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778A - 액체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액체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778A
KR20140147778A KR1020140075900A KR20140075900A KR20140147778A KR 20140147778 A KR20140147778 A KR 20140147778A KR 1020140075900 A KR1020140075900 A KR 1020140075900A KR 20140075900 A KR20140075900 A KR 20140075900A KR 20140147778 A KR20140147778 A KR 20140147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ap
opened
fixed cap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두
Original Assignee
박정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두 filed Critical 박정두
Publication of KR20140147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액체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며 상면 테두리에는 결합턱(11)이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에 유출구(15)가 형성된 고정캡(13)이 돌출되어 있는 하부마개(10)와, 하단 테두리의 걸이턱(23)이 상기 결합턱(11)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마개(10)의 상부를 덮는 상부마개(20)와, 상기 하부마개(10)의 고정캡(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출구(15)를 개폐시키는 중간마개(30)와, 상기 상부마개(20)의 개폐시 상기 중간마개(30)를 상기 상부마개(20)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상부마개(20)가 닫힐 때 상기 중간마개(30)를 상기 상부마개(20)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연동수단(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밀봉판을 유출구에서 분리하는 과정이 상부마개의 최초 개방시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마개를 닫았을 때에는 유출구가 차폐되어 액체용기 내의 액상물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체용기용 마개{CAP FOR 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액체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가 용이하고 닫았을 때에는 액체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된 액체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용유, 참기름, 식초 등의 액상물은 유리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용기에 담겨져 있고 액상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용기의 입구에 마개를 설치하고 있다. 마개는 개폐가 용이하고 닫았을 때에는 용기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된다.
그런데 종래의 마개는 용기 내 액체를 유출하는 유출구가 최초 개봉시에 밀봉판으로 막혀져 있고 상부에는 사용자가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최초 사용시에 손잡이부를 잡아당겨 밀봉판을 유출구에서 분리하는 구조로 된다.
따라서, 밀봉판이 유출구에서 분리되기 위해서는 큰 힘이 소요되고 분리된 밀봉판을 따로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액상물의 양은 사용자가 액체용기를 잡는 힘과 기울기에 의해 조절되고, 사용 중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유출구를 통해 액상물이 과도하게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실용신안 제1994-0004745호(공개일:1994.04.15, 명칭:액체용기마개)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판을 유출구에서 분리하는 과정이 상부마개의 최초 개방시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마개를 닫았을 때에는 유출구가 차폐되어 액체용기 내의 액상물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으며, 유출구를 통해 액상물이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의 액체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액체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며 상부면 중앙에 고정캡이 돌출되어 있는 하부마개와, 힌지밴드에 의해 상기 하부마개와 연결되며 상기 하부마개의 상부를 덮는 상부마개와, 상기 하부마개의 고정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마개의 개방시 연동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마개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고정캡의 일측에 유출구를 개방시키며, 회전시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배출부를 갖는 중간마개를 포함한다.
상기 유출구는 절취부가 형성된 밀봉판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상부마개의 개방시 상기 중간마개가 상기 상부마개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밀봉판의 일측을 끊어 최초로 개방된다.
상기 중간마개에는, 상기 중간마개가 상기 상부마개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밀봉판을 눌러 끊도록 된 누름돌기부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로는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후단보다 그 선단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상부마개에 구비되고 상기 중간마개의 배출부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슬롯이 형성된 탄성편과, 상기 배출부의 선단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걸이슬롯에 걸어지는 걸림날개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편은 상기 걸이슬롯의 하부면 양측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마개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걸림날개를 걸어 상기 중간마개를 회전시키고 상기 중간마개의 회전행정이 규제되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걸림날개에서 이탈된다.
상기 중간마개의 회전행정은 구형상에서 양측이 절결된 형상으로 된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에 밀착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상기 중간마개의 하부 연동캡에 의해 규제된다.
