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899A -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899A
KR20140147899A KR1020130069564A KR20130069564A KR20140147899A KR 20140147899 A KR20140147899 A KR 20140147899A KR 1020130069564 A KR1020130069564 A KR 1020130069564A KR 20130069564 A KR20130069564 A KR 20130069564A KR 20140147899 A KR20140147899 A KR 20140147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teel
region
elongat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필
Original Assignee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9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7899A/ko
Publication of KR2014014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1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hot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 확보와 충격 흡수를 동시에 구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 방법은, 탄소를 0.22 wt% 내지 0.28 wt% 범위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강재와 탄소를 0.1 wt%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극저탄소강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강재를 서로 접합하여 테일러웰드블랭크(TWB) 판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를 성형하고 양측단을 접합함으로써, 하나의 강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강관을 가열하고 금형 내에 삽입한 후에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Hot forming steel pipe including a region having more than 1500 MPa strength and a region having more than 12% elonga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동시에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간 성형 강관은, 예를 들어, 강관을 고온으로 가열한 후에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함과 동시에 금형에 냉각 효과를 주어 강관의 온도를 급격하게 낮추는 ?칭 효과를 통하여 성형 전에 비하여 2배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는 강관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열간 성형에 의하여 제조된 강관은 전체적으로 고강도가 유지되므로, 차량에의 적용시 차량 충돌에 의한 변형이 억제되므로 충돌 에너지 흡수가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차량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승객은 충돌에 의한 외부 충격에 의하여 큰 상해를 입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강성 확보와 충격 흡수의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강관에 대한 요구가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6777호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2428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성 확보와 충격 흡수를 동시에 구현하는 열간 성형 강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 방법은, 탄소를 0.22 wt% 내지 0.28 wt% 범위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강재와 탄소를 0.1 wt%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극저탄소강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강재를 서로 접합하여 테일러웰드블랭크(TWB) 판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를 성형하고 양측단을 접합함으로써, 하나의 강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강관을 가열하고 금형 내에 삽입한 후에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강재는, 0.10 wt% 내지 0.25 wt% 범위의 실리콘(Si), 1.00 wt% 내지 1.60 wt% 범위의 망간(Mn), 0.001 wt% 내지 0.03 wt% 범위의 인(P), 0.001 wt% 내지 0.02 wt% 범위의 황(S), 및 0.001 wt% 내지 0.005 wt% 범위의 보론(B)을 포함하는,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강재는, 0.001 wt% 내지 0.05 wt% 범위의 크롬(Cr), 0.001 wt% 내지 0.05 wt% 범위의 몰리브덴(Mo), 및 0.001 wt% 내지 0.05 wt% 범위의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관을 가열하고 금형 내에 삽입한 후에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는 서냉 영역과 급냉 영역을 가지고, 상기 급냉 영역에서 냉각 유체가 분사되는 상기 금형 내에 가열된 상기 강관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을 상기 강관에 압착하고 상기 냉각 유체에 의하여 상기 강관을 차등 냉각하여,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관을 차등 냉각하여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금형 내에 형성된 냉각 유로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강관의 일부에 직접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강관의 일부를 급냉시켜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관을 차등 냉각하여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강관의 일부에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발생시키는 온도로 유지된 상기 금형의 일부를 접촉시켜, 상기 강관의 일부에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강관을 차등 냉각하여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에서, 상기 강관의 일부는 상기 금형의 상기 서냉 영역과 접촉하여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방지되고, 상기 강관의 다른 일부는 상기 금형의 상기 급냉 영역과 접촉하여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는,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 1 강재 및 상기 제 1 강재의 일측에 맞닿아 접합된 상기 제 2 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는,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 1 강재 및 상기 제 1 강재의 양측에 각각 맞닿아 접합되는 상기 제 2 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는,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 2 강재 및 상기 제 2 강재의 양측에 각각 맞닿아 접합되는 상기 제 1 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열간 성형 강관은 상기 열간 성형 강관 중에서 상기 제 1 강재에 대응되는 부분은 1500 MPa 내지 1700 MPa의 강도를 가지고, 상기 열간 성형 강관 중에서 상기 제 2 강재에 대응되는 부분은 700 MPa 내지 800 MPa의 강도를 가지고 연신율이 12% 이상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은, 동일한 한 번의 열간 성형 공정으로 하나의 강관에서 고강도 영역과 고연신율 영역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열간 성형 강관은 하나의 강관 내에서 소재의 차이를 구현하고 이러한 차이를 이용하여 강도가 필요한 부분은 고강도를 구현하고 적정 연신율이 필요한 부분은 연화조직을 구현하여 부품의 요구특성에 맞게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강관은 강화 영역에 의한 강성 확보와 연화 영역에 의한 충격 흡수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예시적으로 기재되었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에서,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를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을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에서,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를 이용하여 강관을 형성하는 단계들을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에서, 강관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에서,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 중에서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방법을 공정 단계에 따라 도시한 개략도들이다.
