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783U -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783U
KR20150000783U KR2020130006830U KR20130006830U KR20150000783U KR 20150000783 U KR20150000783 U KR 20150000783U KR 2020130006830 U KR2020130006830 U KR 2020130006830U KR 20130006830 U KR20130006830 U KR 20130006830U KR 20150000783 U KR20150000783 U KR 201500007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unit
garbage
recognition unit
tr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7681Y1 (ko
Inventor
오효택
Original Assignee
오효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효택 filed Critical 오효택
Priority to KR2020130006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68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7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7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6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는 용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 투입부를 독립적으로 운영하여,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2L, 3L, 5L등 다양한 사이즈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이용한 쓰레기 배출이 용이하고, 특히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넣지 않고 무단투입되는 쓰레기를 미연에 차단하면서 생활쓰레기의 종량제로 재활용분리수거율이 향상시키기 위해 마감부재(10), 투입부(20), 하부도어(30), 록킹부(4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PICK-UP DEVICE TO CHARGE THE TAXES AT A GARBAGE}
본 고안은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투입부를 독립적으로 운영함에 따라 장치 구조가 간소화되어 고장율이 낮고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2L, 3L, 5L등 다양한 사이즈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이용한 쓰레기 배출로 인해 생활쓰레기의 재활용 분리수거율이 향상되며, 특히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넣지 않고 무단투입되는 쓰레기를 미연에 차단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그 발생량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특히 음식물 쓰레기는 그 특성상 부패하여 악취와 위생문제를 발생시키므로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구별로 종량제 봉투 또는 요금을 정산한 분리수거함에 쓰레기를 담아 지정된 장소로 배출하고 있으나, 미수거된 쓰레기로 인해 미관상 지저분하거나, 고양이에 의한 훼손 및 쓰레기 무단 배출로 인해 관리에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수거하기 위한 관련기술들을 살펴보면,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124593호에서 RFID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확인한 후 제어부에 의해 투입구를 개폐시킴으로써 생활쓰레기 무단 투입을 방지하고, 1차수거함에 투입된 생활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생활쓰레기 배출량에 따른 합리적인 요금을 부과하도록 하는 선공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쓰레기의 무단 투입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투입구 개폐부 및 배출구 개폐부에 의해 개폐작동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잦은 고장 및 전자식부품인 로드셀, 송수신장치(CDMA)의 적용과 통신비, 과전력소모로 인해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1차 수거함의 크기가 고정되어 중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도록 운영됨에 따라 주로 단독 주택지구에서 사용중인 2L, 3L, 5L등 다양한 사이즈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이용한 쓰레기 배출이 불가능한 폐단이 따랐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투입부를 독립적으로 운영함에 따라 장치 구조가 간소화되어 고장율이 낮고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2L, 3L, 5L등 다양한 사이즈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이용한 쓰레기 배출로 인해 생활쓰레기의 재활용 분리수거율이 향상되며, 특히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넣지 않고 무단투입되는 쓰레기를 미연에 차단하기 위한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징은, 받침대(12)상에서 위치 조절 및 선회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수거통(1)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마감부재(10); 상기 마감부재(10)상에 형성되고, 서로 상이한 용량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투입되도록 구비되어 상부도어(22)에 의해 개폐되는 복수의 투입부(20); 상기 투입부(20) 하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링크부재(32)에 의해 상부도어(22)와 연결되어, 상부도어(22)의 개방력에 의해 폐쇄작동되도록 구비되는 하부도어(30); 상기 하부도어(30)를 폐쇄상태에서 잠금작동하고, 인식부(42)에 의해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가 정상 인식되면 제어부에 의해 해제작동되는 록킹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식부(42)는 투입부(20) 내ㆍ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외측 인식부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가 인식되면 해당하는 용량의 투입부(20)측 상부도어(22)가 잠금해제되고, 내측 인식부는 투입부(20)에 수용된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정상 인식되면 제어부에서 하부도어(30) 해제작동신호를 송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인식부(42)는 상부도어(22)가 개방되는 시점부터 활성화되어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투입되는 