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428A -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428A
KR20140147428A KR20130070658A KR20130070658A KR20140147428A KR 20140147428 A KR20140147428 A KR 20140147428A KR 20130070658 A KR20130070658 A KR 20130070658A KR 20130070658 A KR20130070658 A KR 20130070658A KR 20140147428 A KR20140147428 A KR 20140147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vehicle
change
information
col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4178B1 (ko
Inventor
이국헌
정재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온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온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온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2013007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178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2Capturing of monitoring data
    • H04L43/028Capturing of monitoring data by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은,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ECU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필터링하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 및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정보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ehicle information}
본 발명은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차량 정보를 필터링하여 데이터 양을 줄이고 이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기반 포맷으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차량 네트워크 정보는 물리적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에 기반을 두고 바이트(byte) 형태의 포맷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있다. 그리고, 데이터는 OBD(On Board Diagnostics) II 포맷 또는 차량 제조사별 각각의 포맷으로 정보를 내부에서 교환하고 있다.
데이터는 차량의 RPM, 속도, 변속기 정보, 유류량, 고장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있으며, 해당 정보는 최근 텔레매틱스(Telematics) 기술의 발달과 함께 네비게이션 또는 주행기록 장치 등 각종 장치와 융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기술의 경우, 차량의 데이터를 네비게이션 또는 주행기록 장치 또는 원격지 서버로 전송함에 있어서 각 업체 별로 차량의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장치를 만들고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전송하고 있거나, 또는 OBD II 포맷에 따라 데이터를 읽어 들여 해석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 각 업체의 기술에 의지하게 함에 따라 독자적인 고유성 및 폐쇄성을 만들어주지만, 외부 사용자가 이를 활용하기 어렵게 만들어 확장성 및 융합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142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차량 정보를 필터링하여 데이터 양을 줄이고 이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기반 포맷으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차량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만약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변화값과 발생시간을 기록하며, 그 후 기 설정된 샘플링 카운터 동안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변화를 인정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내에 게이트웨이를 내장함에 있어 또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제조함에 있어 차량 정보를 외부로 송출할 때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포맷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외부 사용자 또는 외부 프로그램에서 차량정보를 용이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은,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ECU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필터링하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 및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정보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는,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내부 통신부; 상기 수신된 차량 정보를 처리하는 차량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차량 정보를 차량 정보 중계 장치 또는 차량 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정보 처리부는 상기 수집된 차량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만약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변화값과 발생시간을 기록하며, 그 후 기 설정된 샘플링 카운터 동안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변화를 인정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차량 정보 처리 방법은,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차량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된 차량 정보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기반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된 차량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그 변화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필터링함으로써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양을 줄여 차량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정보를 송출 하는 게이트웨이(차량 정보 수집 장치)를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에 기반을 두는 JSON 방식으로 엑세스함에 따라 높은 가독성으로 용이하게 개발이 가능하고, 이미 구축되어 있는 각종 시스템에 결합하여 융합형 서비스 창출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은 차량 내부 네트워크(100),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 차량 정보 중계 장치(300), 차량 정보 관리 서버(400) 등을 포함한다.
이를 상술하면, 먼저 차량 내부 네트워크(100)는 예컨대 ISO 11898에 해당하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에 기반을 두고 구성된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엔진에 걸리는 부하, RPM, 인젝터 등을 제어하며 차량의 중요한 동력원 생성을 관장하는 EMS(Engine Management System), 차량에 걸리는 토크의 관리 및 기어비 등을 관리하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차량의 문을 열거나, 헤드라이터 제어, 와이퍼 등을 컨트롤 하는 BCM(Body Control Module) 등과 같은 차량의 각종 ECU(Electronic Control Unit)가 상호 결합되어 차량 정보를 교환하는 네트워크이다.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는 차량 내부 네트워크(100)와 결합되어 차량의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지그비)을 통해 차량 정보 중계 장치(300)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는 외부 사용자 또는 외부 프로그램에서 차량 정보를 용이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차량 정보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기반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은 WEB2.0 이후 출현한 데이터 교환 형식으로 WEB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때 사용되는 형식인데, 국제적 표준인 ECMA-262와 IOS/IEC 16262에 기술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객체 핸들링 문법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이름(name)/값(value) 형태의 엔터티(entity)를 사용하며 가변적인 데이터 개수를 쉽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바이너리(binary) 기반의 데이터(차량 정보)를 아스키(ASC; American Standard Code) 기반의 JSON 포맷으로 그대로 변환하게 되면, 데이터 양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전송 효율도 떨어지게 된다. 예컨대,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정보는 초당 수천개가 되는데, 이것을 모두 JSON 포맷으로 변환하여 보내기 위해서는 데이터 양이 크게 증가하게 되고, 결국 JSON 포맷으로 변환하는 의미가 퇴색되어 실효성이 없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차량 내부 네트워크(100) 상에서 교환되는 각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그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필터링함으로써 송출하고자 하는 정보,즉 데이터 양을 최소화하여 JSON 포맷으로 변환한다.