도 10은 철-탄소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강관이 적용되는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적용되는 강재의 예로서 강관(steel pipe)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의 강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은 탄소를 0.22 wt% 내지 0.28 wt% 범위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강재와 탄소를 0.1 wt%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극저탄소강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강재를 서로 접합하여 테일러웰드블랭크(Tailor Welded Blank, TWB) 판재를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를 성형하고 양측단을 접합함으로써, 하나의 강관을 형성하는 단계(S20) 및 상기 강관을 가열하고 금형 내에 삽입한 후에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테일러웰드블랭크(TWB) 판재를 형성하는 단계(S10)를 먼저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에서,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를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을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는 재료의 구성, 강도 및/또는 두께가 다른 이종 강재를,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방식으로, 접합하여 구현한 맞춤식 재단 판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는 탄소를 약 0.22 wt% 내지 약 0.28 wt% 범위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강재(5a)와 탄소를 약 0.1 wt%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극저탄소강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강재(5b)를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방식으로, 서로 접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제 1 강재(5a)와 제 2 강재(5b) 사이의 접합 방식은 레이저 용접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용접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며, 나아가, 용접 이외의 다른 재료 접합 방식도 가능하다.
제 1 강재(5a)는, 예를 들어 약 0.22 wt% (중량비) 내지 약 0.28 wt% 범위의 탄소(C), 약 0.10 wt% 내지 약 0.25 wt% 범위의 실리콘(Si), 약 1.00 wt% 내지 약 1.60 wt% 범위의 망간(Mn), 약 0.001 wt% 내지 약 0.03 wt% 범위의 인(P), 약 0.001 wt% 내지 약 0.02 wt% 범위의 황(S), 및 약 0.001 wt% 내지 약 0.005 wt% 범위의 보론(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강재(5a)는 망간(Mn)/실리콘(Si)의 비율이 6 내지 9의 범위를 가지도록 망간(Mn)과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망간(Mn)과 실리콘(Si)에 의한 고융점 산화물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강재(5a)는 약 0.001 wt% 내지 약 0.05 wt% 범위의 크롬(Cr), 약 0.001 wt% 내지 약 0.05 wt% 범위의 몰리브덴(Mo), 및 약 0.001 wt% 내지 약 0.05 wt% 범위의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강재(5a)는 약 0.001 wt% 내지 약 0.01 wt% 범위의 크롬(Cr), 약 0.001 wt% 내지 약 0.01 wt% 범위의 몰리브덴(Mo), 및 약 0.001 wt% 내지 약 0.01 wt% 범위의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크롬(Cr), 몰리브덴(Mo), 니켈(Ni)은 열간 성형 시에 강관(10)의 열간 성형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강재(5b)는 탄소를 약 0.1 wt% 이하(0 wt% 제외)의 범위로 포함하는 극저탄소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극저탄소강은 재질이 연하고 가공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자동차 외판과 같이 제품의 표면부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탄소강의 가공성은 탄소의 함량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탄소의 함량이 낮을수록 제품의 이방성 지수가 증가되고 품질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극저탄소강은 진공정련공정을 통해 탄소의 농도를, 예를 들어, 약 50ppm이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는 후술할 강관(10)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강재(5a) 및 상기 제 1 강재의 일측에 맞닿아 접합된 제 2 강재(5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강재(5a)와 제 2 강재(5b) 사이의 접촉계면에는 접합부(W1)가 개재된다.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는, 도 2a에 개시된, 제 1 강재(5a) 및 제 2 강재(5b)의 접합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거나, 나아가, 도 2a에 개시된, 제 1 강재(5a) 및 제 2 강재(5b)의 접합 구조체가, 강관(10)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반복하여 접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는 후술할 강관(10)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강재(5b) 및 상기 제 2 강재의 양측에 각각 맞닿아 접합되는 제 1 강재(5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강재(5a)와 제 2 강재(5b) 사이의 접촉계면에는 접합부(W1)가 개재된다.