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026A -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 - Google Patents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026A
KR20150002026A KR20130075273A KR20130075273A KR20150002026A KR 20150002026 A KR20150002026 A KR 20150002026A KR 20130075273 A KR20130075273 A KR 20130075273A KR 20130075273 A KR20130075273 A KR 20130075273A KR 20150002026 A KR20150002026 A KR 20150002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chamber
auxiliary chamber
drug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운
Original Assignee
이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운 filed Critical 이상운
Priority to KR20130075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026A/ko
Publication of KR20150002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7Separating means having frangi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68Venting means
    • A61J1/2072Venting means for internal ven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제1 약물을 저장하는 메인챔버(C1)와 제2 약물을 보관하는 보조챔버(C2)를 가지되, 상기 보조챔버(C2)가 주사통(注射筒) 형태의 앰플(ampoule)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2 약물의 흐름성이 불량한 경우에도 상기 주사통의 밀대를 이용하여 손쉽게 메인챔버(C1)로 주입하여 제1 약물과 혼합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주사통에 표시된 눈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약물의 주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도 있는 수액백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Medical solution bag kit having auxiliary chamber of syringe type}
본 발명은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제1 약물을 저장하는 메인챔버(C1)와 제2 약물을 보관하는 보조챔버(C2)를 가지되, 상기 보조챔버(C2)가 주사통(注射筒) 형태의 앰플(ampoule)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2 약물의 흐름성이 불량한 경우에도 상기 주사통의 밀대를 이용하여 손쉽게 메인챔버(C1)로 주입하여 제1 약물과 혼합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주사통에 표시된 눈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약물의 주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도 있는 수액백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챔버(Multi-chamber)형 수액백은 하나의 수액용기 내부에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챔버(chamber)가 구비되어 있어서, 각 챔버 마다 제제학적 또는 치료학적 목적이 상이한 다수종의 약물들을 독립적인 환경에서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 직전에 이들 약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멀티챔버 수액백은 대체로 넌-피브이씨(Non-PVC) 재질로 이루어지고, 각 챔버 내부에는 수액류나 항생제, 비타민제 등이 주입되어 있으며, 테두리 실링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약물을 배액하는데 사용되는 배액포트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종래에 소개된 멀티챔버 수액백의 구조를 살펴보면, 예컨대 국내 특허공개 제1996-702292호(1996.04.27.)에는 매트릭스 폴리머와 페이스 폴리머의 두 성분으로 이루어진 다층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된 멀티챔버를 갖는 의료용 백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의료용 백은 고온에서 상기 매트릭스 폴리머를 영구적으로 융착하여 외곽밀봉선을 실링(sealing)하고, 각 챔버들을 구획하는 구획밀봉선은 저온에서 페이스 폴리머만 융착하여서 제조된다.
또한, 국내 특허공개 제2004-106430호(2004.12.27.)에는 내부에 약제를 수용하는 복수개의 챔버들과 상기 챔버들을 서로 분리하는 구획밀봉부를 구비하는 용기몸체와, 상기 챔버들 중 어느 한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형용기를 포함하는 멀티챔버 의료용 용기가 소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획밀봉부는 상기 챔버들이 서로 통합되도록 개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밀봉부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소형용기도 동시에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멀티챔버 수액백들은 대체로 용기본체의 내부공간이 임시밀봉선에 의해 다수개의 독립적인 챔버로 분할되어 있는 구조로서, 수송 또는 보관과정에서 수액백에 다소 강한 압력이 미치게 되면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임시밀봉선이 개방되기도 하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임시밀봉부가 너무 강하게 융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상당한 압력으로 용기본체를 눌러주어도 상기 임시밀봉부가 개방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공개 제2011-124050호(2011.01.16.)에서, 내부에 약물을 저장할 수 있는 메인챔버(C1)가 구비되어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일측 밀봉부에 상기 약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장착된 배액포트와, 상기 용기본체의 타측 밀봉부에 장착되는 실링부재로 이루어진 의료용 수액백 키트를 소개한 바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에는 상기 메인챔버(C1)와 분리된 보조챔버(C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보조챔버(C2)의 하단에는 분리단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분리단부를 절단하면 상기 보조챔버(C2)에 각각 보관된 약물이 메인챔버(C1)로 흘러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국내 특허공개 제1996-702292호(1996.04.27.) 국내 특허공개 제2004-106430호(2004.12.27.) 국내 특허공개 제2011-124050호(2011.01.16.)
