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149A - Method of posting poll response and a poll service server providing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of posting poll response and a poll service server providing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149A
KR20150002149A KR20130075604A KR20130075604A KR20150002149A KR 20150002149 A KR20150002149 A KR 20150002149A KR 20130075604 A KR20130075604 A KR 20130075604A KR 20130075604 A KR20130075604 A KR 20130075604A KR 20150002149 A KR20150002149 A KR 20150002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response
main display
questionnaire
keyword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5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08631B1 (en
Inventor
김동경
송성근
김은선
이승호
김동규
하태웅
유환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631B1/en
Priority to PCT/KR2014/005728 priority patent/WO2014209051A1/en
Publication of KR20150002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1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6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In order to reinforc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an instructor, a method for posting a poll response and a poll service server for supporting the same are provided to support the instructor to intuitively check the overall flow of responses of the students in a process of receiving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to a poll. The method for posting a poll respon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ransmitting poll content to a respondent terminal; receiving response text to the poll content from the respondent terminal; posting the response text in a main display; extracting one or more keywords from the response text; accumulating the keywords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multiple response text; generating a keyword cloud which is a list of the accumulated keywords; and posting the keyword cloud in the main display.

Description

설문에 대한 피설문자 응답을 게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설문 서비스 서버{Method of posting poll response and a poll service server providing the method thereof}[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ing service server for supporting a method of posting a polling response to a poll,

본 발명은 설문에 대한 피설문자 응답을 게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설문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온/오프라인 교육 및 토론 과정에서의 피설문자와 강사 간의 상호 의사 소통을 강화하기 위하여, 피설문자에 대한 설문의 다수의 응답이 접수되는 과정에서 강사가 피설문자의 응답의 전체적인 흐름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설문에 대한 피설문자의 응답을 게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설문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osting a questionnaire response to a questionnaire and a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supporting the method. More specifically, in order to enhance th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questionnaires and the instructor during the on-line and off-line training and discussion process,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 large number of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And a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for supporting the method of posting a questionnaire response to a questionnaire to support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questionnaire.

성공적인 세미나를 위하여 발표자의 일방적인 지식 전달만으로 그치는 것 보다는 발표자와 수강자 사이에 상호 의사 소통이 이뤄지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리젠테이션 자료 등 컴퓨터 작성 문서를 이용한 세미나가 진행되는 도중에 발표자와 수강자 사이의 의사 소통을 위하여 설문이 진행될 수 있고, 설문의 결과가 자동 취합되어 상기 컴퓨터 작성 문서에 반영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설문에 대한 응답이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통하여 취합되어 게시되기 위하여는 설문이 객관식으로 진행될 수 밖에 없고, 참여자의 개별적인 의사를 파악하는 것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For a successful seminar, it may be more effective to communicate between the presenter and the lecturer, rather than just the one-way communication of the presenter.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can be conducted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presenter and the lecturer during a seminar using a computer-generated document such as a presentation data,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can be automatically collected and reflected in the computer-generated document . However, in order for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to be gathered and published through the presentation materials, the questionnaire must be conducted in a multiple-choice manner, and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 individual doctors of the participants.

따라서, 설문에 대한 텍스트 형태의 응답을 취합하고, 세미나의 발표자 및 수강자가 설문의 응답을 효과적인 형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technique for collecting responses in the form of texts for the questionnaire, and for allowing the presenter and attendee of the seminar to share the responses of the questionnaire in an effective form.

