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622U -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622U
KR20150001622U KR2020147000060U KR20147000060U KR20150001622U KR 20150001622 U KR20150001622 U KR 20150001622U KR 2020147000060 U KR2020147000060 U KR 2020147000060U KR 20147000060 U KR20147000060 U KR 20147000060U KR 20150001622 U KR20150001622 U KR 201500016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ctrically connected
energy saving
saving lamp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7000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차우 정
Original Assignee
준차우 정
슈, 시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준차우 정, 슈, 시유 filed Critical 준차우 정
Publication of KR20150001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6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정류기,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에는 전원 처리 유닛 및 상태 전위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상기 정류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 및 전원 처리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이 필요로 하는 전원을 출력하며;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이 정상적으로 작동 시 필요로 하는 정상 상태 전위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이 비정상적으로 작동 시 발생하는 비정상 상태 전위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은 원가가 낮고 전력 소모가 낮으며 신뢰도가 높은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에 적용된다.

Description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Energy-saving light power supply module}
본 발명은 전원 공급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의 환경 보호 의식이 날로 고조되면서, 가까운 미래에 에너지 절감 램프(energy saving lamp), 예를 들면 형광등(fluorescent lamp) 또는 발광 다이오드가 백열등(incandescent lamp)을 대체하여 조명의 주류를 이룰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에 있어서, 형광등의 전류 공급 모듈은 일반적으로 밸러스트(ballast)라 불리고, 발광 다이오드의 전원 공급 모듈은 일반적으로 드라이버(driver)라 불린다.
형광등과 발광 다이오드는 각각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바, 형광등은 고휘도의 장점을 갖고있어 열독에 적합하고, 발광 다이오드는 광선이 아주 밝은 것이 필요없는 상황(예를 들면 수면 시)에 적합하며, 현재 시중에는 양자를 결합시킨 후 스위칭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어 부동한 상황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하는데, 즉 형광등이 필요할 때 형광등으로 스위칭시키고, 발광 다이오드가 필요할 때 발광 다이오드로 스위칭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스위칭 제어 장치는 대부분 릴레이(relay) 및 관련 회로를 사용하여 스위칭 제어를 진행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원가가 비교적 높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높은(약 5~10mA) 반면, 신뢰도가 비교적 낮고 또한 이의 스위칭 제어의 전원 공급 모듈은 단지 상기 원가가 비교적 높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높은 반면, 신뢰도가 비교적 낮은 스위칭 제어 장치에만 적용 가능하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을 제공하는 바, 이는 정류기,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에는,
상기 정류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이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처리 유닛; 및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 및 전원 처리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이 정상적으로 작동 시 필요로 하는 정상 상태 전위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이 비정상적으로 작동 시 발생하는 비정상 상태 전위에 대응하는 상태 전위 유닛;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는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양극이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및
상기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또한,
상기 정류기 및 다이오드의 음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유닛; 및
상기 가동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입력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양극이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및
상기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또한,
상기 정류기 및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 및 상기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양극이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 및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및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식 스위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또한,
상기 정류기 및 다이오드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이어스 유닛; 및
상기 바이어스 유닛, 전자식 스위치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 제어 입력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상기 정류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또한,
상기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입력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상기 정류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또한,
상기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상기 정류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또한,
상기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과전압 보호 입력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상기 정류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또한,
상기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과전류 보호 입력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상기 정류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식 스위치;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상기 전자식 스위치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 제어 입력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양극이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역률 교정 장치; 및
상기 역률 교정 장치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또한,
상기 정류기 및 상기 다이오드의 음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유닛; 및
상기 가동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입력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양극이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역률 교정 장치; 및
상기 역률 교정 장치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또한,
상기 정류기 및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 및 상기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역률 교정 장치; 및
상기 역률 교정 장치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또한,
상기 정류기 및 역률 교정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유닛; 및
상기 가동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입력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역률 교정 장치; 및
상기 역률 교정 장치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또한,
상기 정류기 및 역률 교정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 및 상기 부족 전압 탐지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 및
상기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또한,
상기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유닛; 및
상기 가동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입력단;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승합형 능동 역률 교정 장치에는,
상기 정류기 및 가동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모듈;
양극이 상기 제어 모듈 및 가동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다이오드; 및
상기 승압 다이오드의 음극 및 상기 전원 전환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 및
상기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또한,
상기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 및 상기 부족 전압 탐지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이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에는,
상기 정류기 및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 및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다이오드; 및 상기 승압 다이오드의 음극 및 상기 전원 전환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은 원가가 낮고 전력 소모가 낮으며 신뢰도가 높은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에 적용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블럭도이다.
도2는 쌍안정 멀티-진동자, 초기 상태 셀렉터 및 부근 외부 회로 블럭도이다.
도3은 전기 에너지 저장 유닛 회로 블럭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1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2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3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4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5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6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7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8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9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10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11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12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13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14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18은 정류기 회로도이다.
