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623U -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623U
KR20150000623U KR2020130006395U KR20130006395U KR20150000623U KR 20150000623 U KR20150000623 U KR 20150000623U KR 2020130006395 U KR2020130006395 U KR 2020130006395U KR 20130006395 U KR20130006395 U KR 20130006395U KR 20150000623 U KR20150000623 U KR 201500006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steering wheel
bicycle
lever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8896Y1 (ko
Inventor
최석영
이은미
Original Assignee
최석영
이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영, 이은미 filed Critical 최석영
Priority to KR2020130006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896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6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6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8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63B2022/06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 A63B2022/064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enabling a lateral movement of the exercising apparatus, e.g. for simulating movement on a bicyc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운동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헬스용 자전거는 물론이고 이동 시 사용되는 일반 자전거의 안장이나 조향핸들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알맞게 안전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안장이나 조향핸들이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전거의 안장을 지지하는 안장브라켓의 하단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안장승강로드의 외주연에 형성된 렉기어와 치합되는 걸림돌기와; 걸림돌기를 렉기어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가압스프링과; 걸림돌기와 가압스프링을 보호하는 본체하우징과; 본체하우징의 내부에 일측이 삽입되어 가압스프링을 걸림돌기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작동레버와; 본체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동레버와 힌지로서 체결되는 힌지고정편과; 작동레버의 타측을 감싸는 레버손잡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Cycle for Health saddle and steering wheel height adjustment}
본 고안은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운동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헬스용 자전거는 물론이고 이동 시 사용되는 일반 자전거의 안장이나 조향핸들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알맞게 안전하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조절된 안장이나 조향핸들이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안장에 탑승한 사용자가 페달을 밟아 회전시킬 때 발생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거리 운송 기능뿐만 아니라 신체단련의 목적으로 실내에 설치되어 운동기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 및 헬스용 자전거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은 안장 및 조향핸들의 높이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이는 주행 시 페달이 하사점에 위치할 때 사용자의 다리를 완전히 펼 수 있는 상태가 되어야 가장 힘이 적게 들게 되고, 반드시 안장을 높게 하여 다리를 완전히 펼 수 있도록 해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조향핸들과 조향핸들을 파지한 사용자의 팔과의 거리 및 사이 각도가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비례하여 알맞게 조절되었을 때 장시간 주행과 사용에 유리하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자전거 및 헬스용 자전거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안장이나 조향핸들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높이조절장치로서 종래에는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구조를 가진 높이조절장치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스스프링을 사용한 높이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조절수단인 케이블을 통해 실린더 상단에 제공된 밸브를 개폐시켜 안장 및 조향핸들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실린더의 상하 이동 시 그 실린더에 고정된 케이블이 굴신운동을 심하게 발생시키게 됨에 따라, 이러한 굴신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미관상 좋지 않으며 안장 및 조향핸들의 고정이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구조가 복잡함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른 구조로서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하나의 안장과, 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일정 간격으로 키 홈이 형성된 하나의 지지기둥이 포함된 구조로 구성된 높이조절장치가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자전거 안장의 높이 조절 시 사용자가 안장을 지지하는 지지기둥과 자전거 프레임의 키 홈에 체결된 키를 제거하고, 지지기둥을 움직여 프레임으로 부터 높이거나 또는 낮추거나 높인 후 다시 다른 키 홈에 키를 체결하여 자전거 안장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이 또한 그 조절과정이 용이하지 못하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도록 정교한 조절이 어려운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실내에서 운동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헬스용 자전거는 물론이고, 이동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일반 자전거의 안장이나 조향핸들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알맞도록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그 구조가 심플함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도록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된 안장이나 조향핸들이 유동되지 않도록 그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전거의 안장을 지지하는 안장브라켓의 하단에 설치되어 프레임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안장승강로드의 외주연에 형성된 렉기어와 치합되는 걸림돌기와; 걸림돌기를 