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246A -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246A
KR20150002246A KR20130075836A KR20130075836A KR20150002246A KR 20150002246 A KR20150002246 A KR 20150002246A KR 20130075836 A KR20130075836 A KR 20130075836A KR 20130075836 A KR20130075836 A KR 20130075836A KR 20150002246 A KR20150002246 A KR 20150002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plug
unit
inform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8968B1 (ko
Inventor
윤준호
Original Assignee
(주)성광창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광창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성광창호디자인
Priority to KR102013007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9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2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기기에 구성된 전원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전원플러그가 형성되어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에 삽입하여 전원을 전기기기에 공급하게 되는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고유 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알에프동글로 무선으로 제공하고 알에프동글로부터 송출된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키며,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인터넷공유기에서 제공받아 다시 알에프 동글을 통해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에 제공하여 스마트폰으로 전기기기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Smartphone Mounted Power plug app.}
본 발명은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기기에 구성된 전원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전원플러그가 형성되어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에 삽입하여 전원을 전기기기에 공급하게 되는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고유 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알에프동글로 무선으로 제공하고 알에프동글로부터 송출된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키며,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인터넷공유기에서 제공받아 다시 알에프 동글을 통해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에 제공하여 스마트폰으로 전기기기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작업장 등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전자기기들은 전원콘센트라는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소정의 전원을 공급받는다.
예컨대, 전원콘센트에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하게 되면 전원콘센트에 인가된 전원이 플러그를 통해 전자기기로 공급되어 전자기기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하여 전원제어장치를 구성하게 되는데, 종래의 전원제어장치는 집안 내부에서만 전원제어가 가능하였고 외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해당 콘센트에 어떤 전자기기가 꽂혀 있는지에 대한 정보도 원격에서 파악할 수 없고, 해당 전자기기의 온/오프 상태도 원격에서 알 수 없었다.
또한, 현재 스마트폰이 널리 시판되어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지만, 스마트폰을 활용한 전자기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은 도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없음.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기기에 구성된 전원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전원플러그가 형성되어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에 삽입하여 전원을 전기기기에 공급하게 되는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고유 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알에프동글로 무선으로 제공하고 알에프동글이 접속된 인터넷공유기를 통해 원격지에 구성된 전원플러그관리서버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여 전원플러그관리서버에서 전원 온오프 신호 정보를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으로 제공하여 현재 전원 온오프 상태를 실시간으로 어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전원플러그관리서버에서 수신받아 이를 해당 인터넷공유기에서 제공받아 다시 알에프 동글을 통해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에 제공하여 전기기기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가 장착된 장소를 스마트폰에서 설정하도록 하여 복수개의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가 특정 공간 내에 존재할 경우에 장소리스트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특정 공간 내에 존재하는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들의 전원 온오프 상태 및 통신 장애 발생 등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전기기기(10)에 구성된 전원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전원플러그가 형성되어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50)에 삽입하여 전원을 전기기기에 공급하게 되며, 고유 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알에프동글로 무선으로 제공하고 알에프동글로부터 송출된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100)와;
인터넷공유기(400)에 접속할 수 있는 포트가 구비된 동글로서, 상기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송출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받아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해당 전원 온오프 신호를 송출하며, 스마트폰의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알에프동글(300)과;
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제공된 고유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스마트폰으로 해당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제공하며, 스마트폰에서 송출되는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전원플러그관리서버(500)와;
디스플레이창에 전원플러그등록모드, 장소설정모드, 전원플러그확인모드를 유저인터페이스로 활성화시키는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6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전기기기에 구성된 전원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전원플러그가 형성되어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에 삽입하여 전원을 전기기기에 공급하게 되는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고유 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알에프동글로 무선으로 제공하고 알에프동글이 접속된 인터넷공유기를 통해 원격지에 구성된 전원플러그관리서버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여 전원플러그관리서버에서 전원 온오프 신호 정보를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으로 제공하여 현재 전원 온오프 상태를 실시간으로 어플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전원플러그관리서버에서 수신받아 이를 해당 인터넷공유기에서 제공받아 다시 알에프 동글을 통해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에 제공하여 전기기기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스마트폰에 탑재된 어플을 통해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가 장착된 장소를 스마트폰에서 설정하도록 하여 복수개의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가 특정 공간 내에 존재할 경우에 장소리스트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특정 공간 내에 존재하는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들의 전원 온오프 상태 및 통신 장애 발생 등을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전원플러그관리서버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전원플러그관리어플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의 임시 등록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의 이름변경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의 변경된 장소 이름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의 그리드 배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의 그리드 타입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의 리스트 타입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의 상태변화 발생내역 조회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전기기기(10)에 구성된 전원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전원플러그가 형성되어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50)에 삽입하여 전원을 전기기기에 공급하게 되며, 고유 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알에프동글로 무선으로 제공하고 알에프동글로부터 송출된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100)와;
