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210A -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수조장치 - Google Patents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수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210A
KR20140147210A KR20130070009A KR20130070009A KR20140147210A KR 20140147210 A KR20140147210 A KR 20140147210A KR 20130070009 A KR20130070009 A KR 20130070009A KR 20130070009 A KR20130070009 A KR 20130070009A KR 20140147210 A KR20140147210 A KR 20140147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quaculture
water supply
ee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853B1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853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40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수의 배수면적을 확장시켜 자연적인 유수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함으로써 양식산 친어에서 난생(卵生)부화된 자어(즉, Leptocephalus)의 초기 사육에 적합한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식수조장치는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을 위한 양식수가 저수되는 양식수조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다수의 급수공이 형성된 급수노즐부가 상기 양식수조의 중앙에 위치되는 급수관과, 상기 양식수조의 상측 내주면을 따라 다각형상 또는 타원형상으로 배치되면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의 급수부에서 급수되는 양식수의 대류작용에 따라 상기 양식수의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의 일측을 지지하는 배수관지지부재를 포함하게 된다.

Description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수조장치{WATER SUPPLY APPARATUS FOR CULTURING LEPTOCEPHALUS}
본 발명은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수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식수의 배수면적을 확장시켜 자연적인 유수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함으로써 양식산 친어에서 난생(卵生)부화된 자어(즉, Leptocephalus)의 초기 사육에 적합한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물뱀장어는 해수 중에서 난생부화하여 담수로 소상해서 생장하고 산란을 위해 다시 해수로 회유하는 어류로서, 그 민물뱀장어는 난(卵)으로부터 부화하여 렙토세팔루스(즉, 자어)의 형태로 일차 변태하고나서 북적도해류와 쿠로시오해류를 따라 이동하여 연안에 도달하는 시기에 실뱀장어로 이차 변태하는 생태적 특성을 보인다.
그러한 민물뱀장어는 고부가 가치의 양식산업에 적합한 어종이지만, 현재까지는 해수에서 담수로 소상하기 위해 하구에 체류하는 실뱀장어를 포획하여 양식용 치어로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최근에 환경적 변화가 심화되면서 민물뱀장어의 생태에도 변화가 초래되어 연안에서 포획되는 치어의 수가 급격히 감소되어 자연산 치어 개체의 가격이 부담스러울 정도로 상승된 상태이고, 그에 따라 민물뱀장어의 양식 산업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상황이다.
따라서, 자연산 또는 양식산 친어로부터 인공적인 배란 및 수정을 통해 자어(즉, 렙토세팔루스)를 얻고 그 자어를 사육하여 실뱀장어(치어)로 이차 변태시켜 대량 양식에 적용될 친어를 확보하기 위한 양식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그러한 양식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난생부화된 자어를 정상적으로 사육하여 실뱀장어(치어)로 변태시키기 위한 과정에서 양질의 사료 급식이라든지 양식수의 수질을 적합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만 된다.
그러한 요구에 따라 최근에는 민물뱀장어 자어의 초기단계에서 양식이 가능한 구조의 사육수조가 제안된 상태로, 그 사육수조는 수조본체와, 그 수조본체에 양식수를 급수하는 일정한 길이의 급수관과, 그 급수관의 상측에서 소정의 각도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수조본체의 양식수를 사이폰(Siphon)작용에 의해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 및, 그 배수관의 경로에 구비되어 배수 시에 자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민물뱀장어 자어의 경우는 양식수조 내에 사료를 급식하는 경우 그 양식 사료가 고단백질이고 자어의 배설물에 의해 양식수의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어 심한 경우에는 민물뱀장어 자어가 폐사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그러한 관점에서 상기한 양식수조의 구성은 급수관을 통해 급수되는 양식수의 양에 대비적으로 상기 배수관을 통해 양식수가 사이폰 작용에 의해 배수됨으로써 수조본체 내의 양식수의 수질이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의 양식수조에서는 급수관과 배수관이 직선형태로 배치되어 사료찌꺼기라든지 배설물이 부유하는 양식수를 사이폰작용만으로 교환되도록 하기 때문에 보다 넓은 범위에서 양식수의 교환이 이루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양식수조의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사료찌꺼라든지 자어의 배설물이 부유하는 양식수를 최대한 신속하게 배수하여 양식수의 수질이 지극히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의 양식수조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민물뱀장어 자어가 사육되는 양식수조 내에서 양식수의 급수경로를 중앙에 배치하면서 배수경로는 양식수조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급수경로와 배수경로사이에 형성되는 저속의 대류현상에 의해 양식수의 교환이 용이해지도록 하여 양식수의 수질이 극히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을 위한 양식수가 저수되는 양식수조를 갖춘 양식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식수조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다수의 급수공이 형성된 급수부가 상기 양식수조의 중앙에 위치되는 급수관과, 상기 양식수조의 상측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면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의 