렉기어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가압스프링과; 걸림돌기와 가압스프링을 보호하는 본체하우징과; 본체하우징의 내부에 일측이 삽입되어 가압스프링을 걸림돌기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작동레버와; 본체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동레버와 힌지로서 체결되는 힌지고정편과; 작동레버의 타측을 감싸는 레버손잡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높이조절장치는 실내에서 운동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헬스용 자전거는 물론이고, 이동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일반 자전거의 안장이나 조향핸들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알맞도록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그 구조가 심플함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도록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된 안장이나 조향핸들이 유동되지 않도록 그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등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은 본 고안의 높이조절장치가 자전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높이조절장치의 예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높이조절장치의 평면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높이조절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높이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실내에서 운동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헬스용 자전거(C)는 물론이고, 이동 시 사용되는 일반 자전거(C)의 안장(1)이나 조향핸들(2)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는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의 높이조절장치(100)는 크게 안장(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장치(100)와, 조향핸들(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장치(100)로 대별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C)의 안장(1)을 지지하는 안장브라켓(3)의 하단에 설치되어 프레임(4)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안장승강로드(5)의 외주연에 형성된 렉기어(6)와 치합되어 작동되는 높이조절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승강로드(5)의 외주연에 형성된 렉기어(6)와 치합되는 걸림돌기(7)와; 상기 걸림돌기(7)를 렉기어(6)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가압스프링(8)과; 상기 걸림돌기(7)와 가압스프링(8)을 보호하는 본체하우징(9)과; 상기 본체하우징(9)의 내부에 일측이 삽입되어 가압스프링(8)을 걸림돌기(7)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작동레버(10)와; 상기 본체하우징(9)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동레버(10)와 힌지(11)로서 체결되는 힌지고정편(12)과; 상기 작동레버(10)의 타측을 감싸는 레버손잡이(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C)의 조향핸들(2)을 지지하는 핸들브라켓(14)의 하단에 설치되어 프레임(4)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핸들승강로드(15)의 외주연에 형성된 렉기어(6)와 치합되어 작동되는 높이조절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100)와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여기서 상기 렉기어(6)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형상이 아래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대략 "∠"와 같은 형상이 연속된 톱니기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렉기어(6)와 치합되는 걸림돌기(7)는 렉기어(6)와 접촉되는 전면부가 위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형상 즉, 렉기어(6)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걸림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7)의 배면부에는 일정 강도 이상의 탄성력이 부여된 가압스프링(8)이 접촉되어 걸림돌기(7)를 렉기어(6) 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스프링(8)의 타측은 작동레버(10)의 일측과 접촉되어 지지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돌기(7)와 가압스프링(8) 및 작동레버(10)의 일측은 본체하우징(9)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10)의 일측에는 본체하우징(9)과 작동레버(10)를 체결하는 체결핀(16)이 삽입되어 유동되는 핀가이드공(17)이 관통 형성됨에 따라 작동레버(10)가 본체하우징(9)의 일측에서 상하 유동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하우징(9)의 일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0)와 힌지(11)로서 체결되어 작동레버(10)를 제자리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고정편(12)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레버(10)의 타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레버손잡이(13)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장승강로드(5)와 핸들승강로드(15)의 외주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된 높이를 확인하기 위한 높이조절눈금(18)이 형성된다.
이 밖에 높이조절장치(100)의 외측에는 보호케이싱(19)이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높이조절장치(1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 및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100)를 실시함에 있어서 우선, 안장(1) 및 조향핸들(2)을 상승시킬 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0)를 아래측으로 하강시켜 걸림돌기(7)가 렉기어(6)에 치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장승강로드(5) 및 핸들승강로드(15)를 파지한 후 상승시키면 되는데, 그러면 각각의 승강로드(5)(15)에 형성된 렉기어(6)가 걸림돌기(7)의 경사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립되면서 상승하게 됨에 따라 안장(1) 및 조향핸들(2)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른 높이의 조절이 완료되면 그 상태에서 각각의 승강로드(5)(15)를 정지시키면 되는데,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와 같은 형상이 연속된 톱니기어의 렉기어(6) 하부면이 걸림돌기(7)의 상부면에 걸림되어 지지됨에 따라 별도의 추가 작업없이도 안장(1) 및 조향핸들(2)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안장(1) 및 조향핸들(2)을 하강시킬 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0)의 레버손잡이(13)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동레버(10)를 위쪽으로 상승시킨다.
