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037U - 선체의 블록 서포트 - Google Patents

선체의 블록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037U
KR20150001037U KR2020130007297U KR20130007297U KR20150001037U KR 20150001037 U KR20150001037 U KR 20150001037U KR 2020130007297 U KR2020130007297 U KR 2020130007297U KR 20130007297 U KR20130007297 U KR 20130007297U KR 20150001037 U KR20150001037 U KR 201500010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ull
present
le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7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037U/ko
Publication of KR20150001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03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체의 블록서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2개 이상의 기둥을 일렬로 배치시킨 다리부; 상기 다리부 상측을 연결시켜 결합되며, 박스형태로 제작된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대해 다리부의 위치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는 레일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은 선체의 블록서포터를 박스형태로 제작된 받침부에 다리부를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견고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서포트의 전도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받침부와 다리부 사이를 레일결합부를 이용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받침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복수의 다리부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선체의 블록 서포트{BLOCK SUPPORT OF HULL}
본 고안은 선체의 블록 서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체의 블록서포터를 박스형태로 제작된 받침부에 다리부를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견고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서포트의 전도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선체의 블록 서포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선박 건조시 선체 블록을 지지하고 이들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둥 형상의 지주 PIPE를 이용한 서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지주 PIPE를 이용한 서포트는, 특히 표면의 굴곡이 심한 RUDDER HORN BLOCK의 경우, 블록을 탑재하기 위하여 이를 골리앗 크레인으로 들어올린 상태(lifting 작업)에서 블록에 지주 PIPE를 용접하여 설치한 후 이 일체를 다시 지상으로 내려놓아야 하므로 이러한 lifting 작업으로 인하여 골리앗 크레인 장비의 활용 효율성이 상당히 저하될 수밖에 없으며, 블록 탑재 후에도 지주 PIPE의 불안전한 하부 지지 구조로 인하여 블록 전도로 인한 대형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며, 전체적으로 블록 세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해치커버 적치용 서포트 구조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콘테이너 선박의 하역시 해치커버(1)를 안벽 근처에 적치시키게 된다. 이때, 해치커버는 3장씩 쌓아서 적치하게 되는데, 서포트(10)를 이용해 적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기상악화로 인해 발생된 파도가 안벽으로 넘어와 서포트(10)을 덮칠 경우, 서포트(10)가 쉽게 전도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42664호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선체의 블록서포터를 박스형태로 제작된 받침부에 다리부를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견고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서포트의 전도 위험성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받침부와 다리부 사이를 레일결합부를 이용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받침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복수의 다리부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2개 이상의 기둥을 일렬로 배치시킨 다리부; 상기 다리부 상측을 연결시켜 결합되며, 박스형태로 제작된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대해 다리부의 위치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는 레일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블록서포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선체의 블록서포터를 박스형태로 제작된 받침부에 다리부를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견고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서포트의 전도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받침부와 다리부 사이를 레일결합부를 이용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받침부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복수의 다리부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해치커버 적치용 서포트 구조를 도시한 사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블록서포트를 도시한 사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블록서포트를 도시한 사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블록서포트를 도시한 사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체의 블록서포트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2, 3을 참조하면, 2개 이상의 기둥을 일렬로 배치시켜 다리부(110)를 형성한다. 상기 다리부는 기존의 서포트구조물에서 상부구조를 제거한 형태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110)의 상측을 받침부(120)로 연결한다. 상기 받침부(120)는 박스형태의 박스 빔 서포트를 이용해 제작될 수 잇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받침부(120)의 서포트 면적이 넓고, 견고하기 때문에 무거운 중량의 해치커버(10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받침부(120)와 다리부(110) 사이를 레일결합부(130)를 이용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받침부(120)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복수의 다리부(110)를 추가로 레일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다리부의 형태나 개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거치 중량물에 따른 최적화 서포트 설치가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선체의 블록 서포트를 이용한 선체 블록 적치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컨테이너선이 입항하는 안벽에 본 고안의 서포트 장치(100)가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서포트 장치(100)는 적치되는 해치커버(101)의 폭 방향에 대해 1~2개를 배치하게 되며, 해치커버(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다 많은 서포트 장치(100)가 등 간격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해치커버(101)의 다리부(110)는 기본 2개를 결합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며, 해치커버(101)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다리부(110)를 추가로 더 레일 결합할 수도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선체의 블록서포터를 박스형태로 제작된 받침부에 다리부를 결합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견고한 지지구조를 제공할 수 있고, 서포트의 전도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1: 해치커버
100: 서포트장치
110: 다리부
120: 받침부
130: 레일결합부

Claims (1)

  1. 2개 이상의 기둥을 일렬로 배치시킨 다리부(110);
    상기 다리부(110) 상측을 연결시켜 결합되며, 박스형태로 제작된 받침부(120); 및
    상기 받침부(120)에 대해 다리부(110)의 위치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는 레일결합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블록서포트.
KR2020130007297U 2013-08-30 2013-08-30 선체의 블록 서포트 KR201500010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297U KR20150001037U (ko) 2013-08-30 2013-08-30 선체의 블록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297U KR20150001037U (ko) 2013-08-30 2013-08-30 선체의 블록 서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37U true KR20150001037U (ko) 2015-03-11

Family

ID=5303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297U KR20150001037U (ko) 2013-08-30 2013-08-30 선체의 블록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03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096A (ko) 2021-08-23 2023-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적치용 랙 구조물
KR102541903B1 (ko) 2022-12-19 2023-06-13 (주)엠테스 유압방식의 서포트 잭업장치
KR102606371B1 (ko) 2022-12-16 2023-11-2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서포트 잭업 장선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096A (ko) 2021-08-23 2023-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적치용 랙 구조물
KR102606371B1 (ko) 2022-12-16 2023-11-2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서포트 잭업 장선기
KR102541903B1 (ko) 2022-12-19 2023-06-13 (주)엠테스 유압방식의 서포트 잭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940B1 (ko) 풍력 발전기 설치용 선박
EP4324768A3 (en) Track structure
USD724418S1 (en) Reinforcing bar support for bond beam blocks
KR101758417B1 (ko) Hvdc 밸브 타워
RU2016101603A (ru) Фундамент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и
KR20160016390A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KR101259458B1 (ko) 앵커 체인 스토퍼의 위치 조절 구조체
KR20150001037U (ko) 선체의 블록 서포트
MX2019005922A (es) Tarima de plastico con bloques de soporte que tienen torres superiores y metodos asociados.
KR101853917B1 (ko) 탑사이드 모듈이 설치된 선박
JP3192354U (ja) 通信機用架台および無線基地局
US10468173B2 (en) Support device of an active part of a current transformer
RU2015113556A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котла, модуля и котла, содержащего модуль
KR102336596B1 (ko)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
KR20160022696A (ko) 해상파일 설치용 선박
JP5684619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設置架台
WO2009030459A3 (en) Collapsible enclosure
JP2015168938A (ja) 板状体設置ブロック
KR101716328B1 (ko) 컨테이너 가이드 설치방법 및 구조
KR101726928B1 (ko) 배터리 랙 어셈블리
KR200479175Y1 (ko) 구조물 지지용 캐리어
KR101411600B1 (ko) 풍력 발전기 설치선용 레그의 제조 장치
CN204399807U (zh) 一种电机包装结构
KR20130007193U (ko) 멀티 파이프 지지구용 임시 고정구
KR20160011404A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용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