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085A - 커플러 - Google Patents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085A
KR20150000085A KR1020130071972A KR20130071972A KR20150000085A KR 20150000085 A KR20150000085 A KR 20150000085A KR 1020130071972 A KR1020130071972 A KR 1020130071972A KR 20130071972 A KR20130071972 A KR 20130071972A KR 20150000085 A KR20150000085 A KR 20150000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latch
trigger member
jaw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개리 밀러
하워드 레이
Original Assignee
밀러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밀러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밀러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30071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085A/ko
Publication of KR2015000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31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transversal lock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굴착기의 굴착기 아암에 액세서리를 단단하게 부착하는 커플러(10). 커플러(10)는 굴착기 아암에 연결하는 제1 절반부(16) 및 액세서리에 연결하는 제2 절반부(18)를 포함한다. 제2 절반부는 이동 가능한 전방 래치가 결부된 전방 턱을 포함하고, 전방 래치는 래칭 위치 및 래칭 해제 위치를 갖고, 전방 래치가 자신의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전방 턱 내의 액세서리의 두개의 부착 핀 중 하나를 래칭하려는 것이다. 제2 절반부는 또한 후방 래치를 가지며, 후방 래치는 후퇴된 위치 및 전진된 위치를 가지며, 후방 래치가 자신의 전진된 위치에 있을 때, 부착 핀 중 제2의 것에 맞물리려는 것이다. 제2 절반부는 또한 프레임에 대한 상대 이동을 위해 장착된 트리거 부재를 가지며, 트리거 부재는, 전방 래치를 자신의 래칭 위치와 자신의 래칭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후방 래치를 자신의 전진된 위치와 자신의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전방 래치와 후방 래치 둘 다와 이동 가능한 상호 작용을 위해 배열된다.

Description

커플러{Coupler}
이 발명은 굴착기의 굴착기 아암에 액세서리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그러한 액세서리는 굴착기 버켓일 수 있다.
굴착기의 굴착기 아암에 액세서리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들은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참으로 많은 종래 기술 특허 및 특허출원들이 그러한 커플러들을 기술한다. 예를 들어, GB2330570, GB2177674, EP0184282, US2005169703A1, US6699001, WO2010/059948, GB2412361, GB2463158, GB2447809 및 WO2008/031590를 보라.
이러한 커플러들은 일반적으로, 두개의 부착 핀(그러한 부착 핀을 위해 제공된 두 쌍의 구멍을 통해)을 이용하여 굴착기 아암에 연결 가능한 상부 절반부, 및 액세서리 상에서 하부 두개의 또다른 부착 핀이 맞물리게 하는 하부 절반부를 포함한다. 후반부와 같은 목적을 위해, 자의 For that latter purpose that 하부 절반부는 전형적으로, 구멍이 아닌, 두개의 턱을 포함한다. 그러한 턱은 액세서리의 그러한 두개의 또다른 부착 핀의 각각에 맞물린다.
많은 커플러들의 공통 요소는 두개의 턱 중 제1의 것이 일반적으로 전방 턱(front jaw)이라고 지칭된다는 것이다. 그 것의 개구(제1 또는 전방 부착 핀을 받아들이기 위한)는 커플러의 일반적으로 전방 단부의 밖으로 지향되고, 즉 일반적으로 커플러의 상부 절반부에서 두 쌍의 구멍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평행하다. 흔히, 그 것은 그 선으로부터 상향으로 약간, 아마도 15º까지의 각으로 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제2 턱은 일반적으로 후방 턱(rear jaw)이라고 지칭된다. 그 것은 일반적으로 하향으로, 즉 일반적으로 전방 턱에 직각인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후방 턱은 보편적으로 관련 래칭 후크를 갖는다. 래칭 후크는 래칭 되는 위치와 래칭 해제 되는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또는 피봇될 수 있다. 래칭 되는 위치에서는, 후방 턱의 개구가 래칭 후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그러나, 래칭 해제 되는 위치에서는, 부착 핀이 턱으로부터 하향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턱의 개구가 열려 있게, 래칭 후크가 일반적으로 완전히 후퇴된다.
GB2330570에서의 커플러는, 중력(정상적으로 사용 중인 커플러의 배향에서, 즉 뒤집어 지지 않은 배향에서)의 영향 하에서 래칭 후크의 전방에서의 차단 위치로 들어가기에 적합한, 차단 봉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 그 차단 위치에서, 차단 봉은 래칭 후크의 래칭 위치로부터 래칭 해제 되는 위치로의 래칭 후크의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래칭 후크의 래칭 해제에 저항할 것이다.
차단 봉은 피봇의 둘레에 피봇 방식으로 장착된다. 그 피봇은 전방 턱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차단 봉은 일반적으로 그 피봇으로부터 후방 턱을 향하고 있고, , 즉 커플러가 정상 사용 중인 배향에 있을 때, 즉 위가 아래쪽에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뒤집어진 것인 아닌 때에, 중력이 일반적으로 차단 봉의 차단 위치를 향해 차단 봉에 힘을 가하도록, 그 피봇 둘레에서 균형이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래칭 후크의 차단을 해제하기 위해(커플러로부터 액세서리를 연결 해제하기 위해), 커플러가 뒤집어지는 것이 필요하거나 또는 차단 봉을 자신의 차단 위치로부터 차단 해제 위치로 들어올리기 위한 어떤 형태의 촉구 수단(urging means)이 제공될 것이다. 하나의 그러한 촉구 수단은 소형 유압 램(hydraulic ram)일 수 있다.
정상 사용 중, 즉 버켓으로 굴착할 때, 액세서리의 부착 핀에 의해 매우 큰 힘이 래칭 후크 상에 가해질 수 있다. 간헐적으로, 그러한 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단 봉에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힘에 대처하기 위해, 차단 봉은 일반적으로 상당히 튼튼한 요소이다. 이는 방지한다 차단 봉이 그러한 간헐적 하중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커플러들은 US6699001 및 GB2447809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문서에서는, 후방 피봇하는 래칭 후크가 슬라이딩 부재로 교체된다.
또다른 커플러들은 GB2463158 및 WO2008/031590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커플러들에서는, 두개의 턱 모두 피봇 가능한 래치를 특징으로 한다.
래치의 이동은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하거나, 또는 기계식 작동기(일반적으로 유압 램 또는 대형 스크류나사 구동)에 의하거나, 또는 전방 래치의 경우에는, 중력에 의할 수 있다. 가능한 경우에, 차단 봉의 이동도 작동기 또는 중력에 의할 수 있다. 작동기의 경우에, 그 것은 전형적으로 후방 래치를 위한 램과는 별개의 유압 램이다.
