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876B1 -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876B1
KR101988876B1 KR1020140089202A KR20140089202A KR101988876B1 KR 101988876 B1 KR101988876 B1 KR 101988876B1 KR 1020140089202 A KR1020140089202 A KR 1020140089202A KR 20140089202 A KR20140089202 A KR 20140089202A KR 101988876 B1 KR101988876 B1 KR 101988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nergy conversion
liquid
layer
convers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863A (ko
Inventor
권순형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89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876B1/ko
Priority to PCT/KR2015/005838 priority patent/WO2016010263A1/ko
Priority to EP15821895.8A priority patent/EP3171416A4/en
Publication of KR20160008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863A/ko
Priority to US15/406,577 priority patent/US1029115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6Influence generators
    • H02N1/08Influence generators with conductive charge carrier, i.e. capacitor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using fluid strea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를 에너지 전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을 덮는 에너지 전환층; 및 상기 제1 에너지 전환층상에 형성되고, 액체의 이동 또는 상태변화에 따라 액체와의 접촉상태가 변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구조 형태를 통해 집적화 특성이 우수한 전기에너지 발생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며, 수직전극 구조를 통해 디바이스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상부전극과 하부전극 개수에 따라 다양한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고효율의 에너지 전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Layered apparatus for energy converting using liquid}
본 발명은 액체를 에너지 전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의 흐름에 따른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체를 이용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들은 유전물질과 접하고 있는 액체금속의 접촉면적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시켜 유전물질 아래 위치하는 전극에 전기용량(capacitance)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종래의 유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방법 및 장치는 미국등록특허 7,898,096호에서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유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채널의 벽에 일정한 패턴으로 전극을 형성하고, 전극의 상부에는 유전물질층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채널의 내부에는 작은 물방울 형태의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주입하고, 이러한 물방울 형태의 전도성 액체에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인가하여 전도성 액체를 분극시킨다.
이 상태에서 채널과 연결되어 있는 소정의 부분(미도시)에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게 되면 분극된 물방울 형태의 전도성 액체는 채널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전극은 이동하는 다수의 전도성 액체 방울과 접촉하는 면적이 시간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화하게 되어, 그 결과 전기용량이 변화하여 전기 에너지가 생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방법 및 장치는 실용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좁고 가는 채널 내에서 방울형태의 액체금속이 이동하였다가 외부의 힘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가역가능한(reversible)움직임이 어려워 윤활층(lubricating layer)이 별도로 필요하다는 한계점이 있고, 채널 막힘현상이 쉽게 발생하여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유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방법 및 장치는 좁고 가는 채널 구조를 채용하고 있어, 대향하는 두 전극이 채널의 벽에 일정한 모양으로 패턴되어야 하며, 이러한 구조에 따라 장치구성이 복잡해지고,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모듈의 크기가 커지며, 대량생산이나 원가절감에도 한계가 많았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수은 또는 갈린스탄(galinstan)과 같은 액체금속을 사용하여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며, 이러한 전도성 액체를 분극시키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 인가가 필요한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유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방법 및 장치는 채널구조에서 가역가능한(reversible)한 움직임을 계속적으로 구현해야 하는 점과 섞이지 않는 상이한 두 종류의 액체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제어의 어려움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극에 접촉하는 액체와의 접촉면을 변화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에너지 전환층을 이용하여 전극이 적층되는 구조로 구현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고장이 적은 효율적인 에너지 전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을 덮는 에너지 전환층; 및 상기 제1 에너지 전환층상에 형성되고, 액체의 이동 또는 상태변화에 따라 액체와의 접촉상태가 변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 적층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는 상기 제2 전극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전극을 덮는 제2 에너지 전환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기판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정한 방향에 따라 복수로 나열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에너지 전환층 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일정한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에 따라 복수로 나열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에너지 전환층은 무기물층, 유기물층 또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혼합물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에너지 