상기 특허공개 제2011-124050호(2011.01.16.)에 소개된 수액백 키트는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임시밀봉선이 개방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각 챔버를 통합하려고 해도 임시밀봉선이 잘 개방되지 않는 등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수액백 키트는 상기 분리단부의 내경이 비교적 좁기 때문에 보조챔버(C2) 속에 보관된 약물이 예컨대 시럽제와 같이 흐름성이 불량한 약물이 경우에는 메인챔버(C1) 속으로 잘 흘러나오지 않는 단점이 있고, 나아가 보조챔버(C2)에서 메인챔버(C1)로 주입되는 약물의 주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서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조챔버(C2) 속에 보관된 약물의 흐름성이 불량한 경우에도 이를 메인챔버(C1) 속으로 보다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고, 나아가 보조챔버(C2)에서 메인챔버(C1)로 주입되는 약물의 주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수액백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키트는 제1 약물을 저장하는 메인챔버(C1)와, 상기 메인챔버(C1)와 분리된 저장환경에서 제2 약물을 보관하는 보조챔버(C2)를 가지되, 상기 보조챔버(C2)가 주사통(注射筒) 형태의 앰플(ampoul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수액백 키트는, 메인챔버(C1)를 갖는 용기본체와, 보조챔버(C2)를 갖는 주사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사통은 상기 보조챔버를 갖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일측에 돌출된 배출관과, 상기 보조챔버(C2)에 저장된 약물을 상기 배출관으로 밀어내는 밀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용기본체의 테두리에 한몸으로 실링(sealing) 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챔버(C1) 속으로 돌출되고 출구가 밀폐되어 있는 분리단부와, 상기 분리단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절단홈과, 상기 분리단부의 내부를 막고 있는 차단막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수액백 키트는, 메인챔버(C1)를 갖는 용기본체와, 보조챔버(C2)를 갖는 주사통과,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주사통을 연결하는 접속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사통은 상기 보조챔버(C2)를 갖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일측에 돌출된 배출관과, 상기 보조챔버(C2)에 저장된 제2 약물을 상기 배출관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밀대와, 상기 배출관의 출구를 막고 있는 밀봉캡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의 실링튜브 속에 삽입되어 있는 중공형 관체로서, 상기 메인챔버(C1) 속으로 돌출되고 출구가 밀폐되어 있는 분리단부와, 상기 분리단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절단홈과, 상기 용기본체 밖으로 노출되어 상기 배출관의 출구와 결합하는 접속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따른 수액백 키트는 제제학적 또는 치료학적 목적이 상이한 제1 약물과 제2 약물을 서로 독립적인 환경에서 보관하고 있다가 투약 직전에 이들 두 약물을 혼합하여 투약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따른 수액백 키트는 특히 제2 약물을 보관하고 있는 보조챔버(C2)가 주사통 형태의 앰플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주사통의 밀대를 이용하여 흐름성이 불량한 약물도 손쉽게 메인챔버(C1)로 주입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주사통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을 이용하여 제2 약물의 투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수액백 키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수액백 키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의 수액백 키트에서 주사통(20b)과 접속부재(3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통상적인 기술에 속하거나, 종래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예라 하더라도 기능과 구조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 키트는 제1 약물을 저장하는 메인챔버(C1)와, 상기 메인챔버(C1)와 분리된 저장환경에서 제2 약물을 보관하는 보조챔버(C2)를 가지며, 상기 메인챔버(C1)와 보조챔버(C2)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제1 실시예와, 상기 메인챔버(C1)와 보조챔버(C2)가 분리형으로 구성된 제2 실시예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첨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약물을 저장하는 메인챔버(C1)를 갖는 용기본체(10)와, 상기 메인챔버(C1)와 분리된 환경에서 제2 약물을 저장하는 보조챔버(C2)를 갖는 주사통(20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0)는 통상적인 수액백과 동일한 것으로, 넌-피브이씨(Non-PVC) 재질의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고, 두장의 합성수지 시트를 실링(sealing)하여 형성되는 테두리 부위에는 통상적인 배액포트(12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액포트(12a)는 주사기나 스파이이크(spike)를 꽂아서 메인챔버(C1)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약물을 배액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종래에 개발되어 있는 배액포트 중 어떤 구조의 배액포트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배액포트(12a)는 주사통(20a)와 같은 방향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주사통(20a)와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주사통(20a)는 상기 보조챔버(C2)가 구비된 원통체(21)와, 상기 원통체(21)의 일측에 돌출된 배출관(22a)과, 상기 보조챔버(C2)에 저장된 제2 약물을 상기 배출관(22a)으로 밀어내는 밀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체(21)에는 통상적인 주사기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서 제2 약물의 주입량을 정확하기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22a)은 상기 용기본체(10)의 테두리에 한 몸으로 실링(sealing) 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챔버(C1) 속으로 돌출되어 있는 분리단부(24)를 갖는다. 상기 분리단부(24)는 출구가 밀폐되어 있고, 상기 배출관(22a)에는 둘레방향으로 상기 분리단부(24)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홈(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리단부(24)의 내부에는 차단막(26)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원통체(21)를 붙잡고 배출관(22a)의 분리단부(24)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면, 절단홈(25)이 절단되어 분리단부(24)가 이탈되면서 상기 배출관(22a)의 출구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밀대(23)을 눌러주면, 상기 배출관(22a)을 통해서 보조챔버(C2)에 저장된 제2 약물이 메인챔버(C1) 속으로 배출되어 제1 약물과 혼합된다.