이러한 커플러 상에서의 래칭 및 고정 동작, 및 고정의 분리/연결 해제 동작은, 각각의 턱을 위한 래치 및 그 것들을 위한 어떤 차단 수단과 같은 메커니즘이 부주의한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지 않도록 설계되므로, 전형적으로 일련의 예정된 단계를 이용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것은, 래치가 여전히 부주한 분리로부터 차단되지만, 단일 요소가 제1 위치에서 액세서리의 단단한 부착을 트리거 하고, 마찬가지로 액세서리의 요구되는 분리 또는 연결 해제를 일으킬 수 있는, 커플러 배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커플러 내의 어떤 요소의 고장 시 부주의한 분리를 방지하도록, 커플러가 여전히 필수적 예방적, 효과적이지만, 일반적으로 중복적인, 래치 백업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발명에 따르면, 굴착기의 굴착기 아암에 액세서리를 부착하기 위한 커플러가 제공되며, 커플러는 굴착기 아암에 연결하는 제1 절반부 및 액세서리에 연결하는 제2 절반부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제2는 절반부는:
이동 가능한 전방 래치가 결부된 전방 턱 - 상기 전방 래치는 래칭 위치 및 래칭 해제 위치를 갖고, 전방 래치가 자신의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전방 턱 내의 액세서리의 두개의 부착 핀 중 하나를 래칭하려는 것임 -;
후방 래치 - 상기 후방 래치는 후퇴된 위치 및 전진된 위치를 가지며, 후방 래치가 자신의 전진된 위치에 있을 때, 부착 핀 중 제2의 것에 맞물리려는 것임 -; 및
프레임에 대한 상대 이동을 위해 장착된 트리거 부재 - 상기 트리거 부재는, 전방 래치를 자신의 래칭 위치와 자신의 래칭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후방 래치를 자신의 전진된 위치와 자신의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전방 래치와 후방 래치 둘 다와 이동 가능한 상호 작용을 위해 배열됨 - 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트리거 부재는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피봇 방식으로 장착된다.
양호하게는, 트리거 부재는 래치의 하나 또는 둘 다에 대해 직접적으로 지탱한다.
양호하게는, 트리거 부재는 커플러의 후방 절반부 내에 장착된다. 커플러의 후방 절반부는 프레임의 측판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측방향 평면의 뒷쪽의 어떤 점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측방향 평면은, 후방 래치가 자신의 가장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의 후방 래치의 최후방 립과 전방 턱의 최후방 부분 사이의 중간에 배치된다.
양호하게는, 트리거 부재는 커플러의 후방 턱 위에 배열되고, 상기 후방 턱은 제2 턱이며, 후방 턱은 후방 래치와 결부된다.
양호하게는, 전방 래치는 자신의 래칭 위치와 자신의 래칭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봇 가능하다.
양호하게는, 전방 래치는 자신의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자신의 결부된 전방 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양호하게는, 후방 래치는 자신의 전진된 위치에 있을 때 자신의 결부된 전방 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양호하게는, 액세서리는 2핀 부착에 의해 커플러에 연결되고, 전방 턱은 그러한 두개의 핀 중 제1 것에 맞물리며, 후방 래치는 그러한 두개의 핀 중 제2 것에 맞물리고, 후방 래치는 프레임 및 전방 턱과 협력하여, 제1 핀을 전방 턱에, 그리고 제2 핀을 후방 래치에 대해, 유지하는 맞물림 힘을 제공한다.
양호하게는, 부착 모드는 먼저 제1 핀을 전방 턱에 맞물리고, 그 후 제2 핀을 후방 래치와 맞물리는 것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전방 턱은 제1 턱이며, 후방 래치는 제2 턱 - 후방 턱과 결부된다.
양호하게는, 후방 턱은 제1 턱과 상이한 방향으로 향한다. 양호하게는, 후방 턱은 제1 턱의 방향에 직각인 방향을 향한다.
양호하게는, 제2 턱은 제1 턱보다 더 넓은 개구 - 이는 상이한 제조업자들로부터의 액세서리가 수용될 수 있게 함 - 를 가지며, 주어진 응용/기계 하중 등급을 위한 부착 핀의 핀 직경이 일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이 있지만, 즉 드물게 5%를 초과하는 차이가 있지만, 핀 중심 공간은 그보다 더 크게, 예를 들어 제조업자들 사이에서 흔히 15%까지 변할 수 있다.
후방 래치는 전형적으로 자신의 전진된 위치를 향해 영구적으로 바이어스 될 것이다. 바이어스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를 초과하는 그러한 코일 스프링이 있을 수 있을 것이며, 양호하게는 두개가 있다. 이는, 하나가 고장나면, 다른 하나가 여전히 래칭 위치를 향한 원하는 바이어스를 제공할 것임을 보장한다.
전방 래치는 자신의 래칭 위치를 향해 영구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바이어스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커플러가 적절히 배향되면, 중력에 의해 선택적 바이어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 배열에서는, 바이어스가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에 의하는 것과 같이 영구적일 수 있을 것이다. 하나를 초과하는 그러한 코일 스프링이 있을 수 있을 것이지만, 흔히, 특히, 중력이 중복적 백업 바이어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단 하나면 충분할 것이다.
또다른 바이어스가, 아마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오일 회로 바이패스를 가지며, 그럼으로써, 그러한 유압 바이어스 힘을 극복하기 위해 트리거 부재로부터의 동작이 필요하지 않게 하는,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한 유압 램에 의해 제공되기도 할 것이다.
양호하게는, 후방 턱은 커플러의 제1(상부) 절반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즉 후방 턱은 하향으로 향하는 턱이다.
양호하게는, 전방 턱은 사실상 전방을 향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즉 일반적으로, 커플러의 종축을 따른다(또는, 일반적으로, 액세서리 - 커플러에 정확히 장착되었을 때 - 의 두개의 부착 핀의 중심 사이에서 연장하는 가상선과 평행하다). 또다른 배열에서, 전방 턱은 그 종축선보다 약간 상향으로 향할 수 있을 것이지만, 양호하게는 그 선으로부터 15º를 초과하지 않는다.
후방 래치는, 일반적으로, 두개의 턱 부재 사이에서 연장하는 사실상 일정한 또는 솔리드 단면을 갖는, 프레임의 각 측벽마다 하나의, 노즈 부분을 포함할 것이다.