이를 상술하면,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는 차량 내부 네트워크(100) 상에서 교환되는 각 패킷(차량 정보)을 수집하고, 이를 해석하여 송출하고자 하는 값들의 변화(transition)를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만약 송출하고자 하는 값에 변화가 발생되면 해당 변화값을 기록하고 또한 그 발생 시간을 함께 기록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모니터링하는 값들의 변화를 기록한 정보들을 묶어서 새로운 패킷으로 구성하고 이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송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차량 내부 네트워크(100)와 접속되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는 일종의 게이트웨이(Gateway)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는 차량 내부 통신부(210), 차량 정보 처리부(220), 무선 통신부(230) 등을 포함한다.
차량 내부 통신부(210)는 차량 내부 네트워크(100)와 접속되어 차량 내부 네트워크(100) 상에서 교환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한다.
그러면, 차량 정보 처리부(220)는 차량 내부 통신부(210)를 통해 수집된 각종 차량 정보들을 분석하여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변화(transition)가 발생하는 순간 해당 변화값과 그 발생시간(시간값)을 기록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서 차량의 문이 닫혀 있음이 "810H 01 00 00 00 00 00 00 00"의 첫번째 바이트(byte)의 LSB(Least Significant Bit)가 '1'이 되는 것으로 표현된다고 가정하였을 때(참고로, 여기서 "810H"는 소스 어드레스(차량 정보명)이고 "00 00 00 00 00 00 00 00"은 해당 정보의 값을 의미한다), 보통때는 앞서 메시지가 전송되고 있다가 문이 열렸을 때 "810H 00 00 00 00 00 00 00 00"과 같이 첫번째 바이트의 LSB가 '0'이 되는 형태로 값이 변화하게 된다. 이 때 해당 변화를 감지(catch)하고 변화된 값인 '0' 그리고 해당 변화를 감지한 시간을 함께 기록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정보 처리부(220)는 추가적인 파라미터로 유효 샘플링 카운터를 사용하며, 이는 수집 민감도를 조절하는 변수로서 최종적으로 변화된 이후에 유효 샘플링 카운터만큼 변화가 없는 경우에, 즉 변화가 일정 시간 유지되어 그 시간값(유효 샘플링 카운터)을 경과한 경우에 변화를 인정한다. 예컨대, 지터링(jittering)과 같이 차량이 진동하거나 노이즈가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계속적인 변화로 인하여 대량의 데이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전술한 방식으로 노이즈를 필터링함으로써 해당 변화값을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JSON 기반의 데이터 변환에 대해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 차량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기본 자료형은 숫자, 문자열, 참(true)/거짓(false), 널(null) 등이 있고, 집합 자료형은 배열과 객체가 있다. 숫자에는 정수, 실수가 있으며, 문자열은 큰따옴표(")로 묶여 있는 문자들을 의미한다. 배열은 대괄호([ ])로 나타내 지며, 각 배렬 구성 요소간에 구분은 쉼표(,)로 이루어진다. 객체는 이름(name)/값(value) 쌍의 집합으로, 중괄호({ })를 이용하여 표현된다. 이름은 문자열이기 때문에 따옴표를 사용하나 생략도 가능하다. 값은 기본 자료형이거나 배열 또는 객체이다.
다음과 같은 JSON 표현을 예를 들 수 있다.
{speed:42.2, rpm:1200, vid:"ABCDEFGH0", ignition:true, timestamp:201211}
차량 정보 처리부(220)는 차량 내부 통신부(210)를 통해 수집된 바이너리(binary) 기반의 데이터를 아스키(ASC; American Standard Code) 기반의 텍스트(text)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를 사전 정의된 정보의 이름과 결합하고 JSON 포맷으로 변환한다. 전술한 예와 같이 정보가 1개인 경우에는 중괄호({ })를 이용하여 정보를 단일의 객체 형태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만약, 차량 정보 처리부(220)가 여러 개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때는 배열 형태로 정보를 생성하는데, 이 경우에는 대괄호([ ]) 안에 여러 개의 중괄호({ })로 쌓여 있는 객체 형태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정보 처리부(220)는 차량 정보를 그 중요도에 따라서 2 이상의 레벨로 분류하고 차량 내부 통신부(210)를 통해 수집된 차량 정보를 해당 중요도(레벨)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한다.
