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946B1 - 펌프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펌프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946B1
KR101898946B1 KR1020160118229A KR20160118229A KR101898946B1 KR 101898946 B1 KR101898946 B1 KR 101898946B1 KR 1020160118229 A KR1020160118229 A KR 1020160118229A KR 20160118229 A KR20160118229 A KR 20160118229A KR 101898946 B1 KR101898946 B1 KR 101898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cover cap
pump dispenser
fix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0355A (ko
Inventor
김태현
강찬호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to KR1020160118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9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30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3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펌프 디스펜서는: 헤드부 및 헤드부의 취출구를 통해 벌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펌프 디스펜서{PUMP DISPENSER}
본 발명은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벌레나 이물질이 취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비자의 안심도를 높일 수 있는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Dispenser)라 함은 밀폐용기 내부에 충진된 기체나 액체 또는 기타 내용물을 가압에 의해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화장품이나 향수 또는 의약품이나 식품 등을 저장하는 각종 밀폐용기에 적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디스펜서는 버튼부를 누르면 스프링이 탄성력에 반하여 샤프트가 하강하고, 하우징 속에 채워진 내용물이 통공 및 연결관을 통해 노즐로 토출된다. 버튼부를 놓으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가 상승하면서 통공이 폐쇄되어 내용물이 차단되고, 하우징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므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이 하우징에 충전된다.
버튼부를 반복하여 누르면, 상기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용기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07519호 (2012.01.12., 발명의 명칭 : 유체 펌프디스펜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부에 커버캡이 결합되어 취출구를 통한 벌레나 이물질 의 유입을 방지하여 소비자의 안심도를 높일 수 있는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버캡 자체 형상에 의해 헤드부에 결속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지니는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취출구를 통해 벌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해 가압력을 제공받는 푸시부 및 상기 푸시부에서 일측을 연장 형성되고, 상기 취출구가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캡은 상기 취출구를 커버하는 마개부 및 상기 마개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의 둘레를 감싸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푸시부의 상면과 측면 일부를 감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C'자 평단면 형상을 지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푸시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푸시부에 결합시 자체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푸시부의 하면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걸림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는 헤드부에 커버캡의 결합으로 취출구를 커버할 수 있어 취출구를 통한 벌레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소비자의 안심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의 형상을 커버하는 커버캡의 자체 형상만으로 결속이 가능하여 미려한 외관을 지닐 수 있고, 커버캡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커버캡 결합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커버캡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커버캡 결합을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커버캡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100)는 헤드부(110) 및 커버캡(120)을 포함한다.
헤드부(110)는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해 가압력을 제공받는 푸시부(112) 및 푸시부(112)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취출구(115)가 형성되는 연장부(114)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푸시부(112)를 눌러주게 되면, 펌핑부에 의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취출구(115)를 통해 추출된다.
커버캡(120)은 헤드부(110)의 취출구(115)를 통해 벌레 유입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취출구(115)를 커버하는 마개부(122) 및 마개부(122)와 연결되며, 푸시부(112)의 둘레를 감싸 고정되는 고정부(124)를 포함한다. 마개부(122)와 고정부(124)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마개부(122)에는 취출구(115)에 삽입되는 끼움돌기(123)가 형성된다.
이때, 푸시부(112)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고정부(124)는 푸시부(112)의 상면과 측면 일부를 감싸 고정된다. 고정부(124)는 'C'자 평단면 형상을 지녀 자체 탄성력에 의해 푸시부(112)에 고정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부(112)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고정부(124)는 'C'자 단면형상으로 지니므로, 일측 개구부위를 통해 고정부(124)가 삽입되면, 도 5와 같이 고정부(124)가 푸시부(112)의 중심라인(C)까지 벌어지다 중심라인(C)을 넘어서면, 자체 탄성에 의해 푸시부(112)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고정된다.
이는 고정부(124)가 푸시부(112)의 80% 이상을 감싸는 형태이므로 고정부(124)가 결속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고정부(124)에는 푸시부(112)에 결합시 자체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여부(125)가 구비된다. 탄성부여부(125)는 고정부(124)의 상면에 원호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원호형상의 탄성부여부(125)에 의해 고정부(124)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것이 수월하며, 중심라인(C)을 넘어서면 탄력적으로 수축되어 고정부(124)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24)에는 푸시부(112)의 하면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걸림리브(126)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4)는 'ㄷ'자 단면형상으로 푸시부(112)에 결합됨으로써, 상측방향으로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4)에는 고정부(124)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130)가 형성된다. 이는 고정부(124)의 양측면 단부에 파지부(13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눌러주면 고정부(124)가 다소 벌어짐으로써, 푸시부(112)로부터 고정부(124)의 분리가 용이하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110)는 사용자의 가압력을 인가받는 푸시부(112)와 푸시부(112)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취출구(115)가 형성되는 연장부(114)로 형성되며, 이러한 헤드부(110)에는 커버캡(120)이 결합되고, 커버캡(120)의 결합으로 인해 취출구(115)가 커버되어 외부 이물질은 물론, 취출구(115)를 통한 벌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캡(120)의 결합을 보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캡(120)의 고정부(124)를 선두로 하여 커버캡(120)을 헤드부(110)의 연장부(114)에서 푸시부(112)방향으로 슬라이드 삽입한다.
고정부(124)는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고정부(124)가 푸시부(112)의 중심라인(C)까지 벌어지다 중심라인(C)을 넘어서면, 자체 탄성에 의해 푸시부(112)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마개부(122)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123)는 취출구(115)의 선단에 끼움결합되어 취출구(115)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고정부(124)의 상면에는 원호 형상으로 절개된 탄성부여부(125)가 형성되어 고정부(124)의 원활한 탄성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부(124)에는 푸시부(112)의 하면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걸림리브(126)가 구비되어 고정부(124)의 상측방향으로 분리가 방지된다.
이처럼 커버캡(1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자체 탄성력에 의해 헤드부(110)에 커버캡(120)이 결합되고, 취출구(115)를 커버할 수 있어 이물질 또는 벌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4)의 양측면 단부에는 접선방향으로 형성되는 파지부(130)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파지부(130)를 파지하여 커버캡(120)의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다. 이때, 파지부(130)의 파지에 의해 고정부(124)가 다소 벌어질 수 있어 커버캡(120)의 분리가 용이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 의하면, 헤드부에 커버캡의 결합으로 취출구를 커버할 수 있어 취출구를 통한 벌레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소비자의 안심도를 높일 수 있고, 헤드부의 형상을 커버하는 커버캡의 자체 형상만으로 결속이 가능하여 미려한 외관을 지닐 수 있고, 커버캡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펌프 디스펜서 110 : 헤드부
112 : 푸시부 114 : 연장부
115 : 취출구 120 : 커버캡
122 : 마개부 123 : 끼움돌기
124 : 고정부 125 : 탄성부여부
126 : 걸림리브 130 : 파지부