전환층 상에 상기 이온성 액체 또는 물의 형상이 복원될 수 있도록 소수성 물질층이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물질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는 절연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구조 형태를 통해 집적화 특성이 우수한 전기에너지 발생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며, 수직전극 구조를 통해 디바이스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상부전극과 하부전극 개수에 따라 다양한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고효율의 에너지 전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의 집적 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의 실험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이하, 에너지 전환 장치라 한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전환 장치는 기판(110), 제1 전극(120), 에너지 전환층(140), 제2 전극(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판(110)은 에너지 전환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부에 복수의 구성들이 형성되기 위한 기본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120), 에너지 전환층(140), 제2 전극(130) 등이 기판(110) 상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간접적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기판(110) 상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나, 기판(110) 상에 이미 형성된 다른 구성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에너지 전환층(140), 제2 전극(130) 등은 기판(110)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거나, 간접적으로 기판(110)상에 형성된 제1 전극(120)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기판(110) 상에 형성된 제1 전극(120) 상의 에너지 전환층(140) 상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판(110)의 전면과 후면을 이용하여 기판(110) 후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10)의 상면에 구성들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기판(110)을 기준으로 전후면 각각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1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110) 상에 형성된다. 기판(110) 상에 형성된다는 것은 기판(110)의 전면에 걸쳐 기판(110)을 모두 덮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과 같이 일부에 대해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 4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갖는 두개의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복수의 전극이 미리 결정된 간격이나 형상에 따라 기판(110) 상에 패터닝 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에너지 전환층(140)은 도 1과 같이 기판(110)상에 형성된 제1 전극(120) 상에 제1 전극(120)을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에너지 전환층(140)은 제1 전극(120)의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전극(120)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에너지 전환층(140)은 무기물층 및/또는 유기물층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에너지 전환층(140)의 형성은 증착, 스핀코팅, 스프레이 공정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패터닝 공정을 통해 하나이상의 분리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전환층(140)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4비닐페놀(poly(4-vinylpenol, PVP)) 또는 폴리이서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4-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Poly(4-methoxyphenylacrylate); PMPA), 폴리(페닐아크릴레이트) (Poly(phenylacrylate); PPA), 폴리(2,2,2-트리플로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Poly(2,2,2-trifluoroethyl methacrylate); PTFMA), 사이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CYEPL), 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PVC), 폴리(파라반사) 수지 (Poly (parabanic acid) resin; PPA), 폴리(t-부틸스티렌) (Poly(t-butylstyrene); PTBS), 폴리티에닐렌비닐렌 (Polythienylenevinylene; PTV),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PVA), 폴리(비닐 알코올) (Poly(vinyl alcohol); PVA), 폴리(R메틸스티렌) (Poly(Rmethylstyrene); PAMS), 폴리(비닐 알코올)-코-폴리(비닐 아세테이트)-코-폴리(이타콘산) (Poly(vinyl alcohol)-co-poly(vinyl acetate)-co-poly(itaconic acid); PVAIA), 폴리올레핀 (Polyolefin), 폴리아크릴레이트 (Polyacrylate), 파릴렌-C (Parylene-C), 폴리이미드 (Polyimide),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 (Octadecyltrichlorosilane; OTS), 폴리(트리아릴아민) (Poly(triarylamine); PTTA), 폴리-3-헥실티오펜 (Poly-3-hexylthiophene; P3HT), 가교 결합된 폴리-4-비닐페놀 (cross-linked Poly-4-vinylphenol; cross-linked PVP), 폴리(퍼플로로알케닐비닐 에테르) (Poly(perfluoroalkenylvinyl ether)), 나일론-6 (Nylon-6), n-옥타데실포스포닉 산 (n-Octadecylphosphonic acid; ODPA),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실리콘(silic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라텍스(latex), 초산셀룰로오스(cellulose acetate), PHEMA(poly(hydroxy ethyl methacrylate)),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PLA), PGA(폴리글리콜라이드, polyglycolide), 또는 PGLA (Polyglycolide-co-Lactide )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 유기물층(230); 및 산화실리콘(Si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알루미늄(Al2O3),탄탈(Ta2O5), 오산화 탄탈럼(Tantalum Pentoxide), 산화아연(Zinc oxide, ZnO), , 산화탄탈륨(Tantalum pentoxide, Ta2O5), 산화이트륨(Yttrium oxide, Y2O3), 산화세륨(Cerium oxide, CeO2),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TiO2), 티탄산바륨(Barium titanate, BaTiO3), 바륨 지르코네이트 티타네이트(Barium zirconate titanate, BZT), 이산화지르코늄(Zirconium