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는, 도 2b에 개시된, 제 2 강재(5b) 및 상기 제 2 강재의 양측에 각각 맞닿아 접합되는 제 1 강재(5a)의 접합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거나, 나아가, 도 2b에 개시된, 제 2 강재(5b) 및 상기 제 2 강재의 양측에 각각 맞닿아 접합되는 제 1 강재(5a)의 접합 구조체가, 강관(10)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반복하여 접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는 후술할 강관(10)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강재(5a) 및 상기 제 1 강재의 양측에 각각 맞닿아 접합되는 제 2 강재(5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강재(5a)와 제 2 강재(5b) 사이의 접촉계면에는 접합부(W1)가 개재된다.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는, 도 2c에 개시된, 제 1 강재(5a) 및 상기 제 1 강재의 양측에 각각 맞닿아 접합되는 제 2 강재(5b)의 접합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거나, 나아가, 도 2c에 개시된, 제 1 강재(5a) 및 상기 제 1 강재의 양측에 각각 맞닿아 접합되는 제 2 강재(5b)의 접합 구조체가, 강관(10)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반복하여 접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하여, 이하에서는,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를 성형하고 양측단(E1, E2)을 접합함으로써, 하나의 강관(10)을 형성하는 단계(S20)를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에서, 테일러웰드블랭크를 이용하여 강관을 형성하는 양태를 순차적으로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편의상, 여기에서 도시된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는, 도 2c에 설명한 판재(5)이지만, 도 2a 또는 도 2b에 설명한 판재(5)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초기 상태가 평판 형태인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를 적어도 원형(도 3a에서 yz 평면 상에서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성형하여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의 양측단(E1, E2)을 서로 대향하도록 구성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의 양측단(E1, E2)을,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방식으로, 서로 접합함으로써 제 1 강재(5a) 및 제 2 강재(5b)를 포함하는 강관(steel pipe, 10)을 구현한다. 따라서, 양측단(E1, E2) 사이의 접촉계면에는 접합부(W2)가 개재된다. 물론,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의 양측단(E1, E2) 사이의 접합 방식은 레이저 용접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태의 용접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며, 나아가, 용접 이외의 다른 재료 접합 방식도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에서, 강관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지지대(8) 상에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에 개시된 어느 하나의 판재(5))를 장착한 후에, 원주 형태의 금형(9)으로 눌러서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를 원형으로 성형하는 브레이크 포밍 공법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를 강관으로 성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롤 포밍 공법으로 강관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판상의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로부터 강관을 형성하는 롤 포밍 공법은 구체적으로, 판상의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를 준비하는 단계(S22), 상기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를 블랙다운 롤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더블유 벤딩(W bending) 타입으로, 반원형 강재로 성형하는 단계(S23), 상기 반원형 강재를 핀 패스 롤을 이용하여 정원형 강재로 성형하는 단계(S24), 상기 정원형 강재를 스퀴즈 롤을 이용하여 용접하여 접합하여 강관을 형성하는 단계(S25), 및 상기 강관을 절단하여 개별화된 강관을 형성하는 단계(S26)를 포함한다.
판상의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를 준비하는 단계(S22)에서 상기 판재(5)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판재(5)를 블랙다운 롤을 이용하여 반원형 강재로 성형하는 단계(S23)는, 상기 판재(5)를 블랙다운 롤 사이에 통과시켜 압연하여, 반원형 강재로 성형한다. 상기 반원형 강재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원형 강재를 핀 패스 롤을 이용하여 정원형 강재로 성형하는 단계(S24)는 상기 반원형 강재를 핀 패스 롤 사이에 통과시켜 압연하여, 정원형 강재로 성형한다. 상기 정원형 강재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면의 실선은 정원형 강재의 양측단(E1, E2)의 접촉 지점을 나타낸다. 상기 정원형 강재를 스퀴즈 롤을 이용하여 용접하여 접합하여 강관을 형성하는 단계(S25)는 상기 정원형 강재를 스퀴즈 롤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접촉 지점을 용접하여 접합시켜 강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접에 의하여 형성된 강관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접은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방식, 유도 코일 방식을 이용하는 ERW(electric resistance welding) 또는 가스 용접 방식을 이용하는 TIG(tungsten inert gas welding)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정원형 강재가 상기 스퀴즈 롤을 통과하기 전에 유도 코일에 의하여 국부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은 상기 스퀴즈 롤에 의한 용접시 상기 정원형 강재에 야기될 수 있는 열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용접 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강관은 물과 같은 액체를 이용하여 냉각되거나 또는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될 수 있다.