중에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 인식부(42)는 복수의 투입부(20) 중에 서로 인접하는 투입부(20) 사이의 격벽(21)상에 구비되고, 각각의 투입부(20)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반사판(21a)에 의해 양방향에서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32)는 쇽압쇼바 또는 스프링, 2단 신축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부재(10)는 보조판(14)에 의해 폭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용량이 서로 다른 투입부를 복수개로 구비하고,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용량의 투입부측 상부도어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종량제 봉투가 투입되도록 운영됨에 따라 장치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고장율이 낮고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2L, 3L, 5L등 다양한 사이즈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이용한 쓰레기 배출로 인해 생활쓰레기의 재활용 분리수거율이 향상되며, 특히 투입부가 용량별로 구비되어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넣지 않고 무단투입되는 쓰레기가 미연에 차단되면서 생활쓰레기의 종량제로 재활용분리수거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반사판에 의해 각각의 투입부에 수용된 봉투의 바코드가 인식부상으로 반사되어 스캔됨에 따라 단일의 인식부를 활용하여 복수의 투입부에 수용된 봉투 스캔되어 부품수의 감소로 제조원가 절감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의 반사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의 보조판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의 ㅈ가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는 용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 투입부를 독립적으로 운영하여,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2L, 3L, 5L등 다양한 사이즈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이용한 쓰레기 배출이 용이하고, 특히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넣지 않고 무단투입되는 쓰레기를 미연에 차단하면서 생활쓰레기의 종량제로 재활용분리수거율이 향상시키기 위해 마감부재(10), 투입부(20), 하부도어(30), 록킹부(4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마감부재(10)는 받침대(12)상에서 위치 조절 및 선회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수거통(1)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마감부재(10)는 수거통(1) 상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덮개 형태로 형성되고, 수거통(1) 상부에 안착시 별도의 잠금장치(도시생략)에 의해 받침대(12) 또는 수거통(1)상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마감부재(10)는 수거통(1)을 교체시 상부로 선회되어 쓰레기 봉투가 채워진 수거통을 빈 수거통으로 교체한 후, 하부로 선회시켜 수거통 상부를 폐쇄하도록 받침대(12)상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2)는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마감부재(10)를 수거통(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유지시키는 역활을 수행하고, 레일, 실린더를 포함하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높낮이 및 전후, 좌우 위치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시중에 유통되는 다양한 사이즈(폭 및 높이)를 가진 수거통(1)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마감부재(10)의 위치가 변경되는 범용성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재(10)는 보조판(14)에 의해 폭이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보조판(14)은 마감부재(10) 측면 또는 전방 또는 측면과 전방에 함께 구비되고, 힌지를 축으로 접철 또는 레일, 실린더를 포함하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슬라이드방식으로 길이조절되도록 구비된다.(도 4에서는 좌우방향으로 보조판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
이에 마감부재(10)의 보다 넓은 폭을 가진 수거통(1)에 적용시 보조판(14)을 이용하여 사이즈를 확장함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수거통(1) 상부가 긴밀하게 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투입부(20)는 마감부재(10)상에 형성되고, 서로 상이한 용량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투입되도록 복수개소에 구비되어 상부도어(22)에 의해 개폐된다. 투입부(20)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통형태로 형성되고, 2L, 3L, 5L를 포함하는 시중에 유통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독립적으로 투입되도록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된다. 즉 도 1에서는 마감부재(10) 상에 2L 용량의 투입부와 3L 용량의 투입부 2개를 구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5L 용량을 포함하는 다른 사이즈의 투입부(20)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투입부(20)가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용량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독립적으로 구비됨에 따라 투입부(20) 내에 봉투를 투입시 빈공간 없이 긴밀하게 충진되어 봉투에 넣지 않은 쓰레기의 무단투입이 미연에 차단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20)는 각각의 상부도어(22)에 의해 개폐되는바, 여기서 상부도어(22)는 마감부재(10)상에서 힌지를 축으로 개폐작동되도록 구비되고, 제어부를 통하여 작동되는 록킹부(22a)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되며, 일단에 사용자가 손 또는 발로 개방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레버가 구비된다.(도 2에서는 손잡이형태로 작동레버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