dioxide, ZrO2), 산화란탄륨(Lanthanum oxide, La2O3), 하프늄실리케이트(Hafnon, HfSiO4), 란타늄 알루미네이트(Lanthanum Aluminate, LaAlO3), 질화규소(Silicon nitride, Si3N4), Perovskite 물질로는, 스트론튬 티타네이트(Strontium titanate, SrTiO3), 바륨 스트론튬 티타네이트(barium strontium titanate, BST), 티탄산 지르콘산 연(Lead zirconate titanate, PZT), 티탄산칼슘구리(Calcium copper titanate,CCTO), 산화하프늄(HfO2), 아파타이트(A10(MO4)6(X)2), 수산화인회석(Ca10(PO4)6(OH)2), 인산3칼슘(Ca3(PO42)), Na2O-CaO-SiO2, 또는 바이오글라스(CaO-SiO2-P2O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 무기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 에틸렌 테트라플로로에틸렌 (ethylene-tetrafluoroethylene), FEP(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 퍼플르오르알콕시-공중합체 (perfluoroalkoxy copolymer)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기물층은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K)가 4이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무기물층은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K)가 5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130)은 상기 제1 에너지 전환층(140)상에 상기 제1 전극(120)과 수직하는 방향에서 겹쳐 형성되고, 액체의 이동 또는 상태변화에 따라 액체와의 접촉상태가 변한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전환 장치는 액체의 이동 또는 상태변화에 따른 제2 전극(130) 또는 에너지 전환층(140)과 액체의 접촉상태의 변화에 따라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즉, 액체가 제1 또는 제2 전극(130) 상을 흐르면서 이에 따른 접촉상태의 변화로 정전용량의 변화가 생기고 이에 의해 발생하는 전위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발생하는 전자의 이동으로부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전극(130)은 제1 전극(120)과 겹쳐져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서는 제2 전극(130)이 제1 전극(120) 상에 모두 겹쳐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4 또는 5와 같이 일부분만 겹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전환 장치는 제1 전극(120)과 제2 전극(130)이 동일 평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수평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이 떨어져 형성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일부 또는 전체가 겹쳐서 형성된다.
즉, 에너지 전환층(140)을 가운데 두고 상부에 제2 전극(130)과 하부에 제1 전극(120)이 위치하고 있는 구조여서 도 6과 같이 평면적 구조의 에너지 발생장치보다 집적화하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전극은 ITO, IGO, 크롬, 알루미늄, IZO(Indium Zinc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ZnO, ZnO2 또는 TiO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전극이거나 백금, 금, 은, 알루미늄, 철 또는 구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전극이거나 페돗(PEDOT, polyethylenedioxythiophene),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PT),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 PPV),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설퍼니트리드(poly sulfur nitride), 스테인레스 스틸, 크롬을 10%dltkd 함유한 철합금, SUS 304, SUS 316, SUS 316L, Co-Cr 합금, Ti 합금, 니티놀(Ni-Ti) 또는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olyparaphenylenevin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전극일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전환 장치는 소수성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체는 제2 전극(130) 또는 제1 전극(120)과의 접촉면, 접촉각 또는 접촉면적 변화를 일으킴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형상 변화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소수성 물질층(150)은 전극 상에 적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수성 물질층(150)은 실란(silane)계 물질, 플루오르중합체(fluoropolymer) 물질, 트리클로로실란(Trichlorosilane), 트리에톡시실란(Trimethoxysilane), 펜타플루오르페닐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Pentafluorophenylpropyltrichlorosilane), (벤질옥시)알킬트리메톡시실란 ((benzyloxy)alkyltrimethoxysilane; BSM-22), (벤질옥시)알킬트리클로로실란 ((benzyloxy)alkyltrichlorosilane; BTS), 헥사메틸디실라잔 (hexamethyldisilazane; HMDS),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 (octadecyltrichlorosilane; OTS), 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octadecyltrimethoxysilane; OTMS),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비스-(벤조시클로부텐) (divinyltetramethyldisiloxane-bis(benzocyclobutene); BC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전환 장치는 절연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절연층(160)을 통해 제2 전극(130)을 절연시키고 본 실시예에 따르 구현되는 에너지 전환 장치의 전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전환 장치는 제2 전극(13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전극(130)을 덮는 제2 에너지 전환층(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120) 상에 형성되는 제1 에너지 전환층(140)과 더불어 제2 전극(130) 상에는 제2 에너지 전환층(170)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에서는 제2 에너지 전환층(170) 상에 소수성 물질층(150)을 더욱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제2 에너지 전환층(170)이 소수성을 띄는 경우에 소수성 물질층(150)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전환 장치를 응용하여 보다 고용량의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에너지 전환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1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정한 방향에 따라 복수로 나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20) 상에는 에너지 전환층(140)이 적층되며 에너지 전환층(140)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120)에 수직한 방향으로 겹쳐서 제2 