전방 래치는, 일반적으로, 전방 턱의 마우스(mouth), 전방 턱의 목(throat), 및 전방 턱의 하부 립(bottom lip) - 둘 다 사실상 일정한 또는 솔리드 횡단면을 가짐 - 으로 하향으로 연장하는 사실상 일정한 또는 솔리드 횡단면을 갖는, 노즈 부분을 포함할 것이다.
각각의 턱, 또는 턱 부분에는, 일반적으로, 턱에 대한 추가적 강도를 제공하기 위해, 보강된 또는 강화된 스틸 인서트(steel insert)가 제공될 것이다. 그 추가적 강도는 턱이, 커플러의 사용 중에 턱에 가해질 것인, 무거운 하중을 수용하는 것을 돕는다.
양호하게는, 액세서리는 굴착기 버켓이다.
양호하게는, 전방 래치는, 단지, 커플러에 대한 액세서리를 위한 1차 래칭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커플러, 후방 래치 및 전방 턱을 위한, 일반적으로 중복적인 백업 메커니즘이다. 중복적 백업 메커니즘으로서의, 전방 래치는, 후방 래치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등, 1차 래칭 메커니즘에 고장이 있는 경우에, 커플러에 대해 액세서리를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전방 래치는, 전방 턱 내에 맞물릴 것인 부착핀에 대해, 그 것이 그 핀을 그 턱 내에 래칭할 지라도, 아마 실제로 맞물리지는 않을 것이다.
양호하게는, 전방 래치는, 자신의 래칭 위치로부터 자신의 래칭 해제 위치로의, 전방 래치의 맞물림 해제가, 수평 작동 위치와 종축이 똑바르거나, 또는 각각의 방향으로 적어도 80º인 회전 각의 범위 내에서는, 순수하게 중력의 영향 하에서는 일어날 수 없게 하는, 중력 중심을 갖는다.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해, 그 것은, 부착 상태를 해치지 않는 완전한 도치불가성(full inversionability)을 제공하도록, 90° 너머로, 180° 너머까지도 증대시킬 수 있다.
양호하게는, 전방 래치는, 전방 래치가 둘레로 회전할 수 있는, 피봇 핀을 가지며, 피봇 핀은 커플러의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양호하게는, 전방 래치는 두 갈래로 나뉘어 있고, 두개의 피봇 핀을 가지며, 각각은 같은 축을 갖고, 커플러의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측방향으로 연장한다.
양호하게는, 각각의 피봇 핀은 커플러의 후방 절반부에 배치되어 있다.
양호하게는, 전방 래치는 노즈 부분으로부터 피봇 핀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아암 부재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아암은 하나의 평면에서 ? 양호하게는 수직 종방향 평면에서 - 사실상 평편하다.
양호하게는, 아암은 그로부터 연장하는 차단 부재를 가지며, 후방 래치가 전진된 위치에 있고 동시에 전방 래치가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차단 부재는 후방 래치의 단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열된다. 그래서, 차단 부재는, 전방 래치가 래칭 해제 위치로 이동되지 않는 한, 후방 래치가 자신의 후퇴된 위치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양호하게는, 아암은 트리거 상호 작용 구역을 갖는다. 양호하게는, 트리거 상호 작용 구역은 래치 개방 구역을 가지며, , 트리거 부재가 전방 래치를 래칭 해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호 작용할 때, 트리거 부재는 래치 개방 구역에 대해 지탱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트리거 상호 작용 구역은 래치 폐쇄 구역을 가지며, , 트리거 부재가 전방 래치를 래칭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호 작용할 때, 트리거 부재는 래치 폐쇄 구역에 대해 지탱할 수 있다.
양호하게는, 트리거 부재가, 예를 들어 래치 개방 구역과 래치 폐쇄 구역 사이에서 이동할 때, 슬라이딩 할 수 있는 매끈한 곡면 표면을 제공하도록, 트리거 상호 작용 구역은 블렌딩(blended) 된다.
양호하게는, 두개의 아암이 있고, 양호하게는, 그 것들이 서로 거울 반영상을 갖는다.
양호하게는, 트리거 부재는, 예를 들어 트리거 상호 작용 구역과 관련하여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전방 래치와 상호 작용하는 제1 돌출 표면, 후방 래치와 상호 작용하는 제2 돌출 표면, 및 예를 들어 커플러 내의 후방 턱 내의 액세서리의 핀과 상호 작용하는 제3 돌출 표면인, 적어도 세개의 돌출 표면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돌출 표면은 둥글거나 또는 매끈하며, 뾰족하거나 또는 거칠지 않다. 이는 돌출 표면들이 지탱하는 표면들과의 상호 작용을 돕는다. 표면들은 표면들 사이의 저저항 상호 작용을 더 향상시키기 위한 베어링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양호하게는, 후방 래치는 프레임의 측벽 내에서 트랙을 따라 천이 이동하게 배열된다.
양호하게는, 후방 래치는 횡단면에서 테이퍼 된 단부를 갖는다. 이는 단부가 완전히 후퇴되지 않는 경우에 단부를 지나 부착 핀을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방 래치는, 단부가 래칭 해제 위치로 완전히 이동되지 않은 경우에, 그 단부를 지나, 예를 들어 자신의 노즈 부분의 단부를 지나, 부착 핀을 편리하게 삽입하기에 적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단부는 바깥쪽을 향해 각진 표면, 또는 둥근 표면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그래서 핀이 그에 따라 발생되는 반응력의 각도로 인해 단부를 상향으로 민다.
양호하게는, 후방 래치는 업스탠딩 플랜지를 가지며, 플랜지는 트리거 부재, 예를 들어 그 제2 돌출 표면과 상호 작용하는 단부 또는 표면을 갖는다.