도19는 초기 상태 셀렉터의 연결 방식1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20은 초기 상태 셀렉터의 연결 방식2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21은 초기 상태 셀렉터의 연결 방식3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22는 초기 상태 셀렉터의 연결 방식4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23은 도4의 회로도 실시예1이다.
도24는 도4의 회로도 실시예2이다.
도25는 도4의 회로도 실시예3이다.
도26은 도4의 회로도 실시예4이다.
도27은 도5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28은 도6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29는 도7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30은 도9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31은 도11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32는 도12의 회로도 실시예1이다.
도33은 도12의 회로도 실시예2이다.
도34는 도13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35는 도15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36은 도16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37은 도17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38은 도4 내지 도8 및 도12 내지 도17의 다이오드식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39는 도9 및 도10의 다이오드식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기술내용은 하기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나, 도면과 상세한 설명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또는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은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10), 교류 전원 장치(20), 스위치(30), 정류기(40),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연결되며,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 및 제2 에너지 절감 램프(60)가 포함되며, 스위치(30)는 교류 전원 장치(20) 및 정류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은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 정류기(40)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은 제2 에너지 절감 램프(60), 정류기(40)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10)는 정류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에는 전원 처리 유닛(742) 및 상태 전위 유닛(744)이 포함된다. 전원 처리 유닛(742)은 정류기(40)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태 전위 유닛(744)은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10) 및 전원 처리 유닛(7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10)에는 전기 에너지 저장 유닛(102), 쌍안정 멀티-진동자(104), 초기 상태 셀렉터(106) 및 스위칭 신호 입력단(108)이 포함된다. 유의하여야 할 바로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10)에 포함된 소자들은 단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어떠한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예를 들면 어떠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됨)라도 모두 본 발명의 응용 분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전기 에너지 저장 유닛(102)은 정류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쌍안정 멀티-진동자(104)는 전기 에너지 저장 유닛(102),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 및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칭 신호 입력단(108)은 전기 에너지 저장 유닛(102)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초기 상태 셀렉터(106)는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있어서, 예를 들면 스위치(30)가 최초로 가동될 때, 제1 에너지 절감 램프(70)가 켜지고, 제2 에너지 절감 램프(80)가 켜지지 않으며, 이어 사전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초) 내에 스위치(30)가 재차(즉 제2차) 가동되면,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가 켜지지 않고, 제2 에너지 절감 램프(80)가 켜지며; 이렇게 유추되어 두 에너지 절감 램프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목적을 이룬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쌍안정 멀티-진동자, 초기 상태 셀렉터 및 부근 외부 회로 블럭도이다. 초기 상태 셀렉터(106)에는 초기 상태 커패시터 유닛(10602)이 포함되고, 초기 상태 커패시터 유닛(10602)의 일단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초기 상태 커패시터 유닛(10602)의 타단은 접지(회로의 접지 또는 도18 내지 도37 및 도39 중의 회로의 공통 연결 위치 B1)된다.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는 제1 저항기(10402), 제2 저항기(10404), 제1 트랜지스터(10406), 제2 트랜지스터(10408), 제3 저항기(10410), 제4 저항기(10412), 제1 다이오드(10414), 제2 다이오드(10416), 제5 저항기(10418), 제6 저항기(10420), 제1 커패시터(10422) 및 제2 커패시터(10424)이 포함된다.
제1 저항기(10402)의 일단은 전기 에너지 저장 유닛(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저항기(10402) 타단은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저항기(10404)의 일단은 전기 에너지 저장 유닛(102) 및 제1 저항기(10402)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저항기(10404)의 타단은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트랜지스터(10406)의 제1단은 제1 저항기(10402)의 타단 및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트랜지스터(10406)의 제3단은 접지(회로의 접지 또는 도18 내지 도37 및 도39 중의 회로의 공통 연결 위치 B1)되며; 제2 트랜지스터(10408)의 제1단은 제2 저항기(10404)의 타단 및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트랜지스터(10408)의 제3단은 접지(회로의 접지 또는 도18 내지 도37 및 도39 중의 회로의 공통 연결 위치 B1)된다.