Claims (6)

  1.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취출구를 통해 벌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캡;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펌프를 작동시키기 위해 가압력을 제공받고, 원형으로 형성되는 푸시부 및 상기 푸시부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단부에 상기 취출구가 구비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캡은 상기 취출구를 커버하는 마개부 및 상기 마개부와 연결되어 상기 푸시부의 상면과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C'자 평단면 형상을 지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푸시부에 고정되고, 상기 푸시부에서 분리시 탄성적으로 벌려지도록 양단부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푸시부에 결합시 자체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푸시부의 하면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걸림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디스펜서.
KR1020160118229A 2016-09-13 2016-09-13 펌프 디스펜서 KR101898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29A KR101898946B1 (ko) 2016-09-13 2016-09-13 펌프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29A KR101898946B1 (ko) 2016-09-13 2016-09-13 펌프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355A KR20180030355A (ko) 2018-03-22
KR101898946B1 true KR101898946B1 (ko) 2018-09-18

Family

ID=6190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229A KR101898946B1 (ko) 2016-09-13 2016-09-13 펌프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9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386B1 (ko) * 2019-08-26 2021-09-09 애경산업(주) 듀얼용기용 펌프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355A (ko) 2018-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217B2 (en) Spuit-type container cap for automatic filling and fixed-amount dispensing
EP2928785B1 (en) Nozzle for a two-chamber container for mixing two components and applying the mixture
AU730977B2 (en) Spray can actuator with enhanced attachment mechanism
KR200461241Y1 (ko)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FR2653412A1 (fr) Recipient-distributeur de colle liquide.
US9957100B2 (en) Dispensing device
US9227027B2 (en) Three-point child resistant lid
JP2006205033A (ja) トリガー噴射装置のアタッチメント、トリガー噴射装置、および噴射器
KR101898946B1 (ko) 펌프 디스펜서
JP2018500247A (ja) 分注器
KR101912587B1 (ko) 스포이드형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EP3898444A1 (en) Vented spout for a liquid storage container
KR102228993B1 (ko) 펌프 디스펜서
CA3013968A1 (en) Compressible dispenser of a liquid product, in particular a cosmetic liquid product such as a cream
EP1095599A2 (en) Beverage container provided with improved cap
KR200409747Y1 (ko) 입술 화장품용기의 패킹 구조
KR100830089B1 (ko) 용기용 마개
KR200420243Y1 (ko) 액체 용기용 캡
RU2314984C2 (ru) Дозатор для порционной выдачи пастообразных масс
JP6092003B2 (ja) エアゾール用スパウト
KR200384899Y1 (ko) 디스펜서용 버튼
KR101539742B1 (ko)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KR200432654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JP2003292004A (ja) 注出キャップ
FR2715125A1 (fr) Bidon en plastique perfectionn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