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955U -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955U
KR20150000955U KR2020147000062U KR20147000062U KR20150000955U KR 20150000955 U KR20150000955 U KR 20150000955U KR 2020147000062 U KR2020147000062 U KR 2020147000062U KR 20147000062 U KR20147000062 U KR 20147000062U KR 20150000955 U KR20150000955 U KR 201500009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well
wall portion
cartridge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7000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쓰시 고탄다
다쓰야 이케다
Original Assignee
후지레비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레비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레비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0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95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26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having blocks or racks of reaction cells or cuv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6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12Block or rack elements with a single row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27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nestable or stockable

Abstract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는, 카트리지를 복수 배열하여 수용 가능한 오목형의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수용한 각각의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의 사이를 구분하는 일단측 웰 칸막이부로서, 각각의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 측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일단측 웰 칸막이부와, 수용한 각각의 카트리지의 타단측 웰의 사이를 구분하는 타단측 웰 칸막이부로서, 각각의 카트리지의 타단측 웰 측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타단측 웰 칸막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CARTRIDGE STORAGE CONTAINER}
본 고안은, 길이 방향 일단측에 배치되는 일단측 웰(well)과, 길이 방향 타단측에 배치되는 타단측 웰을 가지는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카트리지로서는, 길이 방향 일단측에 배치되고, 아래쪽에 긴 통형(筒形)을 이루는 일단측 웰과, 길이 방향 타단측에 배치되고, 상기 일단측 웰보다 아래쪽에 짧은 통형을 이루는 타단측 웰을 가지는 것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도 1). 또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로서는, 이와 같은 카트리지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수용 가능한 오목형의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수용한 각각의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의 사이를 구분하는 일단측 웰 칸막이부로서, 각각의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 측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일단측 웰 칸막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일단측 웰 칸막이부는, 각각의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 측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즉,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카트리지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로 운반할 때, 각각의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 측이 위치가 어긋나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어, 수용부 내에서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 측이 그 배열 방향으로 뜻하지 않게 튀어오르거나 하여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일본 일본 특허 제3010509호 공보 일본 디자인 등록 제1274481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있어서는, 각각의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 측의 이동은 규제되어 있지만, 타단측 웰 측은, 그 배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카트리지를 운반할 때, 타단측 웰 측은, 그 배열 방향으로 뜻하지 않게 튀어오르거나 하여 이동함으로써 쉽게 위치가 어긋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카트리지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여 운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이며, 카트리지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수용부에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고안에 관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는, 길이 방향 일단측에 배치되는 일단측 웰과, 길이 방향 타단측에 배치되는 타단측 웰을 가지는 카트리지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수용 가능한 오목형의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수용한 각각의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의 사이를 구분하는 일단측 웰 칸막이부로서, 각각의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 측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일단측 웰 칸막이부와, 수용한 각각의 카트리지의 타단측 웰의 사이를 구분하는 타단측 웰 칸막이부로서, 각각의 카트리지의 타단측 웰 측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타단측 웰 칸막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상기 수용부는, 수용한 각각의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의 하부가 상기 길이 방향 타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하부 칸막이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상기 수용부에 복수 배열하여 수용한 카트리지의 위쪽을 덮는 탑 시일의 상기 배열 방향의 양 단부가 첩부(貼付)되는 한 쌍의 첩부용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첩부용 리브의 폭 치수는, 상기 탑 시일의 폭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동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동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동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동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동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우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동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4, 도 5의 A―A선에 관한 단면도(斷面圖)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4, 도 5의 B―B선에 관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4, 도 5의 C―C선에 관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4, 도 5의 D―D선에 관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는 동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수용하는 카트리지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b는 동 카트리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3a는 동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카트리지의 배열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3b는 동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카트리지의 배열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4a는 동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카트리지를 수용한 상태에서의 좌측 본체부 측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4b는 도 14a의 E―E선에 관한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5a는 동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수용한 카트리지의 위쪽을 탑 시일이 덮은 상태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5b는 동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수용한 카트리지의 위쪽을 탑 시일이 덮은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동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상하로 중첩시킨 상태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에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는, 임상 검사의 분야의 면역 측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시약(試藥) 등이 들어간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며, 주로, 자동 면역 측정 장치에 카트리지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오목형의 수용부(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2의 정면도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좌우 방향을 규정하고, 지면(紙面) 표리(表裏)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규정한다.