제3 저항기(10410)의 일단은 제1 트랜지스터(10406)의 제1단, 제1 저항기(10402) 타단 및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저항기(10410)의 타단은 제2 트랜지스터(10408)의 제2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4 저항기(10412)의 일단은 제1 트랜지스터(10406)의 제2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트랜지스터(10412)의 타단은 제2 트랜지스터(10408)의 제1단, 제2 저항기(10404)의 타단 및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다이오드(10414)의 양극은 제1 트랜지스터(10406)의 제2단 및 제4 저항기(10412)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다이오드(10416)의 양극은 제2 트랜지스터(10408)의 제2단 및 제3 저항기(10410)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5 저항기(10418)의 일단은 제1 트랜지스터(10406)의 제1단, 제1 저항기(10402) 타단, 제3 저항기(10410)의 일단 및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5 저항기(10418)의 타단은 제1 다이오드(10414)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6 저항기(10420)의 일단은 제2 다이오드(10406)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6 저항기(10420)의 타단은 제2 트랜지스터(10408)의 제1단, 제2 저항기(10404)의 타단, 제4 저항기(10412)의 타단 및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커패시터(10422)의 일단은 제1 다이오드(10414)의 음극 및 제5 저항기(10418)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커패시터(10422)의 타단은 스위칭 신호 입력단(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커패시터(10424)의 일단은 제2 다이오드(10416)의 음극 및 제6 저항기(10420)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커패시터(10420)의 타단은 스위칭 신호 입력단(108) 및 제1 커패시터(10422)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초기 상태 커패시터 유닛(10602)이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의 일측에 연결될 때(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 커패시터 유닛(10602)의 일단이 제1 트랜지스터(10406)의 제1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초기 상태 커패시터 유닛(10602)의 타단이 회로의 접지 또는 도18 내지 도37 및 도39 중의 회로의 공통 연결 위치 B1에 전기적으로 연결됨), 또는 제2 트랜지스터(10408)의 제2단에 연결될 때(즉 초기 상태 커패시터 유닛(10602)의 일단이 제2 트랜지스터(10408)의 제2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초기 상태 커패시터 유닛(10602)의 타단이 회로의 접지 또는 도18 내지 도37 및 도39 중의 회로의 공통 연결 위치 B1에 전기적으로 연결됨), 스위치(30)가 최초로 가동될 때,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은 저전위(또는 0 전위)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은 고전위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초기 상태 커패시터 유닛(10602)이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의 일측에 연결될 때(즉 초기 상태 커패시터 유닛(10602)의 일단이 제2 트랜지스터(10408)의 제1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초기 상태 커패시터 유닛(10602)의 타단이 회로의 접지 또는 도18 내지 도37 및 도39 중의 회로의 공통 연결 위치 B1에 전기적으로 연결됨), 또는 제1 트랜지스터(10406)의 제2단에 연결될 때(즉 초기 상태 커패시터 유닛(10602)의 일단이 제1 트랜지스터(10406)의 제2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초기 상태 커패시터 유닛(10602)의 타단이 회로의 접지 또는 도18 내지 도37 및 도39 중의 회로의 공통 연결 위치 B1에 전기적으로 연결됨), 스위치(30)가 최초로 가동될 때,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은 고전위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은 저전위(또는 0 전위)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이로써 초기 상태 선택의 기능을 구현하고 또한 스위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도 2에 있어서,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은 또한 제2 저항기(10404), 제4 저항 유닛(10412), 제2 트랜지스터(10408) 및 제6 저항기(10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과의 동일 측에서 제1 저항기(10402), 제3 저항기(10410), 제1 트랜지스터(10406), 제5 저항기(10418) 및 초기 상태 셀렉터(10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가 켜지기 위한 조건으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이 고전위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야 하는 것이고, 제2 에너지 절감 램프(60)가 켜지기 위한 조건으로는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이 저전위(또는 0 전위)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야 하는 것이며; 또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가 켜지기 위한 조건으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이 저전위(또는 0 전위)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야 하는 것이고, 제2 에너지 절감 램프(60)가 켜지기 위한 조건으로는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이 고전위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야 하는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이는 전기 에너지 저장 유닛 회로 블럭도이다. 전기 에너지 저장 유닛(102)에는 제7 저항기(10202), 제8 저항기(10204), 제3 커패시터(10206), 제3 다이오드(10208), 제4 커패시터 유닛(10210) 및 제너 다이오드(10212)가 포함된다.
제7 저항기(10202)의 일단은 정류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7 저항기(10202)의 타단은 스위칭 신호 입력단(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8 저항기(10204)의 일단은 제7 저항기(10202)의 타단 및 스위칭 신호 입력단(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8 저항기(10204)의 타단은 접지(회로의 접지 또는 도18 내지 도37 및 도39 중의 회로의 공통 연결 위치 B1)되며; 제3 트랜지스터(10206)의 일단은 제7 저항기(10202)의 타단, 제8 저항기(10204)의 일단 및 스위칭 신호 입력단(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트랜지스터(10206)의 타단은 접지(회로의 접지 또는 도18 내지 도37 및 도39 중의 회로의 공통 연결 위치 B1)된다.
제3 다이오드(10208)의 양극은 제7 저항기(10202)의 타단, 제8 저항기(10204)의 일단, 제3 커패시터(10206)의 일단 및 스위칭 신호 입력단(1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다이오드(10208)의 음극은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4 커패시터 유닛(10210)의 일단은 제3 다이오드(10208)의 음극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커패시터 유닛(10210)의 타단은 접지(회로의 접지 또는 도18 내지 도37 및 도39 중의 회로의 공통 연결 위치 B1)되며; 제너 다이오드(10212)의 음극은 제3 다이오드(10208)의 음극, 쌍안정 멀티-진동자(104) 및 제4 커패시터 유닛(10210)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너 다이오드(10212)의 양극은 접지(회로의 접지 또는 도18 내지 도37 및 도39 중의 회로의 공통 연결 위치 B1)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1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4와 도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다이오드(702),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유닛(704) 및 전원 전환 유닛(706)이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가동 유닛(708), 가동 입력단(710)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포함된다.
