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280U - 육류 염지 장치 - Google Patents

육류 염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280U
KR20150002280U KR2020130010109U KR20130010109U KR20150002280U KR 20150002280 U KR20150002280 U KR 20150002280U KR 2020130010109 U KR2020130010109 U KR 2020130010109U KR 20130010109 U KR20130010109 U KR 20130010109U KR 20150002280 U KR20150002280 U KR 201500022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rotating
present
salt
chick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학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로얄에프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로얄에프앤에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로얄에프앤에프
Priority to KR2020130010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280U/ko
Publication of KR201500022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28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70Tenderised or flavoured meat pieces; Macerating or marinating solu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9/00Apparatus for tenderising meat, e.g. h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26Apparatus for preserving using liquids ; Methods therefor
    • A23B4/28Apparatus for preserving using liquids ; Methods therefor by injection of liquids
    • A23B4/285Apparatus for preserving using liquids ; Methods therefor by injection of liquids with inorganic sal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류 염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육류의 감칠맛을 높이고 저장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염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육류 염지 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염지조 외통; 염지조 외통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내부에 처리 공간을 이루는 내통 본체 및 내통 본체의 벽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염지조 내통; 염지조 내통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판을 구비하며, 회전판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교반부; 및 회전축과 연결되어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염지액에 포함되는 재료들의 손실을 방지하면서 고기 내로 깊숙이 그리고 균일하게 염지액을 침투하게 함으로써 저장 안정성 및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육류의 염지 시간을 단축하여 적절하게 염도를 조절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육류 염지 장치{APPARATUS FOR RIPENING SEASONING IN MEAT}
본 고안은 육류 염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육류의 감칠맛을 높이고 저장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염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육류는 식재료로 이용되는 도축 동물의 고기를 일컬으며,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양고기 등이 있다.
그 중에서 닭고기는 돼지고기나 쇠고기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고 지방 함량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비교적 낮은 것이 특징이다. 닭고기는 다른 육류와 다르게 퍽퍽한 성질이 강하며 특유의 누린내가 있는데, 누린내를 제거하고 육질을 보다 부드럽고 탄력 있는 육질을 만들기 위해 닭고기 염지를 수행한다. 또한 가금육은 소형 가축으로서 도계 라인에서 다수를 연속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다른 중형 가축보다 도계 공정 중에 쉽게 교차오염이 될 수 있다. 가금육을 주원료로 육제품을 제조하고자 할 때 유화력, 보수성이 축육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특별한 가공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82481호는 종래 염지 기술의 일예를 나타낸다.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 염지 기술은 매운맛 시즈닝 분말, 아미노산계 조미료, 쇠고기맛 복합조미료, 핵산계 조미료 등의 화학 조미료를 다량 포함하는 육류 가공용 염지제를 사용한다.
