마찰전기층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의 표면에는 복수의 제1 돌기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의 표면에는 제2 돌기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모바일 기기 .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2 전극 상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 와이어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53.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2 전극 상에 서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라인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54.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1 전극 상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찰전기층은 상기 제2 전극 상에 방사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라인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5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는,
    튜브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의 내면에 마련되는 마찰전기층;
    상기 기판의 외측 또는 내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 및
    상기 마찰전기층의 내측의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5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캐비티가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마련되는 모바일 기기.
  57.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서로 나란하게 연결된 상기 복수의 에너지 하베스터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하베스터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된 모바일 기기.
KR1020140061166A 2013-06-28 2014-05-21 질량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KR102302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40,622 US9837933B2 (en) 2013-06-28 2014-11-13 Energy harvester using mass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energy harve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942 2013-06-28
KR1020130075942 2013-06-28
US14/080,318 US9444031B2 (en) 2013-06-28 2013-11-14 Energy harvester using mass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energy harvester
US14/080,318 2013-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452A true KR20150002452A (ko) 2015-01-07
KR102302731B1 KR102302731B1 (ko) 2021-09-16

Family

ID=5211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166A KR102302731B1 (ko) 2013-06-28 2014-05-21 질량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44031B2 (ko)
KR (1) KR1023027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809A (ko) * 2014-06-11 2015-1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마찰 전기 나노 발전 소자 및 이를 이용한 발전 유닛
KR20170021647A (ko) * 2015-08-18 2017-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장치 및 발전장치
KR20190058187A (ko) 2017-11-21 2019-05-2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찰대전 전력생산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320596A1 (en) * 2020-01-21 2021-10-14 University Of Electronic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Self-powered automobile exhaust gas sens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30077024A (ko) *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연속적인 금속링을 이용한 마찰대전 나노발전기, 슬리브 타입 디바이스, 및 그 작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6607A (ko) * 2013-04-23 2014-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입력 모듈과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장치 및 이 스마트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29814B1 (ko) * 2014-01-09 2015-06-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발전소자
US9788641B2 (en) * 2014-02-12 2017-10-17 Lenovo (Singapore) Pte. Ltd. Activity powered band device
KR101988876B1 (ko) * 2014-07-15 2019-06-13 전자부품연구원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544325B1 (ko) * 2014-09-23 2015-08-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형상기억폴리머를 이용한 자가 회복 에너지 발전 소자
KR102391307B1 (ko) * 2015-02-11 2022-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너지 하베스터
AU2015200886A1 (en) * 2015-02-20 2016-09-08 Monash University Carbon-based surface plasmon source and applications thereof
US11966066B2 (en) 2017-01-25 2024-04-23 Face International Corporatio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compositions of materials for forming coatings and layered structures including elements for scattering and passing selectively tunable wavelengths of electromagnetic energy
US11945189B2 (en) 2015-04-14 2024-04-02 Fac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laminates, layers and coatings including elements for scattering and passing selective wavelengths of electromagnetic energy
US11554576B2 (en) 2017-01-26 2023-01-17 Face International Corporation Energy harvesting methods for providing autonomous electrical power to mobile devices
JP7030697B2 (ja) * 2015-12-24 2022-03-0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摩擦電気エネルギ発生機
US10056538B1 (en) 2016-04-09 2018-08-21 Fac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for fabrication, manufacture and production of energy harvesting components and devices
US10985677B2 (en) 2017-04-10 2021-04-20 Fac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s and devices powered by autonomous electrical power sources
US11980102B2 (en) 2016-04-09 2024-05-07 Fac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s and devices powered by autonomous electrical power sources
US9793317B1 (en) 2016-04-09 2017-10-17 Face International Corporation Devices and systems incorporating energy harvesting components/devices as autonomous energy sources and as energy supplementation, and methods for producing devices and systems incorporating energy harvesting components/devices