참고로 통상적인 주사기의 경우, 상기 배출관(22a)의 출구가 개방되어 있고 여기에 주사침을 꽂아 사용한다. 상기 밀대(23)의 구조는 통상적인 주사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첨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약물을 저장하는 메인챔버(C1)를 갖는 용기본체(10)와, 상기 메인챔버(C1)와 분리된 환경에서 제2 약물을 저장하는 주사통(20b),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와 주사통(20b)를 연결하는 접속부재(30)로 이루어진다.
먼저 용기본체(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일측 테두리에 실링튜브(11)가 실링되어 있고, 배액포트(12b)가 상기 접속부재(30)의 반대방향에 설치된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실링튜브(11)는 통상적인 수액백에 배액포트를 설치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튜브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특징인 상기 주사통(20b)는 내부에 상기 보조챔버(C2)가 구비된 원통체(21)와, 상기 원통체(21)의 일측에 돌출된 배출관(22b)과, 상기 보조챔버(C2)에 저장된 제2 약물을 상기 배출관(22b)으로 밀어내는 밀대(23)과, 상기 배출관(22b)의 출구를 밀폐하는 밀봉캡(2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재(3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실링튜브(11)에 삽입되는 중공형 관체로서, 상기 메인챔버(C1) 속으로 돌출된 분리단부(31)와, 상기 분리단부(31)를 절단할 수 있도록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절단홈(32)을 갖는다. 상기 분리단부(31)는 상기 실링튜브(11) 밖으로 노출된 상태로 출구가 밀폐되어 있어서, 상기 절단홈(32)을 절단하면 상기 접속부재(3)의 출구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접속단부(33)는 상기 배출관(22b)의 출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부(33)는 상기 실링튜브(11) 밖으로 노출될 수도 있으나, 상기 실링튜브(11)의 단부에서 같은 길이로 마감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주사통(20b)의 배출관(22b)에서 밀봉캡(25)을 분리하고, 상기 배출관(22b)의 출구를 상기 접속부재(30)의 접속단부(33)에 결합한 다음, 상기 원통체(21)를 붙잡고 상기 접속부재(30)의 분리단부(31)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면, 절단홈(32)이 절단되면서 접속부재(30)의 출구가 개방된다. 도 3은 상기 주사통(20b)이 접속부재(3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밀대(23)을 눌러주면, 상기 배출관(22b)과 접속부재(30)를 통해서 보조챔버(C2)에 저장된 제2 약물이 메인챔버(C1) 속으로 배출되어 제1 약물과 혼합된다. 상기 밀대(23)의 구조는 통상적인 주사기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배출관(22b)은 상기 접속단부(33)의 외경부로 삽입되고, 상기 배출관(22b)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단부(33) 속으로 삽입되는 내부 배출관(22b')이 하나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배출관(22b,22b')을 이중 구조로 형성하면, 상기 접속부재(30)에 주사통(20b)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30)의 분리단부(31)는 절단이 용이하도록 원뿔형으로 구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액백 키트는 용기본체(10)와 주사통(20a)이 한 몸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제1 약물과 제2 약물이 항상 동일한 조건에서 보관 또는 취급되며, 따라서 운송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액백 키트는 용기본체(10)와 주사통(20b)이 분리되어 있어서 제1 약물과 제2 약물의 보관 및 취급 조건이 상이한 경우에 사용되며, 특히 필요에 따라 제1 약물과 제2 약물을 다양한 조합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용기본체 11; 실링튜브
12a,12b; 배액포트 20a,20b; 주사통(注射筒)
21; 원통체 22a,22b,22b'; 배출관
23; 밀대 24,31; 분리단부
25,32; 절단홈 26; 차단막
27; 밀봉캡 30; 접속부재
33; 접속단부
C1; 메인챔버(main chamber) C2; 보조챔버(auxiliary chamber)

Claims (4)

  1. 제1 약물을 저장하는 메인챔버(C1)를 갖는 용기본체(10)와, 제2 약물을 저장하는 보조챔버(C2)를 갖는 주사통(20a)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사통(20a)은 상기 보조챔버(C2)를 갖는 원통체(21)와, 상기 원통체(21)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는 배출관(22a)과, 상기 보조챔버(C2)에 저장된 제2 약물을 상기 배출관(22a)으로 밀어내는 밀대(23)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관(22a)은 상기 용기본체(10)의 테두리에 실링(sealing) 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챔버(C1) 속으로 돌출되어 있는 분리단부(24)와, 상기 분리단부(24)를 절단할 수 있도록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절단홈(25)과, 상기 분리단부(24)의 내부를 막고 있는 차단막(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
