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671U -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 - Google Patents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671U
KR20150001671U KR2020130008709U KR20130008709U KR20150001671U KR 20150001671 U KR20150001671 U KR 20150001671U KR 2020130008709 U KR2020130008709 U KR 2020130008709U KR 20130008709 U KR20130008709 U KR 20130008709U KR 20150001671 U KR20150001671 U KR 201500016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coil spring
base plate
colum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림
Original Assignee
김보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림 filed Critical 김보림
Priority to KR2020130008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671U/ko
Publication of KR20150001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6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변에 설치되는 교통안내판의 지주의 내부에 탄성이 있는 코일 스프링이 형성되도록 하여 하천변에서 침수에 의하여 교통안내판에 수압 등 과도한 힘이 가해질 경우 교통안내판이 굽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는 하천변의 도로의 바닥 또는 교각에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지주와; 지주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표시판과; 지주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단부가 표시판의 하단부와 결합하거나,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Sign board having springy support structure for riverside way}
본 고안은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변에 설치되는 교통안내판의 지주의 내부에 탄성이 있는 코일 스프링이 형성되도록 하여 하천변에서 침수에 의하여 교통안내판에 수압 등 과도한 힘이 가해질 경우 교통안내판이 굽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책객 또는 자전거가 이용하는 하천변 도로의 일측에는 산책객 또는 자전거를 안내하는 하천변 교통안내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천변의 교통안내판은 하천변 도로 또는 도로의 일측에 있는 기둥, 교각 등의 구조물에 산책객이나 자전거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도로의 방향에 대략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장마철이 있어서 이 시기에 1년 강수량의 80% 이상이 집중적으로 몰림으로써, 장마철에는 하천변 도로와 함께 동시에 하천변에 설치된 교통안내판도 침수되기 때문에, 불어난 물의 빠른 유속 및 수압에 의하여 침수된 하천변 교통안내판이 구부러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0414622호 "도로 경계 표시봉"(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볼록부를 갖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를 도로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받침부재의 볼록부에 대응되는 오목부를 갖고 탄성을 갖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안전지주; 및 상기 안전지주를 상기 받침부재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외부 충격시 상기 받침부재의 볼록부를 따라 상기 안전지주의 오목부가 접촉하면서 미끄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 표시봉."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하천변에 설치되는 교통 안내판의 경우에는 표시판에 수압이 강하게 작용하는데 안전지주(300)의 하단부가 받침부재(100)와 밀착 고정되어 있어, 하천변에서의 사용시에는 수압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젖혀지는 것이 아니라 아치형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결국 표시판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0414622호 "도로 경계 표시봉"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마철에 하천변 도로와 함께 하천변의 교통안내판이 침수되어 불어난 물이 빠른 속도로 흐르면서 침수된 교통안내판에 수압이 작용할 때, 교통안내판의 지주 내부에 구성된 코일 스프링의 탄성으로 수압에 대응하여 지주 또는 안내판이 젖혀지도록 하고, 다시 물의 양이 줄어들어 도로에 교통안내판이 노출되면 다시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정상적인 교통안내판의 기능을 할 수 있어, 집중호우 등에 의하여 하천변의 교통안내판이 침수되더라도 교통안내판이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침수 외에도 자전거 및 보행자 충돌 등 외부의 물리적 충격시에도 지주의 내부에 구성된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다시 원위치로 회복되어 교통안내판이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하천변의 도로의 바닥 또는 교각에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지주와; 지주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표시판과; 지주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단부가 표시판의 하단부와 결합하거나,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지주의 상단부에는 지주를 덮는 덮개 형상의 덮개판이 추가로 구성되고, 덮개판의 상부에 표시판이 결합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가 지주의 하단부보다 더 돌출하여 구성되고, 코일 스프링의 돌출된 부분에는 주름관 형상의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완충작용부재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지주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은 장마철에 하천변 도로와 함께 하천변의 교통안내판이 침수되어 불어난 물이 빠른 속도로 흐르면서 침수된 교통안내판에 수압이 작용할 때, 교통안내판의 지주 내부에 구성된 코일 스프링의 탄성으로 수압에 대응하여 지주 또는 안내판이 젖혀지도록 하고, 다시 물의 양이 줄어들어 도로에 교통안내판이 노출되면 다시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정상적인 교통안내판의 기능을 할 수 있어, 집중호우 등에 의하여 하천변의 교통안내판이 침수되더라도 교통안내판이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침수 