트리거 부재와 두개의 래치 사이의 상호 작용은, 래칭/래칭 해제 위치 및 전진된/후퇴된 위치와 관련하여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트리거 부재가 그러한 래치들을 지신들의 상대적 개방 위치와 상대적 폐쇄 위치 사이로 이동시키게 한다. 그 상호 작용은, 트리거의 제1 돌출 표면 또는 제2 돌출 표면, 또는 제1 돌출 표면 및 제2 돌출 표면의 둘 다가 자산들의 이동의 단부들의 하나 또는 둘 다에서 천이 저항 점을 갖도록 하는 것, 메커니즘의 임펄스 하에 래치들의 해제 또는 개방이 전체적으로 일어나거나, 또는 더 쉽게 이루어질 때, 래치들을 후퇴 또는 개방하기 위해(즉 그 것들을 후퇴된 또는 래칭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천이 저항 점 중 적어도 하나가 극복되어야 하게 하는 것, 또는 더 양호하게는, 메커니즘의 임펄스 하에 래치들의 자신들의 전진된 또는 래칭 위치로의 이동이, 예를 들어 후방 래치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해 구동되는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일어날 때, 래치들의 해제 또는 개방 상태로부터 이동시킬 때, 천이 저항 점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극복되어야 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천이 저항 점들은, 트리거 상호 작용 구역에 매끈한 계단식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후방 래치의 플랜지에 매끈한 계단식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트리거 부재의 관련 돌출 표면의 단부에 평편한 또는 평탄화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트리거 부재 상에 관련 래치의 오목한 표면이 얹혀질 수 있는 오목부를 제공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트리거 부재는 래치 맞물림 해제 바를 받아들이기 위한 구멍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래치 맞물림 해제 바에 의해, 트리거 부재가 자신의 피봇의 둘레로 회전하는 힘을 받을 수 있고, 그럼으로써 두개의 래치와 상호 작용한다.
양호하게는, 프레임의 후방 단부는, 래치 맞물림 해제 바가 트리거 부재의 구멍에 접근하기 위해 나사로 돌려질 수 있는, 길쭉한 구멍을 갖는다.
대안적으로는, 트리거는, 예를 들어 거기에 결부된 스크류드라이브 또는 유압 램을 가짐으로써, 동력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양호하게는, 그 작동기는, 우연한 동작의 가능성을 방지하도록, 맞물림 해재 가능할 수 있다.
트리거 부재의 의도하지 않은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차단 부재 또는 안전 핀이 있을 수 있다.
양호하게는, 전방 래치는 트리거 부재의 피봇 점보다 더 뒷쪽에 있는 위치에서 프레임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장착된다. 양호하게는, 트리거 부재의 구멍은 전방 래치의 두개의 아암 사이에서 접근 가능하다.
전방 래치는 일반적으로 트리거 부재 위에 배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자신의 래칭 위치로 바이어스 될 수 있을 것이다. 스프링은 전방 래치의 두개의 아암 부재 사이의 브릿지 스패닝(bridge spanning)에 대해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방 래치는 두개의 상부 피크, 두개의 드로핑 단부 및 디핑 중간부를 갖는 일반적인 M자 형상을 채택하는 하나 이상의 아암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 형상은 사실상 곧은 상벽 및 하벽을 갖는 봉보다 더 가벼울 것이다.
양호하게는, 차단 부재는 디핑 중간부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부착된다.
양호하게는, 피봇 점은 드로핑 단부 중 하나의 단부에 배열된다.
양호하게는, 노즈 부분은 드로핑 단부에 배열된다.
양호하게는, 트리거 부재는 피봇 점에 가장 가까운 상부 피크의 내부에서 전방 래치와 상호 작용한다.
양호하게는, 전방 턱은 자신의 하부 립에서 절취부를 가지며, 절취부는 턱의 전 범위에 걸쳐 연장한다. 절취부는 그렇게 형성된 외부 립으로 인해 전방 턱을 진출시키는 핀에 또다른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부착 핀을 수용하려는 것이다.
이제, 이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요소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기술될 것이며, 도면에서:
도 1은 이 발명의 제1 실시예를 턱 개방 상태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절취 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턱 폐쇄된 구조로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절취 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하지만, 해제 부재가 턱을 개방하고, 부착 핀이 그러한 턱으로부터 해제되어 있으며;
도 6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의 트리거 부재를 더 상세하게 도시하고;
도 7은 이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투시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9는 도 7의 실시예의 내부 메커니즘을, 턱 개방 구조에서의 내부 메커니즘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10은 도 7의 실시예를, 턱 폐쇄 구조에서의 내부 메커니즘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1은 도 7의 실시예의 전방 래치를 그 형상을 더 명확하게 예시하고자 커플러의 잔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도시하며;
도 12는 이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4는 도 12의 실시예의 내부 메커니즘을, 턱 개방 구조에서의 내부 메커니즘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5는 도 12의 실시예를, 턱 폐쇄 구조에서의 내부 메커니즘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먼저 도 1의 전부를 보면, 굴착기의 아암에 부착하는 커플러가 도시되어 있다. 그 것은 액세서리를 굴착기의 아암 상에 부착하는 것이다. 그러한 액세서리는 버켓 및 다른 도구들을 포함한다. 그들은 부착 핀 ? 두개의 평행한 부착 핀에 의해 장착된다.
이 제1 실시예의 커플러(10)는 제1(또는 상부) 절반부(12) 및 제2(또는 하부) 절반부(14)를 갖는다. 제1 절반부(12)는 굴착기의 아암의 부착 핀을 받아들이기 위한 두개의 구멍(16, 18)을 갖는다 제2 절반부는 대신에 두개의 턱 ? 전방 턱(20) 및 후방 턱(22)을 갖는다. 이들은 액세서리의 부착 핀(30, 36)을 받아들인다.
전방 턱(20)은 상부 벽(24) 및 하부 벽(26) 및 자신의 등(back)(28)에서의 목(throat)을 갖는다. 액세서리의 부착 핀(30) 중 하나는 사용 중에, 즉 커플러(10)에 적절히 연결될 때, 전방 턱(20)의 등(28)을 향해 앉혀질 것이다.
전방 턱(20)은 자신의 하부 벽(26)의 자유 단부를 향해 리세스(32)를 갖는다. 리세스(32)는 그러한 부착 핀(30)을 앉히기 위한 크기를 갖도록 도시되어 있다. 이 리세스(32)는 그러므로, 예를 들어 부착 핀이 턱(20) 내에서 헐거워지는 경우에, 전방 턱(20)으로부터 부착 핀(30)을 진출시키는 것에 대한 저항 수단을 제공한다. 이는 리세스 속으로 핀을 자연적으로 밀어넣는 액세서리의 중량으로 인해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커플러(10)의 사용(즉, 굴착) 중 가장 많은 배향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커플러가 적절히 연결되면, 이 리세스(32)는 아무런 기능도 하지 않는다.