상기 강관을 절단하여 개별화된 강관을 형성하는 단계(S26)에서는, 프레스 장치, 용접 장치, 또는 절단기들을 이용하여 상기 강관을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상기 개별화된 강관을 형성한다. 물론,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원하는 길이가 확보된 경우에는 강관을 절단하여 개별화된 강관을 형성하는 단계(S26)는 생략될 수 있다. 판상의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를 준비하는 단계(S22) 내지 강관을 절단하여 개별화된 강관을 형성하는 단계(S26)는 연속 공정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단속 공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계속하여,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S30)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에서,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제조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방법을 공정 단계에 따라 도시한 개략도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열간 성형 강관의 미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철-탄소 상태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S30)는 강관을 가열하는 단계(S32); 서냉 영역과 급냉 영역을 가지고, 상기 급냉 영역에서 냉각 유체가 분사되는 상기 금형 내에 가열된 상기 강관을 삽입하는 단계(S34); 및 상기 금형을 상기 강관에 압착하고 상기 냉각 유체에 의하여 상기 강관을 차등 냉각하여,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S36)를 포함한다.
도 5,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강관을 가열하는 단계(S32)는 강관(10)을 가열로(heating furnace) 등에서 가열한다. 상기 가열은 공기 분위기, 불활성 가스 분위기, 또는 진공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강관(10)은 오스테나이트(Austenite, γ-Fe)가 형성되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수 있고, 이러한 가열에 의하여 강관(10)은 오스테나이트 미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오스테나이트 형성온도는 도 10의 A3 온도선 이상의 온도이며, 상기 A3 온도선은 탄소 및 기타 원소의 조성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관(10) 중에서 제 1 강재(5a)는 0.22 wt% 내지 약 0.28 wt% 범위의 탄소(C)를 포함하므로, 약 800℃ 내지 850℃ 범위에서 오스테나이트 형성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강관(10) 중에서 제 2 강재(5b)는 0.1 wt% 이하 범위의 탄소(C)를 포함하므로, 약 850℃ 내지 912℃ 범위에서 오스테나이트 형성온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강관(10)은 오스테나이트 변태를 충분하게 발생시키기 위하여, 약 850℃ 내지 1000℃ 범위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금형(20) 내에 강관(10)을 삽입하는 단계(S34)는 금형(20) 내에 가열된 강관(10)을 삽입한다. 금형(20)은 서냉 영역과 급냉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금형(20)은 상기 급냉 영역에서 냉각 유체가 분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강관(10)에 차등 냉각을 제공하는 금형(2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금형(20)은 원하는 성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한 쌍의 금형으로 구성되고, 구체적으로 상부 금형(30)과 하부 금형(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금형(30)은 상부 기저 부재(32)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부 기저 부재(32) 상에 설치된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 및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금형(30)이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 및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로 구성됨에 따라, 강관(10)의 일부를 급냉하고 다른 일부를 서냉하는 차등 냉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급냉하는 강관(10)의 일부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를 성형 및 접합하여 형성한 강관(10) 중에서 제 1 강재(5a)에 해당할 수 있으며, 서냉하는 강관(10)의 다른 일부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를 성형 및 접합하여 형성한 강관(10) 중에서 제 2 강재(5b)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급냉하는 강관(10)의 일부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를 성형 및 접합하여 형성한 강관(10) 중에서 제 2 강재(5b)에 해당할 수 있으며, 서냉하는 강관(10)의 다른 일부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를 성형 및 접합하여 형성한 강관(10) 중에서 제 1 강재(5a)에 해당할 수 있다.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는 강관(10)이 서냉되는 서냉 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와 접촉하는 강관(10)의 부분에서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방지할 수 있다.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는 상부 가열 요소(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가열 요소(42)는 열선이나 세라믹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가열 요소(42)는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를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강관(10)의 마르텐사이트 변태개시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를 가열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상부 가열 요소(42)는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를, 예를 들어 약 40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가열 요소(42)는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를 약 400℃ 내지 약 450℃ 범위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상부 가열 요소(42)는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를 약 850℃ 내지 100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온도를 제공한 후,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와 접촉하는 강관(10)의 부분에서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발생하지 않는 냉각 속도로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를 냉각시키는 온도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는 강관(10)과 접촉하는 표면에 강관(10)을 열간성형하는 성형 표면(48)을 가질 수 있다. 