그러면 상기 작동레버(10)가 힌지(11)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되면서 자연스럽게 가압스프링(8)과 일직선상에 놓이게 되는데,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1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핀가이드공(17)에 본체하우징(9)과 작동레버(10)를 체결하는 체결핀(16)이 삽입되어 유동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체결핀(16)의 위치가 핀가이드공(17)의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본체하우징(9)이 힌지고정편(12) 측으로 이동되어 본체하우징(9)과 힌지고정편(1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렉기어(6)와 걸림돌기(7) 사이에 간극이 발생됨에 따라 안장(1) 및 조향핸들(2)을 하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른 높이의 조절이 완료되면 그 상태에서 작동레버(10)의 레버손잡이(13)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동레버(10)를 아래쪽으로 하강시켜 처음과 같은 상태로 렉기어(6)에 걸림돌기(7)가 걸림되게 하면 높이의 조절 과정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안장승강로드(5)와 핸들승강로드(15)의 외주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된 높이를 확인하기 위한 높이조절눈금(18)이 형성됨에 따라 신체적 조건이 다른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수치를 기억하고 있게 됨으로써 안장(1) 및 조향핸들(2)의 높이 조절을 더욱 더 쉽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높이조절장치(100)는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서 높이의 조절이 가능해짐으로써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안장과, 이를 지지하는 동시에 일정 간격으로 키홈이 형성된 하나의 지지기둥이 포함된 구조로 구성된 종래의 높이조절장치에 내재되어 있던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높이조절장치(100)는 실내에서 운동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헬스용 자전거(C)는 물론이고, 이동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일반 자전거(C)의 안장(1)이나 조향핸들(2)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알맞도록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그 구조가 심플함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알맞도록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된 안장(1)이나 조향핸들(2)이 유동되지 않도록 그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등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1 : 안장 2 : 조향핸들
3 : 안장브라켓 4 : 프레임
5 : 안장승강로드 6 : 렉기어
7 : 걸림돌기 8 : 가압스프링
9 : 본체하우징 10 : 작동레버
11 : 힌지 12 : 힌지고정편
13 : 레버손잡이 14 : 핸들브라켓
15 : 핸들승강로드 16 : 체결핀
17 : 핀가이드공 18 : 높이조절눈금
19 : 보호케이싱
C : 자전거
100 : 높이조절장치

Claims (4)

  1. 자전거(C)의 안장(1)을 지지하는 안장브라켓(3)의 하단에 설치되어 프레임(4)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안장승강로드(5)의 외주연에 형성된 렉기어(6)와 치합되는 걸림돌기(7)와; 걸림돌기(7)를 렉기어(6)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가압스프링(8)과; 걸림돌기(7)와 가압스프링(8)을 보호하는 본체하우징(9)과; 본체하우징(9)의 내부에 일측이 삽입되어 가압스프링(8)을 걸림돌기(7)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작동레버(10)와; 본체하우징(9)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동레버(10)와 힌지(11)로서 체결되는 힌지고정편(12)과; 작동레버(10)의 타측을 감싸는 레버손잡이(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
  2. 자전거(C)의 조향핸들(2)을 지지하는 핸들브라켓(14)의 하단에 설치되어 프레임(4)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핸들승강로드(15)의 외주연에 형성된 렉기어(6)와 치합되는 걸림돌기(7)와; 걸림돌기(7)를 렉기어(6)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가압스프링(8)과; 걸림돌기(7)와 가압스프링(8)을 보호하는 본체하우징(9)과; 본체하우징(9)의 내부에 일측이 삽입되어 가압스프링(8)을 걸림돌기(7) 측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작동레버(10)와; 본체하우징(9)의 일측에 설치되어 작동레버(10)와 힌지로서 체결되는 힌지고정편(12)과; 작동레버(10)의 타측을 감싸는 레버손잡이(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작동레버(10)의 일측에는 본체하우징(9)과 작동레버(10)를 체결하는 체결핀(16)이 삽입되어 유동되는 핀가이드공(17)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안장승강로드(5)와 핸들승강로드(15)의 외주연에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눈금(1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