한국 공개 특허 제2002-002808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2808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표자가 발제 한 설문에 대한 복수 피설문자의 응답 텍스트가 세미나 참여자 사이에 직관적으로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estionnaire opinion posting method in which a response text of a plurality of questionnaires to a questionnaire issued by a presenter can be intuitively shared among seminar participant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표자가 발제 한 설문에 대한 수강자 응답 텍스트의 요지 파악이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estionnaire opinion posting method in which a questionnaire response text for a questionnaire presented by a presenter can quickly be grasp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표자가 발제 한 설문에 대한 수강자 응답 텍스트를 유사한 것끼리 그룹화하는 것이 쉽게 수행되도록 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estionnaire opinion posting method in which it is easy to group the student response texts of the questionnaires made by the presenter into similar item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표자가 발제 한 설문에 대한 수강자의 응답 텍스트 중 선택된 특정 응답 텍스트를 주제로 2차 설문을 쉽게 발제 할 수 있도록 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osting a questionnaire opinion to easily make a second questionnaire on the topic of a specific response text selected from a response text of a participant's questionnaire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발표자가 발제 한 설문에 대한 복수 수강자의 응답 텍스트가 피설문자 사이에 직관적으로 공유될 수 있도록 하는 설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설문 서비스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that provides a questionnaire service allowing intuitive sharing of response texts of a plurality of participants with respect to a questionnaire presented by a speaker.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aspect)에 따른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은, 피설문 단말에 설문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피설문 단말로부터 상기 설문 컨텐츠에 대한 응답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텍스트를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텍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상기 응답 텍스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키워드를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축적된 키워드들의 목록인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ublishing a questionnaire opinion, comprising: transmitting questionnaire contents to a questionnaire terminal; receiving a response text for the questionnaire content from the questionnaire terminal;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the response text; posting the response text on a main display; extracting one or more keywords from the response text; accumulating the keyword as a plurality of the response texts are received; Generating a keyword cloud that is a list of keywords, and publishing the keyword cloud to the main displa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은, 상기 응답 텍스트에 대한 설문 진행 버튼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와, 상기 설문 진행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 받고, 그 응답으로 상기 응답 텍스트를 포함하는 2차 설문 컨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설문 컨텐츠를 상기 피설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피설문 단말로부터 상기 2차 설문 컨텐츠에 대한 찬성 여부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찬성 여부 응답 중 찬성 개수를 취합하여,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2차 설문 컨텐츠는 상기 응답 텍스트에 대한 찬성 여부를 묻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posting questionnaires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posting a survey progress button for the response text on the main display; receiving a user operation for selecting the survey progress button; Generating a second questionnaire content including a response tex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questionnaire content to the questionnaire terminal; receiving a approval status response from the questionnaire terminal for the second questionnaire content; Collecting an affirmative number of the affirmative answers and posting the collected number to the main display. At this time, the secondary questionnaire contents may be asking whether or not to approve the response tex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신규 키워드가 추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가 갱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갱신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실시간 갱신하여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피설문자로부터 응답 텍스트가 수신될 때마다 실시간으로 응답 텍스트가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되고, 그에 대응하여 키워드 클라우드도 자동 업데이트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generating the keyword cloud includes updating the keyword cloud in response to the addition of a new keyword, wherein the step of publishing the keyword cloud to the main display includes updating the keyword cloud Updating the updated keyword cloud to the main display in real time and publishing the updated keyword cloud in the main display.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ponse text is posted to the main display in real time whenever the response text is received from the questionnaires, and the keyword cloud corresponding thereto can also be automatically upda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은,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갱신하는 버튼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와, 상기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 받고, 그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 시점까지 축적되었던 키워드들의 목록을 반영하도록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갱신하여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키워드 클라우드가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된 키워드 클라우드 갱신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그 때까지 수신되었던 응답 텍스트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반영하여 갱신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notifying questioner posting includes the steps of: publishing a button for updating the keyword cloud on the main display; receiving a user operation for selecting the button; Updating the keyword cloud to reflect a list of keywords accumulated up to the time point, and updating the updated keyword cloud to the main display and publishing the keyword clou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keyword cloud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is selected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keyword cloud update button posted on the main display, it can be updated by reflecting the keyword extracted from the response text received until that ti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직전 키워드 클라우드 갱신 이후 기 지정된 개수의 응답 텍스트가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가 갱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갱신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실시간 갱신하여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 지정된 개수의 응답 텍스트가 수신되는 것을 트리거(trigger) 신호로 하여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된 키워드 클라우드가 자동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지정된 개수"는 피설문자의 수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generating the keyword cloud includes updating the keyword cloud in response to receiv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response texts after a previous keyword cloud update, wherein the keyword cloud is transmitted to the main display The publishing step may include updating the updated keyword cloud in real time on the main display and publishing in response to the keyword cloud being updat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keyword cloud posted on the main display can be automatically updated as a trigger signal that a predetermined number of response texts are received. For example, the "pre-specified number" may be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는 동일 키워드의 추출 회수에 따라, 키워드를 차별화하여 배치하거나 키워드의 폰트를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The keyword cloud may be generated by differentiating and arranging keyword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extraction of the same keyword, or by displaying different fonts of the keyword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은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의 특정 키워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특정 키워드가 추출된 응답 텍스트들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supervised opinion post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s of receiving a user operation for selecting a specific keyword of the keyword cloud, and posting the response texts extracted from the selected specific keyword on the main display .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aspect)에 따른 설문 서비스 서버는, 피설문 단말에 설문 컨텐츠를 송신하는 설문 송신부와, 상기 피설문 단말로부터 상기 설문 컨텐츠에 대한 응답 텍스트를 수신하는 응답 수신부와, 상기 응답 텍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복수개의 상기 응답 텍스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키워드를 축적하며, 상기 축적된 키워드들의 목록인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키워드 관리부와, 상기 응답 텍스트들의 리스트 및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가 배치된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을 생성하여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화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rvey service server comprising: a question sending unit for sending question contents to a questioned terminal; a response tex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response text for the question content from the questioned terminal; A keyword management unit for extracting one or more keywords from the response text, accumulating the keywords as a plurality of the response texts are received, and generating a keyword cloud as a list of the accumulated keywords, And generating a main display screen on which the keyword cloud is arranged and providing the generated main display screen to the seminar main displa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설문 단말은 피설문자의 이동 단말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설문 단말은 소정의 세미나 실에 설치된 수강자 단말이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는 상기 세미나 실에 설치된 전면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urveyed terminal may be a mobile terminal of a surveyed pers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urveying terminal is a lecturer terminal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eminar room, and the main display may be a front display installed in the seminar room.

본 발명에 따르면, 세미나의 발표자가 발제 한 설문에 대한 복수 수강자의 응답 텍스트가 세미나 참여자 사이에 직관적으로 공유되고, 수강자 응답 텍스트의 요지 파악이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prompt texts of a plurality of students attending to a questionnaire presented by a speaker of a seminar are intuitively shared among participants of a seminar, and the point of the student response text is quickly recognized.

또한, 발표자가 발제 한 설문에 대한 수강자의 응답 텍스트 중 선택된 특정 응답 텍스트를 주제로 2차 설문을 쉽게 발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lso, there is an effect that a second questionnaire can be easily presented on the topic of a specific response text selected from a response text of a student in a questionnaire presented by the speake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미나 진행 지원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수강자 의견 게시 방법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키워드 클라우드가 갱신되어 게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피설문자의 응답 텍스트를 기초로 2차 설문을 진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의 수행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구성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미나 진행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미나 진행 지원 시스템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서비스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문 서비스 서버의 구성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seminar progress support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to 4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how a keyword cloud is updated and published in various ways in the student participant opinion posting method shown in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econd questionnaire is conducted based on the response text of a questionnaire.
6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screen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questionnaire comment pos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minar progress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seminar progress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 survey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rvey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imensions and relativ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본 발명에 따른, 설문에 대한 응답을 게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설문 서비스 서버는 온/오프라인 방식의 교육, 토론 또는 강의 등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피설문자'는 상기 온/오프라인 방식의 교육, 토론 또는 강의 등에 참여한 수강자 또는 토론자로써, 강사 또는 토론 진행자에 의하여 발제된 설문을 수신하는 자를 의미한다.A method of posting a response to a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supporting the method can be widely used for on / offline education, discussion, and lecture. That is, the 'questionnair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a person who receives a questionnaire issued by an instructor or a discussion host, as a participant or a debater participant in the on / offline education, discussion, or lectur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세미나 진행 지원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나가 시작되는 경우(S10) 세미나 자료가 세미나 실에 설치된 메인 디스플레이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될 것(S20)이다. 상기 세미나 자료는 다양한 형태의 프리젠테이션 자료일 수 있다. 세미나 과정 중 하나로 수강자에 대한 설문이 진행될 수 있다(S30). 도 1에는 세미나 자료가 게시된 후 설문이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설문을 위주로 하여 수강자와 상호 소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세미나인 경우, 세미나 자료의 게시 없이 설문을 위주로 세미나가 진행될 수도 있다.1 is a flowchart of a seminar progress support metho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1, when the seminar starts (S10), the seminar data is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or the like installed in the seminar room (S20). The seminar material may be various types of presentation materials. One of the seminar processes can be a questionnaire about a student (S30). In FIG. 1, the questionnaire is shown as proceeding after the seminar data is posted. However, in the case of a seminar aiming at communicating with the student taking the questionnaire mainly, the seminar may be conducted mainly by the questionnaire without posting the seminar data.