성형 표면(48)은 원하는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반면,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는 강관(10)이 급냉되는 급냉 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와 접촉하는 강관(10)의 부분에서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는 상부 냉각 요소(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냉각 요소(52)는 냉각수 또는 냉각 기체가 유동하는 냉각수 유로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기적 방법에 의하여 냉각을 제공하는 냉각 매체일 수 있다. 상부 냉각 요소(52)는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를 원하는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강관(10)의 마르텐사이트 변태개시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를 냉각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상부 냉각 요소(52)는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를, 예를 들어 약 400℃ 이하의 온도로, 또 다른 예를 들어 상온(약 25℃)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냉각 요소(52)는 선택적이며(optional) 생략될 수 있다.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는 강관(10)에 냉각 유체를 분사하여 강관(10)을 급냉하는 상부 냉각 유체 노즐(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냉각 유체 노즐(54)은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의 성형 표면(58)에 노출될 수 있다. 상부 냉각 유체 노즐(54)의 개수와 배열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체는 상부 냉각 유체 노즐(54)로부터 강관(10)에 직접적으로 분사되어 강관(10)을 급냉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 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 유체는 물을 포함할 수 있고, 약 0℃ 내지 약 100℃ 범위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유체는 공기, 질소 수증기 등의 기체일 수 있고 약 -100℃ 내지 약 400℃ 범위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유체는 액상화된 기체, 예를 들어 액체 질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냉각 유체 노즐(54)은 상부 냉각 유로(56)와 연결될 수 있고, 상부 냉각 유로(56)는 냉각 유체 저장소(미도시)와 연결되어 상부 냉각 유체 노즐(54)에 상기 냉각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냉각 유체 노즐(54)과 상부 냉각 유로(56)는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는 강관(10)과 접촉하는 표면에 강관(10)을 성형하는 성형 표면(58)을 가질 수 있다. 성형 표면(58)은 원하는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성형 표면(58)은 성형 표면(48)에 비하여 온도가 낮으므로, 성형 표면(58)에 의한 강관(10)의 성형은 성형 표면(48)에 의한 강관(10)의 성형에 비하여 제한될 수 있다.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와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는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지므로, 상호간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와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를 이격하는 홈(34)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가 중앙에 위치하고,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의 양측에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가 위치하는 배열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가 중앙에 위치하고 양측에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가 위치하는 배열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또한, 예를 들어 일측에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가 위치하고 타측에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가 위치하는 배열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또한, 복수의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와 복수의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가 다양한 순서로 배열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
하부 금형(60)은 하부 기저 부재(62)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부 기저 부재(62) 상에 설치된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 및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금형(60)이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 및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로 구성됨에 따라, 강관(10)의 일부를 급냉하고 다른 일부를 서냉하는 차등 냉각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는 강관(10)이 서냉되는 서냉 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와 접촉하는 강관(10)의 부분에서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방지할 수 있다.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는 하부 가열 요소(7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가열 요소(72)는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를 원하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하부 가열 요소(72)는 상술한 상부 가열 요소(4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는 강관(10)과 접촉하는 표면에 강관(10)을 열간 성형하는 성형 표면(78)을 가질 수 있다. 성형 표면(78)은 원하는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반면,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는 강관(10)이 급냉되는 급냉 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와 접촉하는 강관(10)의 부분에서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는 하부 냉각 요소(8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냉각 요소(82)는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를 원하는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하부 냉각 요소(82)는 선택적이며(optional) 생략될 수 있다. 하부 냉각 요소(82)는 상술한 상부 냉각 요소(5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는 강관(10)에 냉각 유체를 분사하여 강관(10)을 급냉하는 하부 냉각 유체 노즐(8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냉각 유체 노즐(84)은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의 성형 표면(88)에 노출될 수 있다. 