본체부(1)는, 용기형의 좌측 본체부(11)와, 용기형의 우측 본체부(12)와, 좌측 본체부(11) 및 우측 본체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진다(도 1 내지 도 5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1)는, 높이가 35.4㎜, 좌우 방향의 길이가 180㎜, 전후 방향의 길이가 37㎜이다. 그리고, 본체부(1)의 치수는, 상기 치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용 대상의 카트리지의 형상, 수 등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좌측 본체부(11)는, 좌우 방향의 치수가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 길고, 상단 개구를 이루는 용기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본체부(11)는, 좌우 방향(길이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좌벽부(111) 및 우벽부(112)와, 전후 방향(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벽부(113) 및 후벽부(114)와, 바닥면을 이루는 저벽부(底璧部)(1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도 4 참조). 그리고, 좌측 본체부(11)는, 환언하면, 길이 방향 일단측에 배치되는 좌벽부(111)와, 길이 방향 타단측에 배치되는 우벽부(112)와, 폭 방향 일단측에 배치되는 전벽부(113)와, 폭 방향 타단측에 배치되는 후벽부(114)와, 바닥면을 이루는 저벽부(1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좌벽부(111)는, 직사각형 판형의 좌벽 본체부(111a)와, 상기 좌벽 본체부(111a)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첩부용 리브(111b)를 구비한다(도 7 참조). 이 좌벽부(111)의 내면(우측면)에는, 그 중앙부에 상하에 따른 판형의 삽입 리브(111c)와, 상기 삽입 리브(111c)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삽입공(111d)이 형성되어 있다(도 4, 도 5, 도 8 참조). 삽입 리브(111c)는, 첩부용 리브(111b)의 상단으로부터 좌벽 본체부(111a)의 하부 근방(하단보다 위쪽)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삽입공(111d)은, 상기 삽입 리브(111c)의 하단이 위치하는 좌벽 본체부(111a)의 하부 근방(하단보다 위쪽)으로부터 하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도 8 참조). 또한, 좌벽부(111)의 내면(우측면)에는, 그 전방측에 상하에 따른 판형의 내면 리브(111e)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이 내면 리브(111e)는, 좌벽 본체부(111a)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좌벽부(111)의 외면(좌측면)에는, 외면 리브(111f)와 평면부(111g)가 형성된다(도 7 참조). 구체적으로는, 외면 리브(111f)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판형을 이루고, 첩부용 리브(111b)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평면부(111g)는, 외면(좌측면)이 평면의 블록체형을 이루고, 좌벽 본체부(111a)의 상부에 전후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 평면부(111g)의 외면(좌측면)은, 외면 리브(111f)의 외면(좌측면)과 면일치로 되어 있다. 그리고, 평면부(111g)의 외면(좌측면)은, 외면 리브(111f)의 외면(좌측면)보다 외측(좌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우벽부(112)는, 직사각형 판형을 이루고 있고, 좌벽부(111)[상세하게는 좌벽 본체부(111a)]에 대향하여 설치된다. 이 우벽부(112)의 높이 및 전후의 길이 치수는, 좌벽 본체부(111a)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다.
전벽부(113)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형을 이루고 있다. 상단에는, 좌우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갈고리형의 손잡이(113a)가 외측(전방)으로 돌출된다(도 2, 도 4, 도 10 참조). 또한, 전벽부(113)의 내면(후면)에는, 하단으로부터 상단보다 위쪽의 소정 높이까지 설치되는 판형의 얕은 형 웰 칸막이부(타단측 웰 칸막이부)(113b)가 설치되어 있다(도 8, 도 10 참조). 얕은 형 웰 칸막이부(113b)는, 위쪽으로 갈수록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게 되어 있고, 전벽부(113)의 높이보다 높게[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벽부(113)의 높이보다 대략 0.17배 높게] 설정된다. 이 얕은 형 웰 칸막이부(113b)는, 전벽부(113)의 좌우 방향에 걸쳐 대략 등간격(等間隔)으로 이격되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얕은 형 웰 칸막이부(113b)의 사이의 전벽부(113) 상단에는, 돌출부(113c)가 위쪽으로 돌출된다. 이 돌출부(113c)는, 전벽부(113) 상단의 좌우 방향에 걸쳐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7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벽부(113)의 상단 위치는, 좌벽 본체부(111a) 및 우벽부(112)의 상단 위치와 대략 같게 면이 일치하다.
후벽부(114)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형을 이루고 있다. 이 후벽부(114)의 상부를 제외한 부분은, 도려내져 있고, 구멍으로 되어 있다(도 3, 도 4, 도 10 참조). 후벽부(114)의 상부에는, 좌우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갈고리형의 손잡이(114a)가 외측(후방)으로 돌출된다(도 10 참조). 또한, 후벽부(114)의 내면[전면(前面)]에는, 후술하는 저벽부(115) 상면으로부터 상단까지 설치되는 판형의 심형(深型) 웰 칸막이부(일단측 웰 칸막이부)(114b)가 설치되어 있다. 심형 웰 칸막이부(114b)는, 위쪽으로 갈수록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고 있다. 이 심형 웰 칸막이부(114b)는, 후벽부(114)의 좌우 방향에 걸쳐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심형 웰 칸막이부(114b)의 사이의 후벽부(114) 상단에는, 돌출부(114c)가 위쪽으로 돌출된다. 이 돌출부(114c)는, 후벽부(114) 상단의 좌우 방향에 걸쳐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7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후벽부(114)의 상단 위치는, 좌벽 본체부(111a) 및 우벽부(112) 및 전벽부(113)의 상단 위치와 대략 같이 면이 일치하다.