상기 탄성편은 상기 걸이슬롯의 상부면이 하부면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마개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날개가 상기 걸이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날개의 상부면을 눌러 상기 중간마개가 상기 상부마개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걸림날개는 상부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캡의 양측에는 회전축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마개에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마개의 상부면에 상기 중간마개를 상기 고정캡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유출구는 상부마개의 최초 개방시 중간마개가 상부마개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캡과 연결된 밀봉판의 일측을 끊어 자동으로 개방되므로 밀봉판을 유출구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봉판이 일측만 고정캡에서 분리되고 타측은 절취부에 의해 고정캡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캡의 내측으로 꺽어지게 되므로 유출구의 개방 후 밀봉판을 따로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출구의 개방 후 상부마개를 열면 중간마개의 배출로가 유출구와 연통되어 액체용기 내부의 액상물을 바로 유출할 수 있고, 상부마개를 닫으면 중간마개가 유출로를 차폐하여 액체용기 내의 액상물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출구와 연통되는 배출로의 후단이 그 선단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액상물의 유출시 액상물이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마개를 하부마개에서 개방한 상태에서도 중간마개를 고정캡에 대해 회전시켜 유출구를 개방 또는 차폐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액체용기 내의 액상물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체용기용 마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중간마개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부마개가 하부마개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부마개가 하부마개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상부마개를 하부마개로부터 최초 개방시 유출구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과정을 보인 과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액체용기용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부마개를 하부마개로부터 최초 개방시 유출구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과정을 보인 과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액체용기용 마개는 하부마개(10), 상부마개(20), 중간마개(30), 연동수단(40)을 포함한다.
하부마개(10)는 액체용기(미도시)의 입구에 결합된다. 하부마개(10)는 액체용기의 입구에 압입식 또는 나사결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마개(10)가 액체용기의 입구에 압입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일 예로 도시하였다.
하부마개(10)의 상면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턱(11)이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에 유출구(15)가 형성된 고정캡(13)이 돌출되어 있다.
고정캡(13)은 대략 구형상에서 양측이 절결된 형상으로 된다. 구체적으로, 고정캡(13)은 하부마개(10)의 상부면과 접한 하부 둘레가 중간 둘레 보다 좁아 중간마개(30)가 결합되면 강하게 밀착되어 쉽게 빠지지 않고, 중간마개(30)가 상부마개(10)가 개폐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상부마개(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 강한 힘을 받게 된다.
유출구(15)를 통해 액체용기 내의 액상물이 외부로 유출된다. 유출구(15)는 고정캡(13)의 일측에 형성되되, 액상물의 과도한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액체용기의 입구보다 작은 구멍으로 형성된다. 유출구(15)는 마개의 최초 판매시 절취부(17a)가 형성된 밀봉판(17)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며, 상부마개(20)의 최초 개방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중간마개(30)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된다.
절취부(17a)는 밀봉판(17)이 고정캡(13)과 연결된 부분을 따라 밀봉판(17)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절취부(17a)는 밀봉판(17)이 고정캡(13)과 연결된 부분이 쉽게 끊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밀봉판(17)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단턱부(19)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턱부(19)는 아래에서 설명될 중간마개(30)의 누름돌기부(35)에 의해 밀려질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누름돌기부(35)가 밀어 누르는 힘에 의해 밀봉판(17)의 일측이 고정캡(13)으로부터 쉽게 끊어지도록 된다.
상부마개(20)는 힌지밴드(21)에 의해 하부마개(10)와 연결되고, 하단 테두리가 하부마개의 결합턱(11)에 결합되어 하부마개(10)의 상부를 덮는다. 상부마개(20)의 하단 테두리는 결합턱(11)에 걸어지는 걸이턱(23)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마개(30)는 하부마개(10)의 고정캡(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출구(15)를 개폐시킨다. 중간마개(30)는 하부로 돌출되고 결합홈(37a)이 형성된 연동캡(37)을 포함한다. 중간마개(30)는 결합홈(37a)에 고정캡(13)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하부의 연동캡(37)이 고정캡(13)에 지렛대 결합되고 고정캡(13)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지렛대 결합은 연동캡(37)이 고정캡(13)에 대해 상하로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지렛대 결합을 위해 연동캡(37)의 길이는 고정캡(13)이 돌출된 높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동캡(37)의 결합홈(37a)이 구형상에서 양측이 절결된 형상으로 된 고정캡(13)에 강하게 밀착되는 구조이므로 상부마개(20)의 회전시 중간마개(30)가 강한 힘을 받아 밀봉판(17)의 일측을 쉽게 끊을 수 있다.
중간마개(30)는 고정캡(13)에 대해 회전시 유출구(15)와 연통되는 배출로(33)가 형성된 배출부(31)를 갖는다. 배출부(31)는 연동캡(37)에서 상부마개(20)가 열려지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이다.
배출로(33)는 중간마개(30)의 회전시 유출구(15)와 연통되어 액체용기 내의 액상물을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배출로(33)는 중간마개(30)의 회전시 유출구(15)와 연통되는 후단보다 그 선단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한다. 배출로(33)의 선단 직경이 후단에 비해 크면 유출구(15)를 통해 액상물이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배출부(31)의 후단에는 중간마개(30)가 상부마개(20)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시 밀봉판(17)을 눌러 고정캡(13)과 연결된 부분을 끊도록 된 누름돌기부(35)가 형성된다. 누름돌기부(35)는 밀봉판(17)의 단턱부(19)를 밀어 누름으로써 밀봉판(17)의 일측을 고정캡(13)과 끊어 유출구(15)를 개방한다.