하부 냉각 유체 노즐(84)의 개수와 배열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체는 하부 냉각 유체 노즐(84)로부터 강관(10)에 직접적으로 분사되어 강관(10)을 급냉시킬 수 있다. 하부 냉각 유체 노즐(84)은 상술한 상부 냉각 유체 노즐(54)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 냉각 유체 노즐(84)은 하부 냉각 유로(86)와 연결될 수 있고, 하부 냉각 유로(86)는 냉각 유체 저장소(미도시)와 연결되어 하부 냉각 유체 노즐(84)에 상기 냉각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냉각 유체 노즐(84)와 하부 냉각 유로(86)는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는 강관(10)과 접촉하는 표면에 강관(10)을 성형하는 성형 표면(88)을 가질 수 있다. 성형 표면(88)은 원하는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성형 표면(88)은 성형 표면(78)에 비하여 온도가 낮으므로, 성형 표면(88)에 의한 강관(10)의 성형은 성형 표면(78)에 의한 강관(10)의 성형에 비하여 제한될 수 있다.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와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는 서로 다른 온도를 가지므로, 상호간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와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를 이격하는 홈(64)이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가 중앙에 위치하고,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의 양측에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가 위치하는 배열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S30)는, 금형(20)을 강관(10)에 접촉시켜 압착한다. 또한, 동시에 상기 냉각 유체에 의하여 강관(10)을 차등 냉각하여, 강관(10)을 열간 성형한다. 강관(10)은 상부 금형(30)과 하부 금형(60)에 접촉할 수 있고, 압력을 받아 성형될 수 있다. 강관(10)의 일부는 금형(20)의 서냉 영역과 접촉하여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방지되고, 강관(10)의 다른 일부는 금형(20)의 급냉 영역과 접촉하여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발생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강관(10)의 제 1 영역(12)은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와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 사이에서 압착되어 서냉되면서 성형될 수 있다.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와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는 각각 상부 가열 요소(42) 및 하부 가열 요소(72)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고, 마르텐사이트의 형성을 방지하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와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은, 예를 들어 약 400℃ 이상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400℃ 내지 약 450℃ 범위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냉에 의하여, 강관(10)의 제 1 영역(12)에서는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변태가 억제될 수 있고, 강관(10)의 제 1 영역(12)은 페라이트(ferrite) 구조 또는 페라이트 및 퍼얼라이트(pearlite) 혼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강관(10)의 제 2 영역(14)은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와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 사이에서 압착되어 급냉되면서 성형될 수 있다. 강관(10)의 제 2 영역(14)에 냉각 유체를 금형(20)으로부터 강관(10)으로 직접적으로 분사하여, 강관(10)의 제 2 영역(14)을 급냉시켜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강관(10)의 제 2 영역(14)에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발생시키는 온도로 유지된 금형(20)의 일부를 접촉시켜, 강관(10)의 제 2 영역(14)에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와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는 상부 냉각 요소(52)와 하부 냉각 요소(82)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고,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발생시키는 온도로 냉각되어 유지될 수 있다.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와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는, 예를 들어 약 400℃ 이하의 온도, 예를 들어 상온(약 25℃)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부 급냉 금형 부재(50)와 하부 급냉 금형 부재(80)가 냉각됨에 따라 강관(10)의 제 2 영역(14)은 급냉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냉각 유체 노즐(54)과 하부 냉각 유체 노즐(84)로부터 냉각 유체를 강관(10)에 직접적으로 분사하여 강관(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냉각 유체는 액체 또는 기체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 내지 약 100℃ 범위의 온도를 가지는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급냉에 의하여, 강관(10)의 제 2 영역(14)에서는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발생할 수 있고, 강관(10)의 제 2 영역(14)은 마르텐사이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강관(10)으로부터 금형(20)을 제거하여, 열간 성형된 강관(10)을 완성한다. 강관(10)은 차등 냉각에 의한 다중 조직을 가질 수 있다. 즉, 강관(10)은 서냉되어 낮은 강도와 높은 연신율을 가지고 페라이트와 퍼얼라이트 구조를 가지는 연화 영역인 제 1 영역(12)과 급냉되어 높은 강도와 낮은 연신율을 가지고, 마르텐사이트 구조를 가지는 강화 영역인 제 2 영역(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12)과 제 2 영역(14) 사이에는 이들의 중간 조직 및 중간 수치의 강도 및 연신율 특성을 가지는 전이 영역인 제 3 영역(16)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관(10)의 제 1 영역(12)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제 2 강재(5b)에 대응되는 부분이며, 금형(20)의 서냉 영역에 의하여 서냉된 부분으로서, 약 700 MPa 내지 약 800 MPa의 강도 및 약 12% 이상의 연신율(예를 들어, 약 12% 이상의 연신율 내지 약 16%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강관(10)의 제 2 영역(14)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제 1 강재(5a)에 대응되는 부분이며, 금형(20)의 급냉 영역에 의하여 급냉된 부분으로서, 약 1500 MPa 내지 약 1700 MPa의 강도 및 약 7% 내지 약 8%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강판 또는 강관에 적용가능하며, 다른 형상의 강재에도 적용가능하고, 나아가, 강 뿐만 아니라 다른 금속소재부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형(20)에 압착하여 열간 성형되는 부품이 강판일 경우에는 열간 성형 중에 상기 강판의 표면들 모두를 금형에 접촉시켜 서냉 및/또는 급냉할 수 있다. 