US11957922B2 (en) 2016-04-09 2024-04-16 Face International Corporation Structurally embedded and inhospitable environment systems having autonomous electrical power sources
US10109781B1 (en) 2017-04-10 2018-10-23 Fac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for fabrication, manufacture and production of an autonomous electrical power source
US9893261B1 (en) 2017-04-10 2018-02-13 Face International Corporation Structurally embedded and inhospitable environment systems and devices having autonomous electrical power sources
US9786718B1 (en) 2016-04-09 2017-10-10 Face International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components incorporating energy harvesting components/devices, and methods for fabrication, manufacture and production of integrated circuit components incorporating energy harvesting components/devices
US10079561B1 (en) 2016-04-09 2018-09-18 Face International Corporation Energy harvesting components and devices
CN105680717B (zh) * 2016-04-18 2017-06-20 苏州大学 一种叶片式复合风动能量收集器
CN105680723B (zh) * 2016-04-18 2017-06-16 苏州大学 一种复合式风能收集器
KR102581469B1 (ko) 2016-06-29 2023-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찰전기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US10622918B2 (en) * 2016-07-07 2020-04-1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ellulose composite-structured triboelectric generator and method
CN110383215A (zh) * 2017-01-06 2019-10-25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公司 具有触觉反馈的摩擦电传感器
US10804818B2 (en) * 2017-06-30 2020-10-1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riboelectric generator and network for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US11114955B2 (en) * 2017-11-17 2021-09-07 Clemson University Self powered wireless sensor
KR102214474B1 (ko) * 2018-07-30 2021-0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온성 탄성중합체를 이용한 정전 발전장치
CN109245596B (zh) * 2018-11-05 2019-11-15 浙江大学 基于内置u形撑的菱格状结构摩擦发电装置
US11696509B2 (en) 2018-11-26 2023-07-04 Nano And Advanced Materials Institute Limited Flexible electric generator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US11095234B2 (en) * 2018-11-26 2021-08-17 Purdue Research Foundation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GB201819309D0 (en) * 2018-11-27 2019-01-09 Univ Surrey Triboelectric generator
CN109606127A (zh) * 2018-12-20 2019-04-12 刘山平 一种新能源汽车
US12091313B2 (en) 2019-08-26 2024-09-17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Electrodynamically levitated actuator
WO2021081748A1 (zh) * 2019-10-29 2021-05-06 浙江大学 可用于海洋管桩侧阻和端阻实时测试的自驱动传感器及测试装置
CN111604097B (zh) 2020-06-02 2021-12-03 苏州大学 基于摩擦纳米发电机的生化液滴反应装置及反应方法
CN111641352B (zh) * 2020-06-23 2022-04-29 长江师范学院 一种基于压电-摩擦耦合效应的自供能纳米传感器
US20220255463A1 (en) * 2021-02-10 2022-08-11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Artificial air gap triboelectric device for applications in sensors, power generation and energy harvesting
KR102672155B1 (ko) * 2022-01-03 2024-06-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 하이브리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8902A1 (en) * 2006-06-06 2007-12-06 Rastegar Jahangir S Impact powered devices
US20090069045A1 (en) * 2007-09-12 2009-03-12 Ta-Peng Cheng Wrist-watch mobile phone
WO2010106598A1 (ja) * 2009-03-18 2010-09-23 富士通株式会社 圧電発電装置
KR20100111160A (ko) * 2009-04-06 201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에너지 발생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223617A1 (en) * 2011-03-03 201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energy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04249B5 (ko) 1975-05-07 1978-08-31 Centre Electron Horloger
US6911764B2 (en) 2000-02-09 2005-06-28 Sri International Energy efficient electroactive polymers and electroactive polymer devices
US6586095B2 (en) 2001-01-12 2003-07-01 Georgia Tech Research Corp. Semiconducting oxide nanostructures
US8003982B2 (en) 2005-12-20 2011-08-23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tacked mechanical nanogenerator comprising piezoelectric semiconducting nanostructures and Schottky conductive contacts
US8330154B2 (en) 2005-12-20 2012-12-1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Piezoelectric and semiconducting coupled nanogenerators
US8032472B2 (en) * 2007-04-04 2011-10-04 Tuen Solutions Limited Liability Company Intelligent agent for distributed services for mobile devices
US7982370B2 (en) 2007-09-12 2011-07-19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Flexible nanogenerators
US7705523B2 (en) * 2008-05-27 2010-04-27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Hybrid solar nanogenerator cells
CN101604930B (zh) * 2008-06-13 2012-05-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发电机
KR101007197B1 (ko) 2008-12-31 2011-01-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밴드부직형 초음파 압전센서를 이용한 초음파 생성장치
TW201031530A (en) 2009-02-27 2010-09-01 Walton Advanced Eng Inc Pen with USB storage device
KR101539670B1 (ko) 2009-10-13 2015-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JP2011192533A (ja) 2010-03-15 2011-09-29 Hitachi Cable Ltd 耐屈曲ケーブル
KR20110135293A (ko) 2010-06-10 2011-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p형 Zn 산화물 나노 와이어의 제조 방법 및 p형 Zn 산화물을 포함하는 전자 소자
KR101146439B1 (ko) 2010-06-18 2012-05-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체-환경간 에너지 수집 장치
KR101727252B1 (ko) 2010-12-17 2017-05-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KR101271158B1 (ko) * 2010-12-31 2013-06-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ZnO 나노선을 이용한 깃발형 하이브리드 솔라셀 제조 방법
