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326A -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326A
KR20140147326A KR1020130070384A KR20130070384A KR20140147326A KR 20140147326 A KR20140147326 A KR 20140147326A KR 1020130070384 A KR1020130070384 A KR 1020130070384A KR 20130070384 A KR20130070384 A KR 20130070384A KR 20140147326 A KR20140147326 A KR 20140147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motor
motor cover
indoor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720B1 (ko
Inventor
송우석
김종문
서형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72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송풍팬의 제조시 필요한 금형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송풍팬의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송풍팬 제조 후 운반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송풍팬 사용시 송풍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송풍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실외기로부터 유입된 냉매와 열교환시켜 실내로 배출시키는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원형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날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Fan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송풍 효율이 향상되고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발명이다.
공기 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게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 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반대 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킬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순환하는 냉각 사이클에 의해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압축기는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제공하고, 응축기는 상온 고압의 액체 상태의 냉매를 제공한다. 팽창밸브는 상온 고압의 액체상태의 냉매를 감압시키고, 증발기는 감압된 냉매를 저온의 기체 상태로 증발시킨다.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기와 실내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냉매를 압축기 및 응축기(실외열교환기)가 실외기에 구비되고,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실내기에 구비된다. 냉매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을 통해 실외기와 실내기를 순환하며 유동할 수 있다.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압축기, 응축기, 송풍팬 및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등을 포함한다. 구동모터는 송풍팬을 회전시켜, 실외기의 응축기 내부를 유동 중인 기체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킨 후 실외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송풍팬으로는 사류팬이 사용될 수 있다. 사류팬은, 원통 형상의 허브를 중심으로 다수의 날개가 구비되는 팬으로서, 축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가 축 방향과 축의 직각 방향의 중간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는 팬을 의미한다.
사류팬의 후방에는 모터가 구비되고,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에 의해 사류팬이 회전할 수 있다. 모터와 사류팬 사이에는 모터 커버가 게재될 수 있다. 종래의 사류팬은 바디에 다수의 날개가 구비되는 형태로 구비되었다. 사류팬의 바디는 모터 커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모터 커버를 커버하였다. 모터 커버에 사류팬의 바디가 장착되어 허브로서 기능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송풍팬의 제조시 필요한 금형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송풍팬의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송풍팬 제조 후 운반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송풍팬 사용시 송풍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송풍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실외기로부터 유입된 냉매와 열교환시켜 실내로 배출시키는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원형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날개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에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된 모터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터 커버의 후방에 상기 고정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모터에는 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모터 커버를 통과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 커버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다.
상기 모터 커버에 구비된 수용부의 후방의 직경은 전방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된다.
상기 실내기의 후방에는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실내기의 전방에는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실내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모터 커버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실내기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어셈블리는, 모터;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모터 커버; 상기 모터 커버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모터 커버의 후면에 위치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날개;를 포함한다.
상기 팬이 회전하면, 공기는 상기 날개의 외측면 및 상기 모터 커버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한다.
상기 팬이 회전하면, 공기는 상기 모터 커버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모터커버는, 상기 모터커버의 후방의 지름이 전방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팬이 회전하면, 축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축 방향과 축의 직각 방향의 중간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모터에는 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모터 커버를 통과하고, 상기 팬은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를 통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팬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팬 제조시 필요한 금형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팬의 적재가 용이하므로 팬의 보관 및 운반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실내기의 전면 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실내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실내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주변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이 적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1) 및 실외기(2)를 포함한다. 실내기(1)와 실외기(2)는 냉매 배관(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냉매는 냉매 배관(3)을 통해 실내기(1)에 구비된 냉매관(미도시)과 실외기(2)에 구비된 냉매관(미도시)을 순환할 수 있다.
실내기(1)는 실외기(2)에서 압축 및 응축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켜 실내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실내기(1)는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 공기가 냉각될 수 있다. 실내기(1)에는 냉매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실내로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팬 어셈블리(4)가 구비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4)와 관련된 내용은 후술한다.
실외기(2)는 압축기, 응축기 및 송풍팬(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2)의 일측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로 유입되어 응축된다. 이때 송풍팬(20)이 구동되고, 공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식혀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실내기의 전면 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실내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실내기의 일부분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0)는 실내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팬 어셈블리(4), 하우징(110) 내부에서 복수의 팬 어셈블리(4)의 후방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130), 하우징(110)의 후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흡입구(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전면패널(112) 및 후면패널(114)을 포함한다. 전면패널(112)에는 토출구(112a)가 형성된다. 토출구(112a)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4)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토출구(112a)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후면패널(114)은 전면패널(112)의 후방에 결합되어 실내기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후면패널(114)에는 복수의 흡입구(140)가 마련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4)는 전면패널(11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4)는 열교환기(1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열교환기(130)에서 열을 교환한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구(112a)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다.