또한, 냉각 유체를 상기 강판에 직접적으로 분사시킴으로써 급냉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금형(20)에 압착하여 열간 성형되는 부품이 강관(10)의 경우에는 열간 성형 중에 상기 강관의 표면들 모두를 금형에 접촉시켜 서냉 또는 급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즉, 상기 강관이 원형 표면을 가지므로, 상기 원형 표면 모두에 접촉하는 금형을 제작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또는 비경제적일 수 있다. 따라서, 금형 만으로 상기 강관을 균일하게 급냉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금형에 의한 냉각과는 별개로 또는 이와 함께 냉각 유체를 상기 강판에 직접적으로 분사시킴으로써 균일한 급냉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급냉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금형(20)은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억제하기 위하여 약 400℃ 내지 약 450℃ 범위의 온도로 유지되는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와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를 포함하여 강관(10)을 차등 냉각시킴으로써 열간 성형된 최종적인 강관(10) 내에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연신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조직과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연신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조직이 동시에 존재하는 다중 조직을 구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금형(20)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열간 성형 금형과 동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강관(10)을 구성하는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5)가 탄소의 함유량이 상이한 제 1 강재(5a) 및 제 2 강재(5b)로 이루어지므로, 열간 성형된 최종적인 강관(10)은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연신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조직과 강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연신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조직이 동시에 존재하는 다중 조직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억제하기 위하여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와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를 약 400℃ 내지 약 450℃ 범위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와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를 약 25℃ 내지 약 400℃ 범위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서냉 금형 부재(40)와 하부 서냉 금형 부재(70)를 약 25℃ 내지 약 400℃ 범위의 온도로 유지하더라도, 예를 들어, 강관(10)을 구성하는 제 2 강재(5b)는 탄소를 0.1 wt%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극저탄소강이므로 강관(10) 중 제 2 강재(5b)에 대응하는 부분은 약 700 MPa 내지 약 800 MPa의 강도 및 약 12% 이상의 연신율(예를 들어, 약 12% 이상의 연신율 내지 약 16%의 연신율)을 가질 수 있다.
강관(10)은 다양한 기술 분야의 제품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자동차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강관(10)의 강도와 연신율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탄소 함량을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를 약 0.22 wt% 내지 약 0.28 wt% 범위로 포함하는 강관은 소형차에 적용할 수 있다. 탄소를 약 0.28 wt% 내지 약 0.32 wt% 범위로 포함하는 강관은 중형차에 적용할 수 있다. 탄소를 약 0.32 wt% 내지 약 0.38 wt% 범위로 포함하는 강관은 대형차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강관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강관이 적용되는 부품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에서는 강관이 적용된 예를 도시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강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강관은 전방/후방 범퍼 빔(100)(bumper beam), 도어 빔(200))(door beam), 필라 빔(300)(pillar beam), 및 하부 스티프너(400)(lower stiffener)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범퍼 빔(100)은 중앙 부분에 급냉에 의하여 형성된 탄소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강화 영역(110)을 가지고, 강화 영역(110)의 양 단부에 서냉에 의하여 형성된 탄소의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연화 영역(120)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충돌 시, 강화 영역(110)에 의하여 강성 확보를 구현하고, 연화 영역(120)에 의하여 충격 흡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5: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 5a: 제 1 강재, 5b: 제 2 강재
10: 강관, 20: 금형, 30: 상부 금형, 32: 상부 기저 부재, 34: 홈,
40: 상부 서냉 금형 부재, 42: 상부 가열 요소, 48: 성형 표면,
50: 상부 급냉 금형 부재, 52: 상부 냉각 요소,
54: 상부 냉각 유체 노즐, 56: 상부 냉각 유로, 58: 성형 표면,
60: 하부 금형, 62: 하부 기저 부재, 64: 홈,
70: 하부 서냉 금형 부재, 72: 하부 가열 요소, 78: 성형 표면,
80: 하부 급냉 금형 부재, 82: 하부 냉각 요소,
84: 하부 냉각 유체 노즐, 86: 하부 냉각 유로, 88: 성형 표면,
100: 범퍼 빔, 200: 도어 빔, 300: 필라 빔, 400: 하부 스티프너,

Claims (11)

  1. 탄소를 0.22 wt% 내지 0.28 wt% 범위로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강재와 탄소를 0.1 wt% 이하(0 wt% 제외)의 범위로 포함하는 극저탄소강인 적어도 하나의 제 2 강재를 서로 접합하여 테일러웰드블랭크(TWB) 판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를 성형하고 양측단을 접합함으로써, 하나의 강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강관을 가열하고 금형 내에 삽입한 후에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강재는, 0.10 wt% 내지 0.25 wt% 범위의 실리콘(Si), 1.00 wt% 내지 1.60 wt% 범위의 망간(Mn), 0.001 wt% 내지 0.03 wt% 범위의 인(P), 0.001 wt% 내지 0.02 wt% 범위의 황(S), 및 0.001 wt% 내지 0.005 wt% 범위의 보론(B)을 포함하는,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강재는, 0.001 wt% 내지 0.05 wt% 범위의 크롬(Cr), 0.001 wt% 내지 0.05 wt% 범위의 몰리브덴(Mo), 및 0.001 wt% 내지 0.05 wt% 범위의 니켈(N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을 가열하고 금형 내에 삽입한 후에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는