KR101920730B1 (ko) 2011-08-08 2018-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코어-셸 구조의 ZnSnO3/ZnO 나노와이어, ZnSnO3/ZnO 나노와이어의 그 형성방법 및 ZnSnO3/ZnO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나노 발전소자와, ZnSnO3 나노와이어의 그 형성방법 및 ZnSnO3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나노 발전소자
CN104025345B (zh) * 2011-09-13 2017-05-03 佐治亚技术研究公司 自充电电源组
JP5938103B2 (ja) * 2011-10-28 2016-06-22 西安交通大学 ナノ圧電センサの配列に動作可能に結合された可撓性微細バンプ
KR101946013B1 (ko) 2011-12-23 201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에너지 발생 및 저장장치
US9116584B2 (en) * 2012-07-24 2015-08-25 Atmel Corporation Dielectric layer for touch sensor stack
KR101998339B1 (ko) 2012-11-16 2019-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산화물 반도체의 성장 결정면 제어방법 및 제어된 성장 결정면을 가지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8902A1 (en) * 2006-06-06 2007-12-06 Rastegar Jahangir S Impact powered devices
US20090069045A1 (en) * 2007-09-12 2009-03-12 Ta-Peng Cheng Wrist-watch mobile phone
WO2010106598A1 (ja) * 2009-03-18 2010-09-23 富士通株式会社 圧電発電装置
KR20100111160A (ko) * 2009-04-06 201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에너지 발생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223617A1 (en) * 2011-03-03 2012-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energy genera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809A (ko) * 2014-06-11 2015-12-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마찰 전기 나노 발전 소자 및 이를 이용한 발전 유닛
KR20170021647A (ko) * 2015-08-18 2017-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장치 및 발전장치
KR20190058187A (ko) 2017-11-21 2019-05-29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찰대전 전력생산 파우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320596A1 (en) * 2020-01-21 2021-10-14 University Of Electronic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Self-powered automobile exhaust gas sens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1750116B2 (en) * 2020-01-21 2023-09-05 University Of Electronic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Self-powered automobile exhaust gas sens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30077024A (ko) *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바른바이오 연속적인 금속링을 이용한 마찰대전 나노발전기, 슬리브 타입 디바이스, 및 그 작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731B1 (ko) 2021-09-16
US20150001993A1 (en) 2015-01-01
US9444031B2 (en) 201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2452A (ko) 질량체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US9837933B2 (en) Energy harvester using mass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energy harvester
Dudem et al. Enhanced performance of microarchitectured PTFE-bas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via simple thermal imprinting lithography for self-powered electronics
Lin et al. Triboelectric active sensor array for self-powered static and dynamic pressure detection and tactile imaging
Zhong et al. A flexible piezoelectret actuator/sensor patch for mechanical human–machine interfaces
Qin et al. Wearable and stretcha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on crumpled nanofibrous membranes
Pan et al. Triboelectric and piezoelectric nanogenerators for future soft robots and machines
Tian et al. Bean pod-inspired ultrasensitive and self-healing pressure sensor based on laser-induced graphene and polystyrene microsphere sandwiched structure
Wang et al. Polymer nanogenerator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large‐scale applications
Li et al. Small-sized, lightweight, and flexib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enhanced by PTFE/PDMS nanocomposite electret
KR101691552B1 (ko) 에너지 하베스터
Fan et al. Flexible nanogenerators for energy harvesting and self‐powered electronics
Wang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as new energy technology for self-powered systems and as active mechanical and chemical sensors
KR102391307B1 (ko) 에너지 하베스터
Hansen et al. Hybrid nanogenerator for concurrently harvesting biomechanical and biochemical energy
Wang et al. Multidimensional force sensors based on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for electronic skin
Rui et al. Super-durable and highly efficient electrostatic induced nanogenerator circulation network initially charged by a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harvesting environmental energy
Sharma et al. Flexible and stretchable oxide electronics
KR20150027415A (ko) 직물 기반의 에너지 제너레이터
Wu et al. Capsule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toward optional 3D integration for high output and efficient energy harvesting from broadband-amplitude vibrations
Kaur et 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for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Hou et al. Stretchable triboelectric textile composed of wavy conductive-cloth PET and patterned stretchable electrode for harvesting multivariant human motion energy
Kim et al. Core–shell and helical-structured cylindrical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wearable energy harvesting
Paria et al. Insight into cigarette wrapper and electroactive polymer based efficient TENG as biomechanical energy harvester for smart electronic applications
Han et al. High-performance dual-mode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on hierarchical auxetic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