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344A -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344A
KR20150000344A KR1020130072688A KR20130072688A KR20150000344A KR 20150000344 A KR20150000344 A KR 20150000344A KR 1020130072688 A KR1020130072688 A KR 1020130072688A KR 20130072688 A KR20130072688 A KR 20130072688A KR 20150000344 A KR20150000344 A KR 20150000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rame
safety device
horizontal frame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준
이동영
이영범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344A/ko
Publication of KR2015000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세로 프레임으로 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은 격자형으로 배열 고정되어 예인되는 해양구조물의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후미의 길이 연장으로 직선안정성을 가지게 됨은 물론 보다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DRIVING SAFETY DEVICE FOR MARINE}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또는 해상 LNG 터미널(fsru)와 같은 해양구조물을 예인할 때 해양구조물의 직선 안정성을 높이는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선체 길이에 비해 그 폭이 넓고 흘수선이 얕은 풍력발전기 설치선과 같은 광폭천흘수 선박은 선박 운항 시 물리적 현상에 의해 직선안정성이 떨어진다. 선박의 부족한 직선안정성을 보완하기 위해 선미부 선저에 스케그(skeg)를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해상에서 작업하는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또는 해상 LNG 터미널(fsru)와 같은 해양구조물은 자체 추진능력이 없기 때문에 예인선의 도움을 받아 작업해역까지 이동하게 된다. 하지만 예인되는 해양구조물도 광폭천흘수 선박과 마찬가지로 직선안정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예인되는 해양구조물은 예인선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주기운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주기운동은 추가적인 예인선의 투입, 예인 시간의 증가, 예인삭에 걸리는 과도한 하중 등과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인 안정성에 관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주로 트러스터(thruster)를 이용하여 선체 운동을 제어하는 방법과 선체에 스케그(skeg)를 장착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트러스터를 이용하는 경우 연료 소비로 인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트러스터의 공동화 현상과 같은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스케그는 선체에 장착되면,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작업 환경에 불필요한 스케그의 설치에 대한 선주의 불만 사항으로 표출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선미부 유동개선을 위한 유도판'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의 선미부 유동개선을 위한 유도판은 수중 환경하의 선박의 추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체 외판에 설치되는 부가물로서, 선체 외판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판으로 지지되는 유동가속판을 고정하고, 상기 유동가속판과 선체 외판 사이에 형성되는 유동공간은 선수방향을 향하는 유입부로부터 선미방향을 향하는 토출부를 향해 그 단면적의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선속 향상 및 선미부의 유동 개선을 위한 선미 부가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의 선속 향상 및 선미부의 유동 개선을 위한 선미 부가물은 선박의 선속 향상 및 추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미에 설치되는 선속 향상 및 선미부의 유동 개선을 위한 선미 부가물로서, 상기 선미 부가물은 프러펠러의 전방 상측부 선미 표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프로펠러의 상측부에 평행하게 대향되도록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유동 조절 블레이드가 고정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024968호(2011년 3월 9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04756호(2013년 1월 14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선미부 유동개선을 위한 유도판은 선체 외판에 고정되어 있어 유도판의 분리가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유도판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 2에 따른 선속 향상 및 선미부의 유동 개선을 위한 선미 부가물은 프로펠러의 공동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선미 공간부에 고정되어 선미 부가물을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양구조물의 예인 시 직선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지선에 간편하게 탈착되고, 사용 후 후처리가 용이한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타이어와 같은 재활용 완충부재를 고정하여 해양구조물과 주행 안전장치의 충돌 시 완충이 이루어지는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세로 프레임으로 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은 격자형으로 배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걸이용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최외곽에 고정된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에는 그 외면을 감싸는 고정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 프레임과 바지선 사이에는 다수의 완충부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정장치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세로 프레임으로 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 프레임에는 다수의 완충부재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폐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에 의하면, 예인되는 해양구조물의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후미의 길이가 연장되어 직선안정성을 가지게 됨은 물론 보다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에 의하면, 선체 고정용 고리와 연결구의 고정으로 주행 안전장치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고, 예인이 끝난 뒤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또 다른 해양구조물에도 재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가 바지선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는 일정한 크기와 중량을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를 바지선(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2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가로 프레임(11)과 일정 길이를 갖는 세로 프레임(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가로 프레임(11) 및 세로 프레임(12)은 각각 중량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바지선에 고정된 상태에서 해수면 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로 프레임(11)은 세로 프레임(12)에 비해 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고정된다. 도 1에서와 갈이, 가로 프레임(11)은 4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세로 프레임(12)은 가로 프레임(11)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고정되고, 가로 프레임(11)과 같이 중량을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은 동일하다.