팬 어셈블리(4)는 팬(40), 모터커버(41) 및 모터(42)를 포함한다. 팬(40)은 모터(42)에 의해 회전가능한 사류팬일 수 있다.
모터커버(41)에는 모터(42)가 삽입될 수 있는 모터수용부(410)가 형성되고, 모터(42)가 모터 수용부(410)에 수용된다. 모터커버(41)는 모터(42)와 팬(40) 사이에 게재될 수 있다.
모터(42)에는 모터(4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샤프트(420)가 구비되고, 샤프트(420)는 모터커버(41)를 관통하여 팬(4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로써 팬(40)이 모터(4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모터(42)에 구비된 샤프트(420)는 후면패널(114) 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4)의 후방에는 벨마우스(124)가 구비될 수 있다. 벨마우스(124)에는 팬 어셈블리(4)를 둘러싸는 유로형성관(124a)이 형성될 수 있다. 유로형성관(124a)의 후방에는 벨마우스(124)를 하우징(110)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124b)가 구비될 수 있다. 유로형성관(124a)은 팬 어셈블리(4)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구(112a)를 향해 경사지게 토출될 수 있도록 그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벨마우스(124)는 흡입구(114)를 통해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팬 어셈블리(4)에 의해 흡입구(114)를 통해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벨 마우스(124)를 통과하고 전면 패널(112)에 형성된 토출구(112a)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디퓨져(150)는 팬 어셈블리(4)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150)는 링 형상의 토출구(152) 및 토출구(15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원형의 토출 안내부(154)를 포함한다. 토출구(152)에는 토출구(15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베인(153)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인(153)은 토출안내부(154)의 내측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베인(153a)과 토출 안내부(154)를 반경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제2베인(153b)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150)는 전면패널(112)에 마련된 토출구(112a)를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디퓨져(150)는 팬 어셈블리(4)를 통과한 공기가 전면패널(112)에 형성된 토출구(112a)를 통해 전면패널(112)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실내기(100)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열교환기(130)가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팬 어셈블리(4)와 후면패널(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열 교환기(130)는 벨마우스(124)와 후면패널(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고정 브라켓(160)에 의해 실내기(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흡입구(140)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흡입구(140)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열교환기(130)는 튜브(132), 헤더(134) 및 다수의 열교환핀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132)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헤더(134)가 연결된다. 헤더(134)에는 실외기(2)의 냉매관과 연결되는 냉매관이 연결되어 튜브(132)로 냉매를 유입 또는 유출시킬 수 있다. 다수의 열교환핀은 튜브(132)에 장착되어 열교환기(130)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어셈블리(4)는 팬(40), 모터 커버(41) 및 모터(42)를 포함한다. 모터 커버(41)는 팬(40)과 모터(42) 사이에 게재되어 모터(42)를 커버한다.
모터(42)에는 샤프트(420)가 모터(42)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모터 커버(41)에는 수용부(410)가 형성되고, 모터(42)는 수용부(410)에 수용될 수 있다. 모터 커버(410)에는 샤프트(420)가 통과할 수 있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420)가 홀(미도시)을 통과하도록 모터(42)가 모터 커버(41)에 수용된다. 모터 커버(410)의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420)에는 팬(40)이 장착될 수 있다. 팬(40)은, 샤프트(420)를 통해 모터(4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팬(40)은 사류팬으로 구비될 수 있다. 사류팬이란 축류팬과 원심팬의 중간 형태의 팬으로서, 팬(40)에 의해 축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가 축 방향과 축의 직각 방향의 중간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는 팬을 의미한다.
팬(40)은 모터 커버(41)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401) 및 상기 고정부(40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402)를 포함한다. 고정부(401)는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401)에는 모터(42)의 샤프트(420)가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401)는 모터(42)의 샤프트(420)에 나사 체결구조 등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되어 샤프트(4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로써 모터(42)의 구동력에 의해 팬(40)이 회전할 수 있다.
날개(402)는 고정부(401)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날개(402)는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날개(402)는 팬(40)의 축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 방향과 축의 직각 방향의 중간 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날개(402)는 트레일링 에지(402) 및 리딩 에지(403)를 포함한다. 날개(402)의 대향된 모서리 중 어느 하나를 트레일링 에지(402)라 하고, 다른 하나를 리딩 에지(403)라 할 수 있다. 날개(402)가 샤프트(42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날개(402)의 앞서 이동하는 모서리 부분을 리딩 에지(403)라 하고, 뒤따라 이동하는 모서리 부분을 트레일링 에지(402)라 할 수 있다.