다이오드(702)의 양극은 정류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유닛(704)은 다이오드(702)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전환 유닛(706)은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유닛(704)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가동 유닛(708)은 정류기(708) 및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동 입력단(710)은 가동 유닛(708) 및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가동 입력단(710)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2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5와 도 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다이오드(702),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유닛(704) 및 전원 전환 유닛(706)이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포함된다.
다이오드(702)의 양극은 정류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유닛(704)은 다이오드(702)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전환 유닛(706)은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유닛(704)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은 정류기(708) 및 다이오드(702)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은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 및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3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6과 도 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다이오드(702),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유닛(704) 및 전자식 스위치(718)가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바이어스 유닛(720), 스위치 제어 입력단(722)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포함된다.
다이오드(702)의 양극은 정류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유닛(704)은 다이오드(702)의 양극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전자식 스위치(718)는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바이어스 유닛(720)은 정류기(40) 및 다이오드(702)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 제어 입력단(722)은 바이어스 유닛(720) 및 전자식 스위치(7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스위치 제어 입력단(722)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식 스위치(718)에는 또한 전류 제한 저항 유닛(R37)이 포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4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7과 도 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전원 전환 유닛(706)이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가동 입력단(710)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포함된다.
전원 전환 유닛(706)은 정류기(40)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가동 입력단(710)은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가동 입력단(710)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5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8과 도 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전원 전환 유닛(706)이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포함된다.
전원 전환 유닛(706)은 정류기(40)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은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6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9와 도 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전원 전환 유닛(706)이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과전압 보호 입력단(724)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포함된다.
전원 전환 유닛(706)은 정류기(40)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과전압 보호 입력단(724)은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과전압 보호 입력단(724)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7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10과 도 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전원 전환 유닛(706)이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과전류 보호 입력단(726)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포함된다.
전원 전환 유닛(706)은 정류기(40)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과전류 보호 입력단(726)은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과전류 보호 입력단(726)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8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11과 도 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전자식 스위치(718)가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스위치 제어 입력단(722)이 포함된다.
전자식 스위치(718)는 정류기(40)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스위치 제어 입력단(722)은 전자식 스위치(18)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식 스위치(718)에는 또한 전류 제한 저항 유닛(R6)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9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12와 도 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다이오드(702), 역률 교정 장치(728) 및 전원 전환 유닛(706)이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가동 유닛(708), 가동 입력단(710)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포함된다.
다이오드(702)의 양극은 정류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역률 교정 장치(728)는 다이오드(702)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전환 유닛(706)은 역률 교정 장치(728)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가동 유닛(708)은 정류기(40) 및 다이오드(7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동 입력단(710)은 가동 유닛(708) 및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가동 입력단(710)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10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13과 도 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다이오드(702), 역률 교정 장치(728) 및 전원 전환 유닛(706)이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포함된다.
다이오드(702)의 양극은 정류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역률 교정 장치(728)는 다이오드(702)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전환 유닛(706)은 역률 교정 장치(728)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은 정류기(40) 및 다이오드(702)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은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 및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2)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11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14와 도 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역률 교정 장치(728) 및 전원 전환 유닛(706)이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가동 유닛(708), 가동 입력단(710)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포함된다.
역률 교정 장치(728)는 정류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전환 유닛(706)은 역률 교정 장치(728)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가동 유닛(708)은 정류기(40) 및 역률 교정 장치(7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동 입력단(710)은 가동 유닛(708) 및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가동 입력단(710)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12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15와 도 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역률 교정 장치(728) 및 전원 전환 유닛(706)이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포함된다.
역률 교정 장치(728)는 정류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전환 유닛(706)은 역률 교정 장치(728)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은 정류기(40) 및 역률 교정 장치(7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은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 및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13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16과 도 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734) 및 전원 전환 유닛(706)이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가동 유닛(708), 가동 입력단(710)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포함된다.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734)에는 제어 모듈(736), 승압 다이오드(738) 및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740)이 포함된다.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734)는 정류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전환 유닛(706)은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734)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가동 유닛(708)은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7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가동 입력단(710)은 가동 유닛(708) 및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가동 입력단(710)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모듈(736)은 정류기(40) 및 가동 유닛(7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승압 다이오드(738)의 양극은 제어 모듈(736) 및 가동 유닛(7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740)은 승압 다이오드(738)의 음극 및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의 제14 실시예 블럭도이다. 도 17과 도 1의 동일한 소자의 전기적 연결 및 전기적 흐름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전원 처리 유닛(742)에는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734) 및 전원 전환 유닛(706)이 포함되고; 상태 전위 유닛(744)에는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포함된다.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734)에는 제어 모듈(736), 승압 다이오드(738) 및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740)이 포함된다.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734)는 정류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전환 유닛(706)은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734)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도면에서는 제1 에너지 절감 램프(50)에 연결됨);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은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7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은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 및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 및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모듈(736)은 정류기(40) 및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승압 다이오드(738)의 양극은 제어 모듈(736) 및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7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740)은 승압 다이오드(738)의 음극 및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 처리 유닛(742)은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이 필요로 하는 전원을 출력한다. 상태 전위 유닛(744)은 전원 처리 유닛(742)이 정상적으로 작동(또는 정상 상태) 시(최초의 정상적인 가동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작동할 때까지 포함) 필요로 하는 정상 상태 전위를 제공하거나, 또는 전원 처리 유닛(742)이 비정상적으로 작동(또는 비정상적 상태) 시(최초의 가동 전으로부터 작동할 때까지 포함) 발생하는 비정상 상태 전위에 대응하며; 전원 처리 유닛(742)이 가동(start-up) 상태에 처한 것을 예로 들면, 상태 전위 유닛(744)이 제공하거나 대응하는 상태 전위는 가동에 필요한 전위(또는 가동 전압)일 수 있으며; 전원 처리 유닛(742)이 작동 상태에 처할 때, 상태 전위 유닛(744)이 제공 또는 대응하는 상태 전위는 탐지 전위(또는 탐지 전압, 예를 들면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전압, 과전압 보호 탐지 전압 및 과전류 보호 탐지 전압 등, 하지만 제한되지 않음)일 수 있다.
