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449A - 조립식 축구장 - Google Patents

조립식 축구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449A
KR20140146449A KR20130069190A KR20130069190A KR20140146449A KR 20140146449 A KR20140146449 A KR 20140146449A KR 20130069190 A KR20130069190 A KR 20130069190A KR 20130069190 A KR20130069190 A KR 20130069190A KR 20140146449 A KR20140146449 A KR 20140146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cer
soccer field
field
prefabricat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 filed Critical 김철
Priority to KR2013006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6449A/ko
Publication of KR20140146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5Foot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나 실외 또는 건물 옥상 등의 공간에 조립, 설치하여 편리하게 축구나 풋살, 미니축구 놀이 등을 즐길 수 있는 조립식 축구장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골조, 수평골조, 고정부재 등 소수 종류의 동일한 부재를 사용하여 조립식 축구장을 구성하므로, 조립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며 확장성과 상품성이 높은 조립식 축구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축구장 { Self-assembly soccer field }
본 발명은 조립식 축구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나 실외 또는 건물 옥상 등의 공간에 조립, 설치하여 편리하게 축구나 풋살, 미니축구 놀이 등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립식 축구장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각종 스포츠가 대중화되고 축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축구를 즐기는 인구가 매우 많다. 특히 축구는 어른뿐 아니라 청소년과 어린이들도 대단히 즐기는 인기 스포츠로서, 최근에는 축구 조기교육 등도 활성화되면서 각 급 학교 및 사설 학원, 유치원, 어린이집 등에서도 축구 또는 축구와 유사한 풋살(futsal), 미니축구 놀이 등을 많이 하고 있다. 그러나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축구나 미니축구 놀이를 제대로 즐길 수 있는 공간과 시설은 그다지 많지 않은 형편이며, 축구장이 아닌 공간에서 축구나 미니축구놀이를 할 경우 여러 위험 요소가 뒤따르게 된다.
즉 실내에서 축구나 미니축구 놀이를 할 경우 축구공에 의해 전등, 유리창이나 기타 설비가 파손될 위험이 크다. 또한 실외에서 축구나 미니축구 놀이를 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인접 건물의 유리창이나 설비를 파손할 우려가 있으며, 도로 등이 인접한 곳에서는 놀이공간을 벗어나거나 멀리 굴러간 축구공을 찾기가 번거롭고, 축구공을 잡으려는 과정에서 교통사고를 당할 위험도 적지 않다. 옥상에서 미니축구 놀이 등을 할 경우에도 축구공이 옥상을 벗어나 건물 아래로 떨어질 우려가 매우 크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공간의 제약 없이 축구나 미니축구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조립식 축구장의 종래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 2008-0023799, 한국 등록실용신안 0356098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의 경우, 결합성과 내구성이 나쁘거나 조립성과 효율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기술의 경우, 파이프와 같은 관체를 이용하여 축구장의 골조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연결구가 필요할 수밖에 없었다. 골조들을 연결하는 부분의 위치에 따라서 T자형 연결구, +자형 연결구, Y자형 연결구 등이 각각 필요하므로 조립 시에 번거롭고 효율적이지 못하여 상품성이 떨어진다. 또한 골조와 연결구를 고정할 경우에도 연결구의 구멍에 볼트를 넣어서 골조의 표면을 볼트 끝부분으로 죄는 방식이므로 결합 강도와 내구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조립식 축구장은 조립성, 내구성, 결합 강도 및 상품성 등의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극복하여, 공간 활용성이 높으면서도 조립성, 내구성 및 결합 강도가 우수하고, 효율적이며 상품성도 높은 조립식 축구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조립식 축구장에 있어서, 상기 축구장의 외곽에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복수개의 수직골조; 상기 축구장의 바닥면에 접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직골조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바닥면 수평골조; 상기 축구장의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직골조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 수평골조; 상기 수직골조와 상기 수평골조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 및 축구장의 외곽을 둘러싸는 그물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기역자 형상으로서 하나 이상의 나사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수직골조와 수평골조를 고정하는, 조립식 축구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립식 축구장은 상기 수직골조의 상단과 고정되어 축구장의 천정을 이루는 천정 수평골조; 및 상기 천정을 덮는 천정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축구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는 단면이 사각형인 철제 또는 알루미늄 구조물인, 조립식 축구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나사부재는 아이볼트(eyebolt), 아이너트(eyenut), 또는 캡너트(cap nut)를 포함하는, 조립식 축구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립식 축구장은 바닥면에 인조잔디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축구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립식 축구장은 상기 바닥면 수평골조, 상기 측면 수평골조 및 상기 수직골조가 이루는 평면을 상기 축구장의 안쪽에서 둘러싸는 안전펜스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축구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직골조가 또는 수평골조가 고정부재를 통하여 고정될 경우,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수직골조 또는 수평골조를 상기 나사부재가 관통하여 고정하는, 조립식 축구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직골조, 수평골조, 고정부재 등 소수 종류의 동일한 부재들을 사용하여 조립식 축구장을 구성하므로, 조립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특장점이 있다. 