인터넷공유기(400)에 접속할 수 있는 포트가 구비된 동글로서, 상기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송출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받아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해당 전원 온오프 신호를 송출하며, 스마트폰의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알에프동글(300)과;
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제공된 고유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스마트폰으로 해당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제공하며, 스마트폰에서 송출되는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전원플러그관리서버(500)와;
디스플레이창에 전원플러그등록모드, 장소설정모드, 전원플러그확인모드를 유저인터페이스로 활성화시키는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100)는,
전원콘센트(5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부(110)와,
상기 온오프스위치부에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원온오프신호제공부(120)와,
전원의 인가 유무를 검출하여 중앙제어부로 제공하기 위한 전원상태검출부(130)와,
전원의 온오프를 확인하도록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0)와,
전원상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원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알에프동글로 송출하며, 스마트폰의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알에프통신부(150)와,
고유아이디 정보와 전원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60)와,
상기 전원온오프신호제공부, 전원상태검출부, 표시부, 알에프통신부, 메모리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서버(500)는,
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제공된 고유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전원온오프신호획득부(510)와,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받는 스마트폰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원온오프수신정보저장부(520)와,
전원플러그관리기의 고유아이디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설정한 장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유아이디별장소정보저장부(530)와,
전원플러그관리기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등록관리부(540)와,
스마트폰에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치 구성된 장소를 설정할 수 있는 장소 설정페이지를 제공하며, 설정된 장소정보를 고유아이디별장소정보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장소설정관리부(550)와,
상기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정된 장소 정보를 추출하여 장소리스트를 생성하여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소리스트생성부(560)와,
상기 전원온오프수신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스마트폰으로 고유아이디별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원온오프상태정보제공부(570)와,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원격전원제어신호획득부(580)와,
상기 원격전원제어신호획득부에서 획득된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원격전원제어정보제공부(590)와,
상기 각각의 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서버중앙제어부(59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서버(500)는,
등록된 전원플러그관리기로 일정 시간마다 상태 모니터링 신호를 송출하여 응답 신호를 받지 못할 경우에 해당 스마트폰으로 통신 장애 발생 이벤트 신호를 송출시키기 위한 통신장애이벤트신호발생부(59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은,
전원플러그 등록을 수행하여 해당 전원플러그 고유아이디 정보를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등록모드실행부(610)와,
장소 설정페이지를 디스플레이창에 제공하며, 설정된 장소정보를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장소설정모드실행부(620)와,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치된 장소리스트를 디스플레이창에 제공하며, 각 장소별 전원 온오프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전원플러그확인모드실행부(630)와,
상기 디스플레이창에 출력된 장소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클릭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전원플러그 원격제어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 온오프 제어창을 제공하기 위한 원격제어모드실행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은,
설정된 장소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위치영역설정실행부(6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플러그확인모드실행부(630)는,
전원플러그관리서버의 통신장애이벤트신호발생부(596)로부터 통신 장애 발생 이벤트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치된 장소 아이콘 영역에 통신 장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플러그확인모드실행부(630)는,
정상 상태의 전원플러그관리기 갯수와 통신장애 상태의 전원플러그관리기의 갯수를 카운터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전기기기(10)에 구성된 전원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전원플러그가 형성되어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50)에 삽입하여 전원을 전기기기에 공급하게 되며, 고유 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알에프동글로 무선으로 제공하고 알에프동글로부터 송출된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100)와;
인터넷공유기(400)에 접속할 수 있는 포트가 구비된 동글로서, 상기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송출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받아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해당 전원 온오프 신호를 송출하며, 스마트폰의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알에프동글(300)과;
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제공된 고유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스마트폰으로 해당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제공하며, 스마트폰에서 송출되는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전원플러그관리서버(500)와;
디스플레이창에 전원플러그등록모드, 장소설정모드, 전원플러그확인모드를 유저인터페이스로 활성화시키는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6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100)는 전기기기(10)에 구성된 전원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도 1과 같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전원플러그가 형성되어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50)에 삽입하여 전원을 전기기기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는 원격지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고유 아이디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알에프동글로 무선으로 제공하고 알에프동글로부터 송출된 스마트폰의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키게 된다.