이에 후술하는 인식부(42)가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면, 그에 해당하는 용량의 투입부(20)측 상부도어(22)가 잠금해제되고, 이어서 상부도어(22)를 개방하여 쓰레기 봉투를 투입하고 상부도어(22)를 닫으면 록킹부(22a)에 의해 잠금된 상태로 내측 인식부(42)가 바코드를 스캔하고, 바코드가 정상승인되면 후술하는 하부도어(30)가 잠금해제되어 쓰레기 봉투가 수거통(1) 내부로 낙하 투입된다. 한편 봉투 스캔시 정상승인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하부도어(30)가 잠금상태로 유지되면서 음성 또는 경고음이 발생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하부도어(30)는 투입부(20) 하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링크부재(32)에 의해 상부도어(22)와 연결되어, 상부도어(22)의 개방력에 의해 폐쇄작동되도록 구비된다. 하부도어(30)는 투입부의 하부에서 힌지를 축으로 개폐작동되도록 구비되고,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록킹부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되되, 이때 록킹부(40)는 하부도어(30)를 폐쇄상태에서 잠금작동하고, 인식부(42)에 의해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가 정상 인식되면 제어부에 의해 해제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30)는 링크부재(32)를 통하여 상부도어(22)와 연결되는바, 여기서 링크부재(32)는 쇽압쇼바 또는 스프링, 2단 신축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부도어(22)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하부도어(30)에 연결된 상태로, 상부도어(22)를 개방작동시 하부도어(30)가 당겨지면서 투입부 하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20) 내부로 쓰레기 봉투를 투입하기 위해 상부도어(22)를 사용자가 개방시 링크부재(32)에 의해 하부도어(30)가 선회되어 투입부(20) 하부가 폐쇄되되, 이때 링크부재(32)는 상부도어(22)가 20~50%개방된 시점에서 하부도어(30)가 100% 폐쇄된 위치까지 선회되도록 설정되고, 이후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상부도어(22)의 개방력은 쇽압쇼바 또는 스프링, 2단 신축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링크부재(32)상으로 흡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도어(30)는 상부도어(22)의 개방작동에 연계되어 폐쇄작동시 록킹부(40)에 의해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봉투를 투입후 상부도어(22)가 폐쇄되어 인식부(42)를 통하여 쓰레기 봉투가 정상 승인되면 제어부에 의해 록킹부(4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개방작동되면서 쓰레기 봉투가 수거통(1)으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록킹부(40)는 전자석을 이용한 것으로, 평상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지되어 하부도어(30)가 폐쇄작동된 위치에서 키홈과 맞물려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이후 제어부에 의해 록킹부(40)가 해제작동시 쓰레기 봉투의 자중에 의해 하부도어(30)가 개방된다.
이처럼 투입부(20)의 상ㆍ하부도어(22)(30)가 링크부재(32)에 의해 연계작동되도록 구비되어, 상부도어(22)의 개방력에 의해 하부도어(30)가 폐쇄작동되고, 쓰레기 봉투의 하중에 의해 하부도어(30)가 개방되는 무동력 작동구조를 가짐에 따라 전기배선이 없는 장소에서 배터리 전력만으로 인증된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정확하게 식별 수거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인식부(42)는 투입부(20) 내ㆍ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외측 인식부(42)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가 인식되면 해당하는 용량의 투입부(20)측 상부도어(22)가 잠금해제되고, 내측 인식부(42)는 투입부(20)에 수용된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정상 인식되면 제어부에서 하부도어(30) 해제작동신호를 송출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인식부(42)는 상하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지역마다 바코드 위치가 상이한 쓰레기 봉투에 대응하여 위치변경되거나, 쓰레기 봉투에 담긴 쓰레기 양에 따라 표면에 인쇄된 바코드의 높낮이 변경에 대응하여 스캔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스캔하는 중에 인식부(42)가 상하 높이 조절 또는 바코드를 길이방향으로 길게 확장인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설명에서 인식부(42)가 바코드를 인식하는 구성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QR코드를 포함하는 통상의 인식수단으로 변경적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인식부(42)는 바코드 위치가 서로 다른 다양한 쓰레기 봉투를 범용으로 스캔할 수 있도록 투입부(20) 내ㆍ외측에 서로 상이한 높이 및 위치에 복수개로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측 인식부(42)는 상부도어(22)가 개방되는 시점부터 활성화되어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투입되는 중에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인쇄된 바코드의 위치에 따라 인식부(42)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쓰레기 봉투가 투입되는 중에 인식부(42)가 순간적으로 바코드를 인식하여 정상승인여부를 결정함에 따라 쓰레기 수거장치의 작동타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인식부(42)는 복수의 투입부(20) 중에 서로 인접하는 투입부(20) 사이의 격벽(21)상에 구비되고, 각각의 투입부(20)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반사판(21a)에 의해 양방향으로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구비된다. 도 3과 같이 반사판(21a)에 의해 각각의 투입부(20)에 수용된 봉투의 바코드가 인식부(42)상으로 반사되어 스캔됨에 따라 단일의 인식부(42)를 활용하여 복수의 투입부(20)에 수용된 봉투가 스캔되는 구조이므로, 부품수의 감소로 제조원가 절감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제어부는 정상 인증되어 수거통(1)으로 투입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용량 또는 수량을 카운터하여 설정된 값(저장부의 최대용량 대비 80~90%정도로 설정)에 도달하면, 더이상 쓰레기 봉투를 투입하지 못하도록 상부도어(22)를 잠금작동하거나, 투입부(20) 하부에 쓰레기 봉투의 저장높이를 감지하는 센서(S)가 설치되어, 센서(S)에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감지되면 더이상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투입하지 못하도록 제어부에서 상부도어(22)를 잠금작동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10: 마감부재 20: 투입부