저벽부(115)는,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형을 이루고 있다. 저벽부(115)의 중앙부에는,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통형부(115a)와, 상기 통형부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위쪽으로 근소한 돌출부를 가지는 팽출부(膨出部)(115b)가 설치되어 있다(도 4, 도 5, 도 8 참조). 저벽부(115)의 좌단부로서, 좌벽 본체부(111a)의 하단에 접속되는 부분에는, 그 중앙부에 상기 삽입공(111d)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벽부(115)의 전단부(前端部)로서, 전벽부(113) 하단에 대응하는 부분은, 도려내져 있고, 구멍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저벽부(115)의 앞부분에는, 위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판형의 볼록부(115c)가 좌우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도 4, 도 8, 도 10 참조). 이 볼록부(115c)의 상단에는, 상기 얕은 형 웰 칸막이부(113b)의 하단이 연장 형성되는 동시에, 좌벽부(111)의 내면 리브(111e)의 하단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115)의 후방측[후벽부(114) 측]에는, 위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판형의 하부 칸막이부(115d)가 좌우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도 4, 도 10 참조). 하부 칸막이부(115d)의 높이는, 상기 볼록부(115c)의 높이보다 높아져 있고, 좌벽 본체부(111a) 및 우벽부(112) 및 전벽부(113) 및 후벽부(114)의 높이의 대략 절반 정도의 높이이다(도 10 참조). 하부 칸막이부(115d)의 후면에는, 심형 웰 칸막이부(114b)의 하부의 전단(前端)이 연장 형성된다. 저벽부(115)의 후부로서, 하부 칸막이부(115d)보다 후방 부분에는, 심형 웰 칸막이부(114b)의 하단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저벽부(115)의 후단부에는, 각각의 심형 웰 칸막이부(114b)의 사이에 단면(斷面) 대략 원형상의 원형공(115e)이 천설되어 있다(도 4, 도 5 참조). 이 원형공(115e)은, 저벽부(115)의 좌우 방향에 걸쳐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7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좌측 본체부(11)의 한 쌍의 좌벽부(111) 및 우벽부(112)와, 한 쌍의 전벽부(113) 및 후벽부(114)와, 저벽부(115)에 에워싸인 오목형의 영역이 수용부(2)이다(도 1 참조). 즉, 수용부(2)는, 좌벽부(111)의 내면과, 우벽부(112)의 내면과, 전벽부(113)의 내면과, 후벽부(114)의 내면과, 저벽부(115)의 상면에 의해 확정되는 영역이다. 따라서, 수용부(2)는, 상기 본체부(1)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성 요소로서, 내면 리브(111e), 얕은 형 웰 칸막이부(113b), 심형 웰 칸막이부(114b)를 구비한다. 이 수용부(2)는, 카트리지(3)를 복수 배열하여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카트리지(3)는,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형 웰(31)과, 상기 심형 웰(31)에 인접하는 얕은 형 웰(32)과, 심형 웰(31) 및 얕은 형 웰(32)의 상단을 협지(sandwich)하여 대향하는 한 쌍의 손잡이부(33)를 구비한다. 심형 웰(31)은,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체이다. 이 심형 웰(31)에는, 예를 들면, 측정 대상물에 대한 항체 또는 항원을 고정화한 고상(固相) 시약이 주입된다. 얕은 형 웰(32)은,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체이며, 심형 웰(31)보다 깊이가 얕다. 이 얕은 형 웰(32)에는, 예를 들면, 표지(標識) 시약이 주입된다. 손잡이부(33)는, 갈고리형을 이룬다. 이러한 카트리지(3)에서는, 1개의 심형 웰(31)과, 상기 심형 웰(31)에 인접하는 2개의 얕은 형 웰(32)이 병렬되어 있고, 이 병렬 방향이 카트리지(3)의 길이 방향이다. 즉, 심형 웰(31)은, 길이 방향 일단측에 배치되는 일단측 웰이며, 얕은 형 웰(32)은, 길이 방향 타단측에 배치되는 타단측 웰이다. 또한, 이러한 카트리지(3)에서는, 심형 웰(31) 및 얕은 형 웰(32)의 상단이 면일치한 평면을 이루고 있다. 심형 웰(31)의 길이 방향 일단측의 측면에는, 한쪽의 손잡이부(33)가 돌출되어 있고, 얕은 형 웰(32)의 길이 방향 타단측의 측면에는, 다른 쪽의 손잡이부(33)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3)의 상면에는, 심형 웰(31) 및 얕은 형 웰(32)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를 폐색(閉塞)하도록, 카트리지(3)의 상면은 시일(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시일)로 덮혀져 있다(도시하지 않음).