전방 턱(20)은 일반적으로 커플러(10)의 전방 방향을 가리키도록 배향된 자신의 개구를 가지며, 즉, 그 것은 본질적으로 커플러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방향으로(또는 후방 턱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개방된다
후방 턱(22)은 커플러(10)에 관해 뒷쪽으로 전방 턱으로부터 이격된다. 그 개구는 일반적으로 커플러(10)의 제1 절반부(12)로부터 멀어지는 하향으로 향한다. 그 개구는 전형적으로 전방 턱(20)의 개구의 높이보다 더 넓은 폭(34)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이 커플러가 특수한 범위의 액세서리 ? 즉 좁은 범위의 핀 중심 공간을 갖는 액세서리르 위해 설계되었으므로, 그 폭(34)은 많은 종래 기술에서의 유니버설 커플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다. 더 넓은 후방 턱(22)은 커플러에 의해 더 넓은 범위의 핀 중심 공간이 수용되게 할 것이며, 그렇게 해서 커플러가 적합해질 수 있을 것이다.
부착 핀(36) 중 제2의 것은 후방 턱(22) 내에 배열 가능하고, 결국,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턱(22) 속에 전폭 삽입으로 포획될 것이다.
후방 턱과 관련해서, 트리거 부재(38)가 제공된다. 트리거 부재(38)는 이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가진 부재(횡단면에서, 커플러의 수직 종방향 평면에서)이다. 중요하게, 그 것은 제2 부착 핀(36)과 상호 작용하기 위해 후방 턱(22) 속으로 선택적으로 연장하는 돌출 표면(40)을 갖는다. 제2 부착 핀(36)이 후방 턱(22) 속으로 삽입됨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하듯이, 커플러의 내부 래칭 메커니즘을 활성화 하도록, 그 것은 돌출 표면(40)에 대해 지탱할 수 있다.
그 트리거 부재(38)는 피봇 핀(42)에 의해 커플러(10)의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장착된다. 피봇 핀(42)은 커플러(10)의 프레임의 폭을 따라 측향으로 연장하고, 프레임의 측벽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부착 핀(36)이 트리거 부재(38)의 돌출 표면(40)을 밀어감에 따라, 트리거 부재(38)는 화살표 4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이라고 예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할 것이다.
트리거 부재(38)는 추가적으로 두개의 또다른 돌출 표면을 가지며, 도 3에 잘 보이듯이, 전방 래치 맞물림 돌출 표면(46) 및 후방 래치 맞물림 돌출 표면(48)이다. 이러한 세개의 돌출 표면(40, 46, 48)은 트리거 부재의 대략 코너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세개의 돌출 표면, 및 커플러/액세서리의 다른 요소들과 그들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서, 트리거 부재(38)는, 후방 턱(20) 속으로의 제2 부착 핀(36)의 삽입에 응답하여, 전방 래치(50) 및 후방 래치(52) 둘 다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각각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전방 래치(50)는 래칭 단부, 아암 및 힌지 점의 형태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그 것은 일반적으로 측면도에서 볼때 M 형상의 형태 또는 위에서 볼때 U 형상의 형태를 갖는다. U 및 M 형상은 커플러의 작동 메커니즘의 다른 구성요소의 내부 및 둘레에 전방 래치를 맞추기에 유용한 수단을 제공하지만, 안정성 및 강도를 여전히 보장하기도 한다.
전방 래치는 제1 단부(54)에 프레임에 피봇 가능한 연결부를 갖는다. 그 것을 위해, 한 쌍의 피봇 핀(56)이 제공된다 ? 도 2 참조. 전방 래치(50)가 커플러(10)의 사실상 전장(U의 직립부)에 걸쳐 연장하는 두개의 사실상 동일한 아암(58)을 갖고, 아암은 래칭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는(피봇 핀으로부터 먼 단부 ? 즉 U의 베이스에 배치됨), 두 갈래로 갈라진 부재이므로, 두개의 피봇 핀(56)이 있다.
트리거 부재(38)의 전방 래치 맞물림 돌출 표면(46)은, 전방 래치(50)를 래칭 위치로부터 피봇 핀(56)의 둘레로 회전하여 래칭 해제 위치로 리프팅 할 수 있도록, 아암(58)의 하즉에 맞물린다.
그 대신에, 래치(50)의 자유 단부 ? 래칭 단부 ? 에는, 전방 턱(20)을 선택적으로 폐쇄하도록(래칭 위치), 전방 턱(20)의 상부 벽(24)에 있는 구멍(도시 안 되지만, 도 2 및 도 4의 절취 부분을 참조)을 통해 강하하기에 적합한, 노즈 부분(60)이 제공된다. 그러나, 리프팅 될 때, 전방 턱은 개방될 것이다(래칭 해제 위치).
노즈 부분은 내면과 외면 둘 다에서 곡면인 것으로 되시되어 있다. 이들은, 첫째, 핀(30)이 래치(50)를 지나 빠져나갈 수 없고(내부 곡면이 핀을 포획하고 래치에 폐쇄 모멘트를 주므로), 및 둘째, 래치가 폐쇄되면 핀이 전방 턱에 들어갈 수 있는(외부 곡면이 핀과 맞물리고 래치에 리프팅 모멘트를 주므로)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곡면 대신에, 표면들이, 예를 들어 리세스를 향해 하향 뒷쪽을 가리키도록, 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전방 래치(50)의 중간부를 향해, 차단 부재(62)가 제공되기도 한다. 이 차단 부재 ? 여기에서는 상어 지느러미(shark-fin)의 형태인 ? 는, 아래에서 설명하듯이, 후방 래치(52)와 상호 작용하며, 전방 래치(5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래칭 위치에 있을 때, 그 후방 래치를 자신의 핀 맞물림 상태로 고정하려는 것이다.
전방 래치의 M 형상은 두개의 피크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나는 트리거 부재(38)를 수용하려는 것이다(그 하즉에서). 다른 하나는 후방 래치(52)를 위한 바이어싱 부재(68)의 부착 점(63)의 상부 위에 래치를 두려는 것이다.
전방 래치의 M 형상은 중간 트로프(trough)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는 차단 부재(62)를 위한 위치를 제공하며, 그럼으로써 차단 부재(62)가 후방 래치(52) 아래에 맞물리기에 충분히 낮다.
전방 래치의 M 형상은 두개의 단부(레그)를 제공하기도 하며, 그들은 커플러(10)의 프레임에 대해 전방 래치(50)를 피봇 가능하게 장착하는 제1 단부 및 래칭 단부 및 노즈 부분(60)을 제공하는 제2 단부를 제각기 제공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전방 래치의 두개의 아암(58)은 커플러의 프레임에 대해 일반적으로 일정한 횡단 두께를 갖는다 그들은 래칭 단부/노즈 부분(60)으로부터 연장하기도 한다. 래칭 단부는 대신에 솔리드 부재이며, 그 것은 사실상 솔리드 횡단면을 갖고, 두개의 아암(58)의 사이에서 거이에 용접되어 연장하도록 배열된다.