상기한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는 특정 장소에 여러 개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식별하기 위하여 고유아이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알에프동글(300)은 인터넷공유기(400)에 접속할 수 있는 포트가 구비된 동글로서,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송출되는 감지 신호(전원 온오프 상태)를 수신받아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해당 전원 온오프 신호를 송출하며, 스마트폰의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서버(500)는 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제공된 고유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스마트폰으로 해당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제공하며, 스마트폰에서 송출되는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600)은 디스플레이창에 전원플러그등록모드, 장소설정모드, 전원플러그확인모드를 유저인터페이스로 활성화시키는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은 일반적인 앱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알에프동글은 포트가 구성된 동글로서, 인터넷공유기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에프동글은 감지 신호를 데이터 패킷에 탑재시키기 위한 패킷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감지 신호를 데이터 패킷에 실어 원격지로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100)는,
전원콘센트(5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부(110)와,
상기 온오프스위치부에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원온오프신호제공부(120)와,
전원의 인가 유무를 검출하여 중앙제어부로 제공하기 위한 전원상태검출부(130)와,
전원의 온오프를 확인하도록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0)와,
전원상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원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알에프동글로 송출하며, 스마트폰의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알에프통신부(150)와,
고유아이디 정보와 전원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60)와,
상기 전원온오프신호제공부, 전원상태검출부, 표시부, 알에프통신부, 메모리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온오프스위치부(110)는 전원콘센트(5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켜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원온오프신호제공부(120)는 온오프스위치부에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제공하여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전원상태검출부(130)는 전원의 인가 유무를 검출하여 중앙제어부로 제공하게 되는데, 전원온오프신호제공부에서 전원 온신호를 온오프스위치부에 제공하게 되면 전원이 공급되게 될 것이며 상기 전원상태검출부에서는 전원 인가 신호를 중앙제어부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표시부(140)는 사용자들이 전원의 온오프를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알에프통신부(150)는 전원상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원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알에프동글로 송출하며, 스마트폰의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획득 신호를 중앙제어부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메모리부(160)를 구성하여 고유아이디 정보와 전원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정보 요청시 해당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전원플러그관리서버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서버(500)는,
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제공된 고유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전원온오프신호획득부(510)와,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받는 스마트폰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원온오프수신정보저장부(520)와,
전원플러그관리기의 고유아이디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설정한 장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유아이디별장소정보저장부(530)와,
전원플러그관리기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등록관리부(540)와,
스마트폰에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치 구성된 장소를 설정할 수 있는 장소 설정페이지를 제공하며, 설정된 장소정보를 고유아이디별장소정보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장소설정관리부(550)와,
상기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정된 장소 정보를 추출하여 장소리스트를 생성하여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소리스트생성부(560)와,
상기 전원온오프수신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스마트폰으로 고유아이디별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원온오프상태정보제공부(570)와,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원격전원제어신호획득부(580)와,
상기 원격전원제어신호획득부에서 획득된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원격전원제어정보제공부(590)와,
상기 각각의 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서버중앙제어부(595)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즉, 상기 전원온오프신호획득부(510)는 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제공된 고유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획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원온오프수신정보저장부(520)는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받는 스마트폰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즉, 스마트폰에서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를 등록하게 되면 해당 정보를 전원플러그관리서버에서 획득하여 스마트폰의 정보와 함께 저장하게 된다.
또한, 고유아이디별장소정보저장부(530)는 전원플러그관리기의 고유아이디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설정한 장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즉, 전원플러그관리기를 스마트폰에서 찾게 되면 도 5와 같이, 임시1(a)이라는 문자로 사용자에게 제시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해당 임시1을 클릭하게 되면 도 6의 화면으로 바뀌게 되고, 주방으로 이름을 변경하게 되면 주방으로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는 등록되는 것이다.