오프라인 방식의 교육, 토론 또는 강의에 본 발명이 활용되는 경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는 세미나 실에 설치된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온라인 방식의 교육, 토론 또는 강의에 본 발명이 활용되는 경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는, 교육, 토론 또는 강의의 참가자들, 즉 강사와 수강생들 또는 토론 진행자와 토론자들의 단말일 수 있다. 온라인 방식의 교육, 토론 또는 강의에 본 발명이 활용되는 경우, 설문 서비스 서버가 강사와 수강생들의 단말에 표시될 화면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강사와 수강생들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오프라인 방식의 교육, 토론 또는 강의에 본 발명이 활용되는 경우를 전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오프라인 방식의 교육, 토론 또는 강의에 본 발명이 활용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in an offline education, discussion, or lecture, the main display may be a seminar main display installed in a seminar room.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tilized in an online education, discussion or lecture, the main display may be a participant of an education, a discussion or a lecture, that is, a lecturer and students, or a terminal of a discussion facilitator and a panelist.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online education, discussion, or lecture, the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can provide data related to the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terminals of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s to the instructor and students of the learner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offline education, discussion, or lectu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offline education, discussion, or lecture.

본 발명에 따른 설문 진행(S30)은, 1회의 설문에 관한 강사와 수강자들의 의사 소통이 1회의 응답으로 마무리되지 않는다. 그 대신, 설문 및 그에 대한 응답이 연쇄적으로 이뤄지는 것을 지원하여, 강사와 수강자들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형태로 상호소통을 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In the questionnaire proceeding (S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lecturer and the lecturer regarding one questionnaire is not finished in one response. Instead, it can support a series of surveys and responses, helping instructors and student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 tail-worn manner.

예를 들면, 객관식 형태의 초기 설문 및 그에 대한 수강자들의 응답이 이뤄지면, 자동으로 해당 지문을 선택한 이유를 묻는 제1 설문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설문에 대한 응답 텍스트가 수행되는 경우, 수신된 응답 텍스트가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되어 강사 및 피설문자들이 피설문자들의 의견을 공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특정 수강자의 응답 텍스트에 대한 찬반 여부를 묻는 제2 설문도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설문에 대한 찬성 건수 또는 반대 건수도 상기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되어, 특정 응답 텍스트에 대한 피설문자들의 의견 역시 공유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itial questionnaire of the multiple choice type and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to the questionnaire are made, a first questionnaire asking why the fingerprint was automatically selected can be performed. If the response text for the first questionnaire is performed, the received response text may be posted on the main display of the seminar so that instructors and questionnaires can share opinions of the questionnaires. Next, a second questionnaire may be conducted asking whether or not the answer text of the specific student is related to the answer. The number of affirmative or negative votes for the second questionnaire may also be posted on the main display of the seminar so that the opinion of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specific response text may also be shared.

설문 진행(S30)이 마무리 되면, 초기에 진행되었던 설문이 다시 한번 진행되는 정리 설문이 수행될 수도 있다(S40). 세미나 초기의 설문 결과와 정리 설문의 결과는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될 수 있다(S50). 이를 통하여, 세미나 전과 후에 피설문자들의 생각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questionnaire process (S30) is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may be performed in which the questionnaire that has been performed in the beginning is once again performed (S40). Results of the initial questionnaire and summary questionnaire results can be posted on the seminar main display (S50).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how the opinion of the questionnaires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semina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세미나 진행을 지원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 2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upporting seminar progression in the form shown in FIG.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순서도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4에는 주관식 형태의 설문에 대하여 수신된 응답 텍스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들을 축적하며, 축적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생성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수신된 응답 텍스트들의 리스트와 함께 게시하는 방법의 실시예가 기재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flowcharts shown in FIGS. 2 to 4, a method for posting a questionnaire opin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S. 2 to 4 show a method of extracting a keyword from a received response text for a questionnaire of a questionnaire form, accumulating the keywords, and publishing a keyword cloud generated using the accumulated keyword together with the received response text list An embodiment is described.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설문 컨텐츠가 상기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되고, 피설문 단말에 송신된다(S300). 상기 설문 컨텐츠는 주관식 형태의 설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설문 단말은 세미나 실에 설치된 수강자 단말 또는 수강자들의 이동 단말일 수 있다. 수강자들의 이동 단말에 상기 설문 컨텐츠를 송신하기 위하여는, 상기 수강자들의 이동 단말을 미리 등록하는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등록하는 절차는, 예를 들어 피설문자용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수강자의 이동 단말에 설치하고, 상기 수강자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현재 진행 중인 세미나를 선택하는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The question content is posted on the main display of the seminar and transmitted to the questionnaire terminal (S300). The questionnaire contents may include questionnaires in the form of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terminal may be a student terminal installed in a seminar room or a mobile terminal of a student attending to a seminar room. In order to transmit the questionnaire contents to the mobile terminals of the attendees, it may be necessary to register the mobile terminals of the attendants in advance. The registering procedure may mean, for example, a procedure for installing a questionnaire application in the mobile terminal of the attendance person and selecting a seminar currently in progress through the attendee application.

상기 피설문 단말로부터 상기 설문 컨텐츠에 대한 응답 텍스트가 수신되면(S310), 그에 응답하여 수신된 응답 텍스트가 상기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 실시간 리스트-업 될 수 있다(S320).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순서도에는, 모두 응답 텍스트가 수신되는 대로 실시간 리스트-업 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응답 텍스트가 수신되면 이를 일시적으로 버퍼링(buffering)하여 복수개의 응답 텍스트를 축적한 후, 소정의 요건이 만족되는 시점에 한꺼번에 리스트-업 할 수도 있다.If a response text for the question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questionnaire terminal (S310), the response text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sponse text may be listed up in real time on the main display of the seminar (S320). Although the flowcharts shown in FIGS. 2 through 4 show that the response texts are all displayed in real-time as they are receiv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sponse texts are received, they are temporarily buffered After accumulating the response text, it may be listed up at a time when predetermined requirements are satisfied.

상기 응답 텍스트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response text may be understood to include a str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응답 텍스트 중 의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노이즈 응답은 필터링 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이즈 응답은 자동으로 리스트-업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다만, 한/영 자동 변환 등의 널리 알려진 방식의 결함 치유 방법을 통하여 복구할 수 있는 노이즈 응답은, 치유된 후 리스트-업 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noise response determined to be meaningless in the response text may be filtered. That is, the noise response may be automatically excluded from the list-up object. However, a noise response that can be recovered through a well-known defect repair method such as auto / zero automatic conversion may be listed up after healing.