이제, 후방 래치(52)를 보면, 그것은 커플러(10)의 프레임의 측벽 속에서 트랙(66)으로 슬라이딩 하기 위한 엣지(64)(도 2 참조)를 갖는 슬라이딩 플레이트(72)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후방 래치는,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기 보다는, 후퇴된 위치 및 전진된 위치의 안과 밖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배열되며, 전진된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이 후방 턱 내에 핀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피봇 배열들은 예상되기도 한다.
도 3의 전진된 위치를 향한 슬라이딩 모션을 위한 바이어스를 제공하기 위해, 부착 점(63)을 통해 연장하는 제거 가능한 핀이 제자리에 부착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커플러(10)의 프레임에 관해서 서로에 대해 측향으로 이격되고 그들의 다른 단부에서 부착된 한 쌍의 코일 스프링(68) 제공된다. 이 배열(제거 가능한 핀을 갖는)은 스프링이 제거되게 하고, 그래서 플레이트가 작용되게 한다.
한 스프링의 고장의 경우에, 두개의 스프링이 중복적 스프링을 제공할지라도, 예시된 두개 대신에 단일 스프링이 충분할 수 있다.
후방 래치(52)의 플레이트는, 후방 래치의 노즈의 자유 단부에 대해 추가적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하측 보강 부재(70)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이 후방 래치가 사용 중에 굴착기의 굴착력에 노출될 것이므로 유용하다.
플레이트(72)는 자신의 둘러싸인 단부에서 한 쌍의 각진 표면(74)을 갖기도 한다(도 3 참조). 각진 표면(74)은 전방 래치의 아암 상의 차단 부재(62)와 상호 작용한다. 예를 들어 전방 래치가 단지 단일의 아암을 가지면, 한 슬라이드 상에서 단일의 각진 표면이 충분할 수 있을 것이다.
각진 표면(74)은 차단 부재(62) 상의 각진 표면과 대응적으로 대면하기에 적합하다. 후방 래치(52) 상의 제2 부착 핀(36)에 의해 가해진 굴착력이 후방 래치(52)를 차단 부재(62)를 지나 뒤로(즉 커플러에 대해 하향으로 및 뒷쪽으로) 미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향되게 각이 선택된다. 이는, 후방 래치 상의 증대된 힘(플레이트를 후퇴된 위치를 향해 슬라리딩시키려고 하는)이 플레이트의 각진 표면(74)을 상어 지느러미에 대해 조일 것이고, 그래서 상어 지느러미 차단 부재(62)와 각진 표면(74) 사이의 연결을 향상시킬 것이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을 다른 방향으로 각을 이루게 하면, 아암이 바람직스럽지 못한 시나리오를 일으키게 할 것이다.
그 각진 표면은 양호하게는 플레이트(72)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부터 적어도 10°이다.
플레이트(72)의 상측에는 후방 래치의 또다른 부재가 제공된다(상향으로 연장하는플랜지(76)). 상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76)는, 이 실시예에서는, 각진 뒷면(78) 및 자신의 상부에서의 리세스(80)를 갖는다(도 4 참조). 각진 뒷면(78)은 플레이트(72)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부터 아마도 5도 이상 각져 있다. 그 각은, 후방 래치(52)를 해제하기 위해 트리거 부재(38)가 요구하는 회전의 크기를 줄이도록, 트리거 부재(38)의 후방 래치 맞물림 돌출 표면(48)과 협력한다. 그러나, 그 것은 선택적이고, 예를 들어,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
상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는 자신의 단부에서 리세스(80)를 제공하기도 한다. 리세스는, 트리거 부재가 자신의 기본적인 상태,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래치가 후퇴되고 전방 래치가 리프팅 된 상태에 있을 때, 트리거 부재(38)의 후방 래치 맞물림 돌출 표면(48)의 단부가 얹혀질 수 있는, 릿지(82)를 형성한다.
.
릿지를 가짐으로써, 트리거 부재와 후방 래치 사이에 천이 저항 점이 제공되며, 그 천이 저항점은 트리거 메커니즘이 해제되기 전에 극복되어야 한다. 그 후, 후방 래치의 스프링은, 부착 핀을 후방 턱(22)에서 맞물리기 위해, 후방 래치를 자신의 연장된 위치로 추진할 수 있다.
전방 래치 맞물림 돌출 표면(46)에 의해, 그 것이, 도 1의 기본적인 상태에 있는 아암(58)의 하측에 얹혀질 수 있는, 평편한 면을 가지므로, 또다른 천이 저항 점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트리거 부재의 회전은 전방 래치가 자신의 래칭 위치로 낙하하기 전에, 처음에는 전방 래치를 자신의 기본적인 위치 위로 리프팅 할 것이다.
그러므로, 도 1의 상태로부터 위에 기술된 배열에 의해, 커플러(10)의 후방 턱(20) 속에 핀(36)을 삽입할 때, 트리거 부재(38)는 시계 방향(44)으로 회전하여 전방 래치 맞물림 돌출 표면을 아암(58)의 하측으로, 그리고, 후방 래치 맞물림 돌출 표면을 리세스(80)의 릿지(82) 위로, 그 후, 후방 래치(52)의 각진 뒷면(78) 상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그 것은 스프링(68)의 스프링 바이어스가 후방 래치(52)를 도 3의 자신의 전진된 위치로 밀게 하고, 도 3의 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전방 래치(50)도 자신의 래칭 위치로 하향 피봇할 것이다. 이 상태에서, 차단 부재(62)는 후방 래치(52) 뒤의 위치로 인도되었고, 그럼으로써 후방 래치(52)가 도 1의 자신의 후퇴된 위치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래서, 두개의 턱(20, 22)은, 거기에 래칭 되거나 또는 고정된 그들의 각각의 연결된 위치에 있는 핀에 의해, 모두 폐쇄된다.