리딩 에지(403)를 통해 날개(402) 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날개(402)의 전면 및 후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날개(402)를 따라 이동한 공기는 모터 커버(41)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축 방향으로 유입되어 날개(402) 및 모터 커버(410)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는 축 방향과 축의 직각 방향의 중간인 사선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날개(402) 및 모터 커버(410)의 외측면에 의해 사선 방향으로 유동된 공기는 전면 패널(112)에 구비된 토출구(112a)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종래의 팬은 모터 커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였다. 즉, 팬의 고정부의 내측 형상은 모터 커버의 외측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고정부의 내측에 모터 커버가 수용되었다. 고정부는 모터 커버를 완전히 커버하고, 팬의 허브로서 기능을 하였다. 팬의 회전에 따라 유동된 공기는 날개의 외측면 및 팬의 고정부를 따라 안내되어 유동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정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커버(41)에 안착되어 장착되는 데에 필요한 부분과 다수의 날개(402)가 형성되기 위한 부분 외에 불필요한 부분이 삭제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세히, 실내기(1)의 모터(42)와 모터 커버(41)가 팬(40)의 전방에 위치될 때, 다수의 날개(401)는 고정부(400)의 단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날개(401)의 전방에는 고정부(400)가 돌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400)는 모터 커버(41)의 후면을 커버할 수 있고, 모터 커버(41)의 측면은 커버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팬의 허브로서의 기능은 다수의 날개(401)의 전방에 돌출된 모터 커버(41)가 수행할 수 있다. 즉, 팬(40)의 회전에 따라 유동된 공기는 날개(401)와 모터 커버(41)의 외측면을 따라 안내되어 실내기(1)의 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40)은, 모터 커버(41)의 일측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구비되어 팬(40)을 샤프트(420)에 장착시키기 위한 고정부(400)와 고정부(40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날개(401)를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종래의 고정부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 고정부(400)의 높이는 날개(401)의 높이(H)의 70% 내지 90%의 범위에서 삭제될 수 있다. 즉, 고정부(400)의 높이는 날개(401)의 높이(H)의 10% 내지 30%의 범위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고정부(400)의 너비는 날개(401)의 코드 길이(L)의 110% 내지 120% 범위에서 삭제될 수 있다. 즉, 고정부(400)에 구비된 이웃하는 날개(401) 사이의 간격은, 날개(401)의 코드 길이(L)의 110% 내지 120%의 범위에 있는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400)와 모터커버(41) 사이의 간격(d)은, 종래의 고정부의 최대 높이 또는 본 발명의 모터 커버(41)의 높이의 5% 내지 10%의 범위에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400)와 모터커버(41) 사이가 이격됨으로써 이웃하는 날개(401)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로가 더욱 넓어질 수 있다. 고정부(400)와 모터커버(41) 사이가 이격되어 공기 유로가 넓어짐으로써 팬(40)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주변의 공기 흐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40)은 모터 커버(41)의 일측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고정부(400)와 고정부(400)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날개(401)를 포함한다.
팬 어셈블리(4)가 실내기(1) 내에 장착되면, 모터(42)의 후방에 모터 커버(41)가 위치되고, 모터 커버(41)의 후방에 팬(40)이 위치될 수 있다. 팬(40)이 모터(42)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실내기(1)의 후방패널(114)의 흡입구(140)를 통해 축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축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다수의 날개(401)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이때 날개(401)의 전방으로 유입된 공기는 날개(401)의 외측면과 모터 커버(41)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날개(401)의 외측면과 모터 커버(41)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된 공기는 디퓨져(150)를지나 실내기(1)의 토출구(112a)를 통해 실내기(1)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팬(40)의 고정부(400)는 모터 커버(41)의 측면을 커버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써, 고정부(400)가 모터 커버(41)를 완전히 수용하도록 구비된 종래의 팬(40)에 비해 날개(401)에 의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고정부(400)가 모터 커버(41)의 측면을 커버하지 않도록 구비되므로, 고정부가 모터 커버를 완전히 수용하도록 구비된 종래의 팬에 비해 모터커버를 커버했던 고정부의 두께에 대응되는 공간이 더 확보되고, 공기는 더 넓어진 공간을 따라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팬(40)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날개(401)의 외측면 및 모터 커버(41)의 외측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송풍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공기의 유동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이 적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40)은 상하 방향으로 적재될 수 있다. 종래의 팬(40)의 경우, 고정부(400)가 모터 커버(41)의 후면 및 측면을 모두 커버하도록 구비되어 돌출된 고정부(4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적재하여 보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관하는 데에 큰 공간이 필요했다. 적재하기가 어렵고 큰 공간이 필요하므로 팬을 생산하여 보관 및 운반하는 데에 큰 비용을 요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40)의 경우, 종래의 팬의 경우보다 많은 팬을 상하 방향으로 적재시킬 수 있으므로 보관하는 데에 필요한 비용이 절감되고 운반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40)의 경우 종래에 비해 단순한 금형 구조로 팬을 생산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팬에 의해 축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가 축 방향과 축의 직각 방향의 중간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모터 커버(41) 및 고정부(400)의 지름은 전방보다 후방이 작도록 구비되었다. 종래의 경우, 고정부의 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므로 팬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은 복잡한 구조를 가졌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40)은, 팬(4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상부 금형 및 팬(40)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하부 금형만으로 성형이 가능하다. 단순한 금형에 의해 팬을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금형 제작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팬(40)의 고정부(400)의 측면을 성형하는 데에 필요한 재료를 요하지 않으므로 팬(40)을 제조하는 데에 필요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실내기에 구비된 팬 어셈블리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팬 어셈블리의 내용은 실외기의 송풍팬 뿐만 아니라 송풍팬이 장착된 다른 기기에 구비된 팬에도 적용될 수 있다.