유출구(15)는 상부마개(20)의 최초 개방시 함께 개방되고, 이후에는 연동캡(37)에 의해 개폐된다. 즉, 최초 판매시 마개의 유출구(15)는 절취부(17a)가 형성된 밀봉판(17)에 의해 밀폐되며, 상부마개(20)의 개폐시 중간마개(30)가 상부마개(20)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밀봉판(17)의 일측을 끊어 최초로 개방되고, 이후에는 중간마개(30)의 연동캡(37)의 회전에 의해 개폐된다.
누름돌기부(35)와 인접한 위치에 중앙을 향하여 요입된 곡선형상을 그리면서 돌출된 밀착부(39)가 형성된다. 밀착부(39)는 연동캡(37)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마개(20)가 하부마개(10)에 닫혀진 상태에서 누름돌기부(35)와 협력하여 유출구(15)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연동수단(40)은 상부마개(20)의 개방시 중간마개(30)를 상부마개(20)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부마개(20)가 닫힐 때는 중간마개(30)를 상부마개(20)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연동수단(40)은 탄성편(41)과 걸림날개(43)를 포함한다.
탄성편(41)은 상부마개(20)에 구비되고 중간마개(30)의 배출부(31)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슬롯(42)이 형성된다. 걸림날개(43)는 배출부(31)의 선단 양측에 구비되고 걸이슬롯(42)에 걸어진다.
탄성편(41)은 걸이슬롯(42)을 형성하는 하부면(41b) 양측이 서로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어 상부마개(20)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시 걸림날개(43)를 걸어 중간마개(30)를 회전시키고 일정각도 회전되어 중간마개(30)의 회전행정이 규제되면 탄성변형되어 걸림날개(43)에서 이탈된다.
탄성편(41)이 걸림날개(43)에서 이탈된 후에는 상부마개(20)만 더 회전하여 하부마개(10)에 대해서 완전히 열어지게 된다. 중간마개(30)의 회전행정은 고정캡(13)에 지렛대 결합된 연동캡(37)에 의해 규제된다.
탄성편(41)은 걸이슬롯(42)을 형성하는 상부면(41a)이 하부면(41b)에 비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부마개(20)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날개가 걸이슬롯(42)에 삽입되면, 걸림날개(43)의 상부면(41a)을 눌러 중간마개(30)가 상부마개(20)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걸림날개(43)는 상부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걸림날개(43)의 상부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면 상부마개(20)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회전시 걸이슬롯(42)의 하부면(41b)이 걸림날개(43)의 상부면 경사를 타고 탄성변형되어 걸림날개(43)가 걸이슬롯(42)에 자연스럽게 삽입된다.
하부마개(10)에 받침부(4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45)는 배출부(31)의 선단 저면을 받치도록 하부마개(1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하부마개(10), 상부마개(20), 중간마개(30), 연동수단(40)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마개(10), 상부마개(20), 연동수단(40)은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고, 중간마개(30)는 별도로 사출성형한 후 하부마개(10)의 고정캡(13)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생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부마개를 하부마개로부터 최초 개방시 유출구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생산된 마개는 상부마개(20)의 하단 테두리의 걸이턱(23)이 하부마개(10)의 결합턱(11)에 결합되어 상부마개(20)가 하부마개(10)의 상부를 덮는 형상이며, 상부마개(20)는 힌지밴드(21)에 의해 하부마개(1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마개(30)는 연동캡(37)의 결합홈(37a)에 하부마개(10)의 고정캡(13)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중간마개(30)의 연동캡(37)이 고정캡(13)에 결합된다. 중간마개(30)의 배출부(31)는 상부마개(20)가 열려지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유출구(15)를 막고 있는 밀봉판(17)과 인접한 위치에는 배출부(31) 후단의 누름돌기부(35)가 위치된다.