또한 넓은 축구장이든 좁은 축구장이든 효율적으로 조립식 축구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확장성과 상품성이 높으며, 실내, 실외, 옥상 등을 가리지 않고 공간 활용성이 높은 조립식 축구장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의 일 실시예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의 조립 시, 수직골조와 고정부재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의 조립에 사용되는 고정부재 및 나사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립식 축구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본원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 양태에서 본원은 조립식 축구장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2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10)은 복수개의 수직골조(20), 바닥면 수평골조(30), 측면 수평골조(31), 고정부재(40), 나사부재(50) 및 그물망(60), 인조 잔디(70), 안전펜스(8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수직골조(20)는 상기 축구장(10)의 외곽에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다. 상기 복수개의 바닥면 수평골조(30)는 상기 축구장(10)의 바닥면에 접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직골조(20)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한다. 상기 측면 수평골조(31)는 상기 축구장(10)의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직골조(20)의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측면 수평골조(31)들은 상기 바닥면 수평골조(30)들과 평행을 이루면서 나란히 위치하고, 상기 수직골조(20)들은 바닥면 수평골조(30)들 및 측면 수평골조(31)들과 직교한다. 상기 수직골조(20), 바닥면 수평골조(30), 측면 수평골조(31) 들은 상기 축구장(10)의 외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직골조(20) 및 수평골조(30, 31)는 단면이 사각형인 철제 또는 알루미늄 구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40)는 상기 수직골조(20)와 상기 바닥면 수평골조(30) 또는 측면 수평골조(31)를 연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기역자 형상으로서 하나 이상의 나사부재(50)를 체결하여 상기 수직골조(20)와 수평골조(30, 31)를 단단히 고정시킨다.
상기 그물망(60)은 상기 축구장(10)의 외곽을 둘러싸서, 축구공이 바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해 준다. 상기 그물망(6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혹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에 적합하면 다른 재질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물망(60)은 상기 축구장(10)의 외곽을 둘러싸되 측면만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축구장의 윗면 즉 천정 부분까지는 둘러싸지 않는다. 따라서 도1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천정이 뚫려있어도 축구나 미니축구 놀이를 하기에 별 지장이 없는 경우의 조립식 축구장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축구공을 높이 차서 바깥으로 넘기기 어려울 정도도 나이가 비교적 어린 아이들을 위한 축구장을 제공하거나, 설령 축구공이 바깥으로 넘어가더라도 별다른 위험이나 큰 불편이 없는 주변 공간에 축구장이 설치되는 경우 등이다.
상기 조립식 축구장(10)은 상기 인조 잔디(70)를 바닥면에 깔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2에 도시하였듯이, 상기 조립식 축구장(10)의 안쪽에는 상기 안전펜스(80)를 설치하여 축구나 미니축구 놀이를 하는 사람들이 외곽의 그물망(60)에 엉키거나 수직골조(20) 혹은 수평골조(30, 31)에 부딪혀 다치는 일 등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펜스(80)는 상기 바닥면 수평골조(30), 상기 측면 수평골조(31) 및 상기 수직골조(20)가 이루는 평면을 상기 축구장(10)의 안쪽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안전펜스(8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소재의 스펀지를 천막소재인 타폴린(tarpaulin)으로 포장한 제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용도에 적합하면 다른 재질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안전펜스(80)는 상기 수직골조(20) 사이의 안쪽에 벨크로테이프(Velcrotape; 정식 명칭은 ‘loop & hook fastener’이나, 일명 ‘매직테이프’ 혹은 ‘찍찍이’ 등으로 불리는 접착 부재)를 둘러서 접착하는 방법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그 밖의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10)의 조립 시, 수직골조(20)와 고정부재(40)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4는 조립식 축구장(10)의 조립에 사용되는 고정부재(40) 및 나사부재(5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시하였듯이, 상기 고정부재(40)는 기역자 형상을 지니며, 나사구멍(41)이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뚫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사부재(50)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는데, 이중에서도 아이볼트(eyebolt; 51), 아이너트(eyenut; 52), 캡너트(cap nut; 53)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볼트(51)와 아이너트(52)는 끝부분에 동그란 고리가 달려있는 볼트와 너트이며, 캡너트(53)는 너트의 한쪽 면을 막아서 볼트가 관통하지 않도록 한 너트이다. 아이볼트(51)나 아이너트(52)를 사용하면, 볼트나 너트의 끝에 달린 고리에 상기 그물망(60)을 걸거나, 상기 안전펜스(80)를 설치할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모든 고정부재(40)에 아이볼트(51)와 아이너트(52)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그물망(60)이나 안전펜스(80)의 크기와 결합 위치 등을 고려하여 이들을 설치하기에 적당한 개수와 위치에 아이볼트(51)와 아이너트(52)를 사용하여 고정부재(40)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볼트(51)와 아이너트(52)를 사용하지 않는 곳에서는, 끝이 동그란 모양의 일반적인 볼트(도시하지 않음)나 캡너트(53)를 사용하여 고정부재(40)를 체결한다. 캡너트(53)를 사용하면 볼트의 끝부분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보다 안전한 조립식 축구장(10)을 구성할 수 있다.