    서냉 영역과 급냉 영역을 가지고, 상기 급냉 영역에서 냉각 유체가 분사되는 상기 금형 내에 가열된 상기 강관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을 상기 강관에 압착하고 상기 냉각 유체에 의하여 상기 강관을 차등 냉각하여,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을 차등 냉각하여,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금형 내에 형성된 냉각 유로를 통하여 공급된 상기 냉각 유체를 상기 금형으로부터 상기 강관의 일부에 직접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강관의 일부를 급냉시켜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을 차등 냉각하여,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강관의 일부에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발생시키는 온도로 유지된 상기 금형의 일부를 접촉시켜, 상기 강관의 일부에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을 차등 냉각하여, 상기 강관을 열간 성형하는 단계는,
    상기 강관의 일부는 상기 금형의 상기 서냉 영역과 접촉하여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방지되고, 상기 강관의 다른 일부는 상기 금형의 상기 급냉 영역과 접촉하여 마르텐사이트 변태가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는,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 1 강재 및 상기 제 1 강재의 일측에 맞닿아 접합된 상기 제 2 강재를 포함하는,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는,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 1 강재 및 상기 제 1 강재의 양측에 각각 맞닿아 접합되는 상기 제 2 강재를 포함하는,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러웰드블랭크 판재는,
    상기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 2 강재 및 상기 제 2 강재의 양측에 각각 맞닿아 접합되는 상기 제 1 강재를 포함하는,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의 제조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열간 성형 강관으로서,
    상기 열간 성형 강관 중에서 상기 제 1 강재에 대응되는 부분은 1500 MPa 내지 1700 MPa의 강도를 가지고,
    상기 열간 성형 강관 중에서 상기 제 2 강재에 대응되는 부분은 700 MPa 내지 800 MPa의 강도를 가지고 연신율이 12% 이상인,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
KR1020130069564A 2013-06-18 2013-06-18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7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564A KR20140147899A (ko) 2013-06-18 2013-06-18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564A KR20140147899A (ko) 2013-06-18 2013-06-18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899A true KR20140147899A (ko) 2014-12-31

Family

ID=5267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564A KR20140147899A (ko) 2013-06-18 2013-06-18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78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6689A (zh) * 2020-10-22 2021-03-16 新兴能源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板焊管模的制造工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6689A (zh) * 2020-10-22 2021-03-16 新兴能源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板焊管模的制造工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3323B2 (ja) 車両用メンバー製作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サイドメンバー
EP265866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 physical properties part
JP4865112B1 (ja) 溶接継手の製造方法及び溶接継手
KR101190396B1 (ko) 테일러 웰디드 핫 스탬핑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국부적으로 이종강도를 지니는 성형체
CN108136498A (zh) 加强结构部件
US10144264B2 (en) Stabilizer bar and process of producing a stabilizer bar
US20180214924A1 (en) Ultra high strength body and chassis components
CN105792979A (zh) 包括经回火的过渡区的结构部件
KR20100096832A (ko) 프레스 경화용 금형의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의 제조방법
JP2013035309A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KR101159897B1 (ko) 프레스 경화용 금형의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부품의 제조방법
US10633037B2 (en) Vehicle underbody assembly with thermally treated rear rail
KR20140147899A (ko) 15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7900A (ko) 17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5954A (ko) 1500 MPa이상의 강도 영역을 포함하는 다중 조직을 가지는 열간 성형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75955A (ko) 1700 MPa 이상의 강도 영역을 포함하는 다중 조직을 가지는 열간 성형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US102669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dening a component or semi-finished product
KR20140147901A (ko) 1900MPa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영역 및 12% 이상의 연신율을 가지는 영역을 구비하는 열간 성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2873A (ko) 고강도를 가지는 열간 가스 성형 강관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75956A (ko) 1900 MPa 이상의 강도 영역을 포함하는 다중 조직을 가지는 열간 성형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845409B1 (ko) 초고강도 부품의 고주파 열처리방법 및 이에 따른 초고강도 부품
KR20180044621A (ko) 핫 스탬핑 방법
KR100994646B1 (ko) 고강도 자동차 도어 보강재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장착 방법
JP5765200B2 (ja) 差強度鋼管の製造方法
KR101159895B1 (ko) 프레스 경화용 금형의 냉각장치 및 이에 의한 자동차 부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