우측 본체부(12)는, 좌측 본체부(11)와 좌우 대칭적인 구성인(도 1 내지 도 6, 도 8, 도 11 참조). 구체적으로는, 우측 본체부(12)는,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좌벽부(121) 및 우벽부(122)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벽부(123) 및 후벽부(124)와, 바닥면을 이루는 저벽부(12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4, 도 5 참조). 여기서, 좌벽부(121)는, 좌측 본체부(11)의 우벽부(112)에 대응하고, 상기 우벽부(112)와 같은 구성이다. 우벽부(122)는, 좌측 본체부(11)의 좌벽부(111)에 대응하고, 상기 좌벽부(111)와 같은 구성이다. 그리고, 우벽부(122)에서는, 우벽 본체부(122a)의 내면(우측면)이 평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좌측 본체부(11)의 좌벽부(111)와 같이, 상하에 따른 판형의 삽입 리브(111c)와, 상기 삽입 리브(111c)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삽입공(111d)을 가지지 않는다. 전벽부(123)는, 좌측 본체부(11)의 전벽부(113)에 대응하고, 상기 전벽부(113)와 같은 구성이다. 후벽부(124)는, 좌측 본체부(11)의 후벽부(114)에 대응하고, 상기 후벽부(114)와 같은 구성이다. 저벽부(125)는, 좌측 본체부(11)의 저벽부(115)에 대응하고, 상기 저벽부(115)와 같은 구성이다. 그리고, 저벽부(125)는,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통형부(125a)와, 상기 통형부(125a)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위쪽으로 근소한 돌출부를 가지는 팽출부(125b)를 좌부측[좌벽부(121) 측]에 설치하고 있고, 좌측 본체부(11)의 저벽부(115)와 같이 중앙부가 아니다.
연결부(13)는, 좌측 본체부(11)의 우벽부(112)와 우측 본체부(12)의 좌벽부(121)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13)는, 우벽부(112)의 상단부와 좌벽부(12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판형의 상판부(131)와, 우벽부(112)의 전단부와 좌벽부(121)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판형의 전판부(前板部)(132)와, 우벽부(112)의 후단부와 좌벽부(121)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판형의 후판부(後板部)(133)로 구성된다(도 5, 도 9 참조). 이 상판부(131)의 상면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첩부용 리브(131a, 131b)가 우벽부(112)의 상단측과 좌벽부(121)의 상단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도 1, 도 8 참조). 이 첩부용 리브(131a, 131b)의 상단의 높이 위치는, 좌벽부(111)의 첩부용 리브(111b) 및 우벽부(122)의 첩부용 리브(122b)의 상단의 높이 위치와 같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사용의 일례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트리지(3)를 수용하고 있지 않은 빈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는, 좌우 방향[또는, 카트리지(3)를 수용하는 배열 방향]에 따라 복수 배열된 상태로 곤포(梱包) 납품된다. 본체부(1)의 좌측단 및 우측단의 측벽[좌측 본체부(11)의 좌벽부(111) 및 우측 본체부(12)의 우벽부(122)]의 외면에는, 외면 리브(111f, 122f)와 면일치로 형성되는 평면부(111g, 122g)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맞닿아 배열될 때는,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평면부(111g)와 다른 쪽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평면부(122g)가 맞닿는다. 즉, 한쪽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와 다른 쪽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와의 평면끼리가 접촉한다. 따라서, 이 접촉에 의해, 본체부의 일부에만 접촉에 의한 압압력(押壓力)이 작용하여 본체부의 일부에 변형이 생기는 것이 억제된다.
이어서, 납품된 빈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대하여, IC 라벨(제품명·테스트수·저장법·유효 기일·로트 번호·회사명이 인자된 라벨)을 첩부한다. 시약 충전이 끝난의 카트리지(3)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수용부(2)에 수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본체부(11)의 수용부(2)에 카트리지(3)를 7개, 우측 본체부(12)의 수용부(2)에 카트리지(3)를 7개 배열하여 수용한다. 이 수용 시에는, 저벽부(115)의 후방측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원형공(115e)을 마크로 하여,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카트리지(3)의 심형 웰(31)을 심형 웰 칸막이부(114b, 124b)의 사이에 끼워넣는 동시에, 심형 웰(31)의 하부를 심형 웰 칸막이부(114b, 124b)와 하부 칸막이부(115d, 125d)에 의해 확정되는 영역에 끼워넣는다(삽입한다). 또한, 각각의 카트리지(3)의 얕은 형 웰(32)을 상기 심형 웰 칸막이부(114b, 124b)에 대향하는 얕은 형 웰 칸막이부(113b, 123b)의 사이에 끼워넣는다. 또한, 각각의 카트리지(3)의 손잡이부(33)를, 전벽부(113, 123)의 돌출부(113c, 123c)의 위쪽을 덮도록 하여 손잡이(113a, 123a)의 상면에 탑재하는 동시에, 후벽부(114, 124)의 돌출부(114c, 124c)의 위쪽을 덮도록 하여 손잡이(114a, 124a)의 상면에 탑재한다.