1 : 실내기 2 : 실외기
3 : 연결배관 4 : 팬 어셈블리
40 : 팬 41 : 모터 커버
42 : 모터 400 : 고정부
401 : 날개

Claims (18)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실외기;
    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실외기로부터 유입된 냉매와 열교환시켜 실내로 배출시키는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원형의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에는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된 모터 커버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커버의 후방에 상기 고정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기 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는 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모터 커버를 통과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공기 조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 커버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공기 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커버에 구비된 수용부의 후방의 직경은 전방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후방에는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실내기의 전방에는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실내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모터 커버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실내기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조화기.
  10. 모터;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모터 커버;
    상기 모터 커버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상기 모터 커버의 후면에 위치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팬이 회전하면, 공기는 상기 날개의 외측면 및 상기 모터 커버의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는 팬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이 회전하면, 공기는 상기 모터 커버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유동하는 팬 어셈블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커버는, 상기 모터커버의 후방의 지름이 전방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팬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팬이 회전하면, 축 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축 방향과 축의 직각 방향의 중간 방향으로 유동되는 팬 어셈블리.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는 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모터 커버를 통과하고, 상기 팬은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샤프트를 통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팬 어셈블리.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모터 커버 간의 간격은 상기 모터커버의 높이의 5% 내지 10%의 범위에 있는 팬 어셈블리.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높이는 상기 날개의 높이의 10% 내지 30%의 범위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팬 어셈블리.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구비된 이웃하는 상기 날개 사이의 간격은 상기 날개의 코드 길이의 110% 내지 120%의 범위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팬 어셈블리.
KR1020130070384A 2013-06-19 2013-06-19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KR102125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384A KR102125720B1 (ko) 2013-06-19 2013-06-19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384A KR102125720B1 (ko) 2013-06-19 2013-06-19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326A true KR20140147326A (ko) 2014-12-30
KR102125720B1 KR102125720B1 (ko) 2020-06-23

Family

ID=5267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384A KR102125720B1 (ko) 2013-06-19 2013-06-19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4405A (zh) * 2016-03-28 2016-06-15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255B1 (ko) * 1995-05-02 1997-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기용 사류팬
JP2006329626A (ja) * 2006-09-08 2006-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20060130482A (ko) * 2005-11-01 200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30043980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271056B1 (ko) * 2012-06-28 2013-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255B1 (ko) * 1995-05-02 1997-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기용 사류팬
KR20060130482A (ko) * 2005-11-01 2006-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6329626A (ja) * 2006-09-08 2006-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20130043980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271056B1 (ko) * 2012-06-28 2013-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4405A (zh) * 2016-03-28 2016-06-15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05674405B (zh) * 2016-03-28 2018-10-26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720B1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57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US10302091B2 (en) Air blow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US10422349B2 (en) Propeller fan and blower unit
US9964317B2 (en) Portable DC air-conditioner having a rotatable air outlet structure relative to the refrigeration housing
CN104180503A (zh) 螺旋桨式风机和具有该螺旋桨式风机的空调
US9638195B2 (en) Cross flow fan
KR102519931B1 (ko) 공기조화기
CN112119224B (zh) 离心送风机、送风装置、空调装置及制冷循环装置
EP3372839A1 (en) Blower, outdoor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KR20150066150A (ko) 토출구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US20070051121A1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102125720B1 (ko)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TW202045822A (zh) 離心式送風機、空調裝置以及冷凍循環裝置
US5588484A (en) Refrigeration fan system
JP2020101168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643690B1 (ko) 공기조화기
US7930897B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N109891101B (zh) 螺旋桨风扇、室外机和制冷循环装置
KR100476075B1 (ko) 냉동탑차용 송풍기
KR2014001844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0541025C (zh) 窗式空调器
WO2005040686A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N215765968U (zh) 一种冰箱
WO2023073768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CN1707175B (zh) 窗式空调器的空气导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