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100U - 홍보용 화분대 - Google Patents

홍보용 화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100U
KR20150001100U KR2020130007426U KR20130007426U KR20150001100U KR 20150001100 U KR20150001100 U KR 20150001100U KR 2020130007426 U KR2020130007426 U KR 2020130007426U KR 20130007426 U KR20130007426 U KR 20130007426U KR 20150001100 U KR20150001100 U KR 201500011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flowerpot
nutrient solution
light control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희
Original Assignee
김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희 filed Critical 김정희
Priority to KR2020130007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100U/ko
Publication of KR201500011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1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홍보용 화분대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홍보용 화분대는 식물 생장에 필요한 양액이 수용되고, 상기 양액에 식물의 뿌리가 담길 수 있는 몸통 부재; 상기 몸통 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몸통 부재에 뿌리가 담긴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될 수 있는 식물 관통 홀이 형성된 덮개 부재; 상기 몸통 부재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통 부재의 하방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조광 부재; 및 상기 몸통 부재의 측면을 덮는 측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 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조광 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에는 일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조광 부재에서 조사되는 광을 하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홍보용 화분대에 의하면, 홍보용 화분대가 몸통 부재, 덮개 부재, 조광 부재 및 측판 부재로 구성되고, 몸통 부재 하부에 조광 부재가 달린 반사갓이 형성됨에 따라, 상측에 위치한 홍보용 화분대의 조광 부재에서 하측에 위치한 홍보용 화분대의 식물에게 광을 조사할 수 있어서 동일한 크기의 홍보용 화분대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홍보용 화분대가 설치되더라도 홍보용 화분대가 차지하는 공간의 증대가 최소화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홍보용 화분대 중 위쪽에 위치한 홍보용 화분대에 의해 가려져서 아래쪽에 위치한 홍보용 화분대에 심어진 식물에 대한 햇볕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식물 생장이 지장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홍보용 화분대{Flower stand for advertisement}
본 고안은 홍보용 화분대에 관한 것이다.
화분대는 식물 등을 심어서 키울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식물을 실내 등 제한된 공간에서 기르고자 하는 경우, 화분대를 복수 개 조립식으로 적층시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 화분대로 제시될 수 있는 예로, 공개실용신안 20-2009-0003019(고안의 명칭: 조립식 화분대)가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실용신안을 포함한 종래의 화분대에 의하면, 화분대가 적층되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각 화분대에 심어지는 식물이 다른 화분대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는 피라미드 형태로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조립식 화분대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게 되고, 위쪽에 위치하는 화분대에 의해 가려져서 아래쪽에 위치하는 화분대의 식물에게 햇볕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여 식물 생장에 지장이 올 수 있으며, 화분대 내의 양액이 일정 수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채워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복수 개의 화분대가 설치되더라도 화분대가 차지하는 공간의 증대가 최소화될 수 있는 홍보용 화분대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화분대 중 위쪽에 위치한 화분대에 의해 가려져서 아래쪽에 위치한 화분대에 심어진 식물에 대한 햇볕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식물 생장이 지장이 최소화될 수 있는 홍보용 화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대 내의 양액이 일정 수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양액이 채워질 수 있는 홍보용 화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는 식물 생장에 필요한 양액이 수용되고, 상기 양액에 식물의 뿌리가 담길 수 있는 몸통 부재; 상기 몸통 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몸통 부재에 뿌리가 담긴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될 수 있는 식물 관통 홀이 형성된 덮개 부재; 상기 몸통 부재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통 부재의 하방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조광 부재; 및 상기 몸통 부재의 측면을 덮는 측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 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조광 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에는 일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조광 부재에서 조사되는 광을 하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에 의하면, 홍보용 화분대가 몸통 부재, 덮개 부재, 조광 부재 및 측판 부재로 구성되고, 몸통 부재 하부에 조광 부재가 달린 반사갓이 형성됨에 따라, 상측에 위치한 홍보용 화분대의 조광 부재에서 하측에 위치한 홍보용 화분대의 식물에게 광을 조사할 수 있어서 동일한 크기의 홍보용 화분대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홍보용 화분대가 설치되더라도 홍보용 화분대가 차지하는 공간의 증대가 최소화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홍보용 화분대 중 위쪽에 위치한 홍보용 화분대에 의해 가려져서 아래쪽에 위치한 홍보용 화분대에 심어진 식물에 대한 햇볕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식물 생장이 지장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가 적용된 화분 유닛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에 대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가 적용된 화분 유닛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가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120)는 몸통 부재(140)와, 덮개 부재(150)와, 조광 부재(180)와, 측판 부재(130)를 포함하고, 화분대 거치대(110)에 거치되어 화분 유닛(100)을 이룬다.