상기 부족 전압 록아웃(UVLO, under-voltage lockout)의 기능은 전원 처리 유닛(742)의 입력 전압이 지나치게 낮을 때, 전원 처리 유닛(742)이 보호성 록아웃(protective lockout)을 발생시켜 전원 처리 유닛(742)이 전원 출력을 정지키는 것이며; 과전압 보호 기능은 전원 처리 유닛(742)의 출력 전압이 지나치게 높을 때, 전원 처리 유닛(742)이 전원 출력을 정지시키는 것이며; 과전류 보호 기능은 전원 처리 유닛(742)의 출력 전류가 지나치게 클 때, 전원 처리 유닛(742)이 전원 출력을 정지시키는 것이며; 다시 말하면, 전원 처리 유닛(742)이 정상적으로 작동(또는 정상 상태)일 때, 가동 전위 또는 탐지 전위는 반드시 사전 설정된 정상 전위값이어야 한다. 일 실시예의 스위칭 방식으로는,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10)가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를 통하여 상태 전위 유닛(744)으로 비정상적 전위값을 출력시켜 전원 처리 유닛(742)으로 하여금 전원 출력을 정지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10)가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를 통하여 상태 전위 유닛(744)으로 비정상적 전위값을 출력시키는 것을 정지하여 전원 처리 유닛(742)으로 하여금 정상적으로 전원 출력을 진행하도록 하며; 이로써 부동한 에너지 절감 램프를 스위칭하는 목적을 이룬다.
도 4 내지 도 17은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 또는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이 각각 여러 가지 회로 구조를 갖고 또한 서로 부동한 조합을 진행할 수 있을 보여주며; 예를 들면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의 회로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고,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의 회로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으며; 또 예를 들면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의 회로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고,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의 회로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으며; 다시 예를 들면 제1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70)의 회로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고, 제2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80)의 회로 구조도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의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트랜지스터식 또는 다이오드식일 수 있으며; 도9 및 도10의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에는 보조 전원 및 일방향 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트랜지스터식 또는 다이오드식일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39를 참조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B1은 회로의 공통 연결 위치 또는 회로의 접지이며; Al, CTRLA 및 CTRL_B는 명칭이 A1인 회로 연결성, 명칭이 CTRL_A인 회로 연결선 및 명칭이 CTRL_B인 회로 연결선을 나타내며, 동일한 명칭을 갖는 회로 연결선의 회로도에서 동일한 명칭을 갖는 회로 연결선은 서로 전기적 연결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도 18은 정류기(40)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 19는 초기 상태 셀렉터(106)의 연결 방식1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 20은 초기 상태 셀렉터(106)의 연결 방식2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 21은 초기 상태 셀렉터(106)의 연결 방식3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 22는 초기 상태 셀렉터(106)의 연결 방식4의 회로도 실시예이다.
도 23은 도 4의 회로도 실시예 1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형광등(Fluorescent Lamp)이고, 전원 전환 유닛(706)은 개별(discrete) 소자로 구성되며, 코일 T1A, TIB 및 TIC는 동일한 변압기에 위치한다.
도 24는 도 4의 회로도 실시예2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형광등이고, 전원 전환 유닛(706)에는 제어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U5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 집적 회로 U5는 IR(International Rectifier)사에서 생산한 IR2520D 제어 집적 회로이다.
도 25는 도 4의 회로도 실시예 3으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발광 다이오드(LED)이고, 상기 전원 전환 유닛(706)은 개별 소자로 구성되며, 코일 T7A, T7B 및 T7C는 동일한 변압기에 위치한다.
도 26은 도 4의 회로도 실시예 4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발광 다이오드이고, 전원 전환 유닛(706)에는 제어 집적 회로 U1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 집적 회로 U1은 iWatt유한회사에서 생산한 iW1692 제어 집적 회로이고, 코일 T2A, T2B 및 T2C는 동일한 변압기에 위치한다.