전극(1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 에너지 전환 장치의 제1 전극(120)과 제1 전극(120) 상에 형성된 제2 전극(130) 간에는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전극(130)이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로 나열되어 형성되므로, 전극의 형성 개수에 따라 다양한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극(1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정한 방향에 따라 복수로 나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20) 상에는 에너지 전환층(140)이 적층되며 에너지 전환층(140)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120)에 수직한 방향으로 겹쳐서 제2 전극(130)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2 전극(130)은 상술한 도 4에서와 달리 제1 전극(120)의 나열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도 5에서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서는 더욱 다양한 전극간 전위차가 생기고 이를 통해 전압을 발생 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4와 도 5는 제1 전극(120), 제2 전극(130) 각각이 복수의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제1 전극(120)은 하나의 전극 판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13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정한 방향에 따라 복수로 나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전극(130)이 하나의 전극 판으로 형성되고, 제1 전극(120)이 기판 상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정한 방향에 따라 복수로 나열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구성들이 형성되는 기판(110)은 직물 소재 (나일론, 면, 폴리에스터 등)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도 5와 같은 구성을 직물 소재의 짜임 구조에 적용하여 씨실과 날실에 전극의 형성이 가능한 물질을 합성하여 서로 교차하는 방식을 통해 직물 소재의 기판(110)에 액체가 흐르는 것으로부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씨실과 날실의 경우 각각 제1 전극(120)과 제2 전극(130)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직물구조에서 씨실과 날실은 교번하여 상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 전극(120)과 제2 전극(130)의 기능을 번갈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전환층(140)은 씨실과 날실의 직조과정에서 천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전환 장치를 통한 전압 발생결과는 도 7 및 도 8을 통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에너지 전환장치는 제1 전극(120) 상에 제2 전극(130)이 형성되고 소수성 물질층(150)이 이를 덮는 형태로 구성된다. 에너지 전환장치 상으로 액체 방울이 흐르게 되고 이에 따른 전압의 발생 결과는 도 8과 같다.
도 8은 에너지 전황층 소재로 PMMA, PVP를 이용한 결과로서, 즉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전극구조 형태를 통해 집적화 특성이 우수한 전기에너지 발생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며, 수직전극 구조를 통해 디바이스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상부전극과 하부전극 개수에 따라 다양한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고효율의 에너지 전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을 덮는 제1 에너지 전환층; 및
    상기 제1 에너지 전환층상에 형성되고, 액체의 이동 또는 상태변화에 따라 액체와의 접촉상태가 변하는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덮는 제2 에너지 전환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기판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일정한 방향에 따라 복수로 나열되며,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1 전극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부가 겹치도록 복수로 나열되고,
    상기 액체는 상기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 상을 흐르고,
    상기 제1 에너지 전환층 상에 소수성 물질층이 적층되고, 상기 소수성 물질층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는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에너지 전환층 상에 소수성 물질을 더 적층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제1 전극보다 폭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너지 전환층은 무기물층, 유기물층 또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혼합물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이온성 액체 또는 물을 포함하는 전극 적층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89202A 2014-07-15 2014-07-15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988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202A KR101988876B1 (ko) 2014-07-15 2014-07-15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
PCT/KR2015/005838 WO2016010263A1 (ko) 2014-07-15 2015-06-10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
EP15821895.8A EP3171416A4 (en) 2014-07-15 2015-06-10 Electrode laminate structure energy conversion apparatus using liquid
US15/406,577 US10291153B2 (en) 2014-07-15 2017-01-13 Electrode stacked energy conversion device using liqu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202A KR101988876B1 (ko) 2014-07-15 2014-07-15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863A KR20160008863A (ko) 2016-01-25
KR101988876B1 true KR101988876B1 (ko) 2019-06-13

Family

ID=5507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202A KR101988876B1 (ko) 2014-07-15 2014-07-15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91153B2 (ko)
EP (1) EP3171416A4 (ko)
KR (1) KR101988876B1 (ko)
WO (1) WO20160102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652B1 (ko) * 2016-04-26 2023-08-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역전기습윤 발전 모듈
CN108418472B (zh) * 2018-05-11 2023-10-27 大连海事大学 一种利用液滴发电的装置及方法
KR102585756B1 (ko) * 2018-11-12 2023-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역전기습윤 에너지 수확장치