그리고,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3)의 위쪽으로 배열 방향을 따라 탑 시일(T)을 탑재한다. 히터를 내장한 히터 헤드를 가압하여 열을 가하여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4개의 첩부용 리브(111b, 131a, 131b, 122b)에 탑 시일(T)을 첩부한다. 연결부(13)의 상판부(131)의 상면[QR 코드(등록상표) 라벨 첩부부]에 대응하는 탑 시일 부분을 절제한다. 여기서, 절제 후의 좌측 본체부(11) 측의 탑 시일(T)의 양 단부는, 좌벽부(111)의 첩부용 리브(111b)의 상면과, 연결부(13) 상의 좌측 본체부(11) 측[우벽부(112) 측]의 첩부용 리브(131a)의 상면에 첩부되어 있다. 즉, 좌벽부(111)의 첩부용 리브(111b)와, 연결부(13) 상의 우벽부(112) 측의 첩부용 리브(131a)와는 한 쌍의 첩부용 리브를 이루고 있다. 또한, 절제 후의 우측 본체부(12) 측의 탑 시일(T)의 양 단부는, 우벽부(122)의 첩부용 리브(122b)의 상면과, 연결부(13) 상의 우측 본체부(12) 측[좌벽부(121) 측]의 첩부용 리브(131b)의 상면에 첩부되어 있다. 즉, 우벽부(122)의 첩부용 리브(122b)와 연결부(13) 상의 좌벽부(121) 측의 첩부용 리브(131b)는 한 쌍의 첩부용 리브를 이루고 있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3)를 복수 수용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는, 각각의 카트리지(3)의 자동 면역 측정을 위해, 자동 면역 측정 장치의 설치 장소로 이송된다. 그리고, 자동 면역 측정 전에,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첩부된 탑 시일(T)을 벗긴다. 탑 시일(T)을 벗기려면, 예를 들면, 좌측 본체부(11) 측의 탑 시일(T)에서는, 연결부(13) 상의 첩부용 리브(131a)에 첩부된 일단부 측으로부터, 좌벽부(111)의 첩부용 리브(111b)에 첩부된 타단부 측을 향해 벗겨진다. 또한, 우측 본체부(12) 측의 탑 시일(T)에서는, 연결부(13) 상의 첩부용 리브(131b)에 첩부된 일단부 측으로부터, 우벽부(122)의 첩부용 리브(122b)에 첩부된 타단부 측을 향해 벗겨진다.
여기서, 좌벽부(111)의 첩부용 리브(111b) 및 우벽부(122)의 첩부용 리브(122b)의 폭 치수(전후 방향의 길이)는, 탑 시일(T)의 폭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며 약간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3) 상의 2개의 첩부용 리브(131a, 131b)의 폭 치수(전후 방향의 길이)는, 탑 시일(T)의 폭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며 약간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탑 시일(T)을 벗길 때, 첩부용 리브(131a, 131b)의 폭상(幅上)의 탑 시일(T)이 집기 쉽게 되어 있다. 즉, 첩부용 리브(131a, 131b)의 폭 외측으로부터 탑 시일(T)을 집기 어렵게 되어 있고, 카트리지(3)의 상면 개구를 폐색하는 시일을 잘못하여 함께 집어 벗겨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탑 시일(T)을 벗긴 후, 카트리지(3)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수용부(2)에 수용한 상태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는, 자동 면역 측정 장치 내의 소정 위치로 옮겨진다. 이 때, 수용한 각각의 카트리지(3)의 심형 웰(31)은, 심형 웰 칸막이부(114b, 124b)에 의해 나누어져 있고, 각각의 카트리지(3)의 심형 웰(31) 측은 그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도 14a 및 도 14b 참조). 또한, 수용한 각각의 카트리지(3)의 얕은 형 웰(32)은, 얕은 형 웰 칸막이부(113b, 123b)에 의해 나누어져 있고, 각각의 카트리지(3)의 얕은 형 웰(32) 측은 그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수용한 각각의 카트리지(3)의 심형 웰(31)의 하부는, 얕은 형 웰(3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저벽부(115, 125) 상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는 하부 칸막이부(115d, 125d)에 의해, 길이 방향 타단측[얕은 형 웰(32) 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옮겨질 때 카트리지(3)가 뜻하지 않게 배열 방향이나 길이 방향으로 뛰어 나오거나, 덜컹거리거나 하여 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카트리지(3)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수용부(2)에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여, 자동 면역 측정 장치 내의 소정 위치로 운반할 수가 있다.