KR2020130006395U 2013-08-01 2013-08-01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 KR200478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395U KR200478896Y1 (ko) 2013-08-01 2013-08-01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395U KR200478896Y1 (ko) 2013-08-01 2013-08-01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623U true KR20150000623U (ko) 2015-02-11
KR200478896Y1 KR200478896Y1 (ko) 2015-11-27

Family

ID=5257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395U KR200478896Y1 (ko) 2013-08-01 2013-08-01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89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32B1 (ko) * 2017-07-12 2018-08-02 주식회사 에스티 스탠딩 헬스 바이크
CN108505287A (zh) * 2018-05-28 2018-09-07 吉林大学 一种家用多功能健身洗衣机
DE102018119786A1 (de) * 2018-08-14 2020-02-20 Walberg Urban Electrics Gmbh Roller mit höhenverstellbarem Lenker und höhenverstellbarer Lenker
KR20220040892A (ko) * 2020-09-24 2022-03-31 김주장 스틱봉 체결구조를 갖는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3463A (ko) * 2022-03-11 202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운동 자전거, 핸들 높이 조절 장치 및 시트 높이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034Y1 (ko) * 1998-04-30 2000-05-15 신영식 자전거의 절첩장치
JP2003146283A (ja) 2001-11-02 2003-05-21 Kokuki Chin 自転車のサドル盗難防止ロック構造
KR200314799Y1 (ko) 2003-02-06 2003-05-27 삼천리자전거공업 주식회사 자전거의 안장높이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132B1 (ko) * 2017-07-12 2018-08-02 주식회사 에스티 스탠딩 헬스 바이크
CN108505287A (zh) * 2018-05-28 2018-09-07 吉林大学 一种家用多功能健身洗衣机
DE102018119786A1 (de) * 2018-08-14 2020-02-20 Walberg Urban Electrics Gmbh Roller mit höhenverstellbarem Lenker und höhenverstellbarer Lenker
DE102018119786B4 (de) 2018-08-14 2022-05-12 Walberg Urban Electrics Gmbh Roller mit höhenverstellbarem Lenker und höhenverstellbarer Lenker
KR20220040892A (ko) * 2020-09-24 2022-03-31 김주장 스틱봉 체결구조를 갖는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896Y1 (ko) 2015-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896Y1 (ko) 헬스용 자전거 안장 및 조향핸들 높이조절장치
KR101636657B1 (ko) 전동식 운동보조장치
CN108186290B (zh) 一种主被动手指康复训练器
CN203593074U (zh) 折叠自行车鞍座高度调整装置
CN103083159B (zh) 电动减重训练架
WO2009041768A3 (en) Apparatus for height control of grip for vehicles
TW200615019A (en) Training apparatus
WO2017071019A1 (zh) 自行车车座升降装置
KR20100012820U (ko) 자전거용 보조바퀴 승강장치
RU141402U1 (ru) Тренажер спортивный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для занятий с отягощениями
KR20100129833A (ko) 벤치 프레스 기구
KR20110002513U (ko) 자전거의 안장높이 조절장치
WO2017071020A1 (zh) 一种可调节高度的自行车车把
CN203370242U (zh) 一种座椅可调的健身车
CN204723701U (zh) 一种坐式臂力力量锻炼器械
US9671062B2 (en) Adjusting group
CN103405885A (zh) 一种健身车
CN103405886A (zh) 一种带有可调靠背椅的健身车
TWI266641B (en) Exercise machine
CN203469335U (zh) 一种带有可调靠背椅的健身车
CN218357174U (zh) 一种神经内科康复用辅助训练装置
CN203469341U (zh) 一种健身车
CN216549187U (zh) 一种大型h型钢柱的吊装工装
EP2571748B1 (en) Bicycle
CN218607969U (zh) 一种具有拉绳位置指示的划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