상기 화분대 거치대(110)는 한 쌍의 측판(111)과 상기 한 쌍의 측판(111)을 상하에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판(115)에 의해 사각형의 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모서리에 설치된 흡착판(112)에 의해 유리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측판(111) 내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홍보용 화분대(120)의 상기 측판 부재(130)가 걸릴 수 있는 걸림 돌기(1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 돌기(113)는 상기 한 쌍의 측판(111) 내측 각각에서 서로를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쌍의 형태로 형성되고, 그러한 걸림 돌기(113)의 쌍이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 형성됨으로써, 상기 화분대 거치대(110)에 복수 개의 상기 홍보용 화분대(120)가 서로 다른 높이에 걸릴 수 있게 된다.
상기 몸통 부재(140)는 식물 생장에 필요한 양액이 수용되고, 상기 양액에 식물의 뿌리가 담길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양액이 수용되는 몸통 부재 본체(141)와, 상기 몸통 부재 본체(141)의 하부에 형성되는 반사갓(142)과, 상기 조광 부재(180)가 연결될 수 있는 조광 부재 연결 홈(143)과, 후술되는 보강재(160)가 설치될 수 있는 보강재 설치부(144)와, 상기 측판 부재(130) 연결을 위한 측판 부재 연결 홈(145)을 포함한다.
상기 몸통 부재 본체(141)는 상부가 개방되고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사갓(142)은 상기 몸통 부재(140)의 하부에서 상기 조광 부재(180)가 설치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통 부재(140)의 하부가 일정 깊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조광 부재(180)에서 조사되는 광을 하방으로 반사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조광 부재 연결 홈(143)이 상기 몸통 부재(140)의 하부 저면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광 부재 연결 홈(143)에 상기 조광 부재(180)가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반사갓(142)은 상기 조광 부재(180)에서 조사된 광이 하부로 반사될 수 있도록 상기 조광 부재(180)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의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진다.
상기 반사갓(142) 또는 상기 반사갓(142)을 포함한 상기 몸통 부재(140) 전체가 알루미늄 등 광 반사가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반사갓(142) 표면에 은 등 반사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 설치부(144)는 상기 몸통 부재 본체(141)의 각 측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몸통 부재(140)의 요동 방지를 위한 무게추가 되는 보강재(16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재(160)는 일정 길이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철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져서, 그 하중에 의해 상기 몸통 부재(140)의 요동을 최소화시킴과 함께, 상기 보강재(160) 표면에 각종 홍보용 도안이 새겨질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160)의 간단한 교체만으로 그러한 홍보용 도안의 교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재 설치부(144)는 플레이트 형상의 상기 보강재(160)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보강재(16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잡아줄 수 있는 걸림 돌기(113)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재 설치부(144)에 상기 보강재(160)가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진 다음 상기 측판 부재(130)가 상기 몸통 부재(1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판 부재 연결 홈(145)은 상기 몸통 부재 본체(141)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판 부재(130)를 관통한 나사 등의 결합 수단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몸통 부재(140)와 상기 측판 부재(13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 부재(150)는 상기 몸통 부재(140)를 덮으면서, 상기 몸통 부재(140)에 뿌리가 담긴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될 수 있는 식물 관통 홀(154)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몸통 부재(140)의 상단면을 덮을 수 있는 덮개 부재 본체(151)와, 상기 덮개 부재 본체(151)의 양 단에서 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통 부재(140)의 각 상단과 결합되는 몸통 부재 결합부(152)와, 상기 덮개 부재 본체(151)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는 양액 저장 통 관통 홀(153)과, 상기 덮개 부재 본체(151)에서 상기 양액 저장 통 관통 홀(153)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상기 식물 관통 홀(154)을 포함한다.