자동 면역 측정 후[카트리지(3)의 사용 후], 비어 있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는, 회수될 때까지의 동안,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중첩시킨 상태로 일시적으로 보관·관리된다. 복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중첩시켰을 때는, 하단의 심형 웰 칸막이부(114b, 124b)의 상단은, 상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심형 웰(31)을 수용하는 측[또는, 후벽부 측(114, 124) 측]의 바닥면(하면)과 맞닿아 지지한다. 즉, 하단의 심형 웰 칸막이부(114b, 124b)는, 일단측 바닥면 지지 리브이다. 또한, 하단의 좌벽부(111)의 내면 리브(111e) 및 우벽부(122)의 내면 리브(122e)의 상단은, 상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얕은 형 웰(32)을 수용하는 측[또는, 전벽부 측(113, 123) 측]의 바닥면(하면)과 맞닿아 지지한다. 즉, 좌벽부(111)의 내면 리브(111e) 및 우벽부(122)의 내면 리브(122e)는, 타단측 바닥면 지지 리브이다. 여기서, 하단의 심형 웰 칸막이부(114b, 124b)와, 하단의 좌벽부(111)의 내면 리브(111e) 및 우벽부(122)의 내면 리브(122e)는, 복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중첩시켰을 때, 상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바닥면(하면)이 수평으로 되도록 상기 바닥면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중첩시켰을 때, 상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하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대하여, 심형 웰(31)을 수용하는 측[후벽부 측(114, 124) 측] 또는 얕은 형 웰(32)을 수용하는 측[전벽부 측(113, 123) 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평으로 지지하여, 비어 있었던 복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적층하여 둘 수가 있다. 그리고, 비어 있었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는, 회수 후에 세정을 하는 등하여 재사용 또는 재이용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의하면, 길이 방향 일단측에 배치되는 심형 웰(31)(일단측 웰)과, 길이 방향 타단측에 배치되는 얕은 형 웰(32)(타단측 웰)을 가지는 카트리지(3)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수용 가능한 오목형의 수용부(2)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2)는, 수용한 각각의 카트리지(3)의 심형 웰(31)의 사이를 구분하는 심형 웰 칸막이부(일단측 웰 칸막이부)(114b, 124b)로서, 각각의 카트리지(3)의 심형 웰(31) 측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심형 웰 칸막이부(114b, 124b)와, 수용한 각각의 카트리지(3)의 얕은 형 웰(32)의 사이를 구분하는 얕은 형 웰 칸막이부(타단측 웰 칸막이부)(113b, 123b)로서, 각각의 카트리지(3)의 얕은 형 웰(32) 측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얕은 형 웰 칸막이부(113b, 123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심형 웰 칸막이부(114b, 124b)는, 각각의 카트리지(3)의 심형 웰(31) 측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얕은 형 웰 칸막이부(113b, 123b)는, 각각의 카트리지(3)의 얕은 형 웰(32) 측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즉,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카트리지(3)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수용부(2)에 수용한 상태로 운반할 때, 각각의 카트리지(3)의 심형 웰(31) 측 및 얕은 형 웰(32) 측이 위치가 어긋나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어, 수용부(2) 내에서 카트리지(3)의 심형 웰(31) 측 및 얕은 형 웰(32) 측이 그 배열 방향으로 뜻하지 않게 날아 튀거나, 덜컹거리거나 하여 쉽게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카트리지(3)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수용부(2)에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상기 수용부(2)는, 수용한 각각의 카트리지(3)의 심형 웰(31)의 하부가 상기 길이 방향 타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하부 칸막이부(115d, 125d)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의하면, 심형 웰(31)의 하부가 길이 방향 타단측[상세하게는, 카트리지(3)를 수용한 상태에서의 얕은 형 웰(32)의 아래쪽 영역]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심형 웰(31)의 하부의 이동은 하부 칸막이부(115d, 125d)에 차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심형 웰(31)의 하부가 길이 방향 타단측에 뜻하지 않게 날아 튀거나, 덜컹거리거나 하여 쉽게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카트리지(3)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수용부(2)에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여 용이하게 운반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상기 수용부(2)에 복수 배열하여 수용한 카트리지(3)의 위쪽을 덮는 탑 시일(T)의 상기 배열 방향의 양 단부가 첩부되는 한 쌍의 첩부용 리브(111b, 131a, 131b, 122b)를 구비하고, 상기 첩부용 리브(111b, 131a, 131b, 122b)의 폭 치수는, 상기 탑 시일(T)의 폭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의하면, 탑 시일(T)을 첩부하는 첩부용 리브(111b, 131a, 131b, 122b)의 폭 치수는, 상기 탑 시일(T)의 폭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므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수용된 카트리지(3)를 측정하기 위해 탑 시일(T)을 벗길 때, 첩부용 리브(111b, 131a, 131b, 122b)의 폭상의 탑 시일(T)이 잡기 쉽게 되어 있다. 