다음에 도 5를 보면, 그러한 부착 핀의 해제가 도시되어 있다. 그 도면에서, 그리고 도 6을 참고하여, 트리거 부재(38)는 그 뒷쪽으로 대면하는 표면(84)에 있는 구멍(86)을 갖는다. 그 구멍(86)은 해제 봉(레버 아암(88))의 단부를 수용하려는 것이다. 레버 아암(88)은 도 7에서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0)의 프레임의 후방 단부에서 슬롯(90)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레버 아암(88)의 자유 단부 상의 하향 레버리지 힘(92)은 그 후, 도 5에서 화살표 94에 의해 강조된 바와 같이, 트리거 부재의 반대(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강요할 수 있다. 그 후, 이 것은 트리거 부재(38)의 후방 래치 맞물림 돌출 표면(48)이 후방 래치의 각진 뒷면(78)에 올라타고, 그래서 후방 래치를 자신의 후퇴된 위치로 강요한다. 동시에(또는 양호하게는 그 직전에, 차단 부재의 후퇴를 방지하기 위해), 트리거 부재의 전방 래치 맞물림 돌출 표면(46)이 아암(58)의 내부로 올라타는 것으로 인해 전방 래치(50)를 리프팅 하여 차단 부재(62)를 후방 래치(52)의 플레이트(72)의 각진 표면(74)의 경로로부터 멀어지게 리프팅 하기도 한다. 두개의 턱(20, 22)은 그래서 레버 아암(88)에 의해 개방될 수 있고, 그 후, 도시된 바와 같이, 핀(30, 36)이 제거될 수 있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15를 보면, 제1 실시예와 많은 요소들이 유사한, 이 발명의 두개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거기에도 여전히 트리거 부재, 전방 래치, 후방 래치, 전방 턱, 후방 턱, 코일 스프링 쌍 및 다양한 피봇 점들이 있다. 그들은 형상 또는 형태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지만, 여전히 거기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후자의 두개의 실시예에서는, 전방 래치(50)가 또다른 코일 스프링(96)에 의해 래칭 위치로 바이어스된다. 이 또다른 코일 스프링(96)은 두개의 아암(58) 사이에서 연장하는 브릿지(98)에 대해 밀며, 페그(peg)(100에 의해 거기에 배치된다. 스프링 바이어스는 전방 래치를 자신의 래칭 위치로 바이어스하는 것을 돕고, 전방 래치가, 커플러가 전도되면 개방되거나, 커플러가 큰 진동력(예를 들어, 굴착기 툴에서 흔히 이용되는 공기식 해머 동작으로 인해)에 노출되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시된 스프링 바이어스의 대신에, 스프링을 위한 대안적 위치도 가능하다. 또한, 래칭 위치를 향한 바이어스는, 커플러의 차단 봉을 위해 GB233057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리프 스프링(예를 들어, 굴착기의 아암에 대해 맞물리는 것)과 같은 다른 많은 메커니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커플러의 프레임에 안전 핀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102)이 제공된다(도 10 참조). 그러한 구명(102)은 예를 들어 전방 래치(50)의 리프팅을 방지하도록 커플러의 프레임의 측벽을 통해 측향으로 연장하는 안전 핀을 수용할 수 있다. 도 9는 구멍이 전방 래치의 아암의 경로에 중첩하고, 그럼으로써 안전 핀이 아암에 얽혀서 전방 래치가 래칭 위치로부터 리프팅 하는 것에 저항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사용되면, 안전 핀은 커플러 해제시에 제거될 필요가 있다.
위에서 간략히 말했듯이, 이러한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는, 트리거 부재(38)의 형상이 상이하다. 마찬가지로 전방 및 후방 래치의 형상도 약산 상이하다. 그러나, 여전히 트리거 부재 상에 전방- 및 후방 래치 맞물림 돌출 표면이 있고, 후방 턱(22) 내에서 제2 부착 핀에 대해 맞물리는 돌출 표면이 있다는 점에서, 기능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후방 래치(52)의 플레이트(72)의 비자유 단부에서의 각진 표면(74)과 맞물리는 차단 부재(62)도 있다. 그러므로, 위에 기술된 제1 실시예가 충분히 밀접한 방식으로 작동하므로, 이러한 추가적 실시예들의 기능에 대한 부가적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강화 스틸 인서트가 주조 후에 거기에 추가/용접될 수 있을지라도, 커플러의 프레임은 전형적으로 사실상 단일 부재로 주조될 것이다. 대안적으로는, 프레임이 알려진 절단 및 용접 기술을 이용하여 강판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그들이 대신에 알려진 절단 및 용접 기술을 이용하여 강판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을지라도, 래치 및 트리거 부재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도 주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은, 후방 래치를 위한 차단 부재, 곡면 전방 래치, 숨겨진(외부 접근 불가한 ? 그 것은 레버 아암의 이용을 필요로 함) 해제 트리거 부재 및 전방 래치와 같은 수많은(하나 초과) 중복적 안전 요소를 갖고,
여전히 종래 기술의 단단한 부착을 제공하면서쉽게 동작할 수 있고 쉽게 해제될 수 있는 커플러를 제공한다.
이 발명은 위에서 순전히 예로서 기술되었음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이 발명에 대해 세세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8)

  1. 굴착기의 굴착기 아암에 액세서리를 부착하기 위한 커플러로서, 상기 커플러는 굴착기 아암에 연결하는 제1 절반부 및 액세서리에 연결하는 제2 절반부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는 절반부는:
    이동 가능한 전방 래치가 결부된 전방 턱 - 상기 전방 래치는 래칭 위치 및 래칭 해제 위치를 갖고, 전방 래치가 자신의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전방 턱 내의 액세서리의 두개의 부착 핀 중 하나를 래칭하려는 것임 -;
    후방 래치 - 상기 후방 래치는 후퇴된 위치 및 전진된 위치를 가지며, 후방 래치가 자신의 전진된 위치에 있을 때, 부착 핀 중 제2의 것에 맞물리려는 것임 -; 및
    프레임에 대한 상대 이동을 위해 장착된 트리거 부재 - 상기 트리거 부재는, 전방 래치를 자신의 래칭 위치와 자신의 래칭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후방 래치를 자신의 전진된 위치와 자신의 후퇴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전방 래치와 후방 래치 둘 다와 이동 가능한 상호 작용을 위해 배열됨 - 를 포함하는,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트리거 부재는 프레임 대해 상대적으로 피봇 방식으로 장착된, 커플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트리거 부재는 래치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대해 직접적으로 지탱하는, 커플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 부재는 커플러의 후방 절반부 내에 장착된, 커플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러는 후방 래치와 결부된 후방 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커플러.
  6. 제5항에 있어서, 후방 래치는 자신의 전진된 위치에 있을 때 자신의 결부된 후방 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커플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 래치는 자신의 래칭 위치와 자신의 래칭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봇 가능한, 커플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방 래치는 자신의 전진된 위치를 향해 영구적으로 바이어스되는, 커플러.