수신된 응답 텍스트에서는, 키워드가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키워드는 피설문자의 의사를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품사가 명사인 것을 위주로 선정될 수 있다. 상기 키워드 추출에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예상 단어들이 포함된 키워드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 중, 상기 키워드 사전에 포함된 단어를 키워드로 선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received response text, keywords may be extracted. Since the keyword is used to implicitly express the intention of the questionnaires, the part-of-speech can be selected mainly for the noun. Various methods can be used for the keyword extraction. For example, a method of selecting a word included in the keyword dictionary as a keyword among the words included in the response text using a keyword dictionary including keyword prediction words can be used.

한편, 하나의 응답 텍스트에 포함된 명사들 중 복수개가 상기 키워드 사전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럴 때에는 단어의 위치 등을 감안하여 키워드를 선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nouns included in one response text may be included in the keyword dictionary. In this case, the keyword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wor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응답 텍스트에서 하나의 키워드 만이 추출될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 지정된 수를 상한선으로 하여 하나의 응답 텍스트에서 복수의 키워드 추출이 허용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nly one keyword may be extracted in one response text,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keywords may be allowed to be extracted in one response text with the pre-designated number as an upper limit.

수신된 응답 텍스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방법은, 상기 기재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여러 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extracting the keyword from the received response text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ethod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pplied.

응답 텍스트에서 추출된 키워드는, 응답 텍스트들이 수신됨에 따라 키워드 목록에 축적될 수 있다(S340). 또한, 상기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키워드들의 목록을 키워드 클라우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S350).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는 키워드들을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하여 키워드들을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response text may be accumulated in the keyword list as response texts are received (S340). In addition, the list of keywords included in the keyword list may be configured as a keyword cloud (S350). The keyword cloud is arranged to place the keywords at different positions so that the keywords can be visually recognized easi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워드 목록에는 각 키워드의 추출 회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각 키워드의 추출 회수는 키워드 클라우드 생성에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extraction of each keyword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keyword list. The number of extraction of each keyword can be used to generate keyword clou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워드들이 평면상에 흩어지도록 배치하여 2D 방식의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 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의 투명 입체 스크린 표면에 키워드들이 흩어지도록 텍스쳐링 하여 3D 방식의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 할 수도 있다. 3D 방식의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투명 입체 스크린이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eyword cloud of a 2D method may be generated by disposing the keywords so as to be scattered on a plane, or textures may be formed by texturing the keywords to be scattered on the surface of a virtual transparent stereoscopic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You can also create a keyword cloud. When generating the keyword cloud of the 3D method, a user interface for allowing the transparent stereoscopic screen to be rotated by a user opera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워드 목록에 포함된 각 키워드 추출 회수를 반영하여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키워드 추출 회수가 많은 키워드 일수록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 내에서 부각되도록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 추출 회수가 많은 키워드 일수록 폰트 크기, 폰트 종류, 폰트 색깔, 폰트 효과 등을 통하여 다른 키워드에 비하여 부각되도록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가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word cloud may be generated by reflecting the number of keyword extraction times included in the keyword list. In this case, the keyword cloud may be generated so as to be highlighted in the keyword cloud as the keyword extraction frequency is large. For example, the keyword cloud may be generated so as to be more emphasized than the other keywords through a font size, a font type, a font color, a font effect, and the like, as the keyword extraction frequency is lar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응답 텍스트가 새로 수신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상기 응답 텍스트가 상기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되고, 상기 수신된 응답 텍스트를 반영하여 갱신된 키워드 클라우드도 실시간으로 상기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onse text is posted to the seminar main display in real time as the response text is newly received, and the updated keyword cloud reflecting the received response text is also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seminar main display Can be pos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 클라우드 갱신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수동적으로 키워드 클라우드의 갱신 및 게시가 이뤄질 수 있다(S342, S350, S352). 이 때, 상기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와 함께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 갱신 버튼도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eyword cloud update command is input as shown in FIG. 3, keyword cloud updating and publishing can be performed manually (S342, S350, S352). At this time, the keyword cloud update button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keyword cloud in the main display of the seminar.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 클라우드 갱신 조건이 완성되는 경우, 키워드 클라우드가 자동 갱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 지정된 개수의 응답 텍스트가 수신될 때까지는(S344) 응답 텍스트의 수신 및 키워드 축적 만 수행되고, 기 지정된 개수의 응답 텍스트가 수신된 이후에 키워드 클라우드의 갱신 및 게시(S352)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설문자의 수만큼 응답 텍스트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키워드 클라우드가 갱신되도록 상기 "기 지정된 개수"를 설정할 수도 있고, 피설문자의 일정 비율(예, 20%)에 따른 응답 텍스트가 수신되는 때마다 자동으로 키워드 클라우드가 갱신되도록 상기 "기 지정된 개수"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eyword cloud update condition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4, the keyword cloud may be automatically updated. For example, only the reception of the response text and keyword accumulation are performed until a predetermined number of response texts are received (S344), and the keyword cloud update and posting (S352) is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response texts are received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t the "pre-designated number" to automatically update the keyword cloud when a response text is received by the number of questioned letters, or a response text corresponding to a certain percentage (e.g., 20% Quot; predetermined number "so that the keyword cloud is automatically updated every time the keyword cloud is updated.

응답 텍스트의 수신, 리스트-업, 키워드 추출, 키워드 클라우드 갱신 및 게시 동작은 설문 응답이 종료(S370)될 때까지 반복된다.The reception of the response text, the list-up, the keyword extraction, and the keyword cloud update and publishing operations are repeated until the questionnaire response ends (S370).