급수부에서 급수되는 양식수의 대류작용에 따라 상기 양식수의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의 일측을 지지하는 배수관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식수조의 외측에서 상기 배수관에는 하향으로 경사진 배수연결관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유수식 양식수의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식수조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배수관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보다 넓은 범위에서 양식수의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에 의하면, 양식수조의 내부 하측에서 대체로 중앙에 급수관의 급수노즐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측에서 상기 양식수조의 내주면을 따라 배수관이 다각형상 또는 타원형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적용하여 상기 급수노즐부의 급수공으로부터 토출되는 양식수가 대류현상을 일으켜 상기 배수관의 배수공을 통해 보다 넓은 범위로 양식폐수가 유출되도록 하여 양식수의 수질을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의 측면배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는 일정한 양의 양식수가 급수 및 배수되는 양식수조(10)를 포함하게 되는 바, 그 양식수조(10)는 내부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유리재질이라든지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식수조(10)의 하단은 급식된 사료찌꺼기라든지 민물뱀장어 치어의 배설물 등이 산포되지 않고 집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바, 그 양식수조(10)의 하단은 받침구(1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 상기 양식수조(10)의 내부 하측에는 소정 온도의 양식수가 급수되는 급수관(14)이 설치되고, 그 급수관(14)에 비해 상측에는 상기 양식수조(10)내에서 사료찌꺼기 등이 부유되는 양식수가 자연적인 유수작용(즉, 사이폰작용)에 의해 배수되어 그 양식수조(10)내의 양식수가 교환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관(20)이 상기 양식수조(10)의 내주면을 따라 다각형상으로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관(14)은 상기 양식수조(10)의 대체로 중앙에 위치되면서 실제 양식수가 토출되는 급수노즐부(16)가 구비되고, 그 급수노즐부(16)에는 양식수가 급수되는 다수의 급수공(16a)이 형성된다.
또, 상기 배수관(20)은 상기 양식수조(10)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면서 다수의 배수공(20a)이 전체 길이를 따라 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은 지지부재(24)에 의해 지지해줌으로써 자중에 의해 처짐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노즐부(16)의 부분은 양식수가 가온된 상태로 급수되는 경우 상기 양식수조(10)내에 사육 중인 민물뱀장어 자어(렙토세팔루스)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망(18)으로 커버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수관(20)의 경우 상기 배수공(20a)이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상면과 하면 및 필요한 경우 측면에도 형성되는 바, 그 배수공(20a)의 형상은 대체로 0.5∼1.5㎜의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민물뱀장어 자어(렙토세팔루스)가 배수되는 양식수에 포함되어 유출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공(20a)의 크기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보호망(18)과 유사하게 배수관커버망(도시는 생략)을 적용하여도 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상기 급수관(14)과 상기 배수관(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상기 배수관(20)에는 그 배수관(20)에 대해 하향적으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배수연결관(22)이 배치됨과 더불어 그 상측에는 에어(Air)가 작용하는 에어노즐(26)이 상향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자연적인 유수작용에 의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에서는 상기 급수관(14)의 급수공(16a)을 통해 정화 및 살균처리와 필요한 경우 가온된 양식수가 배수되고, 상기 배수관(20)의 배수공(20a)을 통해서는 사료찌꺼기라든지 사육대상의 민물뱀장어 자어의 배설물 등의 부유물이 포함된 양식수가 자연적인 유수작용(즉,사이폰 작용)에 의해 배수됨으로써 상기 양식수조(10)내의 양식수의 수질이 일정한 정도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급수관(14)의 상기 급수노즐부(16)가 상기 양식수조(10)의 내부 하측에서 대체로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관(20)은 상기 양식수조(10)의 내부 상측에서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양식수조(10)내에서 일정한 속도, 즉 상기 급수관(14)과 상기 배수관(20)에서의 급수/배수속도에 따라 상기 양식수조(10)내에서 대류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료찌꺼기 등이 부유되는 양식수의 배수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에서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았지만, 사육대상의 민물뱀장어 자어를 위해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구조가 부가되고, 상기 급수관(14)의 하측에도 상기 양식수조(10)의 하측으로 낙하된 사료찌꺼기라든지 배설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배수관이 설치되면 더욱 유리하게 된다.
또, 상기한 구조에서 상기 급수관과 상기 배수관에 대해서는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동식 또는 전자제어방식의 수량조절밸브가 설치되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배수관(20)의 형상에 대해서도 다각형으로 한정되지는 않고 타원형으로 형성해도 된다.
그에 대해, 상기 급수관과 상기 배수관 중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대해 상기 양식수조(10)에 대해 미세한 소음 내지 진동이 가해지지 않도록 이격시킨 위치에 전동식 급/배수펌프를 적용하여 전자제어방식으로 수량이 조절되도록 해도 된다.
10: 양식수조, 14: 급수관,
16: 급수노즐부, 16a: 급수공,
18: 보호망, 20: 배수관,
20a: 배수공, 22: 배수연결관,
26: 에어노즐.