상기 등록관리부(540)는 전원플러그관리기의 등록을 관리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지정한 장소의 이름으로 등록시키며, 고유아이디별장소정보저장부에 고유아이디 정보와 함께 설정된 장소로 저장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장소설정관리부(550)는 도 6과 같이 등록시 장소를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거나, 도 7과 같이 등록된 장소리스트를 화면에 출력시키고, 사용자가 예를 들어 1항목의 그림이미지(b)를 클릭하게 되면 다양한 그림이미지들을 제공하게 되고,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이미지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1항목의 주방(c)를 클릭하게 되면 도 6과 같이 이름변경 화면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즉, 스마트폰에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치 구성된 장소를 설정할 수 있는 장소 설정페이지를 제공하며, 설정된 장소정보를 고유아이디별장소정보저장부에 저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장소리스트생성부(560)는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정된 장소 정보를 추출하여 장소리스트를 생성하여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게 된다.
즉, 6개의 전원플러그관리기가 등록됐으므로 6개의 장소리스트를 도 9 혹은 도 10과 같이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9의 경우에는 그리드 타입으로서 해당 장소리스트를 박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며, 도 10의 경우에는 리스트 타입으로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온오프상태정보제공부(570)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온오프수신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스마트폰으로 고유아이디별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즉, #01이 주방으로 설정되고, #02가 아이방으로 설정되었다면, 해당 고유아이디별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를 제공하게 되고, 스마트폰에서 온 상태로 표시되게 된다.
또한, 원격전원제어신호획득부(580)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주방이 온상태라는 화면을 보고 주방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며, 주방 아이콘 클릭시, 전원 온 혹은 오프하기 위한 조작 버튼을 화면에 표시하게 되며, 이에 오프 버튼을 클릭한다면 오프 신호를 원격전원제어신호획득부에서 획득하여 주방에 설치 구성된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를 오프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원격전원제어정보제공부(590)가 원격전원제어신호획득부에서 획득된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서버(500)는,
등록된 전원플러그관리기로 일정 시간마다 상태 모니터링 신호를 송출하여 응답 신호를 받지 못할 경우에 해당 스마트폰으로 통신 장애 발생 이벤트 신호를 송출시키기 위한 통신장애이벤트신호발생부(59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즉, 전원플러그관리서버에서는 등록된 전원플러그관리기로 일정 시간마다 상태 모니터링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받지 못할 경우에 해당 스마트폰으로 통신 장애 발생 이벤트 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방에 구성된 전원플러그관리기가 통신 장애라면, 도 9 혹은 도 10에 도시한 '통신장애0'이 '통신장애1'로 변경될 것이다.
통신장애의 이유는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가 고장났거나, 오류시 이를 감지하여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게 되어 혹시 모를 전기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의 전원플러그관리어플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은,
전원플러그 등록을 수행하여 해당 전원플러그 고유아이디 정보를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등록모드실행부(610)와,
장소 설정페이지를 디스플레이창에 제공하며, 설정된 장소정보를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장소설정모드실행부(620)와,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치된 장소리스트를 디스플레이창에 제공하며, 각 장소별 전원 온오프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전원플러그확인모드실행부(630)와,
상기 디스플레이창에 출력된 장소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클릭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전원플러그 원격제어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 온오프 제어창을 제공하기 위한 원격제어모드실행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사용자는 최초 앱스토어를 통해 전원플러그관리어플를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하게 된다.
이후,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신규한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즉, 도 5와 같이, 아이방, 현관, 안방, 침실, 거실은 이미 등록한 것이며, 임시1이라는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를 등록하게 되는 것이다.
등록모드실행부(610)는 전원플러그 등록을 수행하여 해당 전원플러그 고유아이디 정보를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즉, 전원플러그관리서버에 등록을 하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는 임시1이라는 문자로 표시가 된다.
상기 장소설정모드실행부(620)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은 장소 설정페이지를 디스플레이창에 제공하며, 설정된 장소정보를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즉, 임시1을 주방으로 변경하게 되면 주방이라는 정보를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이다.