도 27은 도 5의 회로도 실시예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발광 다이오드이고, 전원 전환 유닛(706)에는 제어 집적 회로 U2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 집적 회로 U2는 맥심(Maxim)사에서 생산한 MAX16801B 제어 집적 회로이고, 코일 T4A, T4B 및 T4C는 동일한 변압기에 위치한다.
도28은 도6의 회로도 실시예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발광 다이오드이다.
도29는 도7의 회로도 실시예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발광 다이오드이고, 전원 전환 유닛(706)에는 제어 집적 회로 U3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 집적 회로 U3은 맥티테크(Maxictech)유한회사에서 생산한 MT7920 제어 집적 회로이고, 코일 T5A, T5B 및 T5C는 동일한 변압기에 위치한다.
도30은 도9의 회로도 실시예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발광 다이오드이고, 전원 전환 유닛(706)에는 제어 집적 회로 U4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 집적 회로 U4는 맥티테크(Maxictech)유한회사에서 생산한 MT7920 제어 집적 회로이고, 코일 T6A, T6B 및 T6C는 동일한 변압기에 위치한다.
도31은 도11의 회로도 실시예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발광 다이오드이다.
도32는 도12의 회로도 실시예1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형광등이고, 전원 전환 유닛(706)은 개별 소자로 구성되며, 역률 교정 장치(728)는 수동 역률 교정 장치이고, 코일 T9A, T9B 및 T9C는 동일한 변압기에 위치한다.
도33은 도12의 회로도 실시예2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형광등이고, 전원 전환 유닛(706)은 개별 소자로 구성되며, 역률 교정 장치(728)는 능동 역률 교정 장치이고, 역률 교정 장치(728)에는 제어 집적 회로 U6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 집적 회로 U6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사에서 생산한 L6562 제어 집적 회로이고, 코일 T3A, T3B 및 T3C는 한 변압기에 위치하며; 코일 T8A 및 T8B는 다른 한 변압기에 위치한다.
도34는 도13의 회로도 실시예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발광 다이오드이고, 전원 전환 유닛(706)에는 제어 집적 회로 U8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 집적 회로 U8은 맥심(Maxim)사에서 생산한 MAX16801B 제어 집적 회로이며, 역률 교정 장치(728)는 수동 역률 교정 장치이고, 코일 T14A, T14B 및 T14C는 동일한 변압기에 위치한다.
도35는 도15의 회로도 실시예2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형광등이고, 전원 전환 유닛(706)에는 제어 집적 회로 U10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 집적 회로 U10은 맥심(Maxim)사에서 생산한 MAX16801B 제어 집적 회로이고, 역률 교정 장치(728)는 능동 역률 교정 장치이며, 역률 교정 장치(728)에는 제어 집적 회로 U9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 집적 회로 U9는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사에서 생산한 L6562 제어 집적 회로이며, 코일 T16A, T16B 및 T16C는 한 변압기에 위치하며; 코일 T15A 및 T15B는 다른 한 변압기에 위치한다.
도36은 도16의 회로도 실시예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형광등이고, 전원 전환 유닛(706)은 개별 소자로 구성되며, 제어 모듈(736)에는 제어 집적 회로 U7이 포함되며, 상기 제어 집적 회로 U7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사에서 생산한 L6562 제어 집적 회로이고, 코일 T12A, T12B 및 T12C는 한 변압기에 위치하며; 코일 T11A 및 T11B는 다른 한 변압기에 위치한다.
도 37은 도 17의 회로도 실시예2로서, 그 중에서,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52)은 형광등이고, 전원 전환 유닛(706)에는 제어 집적 회로 U12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 집적 회로 U12는 맥심(Maxim)사에서 생산한 MAX16801B 제어 집적 회로이고, 제어 모듈(736)에는 제어 집적 회로 U11이 포함되고, 상기 제어 집적 회로 U11은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사에서 생산한 L6562 제어 집적 회로이며, 코일 T18A, T18B 및 T18C는 한 변압기에 위치하며; 코일 T17A 및 T17B는 다른 한 변압기에 위치한다.