예컨대, 차량 정보 처리부(220)는 차량 충돌, 에어백 전개, 엔진 이상 등과 같이 긴급한 상황에 해당하는 제1 레벨의 차량 정보는 해당 정보를 수집하는 즉시 또는 해당 상황으로 판단되는 즉시 무선 통신부(230)를 통해 외부로 송출한다. 그리고, 차량 속도, RPM, 연비 등과 같이 차량 운행과 관련된 일반적인 상황에 해당하는 제2 레벨의 차량 정보는 해당 정보를 계속 모니터링하고,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변화(transition)가 발생하는 순간 해당 변화값과 그 발생시간을 기록하여 저장한 후, 모니터링한 값들의 변화를 기록한 정보들을 소정 시간 단위로 또는 소정 데이터 양 단위로 묶어서 압축하여 새로운 패킷으로 구성하고, 이를 무선 통신부(230)를 통해 외부로 송출한다. 또한, 차량 관리 정보 등과 같이 현재 차량 운행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제3 레벨의 차량 정보는 비교적 긴 시간(예, 1 시간) 주기로 외부로 송출하거나 또는 운전자가 요청하는 경우에 이를 송출한다.
마지막으로, 무선 통신부(230)는 차량 정보 처리부(220)에서 처리된 정보(예, JSON 기반의 데이터)를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송출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정보 중계 장치(300)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에서 송출하는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예컨대 광대역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중계 장치(3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중계 장치(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310), 중앙 처리부(320), 광대역 무선 통신부(3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 디스플레이부(350) 등을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310)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지그비)을 통해 차량 정보를 수신한다.
중앙 처리부(32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차량 정보를 저장하고 일정 시간 동안 또는 일정 데이터 양이 될 때까지 누적하여 누적 패킷을 생성한다. 예컨대, 중앙 처리부(320)는 일정 시간 또는 일정 데이터 양을 파라미터로 설정하고 해당 파라미터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차량 정보를 누적한 후 누적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정보 수집 장치(300)는 2 이상의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중앙 처리부(320)는 차량별로 누적 패킷을 생성하거나 또는 차량에 관계없이 소정 조건(예, 동일 레벨의 차량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 정보를 하나로 묶어 누적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부(330)는 3G/4G 무선 통신(예, CDMA, WCDMA, LTE, WiMAX)을 통해 차량 정보(누적 패킷)을 차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중계 장치(300)는 전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310), 중앙 처리부(320), 광대역 무선 통신부(330) 만으로 구성되어 단순히 차량 정보 중계 기능만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40)와 디스플레이부(350)를 더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 등과 같은 범용적인 모바일 기기 형태로 구현되어 앱(applicaton)을 구동시킴으로써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정보 관리 서버(400)는 최종적으로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로서, 차량 정보 중계 장치(300)로부터 광대역 무선 통신망을 거처 차량 정보가 담긴 패킷을 수신하고 이를 다시 개별 패킷으로 분리하여 저장하고 처리한다. 그리고, 해당 패킷에 포함된 차량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차량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처리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이나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구체적 기능이나 구현 방식 등은 전술한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는 차량 내부 통신부(210)를 통해 차량 내부 네트워크(100)와 접속하여 차량 내부 네트워크(100) 상에서 교환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한다.
단계 S420에서,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의 차량 정보 처리부(220)는 차량 내부 통신부(210)를 통해 수집된 각종 차량 정보들을 분석하여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의 변화(transition)가 발생하는 순간 해당 변화값과 그 발생시간(시간값)을 기록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420에서, 차량 정보 처리부(220)는 추가적인 파라미터로 유효 샘플링 카운터를 사용하며, 이는 수집 민감도를 조절하는 변수로서 최종적으로 변화된 이후에 유효 샘플링 카운터만큼 변화가 없는 경우에, 즉 변화가 유지되는 시간값을 경과한 경우에 변화를 인정함으로써 지터링(jittering)과 같이 차량이 진동하거나 노이즈가 발생하는 환경에서 이를 필터링하고 해당 변화값을 정확하게 수집한다.