도 9의 예시는 임시1 ~ 임시6을 주방, 아이방, 현관, 안방, 침실, 거실로 장소를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원플러그확인모드실행부(630)는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치된 장소리스트를 디스플레이창에 제공하며, 각 장소별 전원 온오프 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즉, 모든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들은 전원플러그관리서버에서 획득하여 해당 정보들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게 될 것이며, 이를 각각의 장소별로 전원 온오프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온이라는 단어를 표시하고 있으며, 오프시 오프라는 단어를 표시하게 되지만, 필요에 따라 온일 경우에는 녹색 점등 표시 아이콘, 오프일 경우에는 빨간 점등 표시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원격제어모드실행부(640)는 디스플레이창에 출력된 장소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클릭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전원플러그 원격제어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 온오프 제어창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항상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에 어플을 탑재하고 수시로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은,
설정된 장소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위치영역설정실행부(6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되는 장소 아이콘의 위치를 사용자가 보기에 편리한 위치로 변경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거실 아이콘을 누르고, 아이방 아이콘의 위치에 갖다 놓으면, 아이방 아이콘은 거실 아이콘 위치로 이동되고, 거실 아이콘은 아이방 아이콘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능이 없다면 사용자는 거실 아이콘을 눌러 이름을 변경하고, 다시 아이방 아이콘을 눌러 이름을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상기한 작업들은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의 갯수가 적으면 그다지 불편하지는 않겠지만,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의 갯수가 다수개일 경우에는 상당한 조작의 불편함을 제공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개선하고자 구성되는 것이다.
사용자들은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은 최상단 좌측부터이므로 이러한 습성에 걸맞게 자신이 가장 먼저 확인하고 싶은 장소부터 나열하게 되는 것이며, 수시로 이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9에서는 주방, 아이방, 현관 순으로 나열한 것이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은 사용자가 원격으로 온오프 제어할 경우에 이를 나타낸 발생 내역리스트이며, 여기에는 통신 장애 부분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전원플러그확인모드실행부(630)는 전원플러그관리서버의 통신장애이벤트신호발생부(596)로부터 통신 장애 발생 이벤트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치된 장소 아이콘 영역에 통신 장애를 표시하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태양호로 표시되고 있다가 주방에 통신장애 발생시 통신장애로 문자가 변경되며, 상측의 '통신장애0'이 '통신장애1'로 변경되게 된다.
상기한 전원플러그확인모드실행부는 상측 화면에 정상 상태의 전원플러그관리기 갯수와 통신장애 상태의 전원플러그관리기의 갯수를 카운터하여 출력시키게 되며, 사용자는 현재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콘센트에 플러그를 삽입할 경우에 발생되는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외부에서 전원을 오프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취침하거나 외부 출타시 일일히 콘센트에 꽂힌 플러그를 뺄 필요없이 스마트폰으로 간단하게 오프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
300 : 알에프동글
400 : 인터넷공유기
500 : 전원플러그관리서버
600 : 스마트폰

Claims (8)

  1. 스마트폰에 있어서,
    전기기기(10)에 구성된 전원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전원플러그가 형성되어 전원플러그를 전원콘센트(50)에 삽입하여 전원을 전기기기에 공급하게 되며, 고유 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알에프동글로 무선으로 제공하고 알에프동글로부터 송출된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100)와;
    인터넷공유기(400)에 접속할 수 있는 포트가 구비된 동글로서, 상기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송출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받아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해당 전원 온오프 신호를 송출하며, 스마트폰의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알에프동글(300)과;
    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제공된 고유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스마트폰으로 해당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제공하며, 스마트폰에서 송출되는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여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전원플러그관리서버(500)와;
    디스플레이창에 전원플러그등록모드, 장소설정모드, 전원플러그확인모드를 유저인터페이스로 활성화시키는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마트폰(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에프전원플러그관리기(100)는,
    전원콘센트(50)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부(110)와,
    상기 온오프스위치부에 전원 온오프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원온오프신호제공부(120)와,
    전원의 인가 유무를 검출하여 중앙제어부로 제공하기 위한 전원상태검출부(130)와,
    전원의 온오프를 확인하도록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0)와,
    전원상태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원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알에프동글로 송출하며, 스마트폰의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알에프통신부(150)와,
    고유아이디 정보와 전원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160)와,
    상기 전원온오프신호제공부, 전원상태검출부, 표시부, 알에프통신부, 메모리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서버(500)는,
    전원플러그관리기로부터 제공된 고유아이디 정보와 전원 온오프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전원온오프신호획득부(510)와,
    상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받는 스마트폰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전원온오프수신정보저장부(520)와,
    전원플러그관리기의 고유아이디 정보와 스마트폰에서 설정한 장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유아이디별장소정보저장부(530)와,
    전원플러그관리기의 등록을 관리하기 위한 등록관리부(540)와,