도 19 내지 도 22의 회로도 중의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T1, T2, T3, Τ4, Τ5, Τ6, Τ7 및 Τ8은 또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Effect Transistor, FET)로 교체시켜 상기와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의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트랜지스터식 또는 다이오드식일 수 있으며, 나아가 설명을 진행하면, 도 23 내지 도 29 및 도 32 내지 도 37의 회로도에서의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트랜지스터식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이고, 여기에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회로도 중의 부호는 각각 Q12, Q21, Q22, Q14, Q19, Q17, Q20, Q26, Q8, Q36, Q38, Q29, Q41) 및 베이스(base) 저항 유닛(회로도 중의 부호는 각각 R61, R71, R72, R62, R67, R65, R69, R99, R78, R141, R149, Rlll, 166)이 포함되며, 상기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회로도 중의 부호는 각각 Q12, Q21, Q22, Q14, Q19, Q17, Q20, Q26, Q8, Q36, Q38, Q29, Q41)는 다이오드로 교체시킬 수 있고, 이때 베이스 저항 유닛(회로도 중의 부호는 각각 R61, R71, R72, R62, R67, R65, R69, R99, R78, R141, R149, 11R166)은 제거되고 직접 도선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도 38을 참조하면, 이는 상기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의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의 다이오드 방식의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의 회로도 실시예로서, 다이오드(D98)의 음극이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의 CTRL_A 또는 CTRL_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이오드(D98)의 양극은 가동 입력단(710) 또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732) 또는 스위치 제어 입력단(7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23 내지 도29 및 도32 내지 도37의 회로도 중의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회로도 중의 부호는 각각 Q12, Q21, Q22, Q14, Q19, Q17, Q20, Q26, Q8, Q36, Q38, Q29, Q41)도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교체시킬 수 있고, 이때 베이스 저항 유닛(회로도 중의 부호는 각각 R61, R71, R72, R62, R67, R65, R69, R99, R78, R141, R149, 11R166)은 제거되고 직접 도선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도 9 및 도 10의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에는 보조 전원 및 일방향 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은 트랜지스터 방식 또는 다이오드 방식일 수 있으며, 나아가 설명을 진행하면, 도30 중의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트랜지스터 방식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이고, 여기에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회로도 중의 부호는 Q10) 및 베이스(base) 저항 유닛(회로도 중의 부호는 R49)이 포함되며, 상기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Q10)는 다이오드로 교체시킬 수 있고, 이때 베이스 저항 유닛(R49)은 제거되고 직접 도선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도 39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 도 9 및 도 10의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의 다이오드 방식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의 회로도 실시예로서, 다이오드(D99)의 음극은 쌍안정 멀티-진동자(104)의 CTRL_A 또는 CTRL_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이오드(D99)의 양극은 다이오드(D100)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도 30의 회로도 중의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Q10)도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교체시킬 수 있고, 이때 베이스 저항 유닛(R49)은 제거되고 직접 도선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상기 도 9 및 도 10의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712)에는 보조 전원 및 일방향 회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나아가 설명을 진행하면,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전원에는 저항(R57), 저항(R58) 및 커패시터(C40)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일방향 회로에는 저항(D40)이 포함될 수 있으며; 도 39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 전원에는 저항(R97), 저항(R109) 및 커패시터(C133)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일방향 회로에는 다이오드(D1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로도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방식을 제공하고 또한 전원 전환 유닛(706)이 개별 소자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원 전환 유닛(706)에 제어 집적 회로가 포함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역률 교정 장치(728)는 능동 또는 수동 역률 교정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라면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을 제공하는 바 이는 원가가 낮고 전력 소모가 낮으며 신뢰도가 높은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에 적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전원 처리 유닛 742
상태 전위 유닛 744

Claims (16)

  1. 정류기,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과 연결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에는,
    상기 정류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이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처리 유닛; 및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 및 전원 처리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이 정상적으로 작동 시 필요로 하는 정상 상태 전위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이 비정상적으로 작동 시 발생하는 비정상 상태 전위에 응답하는 상태 전위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가 포함되고,
    상기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는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에는,
    양극이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및
    상기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에는,
    상기 정류기 및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유닛; 및
    상기 가동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입력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양극이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및
    상기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정류기 및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 및
    상기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양극이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 및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 필터 커패시터; 및
    상기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식 스위치가 포함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정류기 및 다이오드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이어스 유닛; 및
    상기 바이어스 유닛, 전자식 스위치,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 제어 입력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상기 정류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입력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상기 정류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상기 정류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과전압 보호 입력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상기 정류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과전류 보호 입력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상기 정류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식 스위치가 포함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전자식 스위치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스위칭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 제어 입력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양극이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역률 교정 장치; 및
    상기 역률 교정 장치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정류기 및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유닛; 및
    상기 가동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입력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양극이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역률 교정 장치; 및
    상기 역률 교정 장치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정류기 및 상기 다이오드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유닛; 및
    상기 가동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입력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양극이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이오드.