닭의 염지 과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닭고기에 염지액을 고르게 바르기 어렵고, 염지액에 포함되는 재료들의 손실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염지 시간의 길어져서 염지액이 이탈될 수도 있어 염지 효과가 떨어지며, 생산성도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일측면은 염지액에 포함되는 재료들의 손실을 방지하면서 고기 내로 깊숙이 그리고 균일하게 염지액을 침투할 수 있는 염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육류 염지 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염지조 외통; 염지조 외통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내부에 처리 공간을 이루는 내통 본체 및 내통 본체의 벽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염지조 내통; 염지조 내통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판을 구비하며, 회전판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교반부; 및 회전축과 연결되어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육류 염지 장치에 있어서, 회전판은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육류 염지 장치에 있어서, 회전판은 상부 판면에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개의 회전 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육류 염지 장치에 있어서, 구동부는 교반부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염지액에 포함되는 재료들의 손실을 방지하면서 고기 내로 깊숙이 그리고 균일하게 염지액을 침투하게 함으로써 저장 안정성 및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육류의 염지 시간을 단축하여 적절하게 염도를 조절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염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염지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육류 염지 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염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육류 중 닭고기를 염지하는 것을 예시로 드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육류 중에서 선택하여 염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염지 장치(10)는 염지조 외통(100), 염지조 내통(200), 교반부(3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염지조 외통(100)은 상부가 개구된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용기로서, 닭고기(C)를 염지하기 위한 염지액(S)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염지조 외통(100)은 바닥면과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염지조 내통(200)이 염지조 외통(100)의 내부 공간에서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염지조 외통(100)의 바닥면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면이 다양한 다각형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개구된 염지조 외통(100)의 상부에는 뚜껑부(110)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염지조 외통(100)의 상부와 뚜껑부(110)를 결합할 때에는 이들 간을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합 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접촉면에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밀봉 수단(미도시)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공정의 편의와 누설 방지를 위해 염지조 외통(100)의 상부와 뚜껑부(110)에는 끼워맞춤 형태의 소정의 돌기 또는 홈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염지조 외통(100)은 닭고기(C)의 저온 숙성을 위해 염지액(S)을 냉각시킬 수 있는 냉장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냉각을 하기 위한 냉매가 흐르는 미세유로(미도시)가 염지조 외통(100)의 벽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냉장고의 원리와 같이, 냉매를 압축기(미도시)로 압축하여 액화할 때 발생하는 열을 방열기(미도시)에서 식힌 후 액체인 냉매를 상기의 미세유로로 흘려 보내면, 압축된 냉매는 미세유로를 빠져나오면서 급속히 냉각되어 염지조 외통(100)을 냉각시킨다. 미세유로를 빠져나온 냉매는 증발기를 통해 기체 상태로 변하며 다시 압축기로 들어가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염지조 외통(100)을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염지조 외통(100)을 냉각시키는 방법은 일 예시일 뿐, 염지조 외통(100)을 냉각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염지조 내통(200)은 염지조 외통(1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상부가 개구된 처리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는 용기로서, 염지할 닭고기(C)를 수용하며, 닭고기(C)를 염지할 공간을 제공한다. 염지조 내통(200)은 내부에 처리 공간(220)을 이루는 내통 본체(210) 및 내통 본체(210)의 벽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212)을 구비한다.
내통 본체(210)는 바닥면과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벽으로 구성되며, 바닥면과 측벽에 의해 처리 공간(220)이 형성될 수 있다. 내통 본체(210)는 염지조 외통(100)의 내부 공간에서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염지조 외통(100)과 마찬가지로 바닥면이 다양한 다각형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관통홀(212)은 염지액(S)이 출입하기 위해 형성되며, 관통홀(212)를 통해 염지액(S)이 염지조 외통(100)과 처리 공간(22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관통홀(212)은 내통 본체(210)에 소정 간격을 갖는 열과 행을 이루면서 배열될 수 있다.
내통 본체(210)를 이루는 바닥면 및 측벽은 염지조 외통(200)의 바닥면 및 측벽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 각 벽면 사이에 염지액(S)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염지조 외통(200)에 수용된 염지액(S)이 관통홀(212)을 통해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교반될 수 있다. 내통 본체(210)는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교반부(300)는 염지조 내통(200) 하부에 배치되어 처리 공간(220)에 수용되는 닭고기(C)와 염지액(S)을 교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회전판(310) 및 회전축(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판(310)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상술한 염지조 외통(100) 또는 내통 본체(210)의 바닥면과 같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원판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판(310)에는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12)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염지조 외통(200)에 수용된 염지액(S)이 내통 본체(210)의 관통홀(212) 및 회전판(310)의 관통홀(312)을 통해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교반될 수 있다.
또한, 회전판(310)에는 그 상부 판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개의 회전 날개(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회전 날개(330)는 회전축(320)에서 바깥 방향, 즉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회전판(310)의 상부 판면에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회전 날개(330)는 회전판(310)의 회전시에 염지액(S)을 더 원활하게 교반할 수 있다.