지금까지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주관식 형태의 설문에 대하여 수신된 응답 텍스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키워드들을 축적하며, 축적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생성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수신된 응답 텍스트들의 리스트와 함께 게시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4는 응답 텍스트가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 실시간 리스트-업 되는 점에서는 공통되나, 키워드 클라우드가 갱신되어 게시되는 시점에서는 서로 다르다. 즉, 도 2에서는 키워드 클라우드가 실시간 갱신되어 게시되고, 도 3에서는 키워드 클라우드가 사용자의 명령이 있는 때 갱신되어 게시되며, 도 4에서는 "기 지정된 개수"의 응답 텍스트가 수신되는 때마다 갱신되어 게시된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하여 이해될 수 있으나, 키워드 클라우드의 갱신 시점 및 갱신된 키워드 클라우드의 디스플레이 게시 시점은 도 2 내지 4를 통하여 설명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키워드 클라우드의 갱신 시점 및 갱신된 키워드 클라우드의 디스플레이 게시 시점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수강자 수와 설문 서비스 서버의 시스템 성능 등을 바탕으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 keyword cloud is extracted from the received response text for a questionnaire of the open-ended type, the keyword is accumulated, and the keyword cloud generated using the accumulated keyword is combined with the received response text list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publishing has been described. 2 to 4 are common in that the response text is listed in real time on the seminar main display, but they are different at the time when the keyword cloud is updated and posted. In FIG. 2, the keyword cloud is updated in real time. In FIG. 3, the keyword cloud is updated and published when the user's command exists. In FIG. 4, d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2 to 4, but the update time of the keyword cloud and the display time of the updated keyword cloud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 update time of the keyword cloud and the display publication time of the updated keyword clou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based on the number of students attending and the system performance of the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by the ordinary technicia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피설문자의 응답 텍스트를 기초로 2차 설문을 진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피설문자의 응답 텍스트에 대한 다른 피설문자의 의견을 설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 각 응답 텍스트의 2차 설문 진행 버튼이 각 응답 텍스트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n example in which a secondary questionnaire is conducted based on the response text of the questionnaires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inion of the other questionnaire on the response text of the questionnaire can be question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econdary survey progress button of each response text may be placed adjacent to each response text on the seminar main display.

예를 들어, 응답 텍스트 "X"에 대한 2차 설문 진행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S380), 응답 텍스트 "X"에 대한 찬반 여부를 묻는 2차 설문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2차 설문 컨텐츠는 피설문 단말에 송신될 것이다(S382). 응답 텍스트 "X"를 송신한 수강자 단말은 상기 2차 설문 컨텐츠의 수신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when a second survey progress button for the response text "X" is input (S380), a second survey content may be generated asking whether or not the answer text "X" The secondary questionnaire contents will be transmitted to the questionnaire terminal (S382).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rner terminal transmitting the response text "X " is excluded from the reception target of the secondary survey cont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응답 텍스트 "X"에 대한 2차 설문 컨텐츠는 응답 텍스트 "X"와 관련된 심화 의견을 묻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2차 설문 컨텐츠는 특정 수강자의 의견을 이용하여 보다 논의를 심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ary survey content for the response text "X" may be to ask for a deepening comment associated with the response text "X ". This second questionnaire content can be used to deepen the discussion by using the opinion of the specific lecturer.

상기 2차 설문 컨텐츠를 수신한 피설문자들은 상기 2차 설문 컨텐츠를 수신하여, "예/아니오" 중 하나로 응답하게 될 것이다(S384). 취합된 예/아니오의 개수는 상기 응답 텍스트 "X"에 인접하게 표시될 수 있다.The questionnaires who have received the secondary questionnaire content will receive the secondary questionnaire content and respond with one of "yes / no" (S384). The number of collected yes / no can be displayed adjacent to the response text "X ".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강사가 수강자의 특정 의견에 대한 다른 수강자의 동의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강자가 어떤 내용을 발표하는 경우, 다른 수강자가 발표된 의견에 동의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다른 수강자로 하여금 손을 들어보게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밖에 없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수강자가 익명성의 보호를 받으면서 자유롭게 다른 수강자의 의견에 대한 찬/반 여부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for the instructor to easily grasp whether another student attends to a specific opinion of the stud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a student attended a presentation, another student attended to the presented opinion, he or she would have had to take other measures such as letting the other student take his hand. According to the example, each lecturer is free from the protection of anonymity, so that it is possible to freely express the opinion of the other lecturer.

도 2 내지 5에 도시된 순서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at least some of the combinations of blocks and flowchart illustrations in the flowchart illustrations shown in FIGS. 2-5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loaded into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so that those instructions, which are executed through a processor of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reby creating means for performing functions.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capable of directing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apparatus to implement the functionality in a particular manner so that the computer usable or computer readable memory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block diagram (s) are also capable of producing manufacturing items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 (s).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may b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to perform the processing equipment t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 (s).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의 수행에 따라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구성예(10)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은, 설문 컨텐츠가 송신된 후 상기 설문 컨텐츠에 대한 응답 텍스트들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응답 텍스트들이 리스트-업 되고 상기 응답 텍스트들의 키워드 클라우드가 표시되는 상황에서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which is an exemplary screen configuration 10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of a semin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10 shown in Fig. 6 is a screen for displaying the response texts listed up and the keyword cloud of the response texts displayed as response texts for the question content are received after the question content is transmitted The seminar in the situation represents the main display screen.

도 6에 도시된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은 설문 서비스 서버에 의하여 생성되고, 설문 서비스 서버에 연결된 강사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조작 신호에 따라 조작될 수 있다.The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10 shown in FIG. 6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a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and input from a teacher terminal connected to a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에는 세미나 주제(12), 설문 내용(11) 등이 표시될 수 있다.Seminar The main display display screen 10 may display a seminar subject 12, a question content 11, and the like.

또한,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에는 수신된 각각의 응답 텍스트들(13, 14, 15, 16)이 리스트-업 될 수 있다. 응답 텍스트들의 리스트-업은 응답 텍스트의 수신 시점에 맞추어 실시간으로 이뤄질 수도 있고, 응답 텍스트 수신이 완료된 이후에 이뤄질 수도 있다. 도 6에는 설명의 편의상 4개의 응답 텍스트들 만이 표시되어 있으나, 응답 텍스트의 개수는 수강자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lso, each of the received response texts 13, 14, 15, 16 may be listed up on the seminar main display screen 10. The list-up of response texts may be don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receipt of the response text, or may be done after the response text reception is completed. In FIG. 6, only four response texts are displayed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number of response texts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attendees.

또한,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에는 수신된 응답 텍스트들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키워드 클라우드(17)가 표시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키워드 클라우드(17)는 각각의 키워드를 추출 빈도에 따라 차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표시된 키워드 클라우드(17)는, "삼성 전자"와 "속도"를 차등화 표시하여, 굵게 표시된 "삼성 전자"라는 키워드가 작은 글씨로 표시된 "속도"라는 키워드 보다 더 많이 추출된 것이라는 점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Also, the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10 may display a keyword cloud 17 that allows the user to grasp the overall flow of the received response texts. As described above, the keyword cloud 17 can display each keyword by differentiating it according to the extraction frequency. For example, in the keyword cloud 17 shown in Fig. 6, the keyword " Samsung Electronics "is displayed by differentiating the" Samsung Electronics "and the" Speed " To be intuitiv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사가 강사 단말의 조작을 통하여 키워드 클라우드(17)의 특정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성 전자"라는 키워드를 클릭하면,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에 "삼성 전자"라는 키워드가 클릭된 응답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응답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instructor can select a specific keyword of the keyword cloud 17 through operation of the instructor terminal. For example, if the keyword "Samsung Electronics" is clicked on, a response list composed of only the response text in which the keyword "Samsung Electronics" is clicked on the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10 can be displayed.