이들 가로 프레임(11) 및 세로 프레임(12)은 동일한 간격을 갖는 격자형 형상으로 고정된다. 또한 가로 프레임(11)과 세로 프레임(12)은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가로 프레임(11)과 세로 프레임(12) 중 최외곽에 있는 프레임(11, 12)에는 그 외면을 감싸는 고정판(13)이 고정된다. 고정판(13)은 도 1에서와 같이, 그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로 프레임(11)에는 폐기된 타이어(미도시) 등과 같은 완충부재(미도시)를 고정할 수도 있다.
몸체(10)에는 다수의 연결구(20)가 고정된다. 연결구(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바(21)와 원형의 고리(22)를 포함한다. 연결구(20)는 몸체(10)를 바지선에 안정되게 고정하는 것으로, 샤클 또는 후크와 같은 걸이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정바(21)는 몸체(10)의 세로 프레임(12)에 적어도 2개 이상 고정되고, 각 고정바(21)에는 원형의 고리(22)가 고정된다. 또한 가로 프레임(11)에는 크레인 등으로 옮길 수 있도록 걸이용 고리(23)가 고정된다.
걸이용 고리(23)는 연결구(2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 장치로서, 가로 프레임(11)과 세로 프레임(12)으로 된 몸체(10), 몸체(10)를 바지선에 고정되게 하는 연결구(20)를 포함한다.
가로 프레임(11)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져 고정되며, 이들 가로 프레임(11)은 폐타이어 등의 완충부재(14)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거리만큼 이격된다. 또 가로 프레임(11) 일단에는 세로 프레임(12)이 고정되며, 가로 프레임(11) 타단에는 세로 프레임(12)이 고정된다.
세로 프레임(12)에는 다수의 연결구(20)가 고정된다. 연결구(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바(21)와 원형으로 된 고리(22)를 포함한다. 이들 고정바(21) 및 고리(22)는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예인되는 해양구조물에 고정된 상태로 예인 되므로, 물에 의한 저항 및 견인력을 충분히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로 프레임(11)에는 크레인 등으로 옮길 수 있도록 걸이용 고리(23)가 고정되며, 걸이용 고리(23)는 2개로 이루어진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는 세로 프레임(12)을 일정 길이로 다수개 절단한다. 가로 프레임(11)은 세로 프레임(12)에 비해 긴 길이로 다수개 절단한다.
세로 프레임(12)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가로 프레임(11)을 용접 등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가로 프레임(11)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세로 프레임(12)을 용접 등으로 고정한다. 즉, 최외곽에 고정되는 세로 프레임(12)에 비해 보다 짧은 길이로 절단하여 가로 프레임(11) 사이에 용접으로 고정한다.
한편 세로 프레임(12)은 최외곽의 세로 프레임(12)과 동일한 길이로 절단하여 용접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가로 프레임(11)과 세로 프레임(12)으로 된 몸체(10)에는 다수의 연결구(20)를 용접 등으로 고정한다. 연결구(20)는 고정바(21)를 세로 프레임(12)에 용접 등으로 고정한 다음 고리(22)를 용접으로 고정한다. 또한 최외곽에 고정된 가로 프레임(11) 및 세로 프레임(12)에는 고정판(13)을 용접 또는 볼트 등으로 고정한다.
한편 연결구(20)는 고정바(21)에 고리(22)를 용접으로 고정한 다음 세로 프레임(12)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가로 프레임(11)에는 걸이용 고리(23)를 용접으로 고정한다.
도 2에 도시된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는 가로 프레임(11)과 세로 프레임(12)을 일정 길이로 절단한다. 이렇게 절단된 세로 프레임(12)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가로 프레임(11)을 용접으로 고정한다.