즉, 탑 시일(T)을 잡아 벗길 때에, 첩부용 리브(111b, 131a, 131b, 122b)의 폭 외측으로부터 탑 시일(T)을 잡는 것이 억제되어, 카트리지(3)의 심형 웰(31) 및 얕은 형 웰(32)의 개구를 폐색하는 실링을 잘못하여 함께 잡아 벗겨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외면측에 외면 리브(111f)가 형성된 좌벽부(111)(측벽)와, 외면측에 외면 리브(122f)가 형성된 우벽부(122)(측벽)를 구비하고, 상기 좌벽부(111) 및 우벽부(122)는, 상기 외면 리브(111f, 122f)와 면일치로 형성되는 평면부(111g, 122g)로서, 복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상기 배열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맞닿아 배열될 때, 다른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와 맞닿는 평면부(111g, 122g)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의하면, 곤포 납품 등의 시에, 복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상기 배열 방향을 따라 맞닿아 병렬될 때, 한쪽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평면부와 다른 쪽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평면부가 맞닿는다. 이 면접촉에 의해, 본체부(1)의 일부에만 접촉에 의한 압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본체부(1)의 변형을 방지하여 품질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서는, 상기 수용부(2)는, 복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중첩시켰을 때, 상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상기 심형 웰(31)을 수용하는 측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심형 웰 칸막이부(114b, 124b)(일단측 바닥면 지지 리브)와, 상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상기 얕은 형 웰(32)을 수용하는 측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내면 리브(111e, 122e)(타단측 바닥면 지지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심형 웰 칸막이부(114b, 124b)와 내면 리브(111e, 122e)는, 복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중첩시켰을 때, 상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바닥면이 수평으로 되도록 상기 바닥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의하면, 복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중첩시켰을 때, 상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상기 심형 웰(31)을 수용하는 측의 바닥면을 하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심형 웰 칸막이부(114b, 124b)가 지지하고, 상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상기 얕은 형 웰(32)을 수용하는 측의 바닥면을 하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내면 리브(111e, 122e)가 지지한다. 이 때, 심형 웰 칸막이부(114b, 124b)와 내면 리브(111e, 122e)는, 복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중첩시켰을 때, 상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의 바닥면이 수평으로 되도록 상기 바닥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이러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의하면, 복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중첩시켰을 때, 상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하단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에 대하여, 심형 웰(31)을 수용하는 측 또는 얕은 형 웰(32)을 수용하는 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를 용이하게 적층하여 둘 수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1)는, 좌측 본체부(11)와 우측 본체부(12)를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1)는, 좌측 본체부(11) 또는 우측 본체부(12)의 한쪽에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1)는, 좌측 본체부(11)의 수용부(2)와 우측 본체부(12)의 수용부(2)에 카트리지(3)를 7개씩 수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1)는, 좌측 본체부(11)의 수용부(2)와 우측 본체부(12)의 수용부(2)에 카트리지(3)를 예를 들면, 8개씩 수용하는 등 원하는 수의 카트리지(3)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얕은 형 웰 칸막이부(113b)의 높이는, 전벽부(113)의 높이보다 대략 0.17배 높게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얕은 형 웰 칸막이부(113b)는, 전벽부(113)의 높이보다 높고, 첩부용 리브(111b, 131a, 122b, 131b)의 상단 위치를 넘지 않는 높이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얕은 형 웰 칸막이부(113b)의 높이는, 전벽부(113)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 또는 전벽부(113)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첩부용 리브(111b, 131a, 131b, 122b)의 폭 치수는, 탑 시일(T)의 폭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첩부용 리브의 폭 치수는, 탑 시일의 폭 치수보다 크게 구성해도 된다.