또한, 밀봉판(17)에 의해 막혀 있는 유출구(15) 부분은 연동캡(37)의 저면에 형성된 밀착부(39)와 누름돌기부(35)에 의해서도 차폐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31)의 선단에 형성된 양측 걸림날개(43)는 탄성편(41)의 걸이슬롯(42)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배출부(31)의 선단 저면은 하부마개(10)에 형성된 받침부(45)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마개(10)에 결합된 상부마개(20)를 개방한다. 그 과정은 작업자가 상부마개(20)의 일측을 잡고 걸이턱(23)과 결합턱(11)의 결합을 해제한 후 힌지밴드(21) 방향으로 상부마개(20)를 회전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부마개(20)를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편(41)의 하부면(41b)이 걸림날개(43)를 걸어 중간마개(3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키고 이 과정에서 중간마개(30)의 회전행정이 규제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41)의 하부면(41b)이 탄성변형되면서 걸림날개(43)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상부마개(20)는 계속하여 회전되어 하부마개(10)에 대해 열려지게 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마개(20)의 회전에 연동하는 중간마개(30)의 회전은 배출부(31) 후단의 누름돌기부(35)를 밀봉판(17)측으로 이동시켜 밀봉판(17)의 단턱부(19)를 밀어 누름으로써 고정캡(13)과 연결된 밀봉판(17)의 일측 부분을 끊어버린다.
따라서 밀봉판(17)을 유출구(15)에서 분리하는 과정이 상부마개(20)의 최초 개방시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판(17)은 일측만 고정캡(13)에서 분리되고 타측은 절취부(17a)에 의해 고정캡(13)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캡(13)의 내측으로 꺽어지게 되므로 유출구(15)의 개방 후 밀봉판(17)을 따로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탄성편(41)이 배출부(31)의 걸림날개(43)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중간마개(30)의 배출로(33)는 고정캡(13)의 유출구(15)와 연통되고 액체용기 내부의 액상물을 외부로 유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중간마개(30)는 연동캡(37)이 하부마개(10)의 고정캡(13)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중간마개(30)의 배출로(33)가 고정캡(13)의 유출구(15)와 연통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배출로(33)는 유출구(15)와 연통되는 후단이 선단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유출구(15)를 통해 액상물이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액체용기에 담겨진 액상물의 유출 후, 상부마개(20)를 하부마개(10)에 닫는 과정이 수행된다.
그 과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마개(20)를 하부마개(10)에 대해 닫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된다. 그 과정에서 배출부(31)의 걸림날개(43)가 탄성편(41)의 걸이슬롯(42)에 탄성변형에 의해 삽입되고, 상부마개(20)가 더 회전하면 탄성편(41)의 하부면(41b)이 걸림날개(43)의 상부면을 눌러 중간마개(30)가 상부마개(20)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마개(20)의 걸이턱(23)이 하부마개(10)의 결합턱(11)에 결합되면 중간마개(30)의 배출부(31)는 그 저면이 하부마개(10)의 받침부(45)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캡(13)의 유출구(15) 부분은 연동캡(37)의 저면에 형성된 밀착부(39)와 누름돌기부(35)에 의해 차폐되어 액체용기 내의 액상물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는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액체용기용 마개의 다른 실시예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부마개를 하부마개로부터 최초 개방시 유출구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과정을 보인 과정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고정캡(13)의 양측에 회전축(47)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중간마개(50)에 고정캡(13)의 회전축(47)에 결합되는 회전공(57)이 형성된 구성, 중간마개(50)의 상부면에 중간마개(50)를 고정캡(13)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59)가 형성된 구성이 더 포함되는 차이가 있다.
회전축(47)이 고정캡(13)에서 돌출된 정도는 중간마개(50)의 회전공(57)의 두께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중간마개(50)의 회전공(57)이 고정캡(13)의 회전축(47)에 결합되면 중간마개(50)가 고정캡(13)의 유출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이 원활해진다.
손잡이부(59)는 고정캡(13)에 대한 중간마개(50)의 회전을 수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손잡이부(59)는 중간마개(50)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단부가 유출구(15)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굽어진 형태이다. 손잡이부(59)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들이 형성되어 손잡이부(59)를 유출구(15)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미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중간마개(50)가 고정캡(13)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된다.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는 상부마개(20)를 하부마개(10)로부터 최초 개방 후 손잡이부(59)를 상부마개(20)가 개방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동작에 의해 배출부(51) 후단의 누름돌기부(55)가 밀봉판(17)측으로 이동되어 밀봉판(17)을 밀어 누름으로써 고정캡(13)과 연결된 밀봉판(17)의 일측 부분을 끊어버린다.
따라서, 밀봉판(17)을 유출구(15)에서 분리하는 과정이 상부마개(20)의 최초 개방후 손잡이부(59)를 밀어주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밀봉판(17)은 일측만 고정캡(13)에서 분리되고 타측은 고정캡(13)에서 연결된 상태로 고정캡(13)의 내측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유출구(15)의 개방 후 밀봉판(17)을 따로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그리고, 상부마개(20)가 하부마개(10)로부터 개방된 상태에서 중간마개(50)를 고정캡(13)에 대해 회전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서도 유출구(15)를 개방하거나 차폐할 수 있다.