Claims (4)

  1.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을 위한 양식수가 저수되는 양식수조를 갖춘 양식수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식수조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다수의 급수공이 형성된 급수부가 상기 양식수조의 중앙에 위치되는 급수관과,
    상기 양식수조의 상측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면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관의 급수부에서 급수되는 양식수의 대류작용에 따라 상기 양식수의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의 일측을 지지하는 배수관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수조의 외측에서 상기 배수관에는 하향으로 경사진 배수연결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수조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배수관은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수조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배수관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민물뱀장어 자어의 양식수조장치.
KR1020130070009A 2013-06-18 2013-06-18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수조장치 KR101587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009A KR101587853B1 (ko) 2013-06-18 2013-06-18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수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009A KR101587853B1 (ko) 2013-06-18 2013-06-18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수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210A true KR20140147210A (ko) 2014-12-30
KR101587853B1 KR101587853B1 (ko) 2016-01-22

Family

ID=5267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009A KR101587853B1 (ko) 2013-06-18 2013-06-18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수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6842A (zh) * 2014-10-31 2015-03-11 江苏恒深洋机械有限公司 远程气动送料增氧投饲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970B1 (ko) 2016-05-20 2017-02-09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자화수를 이용하여 성장율 및 생존율을 증진시키는 민물뱀장어 양식장치
KR102035095B1 (ko) 2019-03-05 2019-10-23 원종식 다목적 양식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060A (ko) * 2002-01-23 2002-03-29 구기회 해산물 양식 장치
JP2009189305A (ja) * 2008-02-14 2009-08-27 Yanmar Co Ltd 二枚貝の浮遊幼生飼育装置
KR20100010477A (ko) * 2009-07-02 2010-02-01 주식회사 대일 활어수송 컨테이너용 수조어셈블리
KR101229378B1 (ko) * 2012-10-11 2013-02-05 대한민국 뱀장어 초기 자어 사육수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060A (ko) * 2002-01-23 2002-03-29 구기회 해산물 양식 장치
JP2009189305A (ja) * 2008-02-14 2009-08-27 Yanmar Co Ltd 二枚貝の浮遊幼生飼育装置
KR20100010477A (ko) * 2009-07-02 2010-02-01 주식회사 대일 활어수송 컨테이너용 수조어셈블리
KR101229378B1 (ko) * 2012-10-11 2013-02-05 대한민국 뱀장어 초기 자어 사육수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6842A (zh) * 2014-10-31 2015-03-11 江苏恒深洋机械有限公司 远程气动送料增氧投饲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853B1 (ko)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850B1 (ko)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
KR101666469B1 (ko) 부착 산란형 어류용 부화장치 및 그 방법
KR101728224B1 (ko)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KR101773247B1 (ko)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KR20170030682A (ko)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무환수 어류 양식 수조, 이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RU2007109671A (ru) Способ разведения водных животных
KR101587853B1 (ko) 민물뱀장어 자어(Leptocephalus)의 양식수조장치
CN105918171A (zh) 南美白对虾室内工厂化培育方法及培育装置
KR101229378B1 (ko) 뱀장어 초기 자어 사육수조
KR20200128990A (ko) 패류 부유기 인공종묘 양식설비
KR20200084309A (ko)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KR101773291B1 (ko) 피쉬펌프를 이용한 양식생물 수확 및 배급시스템
KR101170304B1 (ko) 양식어류와 갯지렁이의 복합양식 시스템 및 방법
JP6216725B2 (ja) 浮上槽及び仔稚魚管理方法
KR101555134B1 (ko) 순환여과식 사육조
KR101423295B1 (ko) 일체형 급·배수관을 갖는 뱀장어 초기 자어 대량생산용 도넛형 수조
DK2584893T3 (en) CANCER BREEDING.
JP2009060892A (ja) 水生生物の幼生飼育器
KR101412045B1 (ko) 이중배수장치가 장착된 수서생물 다단시스템 사육용 유리수조
CN208657680U (zh) 一种黏性鱼卵孵化装置
KR101725614B1 (ko) 축제식 양식장에서 복합양식을 위한 조개류 양식 장치
JP2019041701A (ja) 貝類の養殖装置
JP2008178382A (ja) 輸送用コンテナを利用した魚貝類の陸上養殖システム
CN209359382U (zh) 一种水产养殖水泥地排污系统
FI82173B (fi) Uppfoedningsfoerfarande foer i vaetskemedium uppvaexande animallarver och medel foer anvaendning av detta foerfaran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