EP4142139A1 (en) * 2021-08-27 2023-03-01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CSIC)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self-powered sensor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337B1 (ko) * 2013-02-15 2014-06-25 전자부품연구원 적층구조를 가지는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1346A (en) * 1998-07-10 2000-01-0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icity from energy in a flowing stream of fluid
US6424079B1 (en) * 1998-08-28 2002-07-23 Ocean Power Technologies, Inc. Energy harvesting eel
WO2001006575A1 (en) * 1999-07-20 2001-01-25 Sri International Improved electroactive polymers
CA2426823A1 (en) * 2000-10-25 2002-10-24 Washington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Piezoelectric micro-transducers,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same
US20050206275A1 (en) * 2002-01-18 2005-09-22 Radziemski Leon J Apparatus and method to generate electricity
KR100619710B1 (ko) * 2004-12-27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선된 전극을 가지는 이-페이퍼 패널
US20070125176A1 (en) * 2005-12-02 2007-06-0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methods
US8003982B2 (en) * 2005-12-20 2011-08-23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tacked mechanical nanogenerator comprising piezoelectric semiconducting nanostructures and Schottky conductive contacts
US7859171B2 (en) * 2006-10-10 2010-12-28 Micallef Joseph A Piezoelectric ultracapacitor
FR2912568B1 (fr) * 2007-02-08 2010-02-12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conversion d'energie mecanique d'impacts en energie electrique a rendement optimise
WO2008147568A1 (en) * 2007-05-24 2008-12-04 Digital Biosystems Electrowetting based digital microfluidics
US7898096B1 (en) * 2007-08-22 2011-03-01 Thomas Nikita Krupenki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harvesting using microfluidics
US8405285B2 (en) * 2009-06-08 2013-03-26 Fujifilm Corporation Piezoelectric device, piezoelectric actuator having the same, liquid discharge apparatus, a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8926065B2 (en) * 2009-08-14 2015-01-06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 actuator devices and methods
KR101588318B1 (ko) * 2009-11-23 2016-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튜브형 압전 에너지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2778A (ko) * 2009-12-04 2011-06-10 삼성전기주식회사 잉크젯 헤드
KR101358291B1 (ko) * 2012-10-31 2014-02-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체의 접촉각 및 접촉면적의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407489B1 (ko) * 2012-11-29 2014-06-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2051518B1 (ko) * 2013-01-28 201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가 동력 터치 센서 겸용 에너지 수확 장치
US20160111980A1 (en) * 2013-06-21 2016-04-21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method of harvesting energy
US9444031B2 (en) * 2013-06-28 2016-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ergy harvester using mass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energy harvester
KR20170032100A (ko) * 2015-09-14 2017-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너지 회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10825614B2 (en) * 2015-12-17 2020-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electroactive polymer nanocomposites
KR20180103051A (ko) * 2016-01-08 2018-09-18 쿄우리츠 마테리아루 가부시키가이샤 변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337B1 (ko) * 2013-02-15 2014-06-25 전자부품연구원 적층구조를 가지는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특허공보 US7898096호(2011.03.0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863A (ko) 2016-01-25
WO2016010263A1 (ko) 2016-01-21
EP3171416A1 (en) 2017-05-24
US10291153B2 (en) 2019-05-14
EP3171416A4 (en) 2018-04-11
US20170149358A1 (en)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8191B1 (en) Energy conversion device using change of contact area and contact angle of liquid
US10270370B2 (en) Energy conversion substrate using liquid
KR101411337B1 (ko) 적층구조를 가지는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US9998034B2 (en) Energy conversion device using liquid
KR101988876B1 (ko) 액체를 이용한 전극 적층 구조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358286B1 (ko)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US10050567B2 (en) Flexible energy conversion device using liquid
KR101781551B1 (ko) 전기에너지 발생 소자 및 그 구동방법
KR101721662B1 (ko) 액체 방울 측정 장치
KR20160052917A (ko) 액체 방울을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468642B1 (ko) 액체를 이용한 회전형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403017B1 (ko) 관통홀을 가지는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20170013669A (ko) 액체를 이용한 자가 발광 모듈
Lee et al. low loss and low leakage current density for new generation nano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