30: 하부도어 40: 록킹부

Claims (6)

  1. 받침대(12)상에서 위치 조절 및 선회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수거통(1)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마감부재(10);
    상기 마감부재(10)상에 형성되고, 서로 상이한 용량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투입되도록 구비되어 상부도어(22)에 의해 개폐되는 복수의 투입부(20);
    상기 투입부(20) 하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링크부재(32)에 의해 상부도어(22)와 연결되어, 상부도어(22)의 개방력에 의해 폐쇄작동되도록 구비되는 하부도어(30);
    상기 하부도어(30)를 폐쇄상태에서 잠금작동하고, 인식부(42)에 의해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가 정상 인식되면 제어부에 의해 해제작동되는 록킹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42)는 투입부(20) 내ㆍ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외측 인식부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가 인식되면 해당하는 용량의 투입부(20)측 상부도어(22)가 잠금해제되고, 내측 인식부는 투입부(20)에 수용된 쓰레기 종량제 봉투의 바코드를 스캔하여 정상 인식되면 제어부에서 하부도어(30) 해제작동신호를 송출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인식부(42)는 상부도어(22)가 개방되는 시점부터 활성화되어 쓰레기 종량제 봉투가 투입되는 중에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인식부(42)는 복수의 투입부(20) 중에 서로 인접하는 투입부(20) 사이의 격벽(21)상에 구비되고, 각각의 투입부(20)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반사판(21a)에 의해 양방향에서 바코드를 스캔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5. 제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32)는 쇽압쇼바 또는 스프링, 2단 신축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6. 제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10)는 보조판(14)에 의해 폭이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KR2020130006830U 2013-08-16 2013-08-16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KR200477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830U KR200477681Y1 (ko) 2013-08-16 2013-08-16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830U KR200477681Y1 (ko) 2013-08-16 2013-08-16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83U true KR20150000783U (ko) 2015-02-25
KR200477681Y1 KR200477681Y1 (ko) 2015-07-13

Family

ID=5257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830U KR200477681Y1 (ko) 2013-08-16 2013-08-16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6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7809A (zh) * 2019-01-22 2019-04-26 佛山市爱宅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垃圾桶时时封藏垃圾物品的控制方法
KR102309637B1 (ko) * 2021-04-02 2021-10-06 황인성 쓰레기 통합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223B1 (ko) * 2005-08-24 2007-02-05 주식회사 동호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설비
KR100916033B1 (ko) * 2009-03-24 2009-09-08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쓰레기 수거 시스템 및 쓰레기 수거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구 개폐 방법
KR101131639B1 (ko) * 2010-03-23 2012-03-28 주식회사 동호 Rf eas 태그를 이용한 종량제 봉투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060473B1 (ko) * 2011-04-08 2011-09-01 (주)내쇼날크린 음식물쓰레기 선불형 비례 수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681Y1 (ko) 201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7244C (en) Subsurface system for the collection of refuse
US6701832B1 (en) Top loading, automatically compacting trash can for high-traffic public venues
KR200408385Y1 (ko) 쓰레기 수거장치
KR101181888B1 (ko) 자동 재활용품 수거 장치
US9751118B2 (en) Waste compactor
CN103228432A (zh) 用于压实垃圾的方法和设备
US20120318791A1 (en) Bin for collecting solid waste
KR200477681Y1 (ko)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US20180022543A1 (en) Underground collection container
EP3999448A1 (en) Refuse distribution and compaction devices and methods
US20110041711A1 (en) Article compaction apparatus
KR101924105B1 (ko) 압축 쓰레기통
KR101236540B1 (ko)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KR200464070Y1 (ko) 쓰레기 수거함의 잠금장치
EP3476769A1 (en) Compactor device for waste collection
JP2001079685A (ja) リサイクル材の減容装置
KR101214947B1 (ko) 종량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2053585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200417407Y1 (ko) 쓰레기통
KR200473816Y1 (ko)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N109335399A (zh) 一种太阳能智能垃圾压缩箱
CN209209592U (zh) 一种智能压缩垃圾箱
KR200409823Y1 (ko) 재활용 분리 수거용 쓰레기통
KR101477254B1 (ko) 쓰레기 자동집하설비용 수거장치
CN211767958U (zh) 分类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