또한,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에는 각 응답 텍스트와 관련된 2차 설문을 진행하기 위한 설문 진행 버튼(130, 140, 150, 160)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1"과 관련된 2차 설문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강사는 강사 단말을 조작하여 "응답 1"과 관견된 설문 진행 버튼(130)을 선택할 수 있다. 설문 서비스 서버는 설문 진행 버튼(130)이 선택되는 경우, "응답 1"을 송신한 피설문 단말을 제외한 수강자 단말에 "응답 1"과 관련된 2차 설문 컨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2차 설문 컨텐츠는 " '응답 1: ~~~~~~'에 동의하십니까? "와 같이 응답 텍스트에 대한 동의 여부를 묻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2차 설문 컨텐츠에 대한 피설문 단말의 응답 중 찬성 개수가 취합되어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에 카운터(131)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10 may further display survey progress buttons 130, 140, 150, and 160 for conducting a second questionnaire related to each response text. For example, if a secondary questionnaire related to "Response 1" is to be made, the instructor can manipulate the instructor terminal to select the questionnaire progression button 130 that is associated with "Response 1 ". When the question button 130 is selected, the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can transmit the second questionnaire contents related to "Response 1 " to the student terminal except for the questionnaire terminal that has sent the" Response 1 ". The second questionnaire content may be in the form of asking whether or not to agree with the response text, such as "Do you agree with 'Response 1: ~~~~~~'?" In this case, the number of affirmative answers among the responses of the questionnair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secondary questionnaire contents may be collected and displayed in the form of the counter 131 on the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10.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설문 컨텐츠는 " '응답 1: ~~~~'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와 같이 응답 텍스트에 대한 심화 의견을 묻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상기 2차 설문 컨텐츠에 대한 2차 응답 텍스트가 다시 수신될 것이다. 상기 2차 응답 텍스트 역시 2차 응답 텍스트에 대한 키워드 클라우드와 함께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의 설문 내용(11)은 상기 2차 설문 컨텐츠로 갱신될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question content may be a form asking for a deepening opinion on the response text, such as "What do you think about response 1: ~~~~?" At this time, The secondary response text for the question content will be received again. The secondary response text may also be displayed on the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10 together with the keyword cloud for the secondary response text, The question content 11 of the display screen 10 will be updated to the second question conten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세미나를 통하여 진행되는 복수의 설문 사이의 내비게이션을 위한 내비게이터(미도시)도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비게이터는 상기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는 표시되지 않고 강사 단말에만 표시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navigator (not shown) for navigating between a plurality of surveys through one seminar can also be included in the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10.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navigator can be displayed only on the instructor terminal without being displayed on the seminar main display.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미나 진행 지원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seminar progress sup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미나 진행 지원 시스템은 강사 단말(100), 설문 서비스 서버(200), 하나 이상의 피설문 단말(300, 302)과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설명의 편의상 설문 대상자 단말이 2개만 존재하나, 본 실시예는 피설문 단말의 개수에 있어서 소정 개수로 제한 되지 않는다.7, the seminar process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lecturer terminal 100, a survey service server 200, one or more surveyed terminals 300 and 302, and a seminar main display 150 have. In FIG. 7, although there are only two survey subject terminal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predetermined number in the number of survey subject terminals.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150)는 강사 단말(100)과 연결되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설문 서비스 서버(200)가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을 생성하여 강사 단말(100)에 제공하고, 강사 단말(100)이 이를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150)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minar main display 150 may be connected to the instructor terminal 100 to display the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1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200 generates a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10 and provides the seminar main display screen 10 to the instructor terminal 100, and the instructor terminal 100 can provide the seminar main display 150 to the seminar main display 1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150)가 설문 서비스 서버(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설문 서비스 서버(200)가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을 생성하여 강사 단말(100) 및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150)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minar main display 150 may be coupled to the survey service server 200. In this case, the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200 may generate a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10 and provide it to the instructor terminal 100 and the seminar main display 150.

피설문 단말(300, 302)는 컴퓨터, UMPC (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의 이동 단말이거나, PC, KIOSK 등의 고정 단말 일 수 있다.The questionnaire terminals 300 and 302 may be a computer, a UMPC (Ultra Mobile PC), a workstation, a netbook,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ortable computer, a web tablet, a mobile terminal such as a wireless phon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 e-book,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r a fixed terminal such as a PC or a KIOSK .

피설문 단말(300, 302)에는 설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설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 받아, 상기 답변을 설문 서비스 서버(200)에 송신하는 설문 뷰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될 수 있다.The questionnaire terminal 300 or 302 may be provided with a questionnaire viewer application that displays questionnaire contents, receives answers to the questions, and transmits 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200.

상기 세미나 진행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이 사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TMP(Real Time Message Protocol)는 설문 서비스 서버(200)와 피설문 단말(300, 302)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과, 설문 서비스 서버(200)와 강사 단말(1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 될 수 있다.One or more protocols may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each device constituting the seminar progress support system. For example, the RTMP (Real Time Message Protocol)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etween the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200 and the questionnaire terminals 300 and 302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etween the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200 and the instructor terminal 100 Can be used.