도3에서는 편의상 수직골조(20)와 하나의 고정부재(40), 또는 수직골조(20)와 두 개의 고정부재(4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경우, 아이볼트(51)를 수평으로 관통시켜서 수직부재(20)와 고정부재(40)를 체결하고 반대편은 캡너트(53)로 고정하는 것만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종류의 나사부재(50)를 사용하거나, 수평골조(30, 31)와 고정부재(40)를 나사부재(50)가 수직으로 관통시켜서 체결하는 경우에도 거의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나사부재(50)를 관통시켜서 체결, 고정함으로써, 결합 구조가 보다 튼튼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조립식 축구장(1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도 1에서 도시한 일 실시예와 도 5의 본 실시예가 다른 점은, 축구장의 측면 외곽 이외에도 축구장 위쪽의 천정 부분이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조립식 축구장(11)은 복수개의 수직골조(20), 바닥면 수평골조(30), 측면 수평골조(31), 천정 수평골조(32), 고정부재(40), 나사부재(50) 및 그물망(60), 천정 그물망(61), 인조 잔디(70), 안전펜스(80)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립식 축구장(11)은 복수개의 천정 수평골조(32)와 천정 그물망(61)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다른 구성 요소들과 조립 방법은 앞서 도 1에서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복수개의 천정 수평골조(32)는 상기 측면 수평골조(31)로부터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직골조(20)의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천정 수평골조(32)들은 상기 바닥면 수평골조(30), 측면 수평골조(31) 들과 평행을 이루면서 나란히 위치하고, 상기 수직골조(20)들은 바닥면 수평골조(30), 측면 수평골조(31) 및 천정 수평골조(31) 들과 직교한다. 상기 수직골조(20), 바닥면 수평골조(30), 측면 수평골조(31), 천정 수평골조(32) 들은 상기 축구장(10)의 측면 외곽 및 천정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천정 수평골조(32)와 수직골조(20)가 고정부재(40) 및 나사부재(50)에 의해 연결, 고정되는 방법은 도 1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천정 수평골조(32) 중에서 아래쪽에 측면 수평골조(51)가 없는 곳에 위치하는 천정 수평골조들, 즉 천정의 외곽이 아닌 천정의 가운데 부분을 구성하는 천정 수평골조들은 수직골조(20)가 아닌 천정 수평골조(32)들끼리 연결, 고정될 수밖에 없다. 이 경우에는 도 5에서 도시한 것처럼 천정 수평골조들을 가로세로 방향으로 십자(+) 형상으로 배치하여 상기 고정부재(40) 및 나사부재(50)를 사용하여 연결, 고정할 수도 있고, 천정 수평골조들을 천정을 가로지르는 짧은 쪽의 한쪽 방향으로만 배치하여 두 개의 천정 수평골조를 다른 방법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천정 수평골조의 길이가 일정 이상으로 길어지게 되면, 천정의 가운데 부분을 약간 솟아오르도록 ‘시옷’ 자 형상을 이루면서 연결,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식 축구장(11)의 천정에는 천정 그물망(61)을 덮어씌움으로써, 높이 올라간 축구공이 바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정 그물망(61)은 측면 외곽에 둘러싸는 그물망(60)과는 별로도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5에서 도시하였듯이 일체화시켜서 하나의 그물망으로 천정과 측면 외곽을 함께 둘러싸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축구장(11) 바닥면의 인조 잔디(70) 및 안쪽에 설치하는 안전펜스(80)는 앞서 도 1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안전펜스는 도 1,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2에서 도시한 대로임)
본 실시예의 천정이 형성된 조립식 축구장(11)은 축구공이 높이 솟구칠 수 있는 성인들의 풋살(futsal) 경기용이나, 축구공이 바깥으로 넘어가면 상당한 위험이나 불편이 따르는 주변 공간에 축구장이 설치되는 경우 등에 적합하다. 건물의 옥상 위에 축구장을 설치할 경우에도, 본 실시예의 천정이 형성된 조립식 축구장(11)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축구장(10, 11)은 조립성과 내구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동일한 규격의 수직골조, 수평골조 및 고정부재들로만 구성되므로 확장성과 상품성의 측면에서도 매우 우수하다. 즉 조립식 축구장(10, 11)의 규모가 작은 경우이든 큰 경우이든, 동일한 부재들을 개수만 달리하여 사용하면 축구장의 크기에 관계없이 조립식 축구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직골조나 수평골조의 한 개의 길이를 특정하여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수직골조의 길이, 즉 축구장의 높이는 약 3-4m이며, 수평골조의 길이는 약 6m 정도이다. 또한 측면 수평골조는 바닥면에서 약 1m 정도의 높이에 위치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수직골조나 수평골조의 길이를 더 줄이거나 늘일 수 있으나, 골조 하나의 길이는 10m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골조의 길이를 너무 길게 늘이지 않더라도 골조들을 반복적으로 연결하며 고정하면 보다 넓은 조립식 축구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원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원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10, 11 : 조립식 축구장
20 : 수직골조 30, 31, 32 : 수평골조
40 : 고정부재 50 : 나사부재
60, 61 : 그물망 70 : 인조 잔디
80 : 안전펜스

Claims (7)

  1. 조립식 축구장에 있어서,
    상기 축구장의 외곽에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복수개의 수직골조;