외에도 자전거 및 보행자 충돌 등 외부의 물리적 충격시에도 지주의 내부에 구성된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다시 원위치로 회복되어 교통안내판이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도로 경계 표시봉을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1)은 하천변에 설치되는 교통안내판을 복잡한 구성없이 지주(20)의 내부에 탄성이 있는 코일 스프링(40)이 형성되도록 하여 하천변에서 침수에 의하여 교통안내판에 수압 등 과도한 힘이 가해질 경우 교통안내판이 굽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1)은 하천변의 도로(R)의 바닥 또는 교각(P)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지주(20)와, 지주(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표시판(30)과, 지주(2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4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1)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나, 코일 스프링(40)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다르다. 즉, 제1 실시예는 코일 스프링(40)의 하단부만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제2 실시예는 코일 스프링(40)의 상단부만이 표시판(30)의 하부에 결합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사각형, 원형 및 다양한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재질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합성수지, FRP등의 복합소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를 도로(R)의 상부 또는 교각(P) 등의 구조물에 고정부재(11)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한다. 고정부재(11)는 볼트, 앵커 등 공지의 다양한 결합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는 차례로 지주(20)와 표시판(30)이 구성된다. 지주(2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지주(20)의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40)이 고정 결합되어 있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40)이 지주(20)의 전 길이에서 하부로 치우쳐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코일 스프링(40)의 하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표시판(30)은 지주(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데, 코일 스프링(40)과 직접 결합되지는 않고, 지주(20)의 상부에 직접 결합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와 같이 교통안내판(1)이 도로(R)의 상부에 도로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거나, 도 3b와 같이, 교각(P)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수시의 수압 등 외부의 물리적 힘이 가해지면, 지주(20)의 하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결합되지 않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하여 지주(20)가 젖혀지게 되서, 교통안내판(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위가 낮아져서 교통안내판(1)에 가해지는 수압이 제거되면, 지주(20) 내에 구성된 코일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하여 지주(20)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수직한 방향으로 복원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40)의 하단부가 지주(10)의 하단부보다 더 돌출하여 구성되도록 하고, 코일 스프링(40)의 돌출된 부분에는 주름관 형상의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완충작용부재(60)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지주(20)의 하단부 간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지주(20)가 일측 방향으로 젖혀질 때, 지주(20)의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와의 마찰, 접촉 등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하면서 용이하게 젖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지주(20)의 하단부의 이격된 부분에는 코일 스프링(40)의 하단부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완충작용부재(60)를 형성하도록 하여, 지주(20)가 수압 등의 외부의 힘에 의하여 일측 방향으로 젖혀질 때,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된 완충작용부재(60)의 일측이 접혀지면서 용이하게 젖혀지도록 한다. 이때, 완충작용부재(60)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도록 하여, 변형과 복원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사각형, 원형 및 다양한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재질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합성수지, FRP등의 복합소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를 도로의 상부 또는 교각 등의 구조물에 고정부재(11)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한다. 고정부재(11)는 볼트, 앵커 등 공지의 다양한 결합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는 차례로 지주(20)와 표시판(30)이 구성된다. 