회전축(320)은 회전판(310)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어 후술할 구동부(400)에서 발생한 동력을 회전판(310)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회전판(310)은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320)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염지조 외통(100) 및 내통 본체(210)의 바닥면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320)은 내통 본체(210)의 바닥면과 결합되어, 내통 본체(210) 역시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400)는 회전축(310)과 연결되어 교반부(300)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동력을 발생시켜 교반부(300)의 회전축(310)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회전판(320)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구동부(400)는 교반부(300)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400)는 이와 연결된 회전축(320)을 주기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반동으로 튕겨주면서 내통 본체(210) 내부의 염지액(S)이 보다 원활하게 교반될 수 있도록 하며, 뿐만 아니라 염지액(S)의 유동에 의해 닭고기(C)도 교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닭고기(C)에 염지액(S)이 보다 더 깊숙하고 균일하게 침투할 수 있다.
회전축(320)이 내통 본체(210)의 바닥면과 결합하는 경우, 구동부(400)는 내통 본체(210) 역시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내통 본체(210)는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회전 방향을 변경하면서, 내통 본체(210) 내부에 있는 염지액(S)과 닭고기(C)를 보다 원활히 교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염지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염지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염지액(S)이 채워진 염지조 내통(200)의 처리 공간(220)에 닭고기(C)를 투입한다. 닭고기(C)를 염지하는 염지액(S)은 맥주, 소금, 천연 조미료, 양파분, 분쇄 마늘분, 후추가루, 설탕, 겨자분 및 생강분이 포함될 수 있다. 염지액에 포함된 각 조미 성분 및 향신 성분들은 닭고기에 깊숙이 침투되어 닭고기를 조미 및 향신한다. 염지액은 닭고기를 침지시키기 충분한 양이 되도록 정제수에 적절히 희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내통 본체(210)의 내부에 닭고기 및 염지액이 채워지면, 염지액(S)이 닭고기(C) 내부로 균일하고 깊숙하게 침투하도록 염지액(S)을 교반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지조 외통(100)에 있던 염지액(S)이 관통홀(212)를 통해 처리 공간(220)으로 들어오면서 염지액(S)이 교반될 수 있다. 또는 교반부(300)를 회전시켜 처리 공간(220) 내부에 있는 염지액(S)에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염지액(S)을 보다 원활하게 교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 본체(210)가 주기적으로 회전 방향을 변경하면서 회전하여 염지액(S)을 교반할 수도 있다. 이 때는 내통 본체(21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염지액(S)이 처리 공간(220)에서 염지조 외통(100)과 염지조 내통(200) 사이의 공간으로 빠져나가면서 교반될 수 있다. 또는 교반부(300)가 상하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반동으로 튕겨주면, 내통 본체(210) 내부의 염지액(S)이 보다 원활하게 교반될 수 있다.
염지 공정을 거친 닭고기에 조미 및 향신 성분이 더욱 깊숙이 배어들도록 하기 위해 숙성 공정을 할 수 있는데, 숙성 공정을 통해 닭고기의 육질을 촉촉하고 부드럽게 만들 수 있고, 발효의 풍미를 더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닭고기의 숙성 공정은 저온에서 소정 시간 동안 저장하는 것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염지조 외통(100)의 냉장 기능을 통해 닭고기를 숙성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닭고기의 숙성 공정은 5 내지 10℃의 저온에서 20 내지 24 시간 동안 저장하는 것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다. 염지 공정을 거친 닭고기가 5℃ 미만의 온도에서 숙성될 경우에는 닭고기의 일부가 냉동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일단 냉동 상태가 되면 해동에 의해 단백질, 아미노산 등이 유실되므로, 냉장육에 비하여 영양가가 줄어들뿐 아니라, 투입된 맥주의 효모, 투입된 EM 분말의 유산균 및 투입된 EM 분말의 효모균에 의한 발효 숙성이 억제되어 풍미개선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염지 공정을 거친 닭고기가 1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숙성될 경우에는 변질의 우려가 있으며, 숙성 중 온도 변화가 심할수록 티아민(thiamin)이 예민하게 감소되므로 숙성 공정의 온도는 5 내지 10℃의 저온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관능성 및 영양학적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 염지조 외통 110 : 뚜껑부
200 : 염지조 내통 210 : 내통 본체
300 : 교반부 310 : 회전판
320 : 회전축 400 : 교반부

Claims (4)

  1. 상부가 개구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염지조 외통;
    상기 염지조 외통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처리 공간을 이루는 내통 본체 및 상기 내통 본체의 벽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염지조 내통;
    상기 염지조 내통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판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판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교반부;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육류 염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육류 염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부 판면에 간격을 두고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개의 회전 날개를 더 포함하는 육류 염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교반부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육류 염지 장치.