  1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역률 교정 장치; 및
    상기 역률 교정 장치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정류기 및 역률 교정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 및
    상기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1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 및
    상기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유닛; 및
    상기 가동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및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동 입력단이 포함되고,
    상기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는,
    상기 정류기 및 가동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모듈;
    양극이 상기 제어 모듈 및 가동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다이오드; 및
    상기 승압 다이오드의 음극 및 상기 전원 전환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1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처리 유닛은,
    상기 정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 및
    상기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 및 에너지 절감 램프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전환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상태 전위 유닛은,
    상기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 및
    상기 부족 전압 탐지 유닛, 전원 전환 유닛, 분할식 제어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족 전압 록아웃 입력단이 포함되고,
    상기 승압형 능동 역률 교정기는,
    상기 정류기 및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 및 부족 전압 록아웃 탐지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승압 다이오드; 및
    상기 승압 다이오드의 음극 및 상기 전원 전환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KR2020147000060U 2012-06-14 2013-06-14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KR2015000162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20284181.1 2012-06-14
CN2012202841811U CN202750267U (zh) 2012-06-14 2012-06-14 节能灯电源供应模组
PCT/CN2013/077248 WO2013185631A1 (zh) 2012-06-14 2013-06-14 节能灯电源供应模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622U true KR20150001622U (ko) 2015-04-28

Family

ID=4770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7000060U KR20150001622U (ko) 2012-06-14 2013-06-14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50137690A1 (ko)
EP (1) EP2863716A4 (ko)
JP (1) JP3198077U (ko)
KR (1) KR20150001622U (ko)
CN (1) CN202750267U (ko)
AU (1) AU2013275933A1 (ko)
BR (1) BR112014030080A2 (ko)
IN (1) IN2014DN10303A (ko)
RU (1) RU154683U1 (ko)
TW (1) TWM464595U (ko)
WO (1) WO2013185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750267U (zh) * 2012-06-14 2013-02-20 许秀玉 节能灯电源供应模组
CN202750278U (zh) * 2012-06-14 2013-02-20 许秀玉 节能灯切换装置及切换式节能灯电源供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1035A (en) * 1974-01-15 1975-11-18 Esquire Inc Solid state switching circuit
US6456015B1 (en) * 1996-10-16 2002-09-24 Tapeswitch Corporation Inductive-resistive fluorescent apparatus and method
US7479757B2 (en) * 2004-05-27 2009-01-20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a cooling system
CA2604790A1 (en) * 2005-04-14 2006-10-19 Patent-Treuhand-Gesellschaft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Device for operating or igniting a high-pressure discharge lamp, lamp base and lighting system with such a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high-pressure discharge lamp
US20080290814A1 (en) * 2006-02-07 2008-11-27 Leong Susan J Power Controls for Tube Mounted Leds With Ballast
WO2009063984A1 (ja) * 2007-11-14 2009-05-2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CN201226605Y (zh) * 2008-07-17 2009-04-22 上海绿源电器有限公司 家居照明吸顶灯电路
US20100148673A1 (en) * 2008-12-12 2010-06-17 Glenn Stewart LED Replacement Light For Fluorescent Lighting Fixtures
DE102010029095A1 (de) * 2010-05-19 2011-11-24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euervorrichtung für eine Schaltungsanordnung zum Betreiben einer Lichtquelle zum Einstellen eines ersten und eines zweiten Beleuchtungsstatus, System aus einer ersten Schaltungsanordnung zum Betreiben einer Lichtquelle zum einstellen eines ersten und eines zweiten Beleuchtungsstatus, einer zweiten Schaltungsanordnung zum Betreiben einer Entladungslampe und einer derartigen Steue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ichtquelle zum Einstellen eines ersten und eines zweiten Beleuchtungsstatus
CN202150977U (zh) * 2011-08-04 2012-02-22 深圳天玄光电有限公司 照明装置控制电路模组
CN202750267U (zh) * 2012-06-14 2013-02-20 许秀玉 节能灯电源供应模组
CN202750278U (zh) * 2012-06-14 2013-02-20 许秀玉 节能灯切换装置及切换式节能灯电源供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3716A1 (en) 2015-04-22
AU2013275933A1 (en) 2014-11-06
CN202750267U (zh) 2013-02-20
TWM464595U (zh) 2013-11-01
BR112014030080A2 (pt) 2017-06-27
US20150137690A1 (en) 2015-05-21
WO2013185631A1 (zh) 2013-12-19
RU154683U1 (ru) 2015-08-27
IN2014DN10303A (ko) 2015-08-07
JP3198077U (ja) 2015-06-18
EP2863716A4 (en)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9807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circuit
US20150207307A1 (en) Boost apparatus with over-current and over-voltage protection function
US9125273B2 (en) Load driving apparatus relating to light-emitting-diodes
CN101144851B (zh) 电源供应器检测装置
CN111212497B (zh) 驱动电路
CN102213730B (zh) 低压报警电路
KR20150001622U (ko) 에너지 절감 램프 전원 공급 모듈
US20130241521A1 (en) Voltage stabiliz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8072162B2 (en) Bi-direction constant current device
US10568168B1 (en) Lighting system
CN112351551A (zh) 调光电路
US20150091443A1 (en) Load driving apparatus with current balance function
JP2015153473A (ja) 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5632732B2 (ja) 発光ダイオード点灯装置及び該発光ダイオード点灯装置を用いた照明装置
RU2356083C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я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WO2013185632A1 (zh) 节能灯切换装置及切换式节能灯电源供应装置
JP2016082044A (ja) Ledモジュール及びled照明装置
US10225894B2 (en) Electrical load driving device
JP2015002104A (ja) Led点灯回路及びled照明装置
US10103538B1 (en) Surge protection circuit for a half-bridge power converter
CN102548167B (zh) 金卤灯启动电路
US20150061518A1 (en) Light adjusting device with switching element
US9480126B1 (en) Method to detect uneven AC load or parallel load removal
CN111148309B (zh) 灯的驱动电路及对该灯的驱动电路进行操作的方法
CN207572957U (zh) 一种高可靠性的开关电源输出过压保护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