지주(2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지주(20)의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40)이 고정 결합되어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40)이 지주(20)의 전 길이에서 상부로 치우쳐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코일 스프링(40)의 상단부는 표시판(3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즉, 표시판(30)은 지주(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데, 코일 스프링(40)과 직접 결합되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도 4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수시의 수압 등 외부의 물리적 힘이 가해지면 표시판(30)과 같이 면적이 넓은 부분이 가장 수압을 많이 받게 되기 때문에, 표시판(30)이 수압에 의하여 뒤로 젖혀지게 되는데, 이때, 표시판(30)이 코일 스프링(40)과 직접 결합되어 있어, 코일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하여 표시판(20)이 젖혀지게 되고, 수위가 낮아져서 표시판(30)에 가해지는 수압이 제거되면, 지주(20) 내에 구성된 코일 스프링(40)의 탄성에 의하여 표시판(30)은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수직한 방향으로 복원하게 되어, 교통안내판(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 모두, 지주(20)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주(20)의 상단부에는 지주(20)를 덮는 덮개판(50)이 추가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지주(20)는 알루미늄 또는 다른 금속재로 형성하였을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하여 유연성 및 복원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도록 하여, 복원력을 높임과 동시에 지주(20)의 중앙부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유연하게 구부러지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주(20)의 상단부에는 덮개판(50)을 구성하도록 하여, 지주(20)와 표시판(3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지주(20)의 상단부의 마감을 깔끔하게 처리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표시판(30)이 덮개판(50)의 상부에 결합구성되고, 덮개판(50)이 지주(20)의 상단부에 끼워져 고정결합되도록 하면 되고, 제2 실시예에서는 표시판(30)이 덮개판(50)의 상부에 결합구성되고 덮개판(50)의 하부에 코일 스프링(40)의 상단부가 고정결합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은 장마철에 하천변 도로와 함께 하천변의 교통안내판이 침수되어 불어난 물이 빠른 속도로 흐르면서 침수된 교통안내판에 수압이 작용할 때, 교통안내판의 지주 내부에 구성된 코일 스프링의 탄성으로 수압에 대응하여 지주 또는 안내판이 젖혀지도록 하고, 다시 물의 양이 줄어들어 도로에 교통안내판이 노출되면 다시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정상적인 교통안내판의 기능을 할 수 있어, 집중호우 등에 의하여 하천변의 교통안내판이 침수되더라도 교통안내판이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침수 외에도 자전거 및 보행자 충돌 등 외부의 물리적 충격시에도 지주의 내부에 구성된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다시 원위치로 회복되어 교통안내판이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고정부재
20 : 지주
30 : 표시판
40 : 코일 스프링
50 : 덮개판
60 : 완충작용부재

Claims (4)

  1. 하천변의 도로의 바닥 또는 교각에 고정부재(11)에 의하여 고정되는 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상부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지주(20)와;
    지주(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표시판(30)과;
    지주(2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단부가 표시판(30)의 하단부와 결합하거나,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코일 스프링(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주(20)의 상단부에는 지주(20)를 덮는 덮개판(50)이 추가로 구성되고, 덮개판(50)의 상부에 표시판(30)이 결합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40)의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40)의 하단부가 지주(10)의 하단부보다 더 돌출하여 구성되고, 코일 스프링(40)의 돌출된 부분에는 주름관 형상의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완충작용부재(60)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주(20)는 고무 또는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
KR2020130008709U 2013-10-23 2013-10-23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 KR201500016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709U KR20150001671U (ko) 2013-10-23 2013-10-23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709U KR20150001671U (ko) 2013-10-23 2013-10-23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671U true KR20150001671U (ko) 2015-05-04

Family

ID=5343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709U KR20150001671U (ko) 2013-10-23 2013-10-23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6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8785A (zh) * 2022-04-14 2022-07-29 江为志 一种公路用防撞道口警示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8785A (zh) * 2022-04-14 2022-07-29 江为志 一种公路用防撞道口警示柱
CN114808785B (zh) * 2022-04-14 2023-11-28 江为志 一种公路用防撞道口警示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535410C2 (sv) Böjbar vajerstolpe
KR20150001671U (ko) 굽힘이 가능한 하천변 교통안내판
KR100756544B1 (ko) 차선 규제봉
US1845967A (en) Sign
CN106758797A (zh) 桥梁型钢伸缩缝用嵌缝衬条
JP2012153199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KR101202697B1 (ko) 오탁방지막 구조물
CN210368715U (zh) 具有缓冲功能的路桩
JP5702838B2 (ja) 表示装置
JP2014190050A (ja) 落雪防止装置
CN205999878U (zh) 一种土地沙漠化防风护沙罩
US20150308137A1 (en) Flow Diverting Weir for a Swimming Pool Skimmer
KR20090006649U (ko) 도로 규제 표시봉
KR100891011B1 (ko) 표지판 어셈블리
KR100769554B1 (ko) 교통안전 표시판
JP6938106B2 (ja) 支柱
CN209082386U (zh) 汽车限高警示杆
CN213571655U (zh) 一种公路桥梁限高装置
JP6896334B2 (ja) 支柱
CN207466576U (zh) 一种车辆保险杠组件
JP3189929U (ja) 境界ブロックカバー
KR200453238Y1 (ko) 교통 안전 표지판
KR102300689B1 (ko) 도로표지봉
KR20100087243A (ko) 부러짐을 방지하는 깃대
JP5795891B2 (ja) 表示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