즉, 손잡이부(59)를 유출구(1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미는 동작에 의해 중간마개(50)가 고정캡(13)에 대해 회전하여 유출구(15)가 배출로(53)와 연통될 수 있고, 유출구(15)를 차폐하는 방향으로 손잡이부(59)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중간마개(50)가 고정캡(13)에 대해 회전하여 유출구(15)가 배출로(53)와 연통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중간마개(50)는 회전공(57)이 고정캡(13)의 회전축(47)에 결합되어 있어 고정캡(13)의 유출구(15)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이 원활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부마개 11: 결합턱
13: 고정캡 15: 유출구
17: 밀봉판 17a:절취부
19: 단턱부 20: 상부마개
21: 힌지밴드 23: 걸이턱
30: 중간마개 31: 배출부
33: 배출로 35: 누름돌기부
37: 연동캡 37a: 결합홈
39: 밀착부 40: 연동수단
41: 탄성편 41a: 상부면
41b: 하부면 42: 걸이슬롯
43: 걸림날개 45: 받침부
47: 회전축 50: 중간마개
51: 배출부 53: 배출로
55: 누름돌기부 56: 걸림날개
57: 회전공 59: 손잡이부

Claims (11)

  1. 액체용기의 입구에 결합되며 상부면 중앙에 고정캡이 돌출되어 있는 하부마개와,
    힌지밴드에 의해 상기 하부마개와 연결되며 상기 하부마개의 상부를 덮는 상부마개와,
    상기 하부마개의 고정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마개의 개방시 연동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마개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고정캡의 일측에 유출구를 개방시키며, 회전시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배출부를 갖는 중간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마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절취부가 형성된 밀봉판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 상부마개의 개방시 상기 중간마개가 상기 상부마개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밀봉판의 일측을 끊어 최초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마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마개에는, 상기 중간마개가 상기 상부마개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밀봉판을 눌러 끊도록 된 누름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마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로는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후단보다 그 선단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마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상부마개에 구비되고 상기 중간마개의 배출부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슬롯이 형성된 탄성편과,
    상기 배출부의 선단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걸이슬롯에 걸어지는 걸림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마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걸이슬롯의 하부면 양측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부마개가 열려지는 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걸림날개를 걸어 상기 중간마개를 회전시키고 상기 중간마개의 회전행정이 규제되면 탄성변형되어 상기 걸림날개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마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간마개의 회전행정은
    구형상에서 양측이 절결된 형상으로 된 고정캡과,
    상기 고정캡에 밀착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상기 중간마개의 하부 연동캡에 의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마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걸이슬롯의 상부면이 하부면에 비해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마개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날개가 상기 걸이슬롯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날개의 상부면을 눌러 상기 중간마개가 상기 상부마개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매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날개는 상부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마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의 양측에는 회전축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중간마개에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마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마개의 상부면에 상기 중간마개를 상기 고정캡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마개.

KR1020140075900A 2013-06-20 2014-06-20 액체용기용 마개 KR201401477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1036 2013-06-20
KR20130071036 2013-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778A true KR20140147778A (ko) 2014-12-30

Family

ID=5267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900A KR20140147778A (ko) 2013-06-20 2014-06-20 액체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77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45U (ko) * 2019-08-27 2021-03-09 최낙영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45U (ko) * 2019-08-27 2021-03-09 최낙영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024B1 (ko) 음료용기의 마개체
KR200474769Y1 (ko) 회전 출몰식 화장품 용기
EP3325368B1 (en) Flip-top dispensing closure
KR200473319Y1 (ko) 이액형 액상용액의 혼합이 가능한 용기
US9296526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utomatic cap for liquid vessel
KR20110011489U (ko)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KR20140147778A (ko) 액체용기용 마개
US20190113151A1 (en) Safety faucet for hot water
KR100830089B1 (ko) 용기용 마개
KR20140036578A (ko) 저장용기
JP5457523B2 (ja) 飲料容器の栓体
EP1651540A1 (fr) Tete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EP2870077B1 (en) A dispensing closure
CN105725714B (zh) 用于食物加工设备的止滴附件
KR101476382B1 (ko) 액상 식품 보관용기용 캡
KR20150003532U (ko) 기울이면 자동으로 개방이 되는 물병
KR101898946B1 (ko) 펌프 디스펜서
EP3953265B1 (en) Lid for containers, particularly beverage containers
KR101063259B1 (ko) 액상 식품용 용기 캡
KR200432654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US2780396A (en) Liquid dispensing device
KR200431896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19980061202U (ko) 액체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TWI379051B (ko)
KR20120084878A (ko) 액상 식품용 용기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