KR2020130010109U 2013-12-06 2013-12-06 육류 염지 장치 KR201500022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109U KR20150002280U (ko) 2013-12-06 2013-12-06 육류 염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109U KR20150002280U (ko) 2013-12-06 2013-12-06 육류 염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280U true KR20150002280U (ko) 2015-06-16

Family

ID=53513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109U KR20150002280U (ko) 2013-12-06 2013-12-06 육류 염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28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658B1 (ko) * 2017-09-11 2018-06-20 이병복 고기류염지장치
KR20200012135A (ko) 2018-07-26 2020-02-05 김경호 열의 역행을 이용하여 열 효율이 향상되는 난방장치
KR102279251B1 (ko) * 2021-01-21 2021-07-19 출사표 협동조합 닭 염지 및 숙성 방법
KR20210119689A (ko) * 2020-03-25 2021-10-06 주식회사 토담 염지 수용액으로 정육을 처리하는 염지 방법 및 염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658B1 (ko) * 2017-09-11 2018-06-20 이병복 고기류염지장치
KR20200012135A (ko) 2018-07-26 2020-02-05 김경호 열의 역행을 이용하여 열 효율이 향상되는 난방장치
KR20210119689A (ko) * 2020-03-25 2021-10-06 주식회사 토담 염지 수용액으로 정육을 처리하는 염지 방법 및 염지 장치
KR102279251B1 (ko) * 2021-01-21 2021-07-19 출사표 협동조합 닭 염지 및 숙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2137883A (zh) 急速冷凍食品之方法
KR20150002280U (ko) 육류 염지 장치
CN108740840A (zh) 一种罗非鱼速冻调味鱼块的制作方法
JP2013533908A (ja) 超小型の氷、その使用、および製造装置
Szymczak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nges in fresh and frozen herring (Clupea harrengus L.) during marinating
CN104187581B (zh) 一种牛肝酱的加工工艺
US202400993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temperature aging using slurry ice
CN102388946B (zh) 一种河豚鱼冰温保鲜方法
CN103859445A (zh) 一种川味香肠的加工工艺
KR101672330B1 (ko) 오메가-3가 첨가된 바베큐용 돼지고기 등심 가공방법
CN107410942A (zh) 一种含墨鱼丁鱼丸及其制备方法
CN104982973A (zh) 一种调味速冻炭烤原料鱼加工方法
CN104336569A (zh) 一种低盐营养型泡菜的制备方法
KR20210111375A (ko) 냉동 닭의 해동 염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해동 염지된 닭
Lyu et al. Progress of ice slurry in food industry: application, production, heat and mass transfer
KR101763681B1 (ko) 육계가공장치
CN103988884A (zh) 一种甲鱼活宰低温液态速冻保鲜方法
KR102105087B1 (ko) 감자탕 제조 장치 및 방법
CN205409517U (zh) 一种辣椒腌制发酵装置
KR102014001B1 (ko) 육류 가공 방법
KR20160039359A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연질치즈 제조방법
CN108056412A (zh) 一种花鲍螺去壳装置、加工系统及其加工工艺
KR101870578B1 (ko) 염지액 공급장치
CN219981983U (zh) 自动化牛羊肉解冻系统
JP2000253812A (ja) 冷凍トマ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