상기 덮개 부재(150)가 상기 몸통 부재(140)를 덮으면, 상기 몸통 부재(140)에 뿌리가 담긴 식물의 잎 등 상부가 상기 식물 관통 홀(15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햇볕, 상기 조광 부재(180) 등에서 공급되는 광 등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측판 부재(130)는 상기 몸통 부재(140)의 측면을 덮는 것으로, 상기 몸통 부재(140)의 측면을 덮어 양액의 누수를 막을 수 있는 측판 부재 본체(131)와, 상기 측판 부재 본체(131)의 상단 중앙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 돌기(113)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132)와, 나사 등의 별도의 결합 수단이 상기 측판 부재(130)와 상기 몸통 부재(140)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측판 부재 연결 홈(145)에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되는 결합 수단 관통 홀(133)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수단 관통 홀(133)은 상기 측판 부재 연결 홈(14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별도 결합 수단이 상기 결합 수단 관통 홀(133)과 상기 측판 부재 연결 홈(145)을 관통하는 형태의 결합 이외에도, 상기 측판 부재(130)와 상기 몸통 부재(140)를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 예를 들어 용접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조광 부재(180)는 상기 몸통 부재(140)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통 부재(140)의 하방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광 부재(180)는 냉음극관(CCFL) 등으로서, 상기 조광 부재 연결 홈(143)에 연결되어 상기 몸통 부재(140) 하부의 상기 반사갓(142) 내부에 매달리는 상태로, 상기 몸통 부재(140)의 하방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광 부재(180)에서 조사된 광은 상기 반사갓(142)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몸통 부재(140)의 하방으로 집중적으로 조사되고, 그러한 집중적으로 조사된 광은 상기 화분대 거치대(110)에 설치된 복수 개의 상기 홍보용 화분대(120)에서 상기 조광 부재(180)가 광을 조사하는 하측에 위치된 홍보용 화분대(120)로 광을 조사하게 된다. 그러면, 햇볕 등에 구애받지 아니하고도, 복수 개의 상기 홍보용 화분대(120)에 심겨진 식물에 균일하게 광이 조사될 수 있다.
상기 덮개 부재(150)에 형성된 상기 양액 저장 통 관통 홀(153)에는 상기 몸통 부재(140) 내부로 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양액 저장 통(170)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양액 저장 통(170)은 몸체에 비해 입구가 좁은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입구가 개방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양액 저장 통 관통 홀(153)에는 상기 양액 저장 통(170)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몸통 부재(140)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양액 저장 통(170)이 뒤집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양액 저장 통(170) 내부의 양액이 상기 양액 저장 통(170)의 입구를 통해 상기 몸통 부재(140) 내부로 유출되어 상기 몸통 부재(140) 내부의 양액 수위가 올라가고, 상기 몸통 부재(140) 내부의 양액 수위가 뒤집어진 상태의 상기 양액 저장 통(170)의 입구에 다다르면 상기 양액 저장 통(170) 입구를 통한 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상기 양액 저장 통(170)에서의 양액 공급이 중단된다.
그러다가, 상기 양액이 상기 식물에 의해 소비되거나 자연 증발되어, 상기 양액 저장 통(170)의 입구 높이에 비해 상기 몸통 부재(140) 내부의 양액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면, 상기 양액 저장 통(170) 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양액 저장 통(170) 내부의 양액이 중력에 의해 상기 몸통 내부로 쏟아져 공급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몸통 부재(140) 내부로 양액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홍보용 화분대(120) 내의 양액이 일정 수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양액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홍보용 화분대(120)가 상기 몸통 부재(140), 상기 덮개 부재(150), 상기 조광 부재(180) 및 상기 측판 부재(130)로 구성되고, 상기 몸통 부재(140) 하부에 상기 조광 부재(180)가 달린 반사갓(142)이 형성됨에 따라, 상측에 위치한 홍보용 화분대(120)의 조광 부재(180)에서 하측에 위치한 홍보용 화분대(120)의 식물에게 광을 조사할 수 있어서 동일한 크기의 홍보용 화분대(120)를 상하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홍보용 화분대(120)가 설치되더라도 홍보용 화분대(120)가 차지하는 공간의 증대가 최소화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홍보용 화분대(120) 중 위쪽에 위치한 홍보용 화분대(120)에 의해 가려져서 아래쪽에 위치한 홍보용 화분대(120)에 심어진 식물에 대한 햇볕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식물 생장이 지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홍보용 화분대(220)의 몸통 부재(240)가 몸통 부재 본체(241)와, 상기 몸통 부재 본체(241)의 중앙부에서 상기 몸통 부재 본체(241) 내부를 이분할하는 분할 벽체(248)와, 상기 분할 벽체(248)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몸통 부재(240)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반사갓(242, 246)과, 상기 한 쌍의 반사갓(242, 246)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조광 부재 연결 홈(243, 247)과, 상기 몸통 부재 본체(241)의 각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보강재 설치부(24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보강재 설치부(244)에 각각 보강재(260)가 설치됨은 물론, 상기 분할 벽체(248) 내부에도 보강재(265)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홍보용 화분대(220)의 요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285는 조광 부재 연결 부재로서, 조광 부재 연결 홈(243)에 상기 조광 부재 연결 부재(285)의 상단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조광 부재 연결 부재(285)의 하단에 조광 부재(280)가 착탈 가능하게 집힐 수 있는 집게가 형성된다.