    상기 축구장의 바닥면에 접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직골조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바닥면 수평골조;
    상기 축구장의 바닥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복수개의 수직골조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 수평골조;
    상기 수직골조와 상기 수평골조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 및
    축구장의 외곽을 둘러싸는 그물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기역자 형상으로서 하나 이상의 나사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수직골조와 수평골조를 고정하는,
    조립식 축구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축구장은 상기 수직골조의 상단과 고정되어 축구장의 천정을 이루는 천정 수평골조; 및
    상기 천정을 덮는 천정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축구장.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는 단면이 사각형인 철제 또는 알루미늄 구조물인,
    조립식 축구장.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재는 아이볼트(eyebolt), 아이너트(eyenut), 또는 캡너트(cap nut)를 포함하는,
    조립식 축구장.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축구장은 바닥면에 인조잔디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축구장.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축구장은 상기 바닥면 수평골조, 상기 측면 수평골조 및 상기 수직골조가 이루는 평면을 상기 축구장의 안쪽에서 둘러싸는 안전펜스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축구장.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가 또는 수평골조가 고정부재를 통하여 고정될 경우,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수직골조 또는 수평골조를 상기 나사부재가 관통하여 고정하는,
    조립식 축구장.
KR20130069190A 2013-06-17 2013-06-17 조립식 축구장 KR201401464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190A KR20140146449A (ko) 2013-06-17 2013-06-17 조립식 축구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190A KR20140146449A (ko) 2013-06-17 2013-06-17 조립식 축구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449A true KR20140146449A (ko) 2014-12-26

Family

ID=52675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9190A KR20140146449A (ko) 2013-06-17 2013-06-17 조립식 축구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64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415B1 (ko) * 2017-12-21 2018-05-08 (주)인플레이 네트 놀이대
KR20180075987A (ko) 2016-12-27 2018-07-05 (주)아모레퍼시픽 발효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
KR102269948B1 (ko) 2020-10-07 2021-06-2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일대일 풋살장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987A (ko) 2016-12-27 2018-07-05 (주)아모레퍼시픽 발효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
KR101855415B1 (ko) * 2017-12-21 2018-05-08 (주)인플레이 네트 놀이대
KR102269948B1 (ko) 2020-10-07 2021-06-2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일대일 풋살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3393B2 (en) Panel construction device
US5730442A (en) Sports net backstop
KR20180055267A (ko) 캣타워 조립체
KR20140146449A (ko) 조립식 축구장
US20160339314A1 (en) A Goal and Shelter Device
US8448605B2 (en) Small animal entertainment, exercise and interaction structure
US9295899B1 (en) Field view batting cage apparatus
US8701689B2 (en) Saddle shaped tent with portico
GB2463243A (en) Assembly kit for sports equipment
KR101534072B1 (ko) 스윙 연습대
JP5712587B2 (ja) トライフットボール競技場
JP2011120590A (ja) 線材と被覆材の支持具、支持具装着支柱、被覆材の展張用材
CN203724731U (zh) 多功能立体环绕高尔夫球练习场
US20160053507A1 (en) Suspended Dwelling
CN204447223U (zh) 一种栏式足球装置
US20200054955A1 (en) Child play and toilet enclosure
JP4875326B2 (ja) 連続住宅
KR102069728B1 (ko)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KR102144272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US9175836B2 (en) Object retention system
US20220412118A1 (en) Modular Tent System With Removable Roof And Floor
JP3154005U (ja) 連結金物
KR101499188B1 (ko) 네트 스포츠의 경기장 구성을 위한 일체형 라인 패키지
CN205988573U (zh) 一种用于室内外的球类活动屋
CN207160493U (zh) 一种运动拼接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