또한, AMF(Action Message Format) 프로토콜은 미리 구성 된 세미나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설문 대상자 단말을 상기 강의의 기 등록 된 수강자로 자동 설정하는 경우, 상기 강의 목록 조회의 용도로 강사 단말(100)과 설문 서비스 서버(200) 사이에 사용 될 수 있다. 설문 서비스 서버(200)는 AdobeTM-FLEX 환경으로 구현된 강의 관리 시스템과 병합 되어 있거나, 상기 강의 관리 시스템과 연결 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MF (Action Message Format) protocol selects one of the pre-configured seminar lists so that the instructor terminal 100 can be used for the lecture list inquiry when the subject terminal of the questionnaire is automatically set as the pre- And the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200 can be used. The survey service server 200 may be merged with the lecture management system implemented in the Adobe TM -FLEX environment, or may be connected to the lectur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150)와 피설문 단말이 소정의 세미나 실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소정의 세미나 실(400)에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150), 강사 단말(100) 및 피설문 단말(300, 302, 304, 306)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설문 단말이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10)도 표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성되어, 피설문자가 소정의 세미나 실(400)에 모이지 않더라도 세미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설문자가 2대의 단말을 등록하여, 그 중 한대는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로 사용하고 다른 한대는 피설문 단말로 사용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nar main display 150 and the questionnaire terminal may be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eminar room. Referring to FIG. 8, a seminar main display 150, a lecturer terminal 100 and a questionnaire terminal 300, 302, 304, and 306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eminar room 400.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ystem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questionnaire terminal can display the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10 so that the questionnaires can participate in the seminar even if they do not gather in the predetermined seminar room 4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surveyee may register two terminals, one of which may be used as the main display of the seminar and the other as a questionnaire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문 서비스 서버에 대하여 도 9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urvey service ser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설문 서비스 서버(200)는 설문 송신부(202), 응답 수신부(204), 키워드 관리부(206) 및 화면 생성부(208)를 포함할 수 있다.9, the questionnaire service serv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questionnaire transmitting unit 202, a response receiving unit 204, a keyword managing unit 206, and a screen generating unit 208. As shown in FIG.

설문 송신부(202)는 강사 단말(1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피설문 단말에 설문 컨텐츠를 송신한다.The question sending unit 202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instructor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question contents to the question survey terminal.

응답 수신부(204)는 상기 피설문 단말로부터 상기 설문 컨텐츠에 대한 응답 텍스트를 수신한다.The response reception unit 204 receives a response text for the question content from the questionnaire terminal.

키워드 관리부(206)는 상기 수신된 응답 텍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복수개의 상기 응답 텍스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키워드를 축적하며, 상기 축적된 키워드들의 목록인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한다.The keyword management unit 206 extracts one or more keywords from the received response text, accumulates the keywords as a plurality of the response texts are received, and generates a keyword cloud that is a list of the accumulated keywords.

화면 생성부(208)는 상기 응답 텍스트들의 리스트 및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가 배치된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을 생성하여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150)에 제공한다.The screen generation unit 208 generates a list of the response texts and a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in which the keyword cloud is arranged, and provides the seminar main display display screen to the seminar main display 1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문 서비스 서버(200)는 도 10에 도시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설문 서비스 서버(200)는 명령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211), 설문 서비스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장치(213), 메모리(212), 외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2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rvey servic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The survey service server 200 includes a processor 211 for executing instructions, a storage 213 for storing survey service program data, a memory 212, a network interface (NIC) 214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an external device, . ≪ / RTI >

저장 장치(213)는 피설문 단말에 설문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피설문 단말로부터 상기 설문 컨텐츠에 대한 응답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텍스트를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와, 상기 응답 텍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상기 응답 텍스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키워드를 축적하는 단계와, 상기 축적된 키워드들의 목록인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메모리(212)에 로드된 후, 프로세서(211)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저장 장치(213)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은,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된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213 includes a step of transmitting the questionnaire contents to the questionnaire terminal, a step of receiving the response text for the questionnaire contents from the questionnaire terminal, the step of posting the response text on the seminar main display,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extracting one or more keywords from the response text; accumulating the keywords as a plurality of the response texts are received; generating a keyword cloud that is a list of the accumulated keywords;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tep of posting to the main display may be stored and the program may be loaded into the memory 212 and then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211. [ The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213 may perform at least one of the process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5.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강사 단말 100
세미나 메인 디스플레이 150
설문 서비스 서버 200
피설문 단말 300, 302, 304, 306
Instructor terminal 100
Seminar Main Display 150
Survey service server 200
The questionnaire terminal 300, 302, 304, 306

Claims (15)