  9. 제8항에 있어서, 바이어스는 하나를 초과하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커플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절반부가 제2 절반부 위에 있도록 커플러가 배향될 때, 전방 래치는 중력에 의해 자신의 래칭 위치를 향해 바이어스되는, 커플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 래치는 스프링에 의해 자신의 래칭 위치를 향해 영구적으로 바이어스되는, 커플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러의 제1 절반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후방 턱을 포함하는, 커플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 턱은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향하는, 커플러.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 래치는, 전방 래치가 자신의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전방 턱의 마우스 속으로 하향으로 연장하는, 사실상 일정한 또는 솔리드 횡단면을 갖는 노즈 부분을 포함하는, 커플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 래치는 두 갈래로 갈라져 있고 두개의 피봇 핀을 가지며, 각각은 같은 축을 갖고 커플러의 프레임에 대해 상대적으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커플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 래치는 그로부터 연장하는 차단 부재를 갖고, 후방 래치가 자신의 전진된 위치에 있고 동시에 전방 래치가 자신의 래칭 위치에 있을 때, 차단 부재는 후방 래치의 단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열된, 커플러.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 부재는 적어도 세개의 돌출 표면 - 전방 래치와 상호 작용하는 제1 돌출 표면, 후방 래치와 상호 작용하는 제2 돌출 표면, 및 액세서리의 핀과 상호 작용하는 제3 돌출 표면 - 을 포함하는, 커플러.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방 래치는 업스탠딩 플랜지를 갖고, 플랜지는 트리거 부재와 상호 작용하는 단부 또는 표면을 갖는, 커플러.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 부재와 두개의 래치 사이의 상호 작용은 트리거 부재가 자신이 이동될 때 그러한 래치들을 이동시키게 하고, 상호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천이 저항 점이 있게 하는, 커플러.
  20. 제19항에 있어서, 자신들의 전진된 또는 래칭 위치로의 래치들의 이동이 메커니즘의 전체적 임펄스 하에서 일어날 때, 제2 래치를 후퇴된 위치로부터 전진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천이 저항 점 중 적어도 하나가 극복되어야 하는, 커플러.
  21. 제20항에 있어서, 메커니즘의 전체적 임펄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방 래치를 위한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해 구동되는, 커플러.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메커니즘의 전체적 임펄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 래치를 위한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해 구동되는, 커플러.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이 저항 점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방 래치 상에 매끈한 계단식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커플러.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이 저항 점 중 적어도 하나는 후방 래치의 플랜지 상에 매끈한 계단식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커플러.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이 저항 점 중 적어도 하나는 트리거 부재의 돌출 표면의 단부 상에 평편한 또는 평탄화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커플러.
  26.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이 저항 점 중 적어도 하나는 래치들 중 하나의 래치의 오목한 표면이 선택적으로 얹혀질 수 있는 오목부를 트리거 부재 상에 제공함으로써 제공되는, 커플러.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리거 부재는 래치 맞물림 해제 바를 받아들이는 구멍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래치 맞물림 해제 바에 의해, 트리거 부재가 이동시킬 힘이 주어질 수 있고, 그럼으로써 두개의 래치들과 상호 작용하는, 커플러.
  28. 제27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후방 단부는, 래치 맞물림 해제 바가 트리거 부재의 구멍에 접근하기 위해 나사로 돌려질 수 있는, 길쭉한 구멍을 갖는, 커플러.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 래치는 트리거 부재의 피봇 점보다 더 뒷쪽에 있는 프레임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플러.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 래치는 일반적으로 트리거 부재 위에 배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자신의 래칭 위치로 바이어스되는, 커플러.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 래치는 두개의 상부 피크, 두개의 드로핑 단부 및 디핑 중간부를 갖는 일반적인 M자 형상을 채책한 하나 이상의 아암을 갖는, 커플러.
  32. 제31항에 있어서, 핀이 커플러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없는 전진된 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의 후방 래치의 후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 부재는 하나 이상의 아암의 디핑 중간부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부착되는, 커플러.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트리거 부재는 그 상부 피크의 내부에서 전방 래치와 상호 작용하는, 커플러.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방 턱은 자신의 하부 립에서 절취부를 갖고, 절취부는 외부 립을 형성하는, 크리거.
  35. 도 1 내지 도 6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사실상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커플러.
  36. 도 7 내지 도 11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사실상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커플러.
  37. 도 12 내지 도 15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사실상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커플러.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커플러를 포함하는 굴착기.
KR1020130071972A 2013-06-21 2013-06-21 커플러 KR20150000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972A KR20150000085A (ko) 2013-06-21 2013-06-21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972A KR20150000085A (ko) 2013-06-21 2013-06-21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085A true KR20150000085A (ko) 2015-01-02

Family

ID=5247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1972A KR20150000085A (ko) 2013-06-21 2013-06-21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0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866A1 (ko) * 2015-02-10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CN110453742A (zh) * 2019-08-16 2019-11-15 徐工集团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液压挖掘机全自动快换装置
EP3719211A1 (de) * 2019-04-05 2020-10-07 Markus Riedlberger Bolzenverbindu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866A1 (ko) * 2015-02-10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EP3719211A1 (de) * 2019-04-05 2020-10-07 Markus Riedlberger Bolzenverbindung
CN110453742A (zh) * 2019-08-16 2019-11-15 徐工集团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液压挖掘机全自动快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148B2 (en) Coupler
US20130164080A1 (en) Coupler
US9469965B2 (en) Hydraulic coupler with pin retention system for coupling an attachment to a work machine
US8112914B2 (en) Fully automatic coupler for excavator arm
US8328459B2 (en) Coupler for excavators
US8585345B2 (en) Coupler with pivoting front hook lock
US20070157492A1 (en) Coupler With Improved Jaw Configuration
US4962945A (en) Easy hitching mechanism
KR101338036B1 (ko)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GB2473630A (en) Fully automatic coupler for excavator arm
GB2450127A (en) Coupling an accessory to an excavator arm
US20090304486A1 (en) Zero offset loader coupling system and components
JP7481020B2 (ja) カプラー
JP2020084755A (ja) 迅速交換連結装置、及び、その迅速交換連結装置を備えた迅速交換連結システム
KR20150000085A (ko) 커플러
GB2441322A (en) Coupler with gravity operated latch
CN104234099A (zh) 接头
GB2463298A (en) A coupler for an excavator
US20120230760A1 (en) Coupler with Magnet
AU2013206475A1 (en) Coupler
IE85965B1 (en) Coup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