각각의 가로 프레임(11)에는 완충부재(14)를 끼워 넣은 다음 세로 프레임(12)을 용접으로 고정한다.
또한 세로 프레임(12)에는 연결구(20)를 용접으로 고정하고, 가로 프레임(11)에는 걸이용 고리(23)를 용접으로 고정한다. 이들 연결구(20) 및 걸이용 고리(23)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가 선박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는 예인되는 해양구조물의 후미 즉, 진행 방향의 뒤쪽에 고정된다. 주행 안전장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크레인의 후크(미도시)에 걸이용 고리(23)를 끼워 고정한다.
이러한 주행 안전장치는 해수면 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중량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크레인 등으로 이동된다.
바지선으로 이동된 주행 안전장치는 연결구(20)를 바지선의 후미에 고정되어 있는 선체 고정용 고리에 끼워 고정한다. 또한 선체 고정용 고리에는 케이블의 일단을 결속한 다음 케이블의 타단을 주행 안전장치의 후미에 있는 연결구(20)에 결속한다.
이러한 케이블의 결속은 주행 안전장치의 휘청거림을 방지함은 물론 바지선과 주행 안전장치가 일직선으로 유지되게 하여 직선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해양구조물과 주행 안전장치 사이에는 별도의 완충재(30)를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완충재(30)는 해양구조물과 주행 안전장치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해양구조물의 후미에 주행 안전장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해양구조물은 예인선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주행 안전장치는 중량물로 이루어져 있어 해수면 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해양구조물의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후미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직선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안정되게 이동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몸체 11: 가로 프레임
12: 세로 프레임 13: 고정판
14: 완충부재 20: 연결구
21: 고정바 22: 고리
23: 걸이용 고리

Claims (6)

  1.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세로 프레임으로 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은 격자형으로 배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걸이용 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최외곽에 고정된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에는 그 외면을 감싸는 고정판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과 예인되는 해양구조물 사이에는 다수의 완충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
  5.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세로 프레임으로 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 프레임에는 다수의 완충부재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폐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
KR1020130072688A 2013-06-24 2013-06-24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 KR20150000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88A KR20150000344A (ko) 2013-06-24 2013-06-24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688A KR20150000344A (ko) 2013-06-24 2013-06-24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344A true KR20150000344A (ko) 2015-01-02

Family

ID=5247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688A KR20150000344A (ko) 2013-06-24 2013-06-24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3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3155B2 (en) Oil spill recovery method, vessel and apparatus
KR102356489B1 (ko) 개선된 선체 형상을 갖는 선박
CN103381877B (zh) 改进的拖船船体及包括该改进船体的拖船
WO2016114040A1 (ja) 船舶
KR102076497B1 (ko)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
US7063036B2 (en) System for connecting buoyant marine bodies
KR20140045132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방법
JP2005523203A (ja)
KR20150000344A (ko) 해양구조물용 주행 안전장치
US20080141916A1 (en) Small Vessel Capable Of High Tow Force
US20230046831A1 (en) Towing staple and hull for a vessel for towing
CN202283980U (zh) 一种用于船舶移运的滑道组件、滑撬组件、滑道和滑撬
KR20150043014A (ko) 부유체 예인장치
KR102005462B1 (ko) 더블암 데빗시스템용 리프팅 케이지를 가지는 소형 선박
KR20150007610A (ko) 탈부착식 예인 안정성 부가장치
CN108583811A (zh) 一种浮运方法
JP2009101752A (ja) フロート型船舶
KR101607837B1 (ko) 해상저장설비 및 이를 이용한 오일이송방법
GB2473165A (en) Oil spill recovery vessel having an oil transfer bollard and oil spill recovery method
CN100402373C (zh) 艏部具有升降式横向推进装置的可侧推拖船
JP2022181243A (ja) 貫流溝を有するプッシャ・バージ船
RU2153438C1 (ru) Буксировщик водолаза
CN105059484A (zh) 一种大型海洋结构物的上下船作业方式
WO2017094073A1 (ja) 船舶推進装置及び船舶
US20160159445A1 (en) Flotation device for a light-weight water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