피설문 단말에 설문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피설문 단말로부터 상기 설문 컨텐츠에 대한 응답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텍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복수개의 상기 응답 텍스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키워드를 축적하는 단계;
상기 축적된 키워드들의 목록인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
Transmitting survey content to a questionnaire terminal;
Receiving a response text for the question content from the questionnaire terminal;
Extracting one or more keywords from the response text;
Accumulating the keyword as the plurality of response texts are received;
Generating a keyword cloud that is a list of the accumulated keywords; And
And publishing the keyword cloud to the main displa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응답 텍스트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receiving the response text comprises publishing the received response text to the main displa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텍스트에 대한 설문 진행 버튼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설문 진행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 받고, 그 응답으로 상기 응답 텍스트를 포함하는 2차 설문 컨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설문 컨텐츠를 상기 피설문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osting a survey progress button for the response text on the main display; And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 user operation for selecting the survey progress button, generating a second survey content including the response text in response thereto,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survey content to the surveyed terminal How to post a questionnair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설문 컨텐츠는 상기 응답 텍스트에 대한 찬성 여부를 묻는 것인,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econd question content is asked whether the answer text is favorabl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설문 단말로부터 상기 2차 설문 컨텐츠에 대한 찬성 여부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찬성 여부 응답 중 찬성 개수를 취합하여,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Receiving a response from the questionnaire terminal as to whether or not the second question content is acceptable; And
Further comprising collecting a number of affirmative answers in the affirmative answer and posting it to the main display.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설문 컨텐츠는 상기 응답 텍스트에 대한 의견을 묻는 것인,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question content is a question about the response tex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설문 단말로부터 상기 2차 설문 컨텐츠에 대한 의견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피설문 단말로부터 상기 2차 설문 컨텐츠에 대한 2차 응답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2차 응답 텍스트를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
상기 2차 응답 텍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2차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복수개의 상기 2차 응답 텍스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2차 키워드를 축적하는 단계;
상기 축적된 키워드들의 목록인 2차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Receiving an opinion on the second question content from the questionnaire terminal;
Receiving a secondary response text for the secondary survey content from the questionnaire terminal;
Posting the secondary response text on a main display;
Extracting one or more secondary keywords from the secondary response text;
Accumulating the secondary keyword as a plurality of secondary response texts are received;
Generating a secondary keyword cloud that is a list of the accumulated keywords; And
And publishing the secondary keyword cloud to the main displa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신규 키워드가 추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가 갱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갱신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실시간 갱신하여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generating the keyword cloud comprises:
Updating the keyword cloud in response to adding a new keyword,
The step of displaying the keyword cloud on the main display includes:
Updating in real time the updated keyword cloud on the main display in response to the keyword cloud being updated, and publishing the posted keyword clou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갱신하는 버튼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
상기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 받고, 그 응답으로 상기 사용자 조작 입력 시점까지 축적되었던 키워드들의 목록을 반영하도록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갱신하여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isplaying a button for updating the keyword cloud on the main display;
Receiving a user operation for selecting the button and updating the keyword cloud to reflect a list of keywords accumulated up to the user operation input time in the response; And
Further comprising updating the updated keyword cloud on the main display and publishing the posted keyword clou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기 지정된 개수의 응답 텍스트가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가 갱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갱신된 키워드 클라우드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실시간 갱신하여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generating the keyword cloud comprises:
Responsive to receiving a pre-specified number of response texts, updating the keyword cloud,
The step of displaying the keyword cloud on the main display includes:
Updating in real time the updated keyword cloud on the main display in response to the keyword cloud being updated, and publishing the posted keyword cloud.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지정된 개수는 피설문자의 수인,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said pre-specified number is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동일 키워드의 추출 회수에 따라, 키워드를 차별화하여 배치하거나 키워드의 폰트를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generating the keyword cloud comprises:
And generating a keyword cloud in which the keywords are differentiated and arr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extracting the same keyword or the font of the keyword is differentiated and display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의 특정 키워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특정 키워드가 추출된 응답 텍스트들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에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설문자 의견 게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a user operation for selecting a specific keyword of the keyword cloud;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osting, on the main display, response texts from which the selected specific keyword is extracted.
피설문 단말에 설문 컨텐츠를 송신하는 설문 송신부;
상기 피설문 단말로부터 상기 설문 컨텐츠에 대한 응답 텍스트를 수신하는 응답 수신부;
상기 응답 텍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복수개의 상기 응답 텍스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키워드를 축적하며, 상기 축적된 키워드들의 목록인 키워드 클라우드를 생성하는 키워드 관리부; 및
상기 응답 텍스트들의 리스트 및 상기 키워드 클라우드가 배치된 메인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을 생성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화면 생성부를 포함하는, 설문 서비스 서버.
A question sending unit for sending question contents to a questionnaire terminal;
A response receiver for receiving a response text for the question content from the questionnaire terminal;
A keyword management unit for extracting one or more keywords from the response text, accumulating the keywords as a plurality of the response texts are received, and generating a keyword cloud as a list of the accumulated keywords; And
And a screen generator for generating a list of the response texts and a main display display screen in which the keyword cloud is arranged and providing the main display display screen to the main display.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설문 단말은 소정의 세미나 실에 설치된 수강자 단말이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는 상기 세미나 실에 설치된 전면 디스플레이인, 설문 서비스 서버.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questionnaire terminal is a learner terminal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seminar room and the main display is a front display installed in the seminar room.
KR1020130075604A 2013-06-28 2013-06-28 Method of posting poll response and a poll service server providing the method thereof KR1018086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604A KR101808631B1 (en) 2013-06-28 2013-06-28 Method of posting poll response and a poll service server providing the method thereof
PCT/KR2014/005728 WO2014209051A1 (en) 2013-06-28 2014-06-27 Method for posting answers of survey respondents to survey and survey service server that supports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604A KR101808631B1 (en) 2013-06-28 2013-06-28 Method of posting poll response and a poll service server providing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49A true KR20150002149A (en) 2015-01-07
KR101808631B1 KR101808631B1 (en) 2017-12-13

Family

ID=5214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604A KR101808631B1 (en) 2013-06-28 2013-06-28 Method of posting poll response and a poll service server providing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8631B1 (en)
WO (1) WO2014209051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974A (en)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솔투온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KR20210062522A (en) * 2019-11-21 2021-05-31 강원오픈마켓 주식회사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user participation keyword selection system
KR20210135728A (en) * 2020-05-06 2021-11-16 청주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Providing Leadership Training Service For School Ope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8668B (en) * 2021-11-19 2022-10-28 深圳市维度数据科技股份有限公司 Industry information display method, system,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042A (en) * 2004-03-26 2005-10-06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Mutual comment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its computer program
KR20060106211A (en) * 2005-04-06 200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image system for interactive and method of contorlling the same
KR20090006499A (en) * 2007-07-12 2009-01-15 이우성 System for real time survey using electric bulletin board
KR101007284B1 (en) * 2008-09-23 2011-01-13 주식회사 버즈니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opinion using internet
JP5516264B2 (en) * 2010-09-16 2014-06-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Questionnaire survey device and questionnaire survey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974A (en) * 2018-07-31 2020-02-10 주식회사 솔투온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and system performing the same
KR20210062522A (en) * 2019-11-21 2021-05-31 강원오픈마켓 주식회사 Control method, device and program of user participation keyword selection system
KR20210135728A (en) * 2020-05-06 2021-11-16 청주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Providing Leadership Training Service For School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9051A1 (en) 2014-12-31
KR101808631B1 (en)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70698B (en) Online teach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Garrett et al. Augmented reality m-learning to enhance nursing skills acquisition in the clinical skills laboratory
Wiecha et al. Learning in a virtual world: experience with using second life for medical education
US20140120511A1 (en) TeachAtCafe - TeaChatCafe, Transparent Digital and Social Media as an Open Network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ool with User Driven Content and Internet Content Submission Capability for Educators and Their Students
US20020076679A1 (en) Web enabled medical device training
KR101770220B1 (en) System for foreign language study service using a virtual reality and method thereof
Clarinval et al. Public displays and citizen participa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genda
CN111405224B (en) Online interac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Anderson et al. Responding in real time: Creating a social media crisis simulator for the classroom
KR101808631B1 (en) Method of posting poll response and a poll service server providing the method thereof
WO2016141089A1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customizable and real-time input, tracking, and feedback of a trainee's competencies
CN107395491A (en) A kind of live interactive tool and its exchange method based on wechat small routine
LaPolla et al. The “Data Visualization Clinic”: a library-led critique workshop for data visualization
Roy et al. Building Immersive Library Environment to Access Virtual Reality Content-A Proposed Framework Model
CN112382151B (en) Online learn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5311920B (en) VR practical training system, method, device, medium and equipment
KR20180066720A (en) Online character based bi-directional coding education and mentoring system via video chatting for mid-high school student
ALTRAD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mobile learning acceptance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of Malaysia: Online based learning
Irizarry et al. Human computer interaction modes for construction education applications: Experimenting with small format interactive displays
Fábregas-Ruesgas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a university learning experience: classroom mode versus distance mode
Alrashidi Synergistic integration between internet of things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for deaf persons in e-learning platform
CN103680233A (en) Interactive group cooperative learning method and system
Penha et al. Ergonomic evaluation of usability with users–application of the technique of cooperative evaluation
US20210272470A1 (en) Digital critique app
KR20140078227A (en) estimation system for vocational aptitu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