상기 조광 부재 연결 부재(285)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조광 부재 연결 부재(285)에 의해 상기 조광 부재(280)가 간편하게 착탈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홍보용 화분대(320)가 나란히 놓이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홍보용 화분대(320)의 서로 마주보는 각 보강재 설치부(344)에 보강재(360)가 함께 걸림으로써, 상기 보강재(360)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상기 홍보용 화분대(320)가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360)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홍보용 화분대(320)의 상기 각 보강재 설치부(344) 중 일 측에 걸리는 제 1 걸림편(362)과, 서로 이웃하는 상기 홍보용 화분대(320)의 상기 각 보강재 설치부(344) 중 타 측에 걸리는 제 2 걸림편(363)과, 상기 제 1 걸림편(362)과 상기 제 2 걸림편(363)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361)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H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보강재(360)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복수 개의 상기 홍보용 화분대(320)가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홍보용 화분대에 의하면, 복수 개의 화분대가 설치되더라도 화분대가 차지하는 공간의 증대가 최소화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화분대 중 위쪽에 위치한 화분대에 의해 가려져서 아래쪽에 위치한 화분대에 심어진 식물에 대한 햇볕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식물 생장이 지장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화분대 내의 양액이 일정 수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양액이 채워질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20 : 홍보용 화분대 130 : 측판 부재
140 : 몸통 부재 150 : 덮개 부재
180 : 조광 부재

Claims (3)

  1. 식물 생장에 필요한 양액이 수용되고, 상기 양액에 식물의 뿌리가 담길 수 있는 몸통 부재;
    상기 몸통 부재를 덮으면서, 상기 몸통 부재에 뿌리가 담긴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될 수 있는 식물 관통 홀이 형성된 덮개 부재;
    상기 몸통 부재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몸통 부재의 하방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조광 부재; 및
    상기 몸통 부재의 측면을 덮는 측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 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조광 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에는 일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조광 부재에서 조사되는 광을 하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보용 화분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부재의 각 측면 하부와 중앙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몸통 부재의 요동 방지를 위한 무게추가 되는 보강재 설치를 위한 보강재 설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보용 화분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에는 상기 몸통 부재 내부로 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양액 저장 통이 관통될 수 있는 양액 저장 통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양액 저장 통 관통 홀에는 상기 양액 저장통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몸통 부재 내부를 향하도록 상기 양액 저장통이 뒤집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양액 저장통의 입구 높이에 비해 상기 몸통 부재 내부의 양액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면, 상기 양액 저장통 내부의 양액이 중력에 의해 상기 몸통 내부로 쏟아져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보용 화분대.
KR2020130007426U 2013-09-04 2013-09-04 홍보용 화분대 KR201500011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426U KR20150001100U (ko) 2013-09-04 2013-09-04 홍보용 화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426U KR20150001100U (ko) 2013-09-04 2013-09-04 홍보용 화분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389U Division KR20150003266U (ko) 2015-08-12 2015-08-12 홍보용 화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100U true KR20150001100U (ko) 2015-03-12

Family

ID=5303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426U KR20150001100U (ko) 2013-09-04 2013-09-04 홍보용 화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1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3859A (zh) * 2017-05-08 2020-06-26 丹尼尔·S·斯皮罗 自动化竖直植物栽培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3859A (zh) * 2017-05-08 2020-06-26 丹尼尔·S·斯皮罗 自动化竖直植物栽培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9788B2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US20090000189A1 (en) Modular planter system
RU2615472C2 (ru) Сбор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растений
CN110505803A (zh) 水耕栽培装置
JP2011055738A (ja) 植物栽培用ラック
JP2016214194A (ja) 植物栽培装置及び植物栽培方法
KR20190137201A (ko) 입형정원 시스템
TW201436709A (zh) 植栽容器
KR20150001100U (ko) 홍보용 화분대
JP5694222B2 (ja) 植物栽培装置
KR20150003266U (ko) 홍보용 화분대
JP2015073511A (ja) 植物栽培装置
JP2013021980A (ja) 植物栽培装置
JP6541611B2 (ja) 水耕栽培棚
JP2012102575A (ja) パーティション
KR200220769Y1 (ko) 점적식 가로등 부착형 거리미화용 화분
JP2000102324A (ja) 傾斜式植栽用ポット
JP2019165644A (ja) 植物水耕栽培装置
KR20140101618A (ko) 엘이디가 구비된 미니화분
KR101555218B1 (ko) 급수시기를 알려주는 오뚜기 타입 화분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JP6857916B2 (ja) 植物栽培装置
CN211482347U (zh) 适用于种苗培育的种植塔
CN214015404U (zh) 一种种植容器及装置
JP2014060930A (ja) 水耕栽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