    스마트폰에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치 구성된 장소를 설정할 수 있는 장소 설정페이지를 제공하며, 설정된 장소정보를 고유아이디별장소정보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장소설정관리부(550)와,
    상기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정된 장소 정보를 추출하여 장소리스트를 생성하여 스마트폰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소리스트생성부(560)와,
    상기 전원온오프수신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스마트폰으로 고유아이디별 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원온오프상태정보제공부(570)와,
    스마트폰으로부터 송출되는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원격전원제어신호획득부(580)와,
    상기 원격전원제어신호획득부에서 획득된 원격 전원 제어신호를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원격전원제어정보제공부(590)와,
    상기 각각의 부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서버중앙제어부(59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서버(500)는,
    등록된 전원플러그관리기로 일정 시간마다 상태 모니터링 신호를 송출하여 응답 신호를 받지 못할 경우에 해당 스마트폰으로 통신 장애 발생 이벤트 신호를 송출시키기 위한 통신장애이벤트신호발생부(59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은,
    전원플러그 등록을 수행하여 해당 전원플러그 고유아이디 정보를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등록모드실행부(610)와,
    장소 설정페이지를 디스플레이창에 제공하며, 설정된 장소정보를 전원플러그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장소설정모드실행부(620)와,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치된 장소리스트를 디스플레이창에 제공하며, 각 장소별 전원 온오프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전원플러그확인모드실행부(630)와,
    상기 디스플레이창에 출력된 장소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클릭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전원플러그 원격제어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 온오프 제어창을 제공하기 위한 원격제어모드실행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은,
    설정된 장소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위치영역설정실행부(6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확인모드실행부(630)는,
    전원플러그관리서버의 통신장애이벤트신호발생부(596)로부터 통신 장애 발생 이벤트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해당 전원플러그관리기가 설치된 장소 아이콘 영역에 통신 장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확인모드실행부(630)는,
    정상 상태의 전원플러그관리기 갯수와 통신장애 상태의 전원플러그관리기의 갯수를 카운터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KR1020130075836A 2013-06-28 2013-06-28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시스템 KR101608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836A KR101608968B1 (ko) 2013-06-28 2013-06-28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836A KR101608968B1 (ko) 2013-06-28 2013-06-28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246A true KR20150002246A (ko) 2015-01-07
KR101608968B1 KR101608968B1 (ko) 2016-04-04

Family

ID=5247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836A KR101608968B1 (ko) 2013-06-28 2013-06-28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9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522B1 (ko) * 2018-10-15 2020-05-22 (주)미래정보통신컨설팅 스마트 전력사용 모니터링 장치 및 스마트 전력사용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127B1 (ko) * 2009-01-13 2011-05-19 이인홍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KR101006499B1 (ko) 2010-03-19 2011-01-07 벽산파워 주식회사 전기사용장치의 통합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72653B1 (ko) 2011-12-19 2013-06-12 윤영제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522B1 (ko) * 2018-10-15 2020-05-22 (주)미래정보통신컨설팅 스마트 전력사용 모니터링 장치 및 스마트 전력사용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968B1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6021B2 (ja) サーバ装置、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102132245B1 (ko) 홈 게이트웨이에서 스마트 플러그와 연결된 전자장치의 자동 매핑 방법 및 그 장치
US100550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displaying device list
US9705330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usage
US119915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function by causing elements of hardware to perform linkage operation
US20150088287A1 (en) Device-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remote oper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device-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15005076A1 (ja)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遠隔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1558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a system
US202400311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and analyzing the status of a system
JP2015005856A5 (ko)
JP6765071B2 (ja)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6063520A (ja) 家電制御装置、家電制御システム及び家電制御方法
JP6181486B2 (ja) 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2039695A (ja) 接続機器管理システム
KR101608968B1 (ko) 전원플러그관리어플이 탑재된 스마트폰 시스템
JP2021152928A (ja) 端末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133628B2 (en) Power strip with device information input and display capabilities
JP6132870B2 (ja) 宅内コントローラ、宅内機器管理システム、通知メッセージ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64197B2 (ja) コントローラ及び表示コントローラ
JP6005693B2 (ja) 情報通知装置、情報通知方法、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システム、自動車、及び、プログラム
JP2019029679A (ja) リモコン装置および操作装置
JP2020056744A (ja) スマートタップ
CN104468681A (zh) 一种基于互联网信息通讯的远程室内看顾仪及其应用
TW201639270A (zh) 電器設備管理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