1…본체부, 2…수용부, 3…카트리지, 11…좌측 본체부, 12…우측 본체부, 13…연결부, 31…심형 웰, 32…얕은 형 웰, 33…손잡이부, 111…좌벽부(좌측 본체부), 111a…좌벽 본체부, 111b, 122b, 131a, 131b…첩부용 리브, 111e, 122e…내면 리브, 111f, 122f…외면 리브, 111g, 122g…평면부, 112…우벽부(좌측 본체부), 113…전벽부(좌측 본체부), 113b, 123b…얕은 형 웰 칸막이부, 114…후벽부(좌측 본체부), 114a…손잡이, 114b, 124b…심형 웰 칸막이부, 115…저벽부(좌측 본체부), 115d, 125d…하부 칸막이부, 121…좌벽부(우측 본체부), 122…우벽부(우측 본체부), 122a…우벽 본체부, 123…전벽부(우측 본체부), 124…후벽부(우측 본체부), 125…저벽부(우측 본체부), 131…상판부, 132…전판부, 133…후판부, T…탑 시일

Claims (3)

  1. 길이 방향 일단측에 배치되는 일단측 웰(well)과, 길이 방향 타단측에 배치되는 타단측 웰을 가지는 카트리지를,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는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여 수용 가능한 오목형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수용한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의 사이를 구분하는 일단측 웰 칸막이부로서,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 측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일단측 웰 칸막이부와, 수용한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의 타단측 웰의 사이를 구분하는 타단측 웰 칸막이부로서,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의 타단측 웰 측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타단측 웰 칸막이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수용한 각각의 상기 카트리지의 일단측 웰의 하부가 상기 길이 방향 타단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하부 칸막이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복수 배열하여 수용한 카트리지의 위쪽을 덮는 탑 시일의 상기 배열 방향의 양 단부가 첩부(貼付)되는 한 쌍의 첩부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첩부용 리브의 폭 치수는, 상기 탑 시일의 폭 치수와 동일하거나 또는 거의 동일한,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
KR2020147000062U 2012-06-06 2012-06-06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 KR20150000955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4518 WO2013183122A1 (ja) 2012-06-06 2012-06-06 カートリッジ用収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955U true KR20150000955U (ko) 2015-03-05

Family

ID=4907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7000062U KR20150000955U (ko) 2012-06-06 2012-06-06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50000955U (ko)
CN (1) CN204359807U (ko)
TW (1) TWM451966U (ko)
WO (1) WO2013183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30792A1 (en) 2019-03-07 2020-09-10 Gen-Probe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holding consumables in a processing instrument
USD907987S1 (en) 2019-03-07 2021-01-19 Gen-Probe Incorporated Serpentine retainer spring for a receptacle rack
USD907465S1 (en) 2019-03-07 2021-01-12 Gen-Probe Incorporated Serpentine retainer spring for a receptacle ra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979U (ko) * 1997-05-21 1998-12-05 최학수 전산카트리지 보관용기
JP3010509B2 (ja) 1990-03-30 2000-02-21 富士レビオ株式会社 免疫測定用容器、免疫測定方法及び免疫測定装置
JP2007252334A (ja) * 2006-03-24 2007-10-04 Fujifilm Corp ラッ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13643T2 (de) * 1993-06-03 1999-02-18 Beckman Coulter Inc Probentraeger
CA2132813A1 (en) * 1993-10-28 1995-04-29 Ignatz Wolfgang Henzen Reagent kit and analyzer suitable for using it
BR9704709A (pt) * 1996-09-26 1998-12-29 Becton Dickinson Co Cavidade de amostra coberta para uso em ensaios de ácido nucleico e imunoensaios
ES2277573B1 (es) * 2006-10-31 2008-05-16 Grifols, S.A. Dispositivo para la carga de tarjetas de reactivos para analizadores clinicos.
EP2119463A4 (en) * 2007-03-05 2014-10-15 Daikyo Seiko Ltd MEDICAL RECEPTA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509B2 (ja) 1990-03-30 2000-02-21 富士レビオ株式会社 免疫測定用容器、免疫測定方法及び免疫測定装置
KR19980066979U (ko) * 1997-05-21 1998-12-05 최학수 전산카트리지 보관용기
JP2007252334A (ja) * 2006-03-24 2007-10-04 Fujifilm Corp ラ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451966U (zh) 2013-05-01
CN204359807U (zh) 2015-05-27
WO2013183122A1 (ja)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49378B (zh) 箱子
KR200481737Y1 (ko)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
RU2134223C1 (ru) Емкость для хранения картриджей для бритья (варианты)
US9433944B2 (en) Device for Providing pipette tips
WO2013011672A1 (ja) トレイ
KR20150000955U (ko) 카트리지용 수용 용기
JP5367713B2 (ja) 試薬容器システム
US11186227B2 (en) Storage device for vehicles
KR20150017469A (ko) 기판 포장 용기
US7968061B2 (en) Microplate with dialysis membrane
US8940248B2 (en) Kit
JP2013129449A (ja) 中仕切り容器
WO2019116873A1 (ja) 分析プレートのセット用ホルダー、および分析キット
JP4729091B2 (ja) 鶏卵包装用容器
JP6203656B2 (ja) 容器
KR100517652B1 (ko) 글래스 기판 운반용 상자
EP3421247A1 (en) Liquid storage unit
WO2013031103A1 (ja) トレイユニットおよびカードホルダ
KR20200130437A (ko) 인쇄 액체 공급부
EP1852187B1 (en) Samples storage system for pharmaceutical development
US20090011401A1 (en) Group of reagent carriers that is combined to form a composite
JP2007137479A (ja) Snコンテナー
KR200486592Y1 (ko) 질병 진단 장치
KR200449263Y1 (ko) 컨테이너
CN218859088U (zh) 检测试剂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