  2. 제1 약물을 저장하는 메인챔버(C1)를 갖는 용기본체(10)와, 제2 약물을 저장하는 보조챔버(C2)를 갖는 주사통(20b)과, 상기 용기본체(10)와 상기 주사통(20b)을 연결하는 접속부재(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주사통(20b)은 상기 보조챔버(C2)를 갖는 원통체(21)와, 상기 원통체(21)의 일측에 돌출된 배출관(22b)과, 상기 보조챔버(C2)에 저장된 제2 약물을 상기 배출관(22b)으로 밀어낼 수 있는 밀대(23)와, 상기 배출관(22b)의 출구를 밀폐하는 밀봉캡(27)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부재(3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실링튜브(11) 속에 삽입되어 있는중공형 관체로서, 상기 메인챔버(C1) 속으로 돌출되고 출구가 밀폐되어 있는 분리단부(31)와, 상기 분리단부(31)를 절단할 수 있도록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절단홈(32)과, 상기 용기본체(10) 밖에서 상기 배출관(22b)의 출구와 결합하는 접속단부(3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22b)은 상기 실링튜브(11)의 외경부로 삽입되고, 상기 배출관(22b)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단부(33) 속으로 삽입되는 내부 배출관(22b')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에는 상기 주사통(20a,20b)과 나란히 또는 그 반대쪽에 각각 배액포트(12a,12b)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
KR20130075273A 2013-06-28 2013-06-28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 KR20150002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273A KR20150002026A (ko) 2013-06-28 2013-06-28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5273A KR20150002026A (ko) 2013-06-28 2013-06-28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26A true KR20150002026A (ko) 2015-01-07

Family

ID=5247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5273A KR20150002026A (ko) 2013-06-28 2013-06-28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0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908A1 (ko) * 2017-08-25 2019-02-28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의료용 수액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908A1 (ko) * 2017-08-25 2019-02-28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의료용 수액백
KR20190022058A (ko) * 2017-08-25 2019-03-06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의료용 수액백
CN111031994A (zh) * 2017-08-25 2020-04-17 Cj医药健康株式会社 医用输液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2850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US9872962B2 (en) Dual chamber mixing syringe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5017186A (en) Device and method for maintaining sterility of multi-dose medicament vials
US10363375B2 (en) Pre-filled injection device
JP2001112867A (ja) 薬剤入りシリンジ
DK162480B (da) Injektionssproejte
JP2007185319A5 (ko)
JP2697663B2 (ja) 複数薬液混注具
US20170216531A1 (en) Cryosyringe designed for sterile liquid nitrogen freezing, quick thawing and injection of cellular slurries
JP2012085813A (ja) 二室式容器兼用注射器
EP2436411A1 (en) Packaging of delivery device for aseptic filling and distribution
US9833572B2 (en) Modular dual chamber syringe system
KR20150002026A (ko) 주사기형 보조챔버를 갖는 수액백 키트
US20140194827A1 (en) Disposable pre-filled syringe
KR101992055B1 (ko) 단위 체결을 통한 확장형 약액 주사장치
JP4092994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キット
TWI830775B (zh) 預充填注射裝置
JP4656784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4092987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キット
US20190022326A1 (en) Seal member, syringe assembly, and prefilled syringe
JP4114197B2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キット
JP2013022371A (ja) シリンジホルダー及びスパイク針
CN118159475A (zh) 用于将分配器连接到容器的适配器
CN113576910A (zh) 一种储药配药用药装置
JP2004283630A (ja) マルチ針付き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