단계 S430에서,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의 차량 정보 처리부(220)는 이와 같이 수집된 바이너리(binary) 기반의 데이터(차량 정보)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기반의 포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단계 S440에서,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 정보를 외부의 장치로 송출한다. 이 경우,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 중계 장치(300)로 차량 정보를 전송하고, 차량 정보 중계 장치(300)가 이를 수신하여 다시 광대역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은 방안으로서, 차량 정보 수집 장치(200)가 광대역 무선 통신을 통해 직접 차량 정보 관리 서버(400)로 차량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ECU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필터링하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 및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정보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장치는 상기 수집된 차량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만약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변화값과 발생시간을 기록하며, 그 후 기 설정된 샘플링 카운터 동안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변화를 인정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장치는 상기 수집된 차량 정보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기반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장치는 전송해야 할 차량 정보가 1개인 경우 단일 개체 형태로 전송하고, 전송해야 할 차량 정보가 2 이상인 경우 2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배열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중계 장치는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를 누적하여 누적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누적 패킷을 광대역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ECU는 EMS(Engine Management System),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BCM(Body Control Module)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결합되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에 있어서,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내부 통신부;
    상기 수신된 차량 정보를 처리하는 차량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차량 정보를 차량 정보 중계 장치 또는 차량 정보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장치는 상기 수집된 차량 정보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기반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처리부는 상기 수집된 차량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만약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변화값과 발생시간을 기록하며, 그 후 기 설정된 샘플링 카운터 동안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변화를 인정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장치는 전송해야 할 차량 정보가 1개인 경우 단일 개체 형태로 전송하고, 전송해야 할 차량 정보가 2 이상인 경우 2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배열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수집 장치는 게이트웨이(Gatew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차량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차량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된 차량 정보를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기반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된 차량 정보가 만약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변화값과 발생시간을 기록하며, 그 후 기 설정된 샘플링 카운터 동안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변화를 인정하여 필터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JSON 기반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정보가 1개인 경우 단일 개체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차량 정보가 2 이상인 경우 2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배열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20130070658A 2013-06-19 2013-06-19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94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658A KR101494178B1 (ko) 2013-06-19 2013-06-19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658A KR101494178B1 (ko) 2013-06-19 2013-06-19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28A true KR20140147428A (ko) 2014-12-30
KR101494178B1 KR101494178B1 (ko) 2015-02-23

Family

ID=5259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0658A KR101494178B1 (ko) 2013-06-19 2013-06-19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1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059B1 (ko) * 2018-10-05 2020-03-11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시거 전원을 이용한 obd 데이터 전송 장치
KR102615240B1 (ko) * 2022-08-23 2023-12-19 주식회사 파트리지시스템즈 데이터의 엔트로피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방법 및 클라우드 서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289A (ko) * 2009-07-24 2011-02-01 임동해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통신 데이터 감시를 이용한 실시간 차량 운행 정보 취득 장치
KR101209994B1 (ko) * 2010-11-10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원격 운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5371124B2 (ja) 2011-03-30 2013-12-18 Necソフト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01306B2 (ja) 2011-10-13 2014-10-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ネットワークの通信管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059B1 (ko) * 2018-10-05 2020-03-11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시거 전원을 이용한 obd 데이터 전송 장치
KR102615240B1 (ko) * 2022-08-23 2023-12-19 주식회사 파트리지시스템즈 데이터의 엔트로피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방법 및 클라우드 서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178B1 (ko)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11904B (zh) 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装置及信息收发系统
Zaldivar et al. Providing accident detection in vehicular networks through OBD-II devices and Android-based smartphones
US20180268621A1 (en) Usage-based vehicle leasing and other services with a dongle module
CN103023693B (zh) 一种行为日志数据管理系统及方法
Chou et al. i-Car system: A LoRa-based low power wide area networks vehicle diagnostic system for driving safety
KR101439018B1 (ko) 차량정보 제공 시스템
CN110908363A (zh) 一种车载终端的数据采集方法和装置
KR101543069B1 (ko) 차량 데이터 수집 시스템
US20190217869A1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3179316A (zh) 一种基于容器化设计的云边端协同计算系统和方法
Frassinelli et al. I know where you parked last summer: Automated reverse engineering and privacy analysis of modern cars
CN112087500A (zh) 远程车辆数据采集方法和系统
CN105321228A (zh) 用于车辆数据采集和分析的方法和装置
CN112585927A (zh) 通信链路的检测方法、装置、系统和可移动平台
KR101494178B1 (ko) 차량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635241A (zh) 管理车辆异常状态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11818041A (zh) 一种基于网络层报文解析的实时报文处理系统及方法
CN104168322A (zh) 车载终端数据传输方法、应用服务器、客户端及用户终端
CN111552266B (zh) 车辆远程诊断方法、系统、设备连接器及车辆连接器
CN104104568A (zh) 用于从通信总线采集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JPWO2020110446A1 (ja) 車両故障予測システム、監視装置、車両故障予測方法および車両故障予測プログラム
CN115334484A (zh) 多跳近域通信统计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KR20200000064A (ko) 자동차 상태 정보 처리 및 안내시스템
Yun et al. Development of Mobile Common Component for providing vehicle information on mobile device
CN109249836B (zh) 新能源汽车充电桩数据传输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