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483A -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483A
KR20140145483A KR1020130067985A KR20130067985A KR20140145483A KR 20140145483 A KR20140145483 A KR 20140145483A KR 1020130067985 A KR1020130067985 A KR 1020130067985A KR 20130067985 A KR20130067985 A KR 20130067985A KR 20140145483 A KR20140145483 A KR 20140145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lastic member
pressure
exhaust control
contro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걸
유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7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5483A/ko
Publication of KR2014014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35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에 따른 밸브 모듈을 구비한 혈압 측정 장치는 밸브 하우징 및 밸브 하우징의 내측에 밀착되고, 밸브 하우징의 공기 유동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배기 조절 홀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탄성부재의 탄성적 변형에 따라 배기 조절 홀의 크기가 가변되어 밸브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배출 속도를 제어하는 밸브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BLOOD PRESSURE MEASURING APPARATUS HAVING VALVE MOUDLE}
본 개시는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의 벽에 미치는 압력을 잰 것을 말하며, 심장이 수축하여 피를 밀어낼 때 혈관에 미치는 압력을 '수축 혈압'이라고 하며 가장 높기 때문에 '최고 혈압'이라고 한다. 또한, 심장이 이완되면서 혈액을 받아 들일 때 혈관에서 유지되는 압력을 '이완 혈압'이라고 하며 가장 낮기 때문에 '최저 혈압'이라고 한다. 동맥 내 혈압은 상술한 심장의 박동인 수축 및 이완에 따라 주기적으로 증가/감소를 반복한다. 혈압(Blood Pressure: BP)의 주기적 변환신호에서 그 최대치를 수축기압 (PSYS: Systolic Pressure)이라 하고, 최저치를 확장기압(PDIAS: Diastolic Pressure)라고 한다. 이에 혈압은 PSYS/PDIAS로 표기하며 그 단위는 mmHg이다. 보통 정상인의 혈압은 수축혈압이 120mmHg 정도이고, 이완혈압은 80mmHg 정도이다.
이러한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측정 방식에는 청진(korotkoff sounds) 방식, 오실로메트릭(oscillometric) 방식 및 토노메트릭(tonometric) 방식 등이 있다. 청진 방식은 전형적인 압력 측정 방식으로, 동맥혈이 지나는 신체 부위에 충분한 압력을 가해 혈액의 흐름을 차단한 후 감압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맥박 소리가 들리는 순간의 압력을 수축기 혈압(systolic pressure)으로 측정하고, 맥박 소리가 사라지는 순간의 압력을 이완기 혈압(diastolic pressure)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오실로메트릭 방식과 토노메트릭 방식은 디지털화된 혈압 측정 장치에 적용되는 방식이다. 특히 오실로메트릭 방식은 청진 방식과 마찬가지로 동맥의 혈류가 차단되도록 동맥혈이 지나는 신체 부위(예를 들어 상완이나 손목) 충분히 가압한 후 일정 속도로 감압하는 과정과, 상기 신체 부위를 일정 속도로 증압되게 가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맥파를 감지하여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측정한다. 맥파의 진폭이 최대인 순간과 비교하여 일정 수준인 때의 압력을 수축기 혈압 또는 이완기 혈압으로 측정할 수도 있고, 상기 맥파 진폭의 변화율이 급격히 변화되는 때의 압력을 수축기 혈압 또는 이완기 혈압으로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토노메트릭 방식은 동맥의 혈류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는 크기의 일정 압력을 신체 부위에 가하고, 이때 발생되는 맥파의 크기 및 형태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방식이다. 특히 상술한 오실로메트릭 방식은 최근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자 혈압계 방식으로, 상완이나 손목의 신체 부위에 감긴 커프를 수축기 혈압 이상으로 충분히 가압한 후 서서히 감압시키면서 측정되는 커프 압력의 변화로부터 혈압을 측정한다.
도 1은 오실로메트릭 혈압계의 커프 압력 변화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보면, 커프의 압력은 맥박 펄스에 의한 동맥 부피의 변화로 인한 압력 오실레이션(oscillation)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완이나 손목의 신체 부위를 압박하고 있는 커프의 압력은 배기제어 밸브를 이용하여 감압되는데, 이때 배기제어 밸브의 특성에 따라 도 1(a)과 같은 시간-압력 변화 그래프의 형태로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커프에서 배기되는 공기의 양은 압력에 의존하므로 별도의 배기 제어 기능이 없다면, 커프의 압력이 높은 구간에서는 빨리 감압되고, 커프의 압력이 낮은 구간에서는 느리게 배기될 수 밖에 없다. 즉, 압력이 높으면 빨리 감압되고, 압력이 낮으면 느리게 배기되므로, 혈압 측정 정확도가 저하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커프의 압력이 낮아져 커프의 배기 속도가 느려지게 되면, 느려진 시간만큼 사용자는 커프에 압박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완이나 손목의 신체부위는 커프에 압박 당한 상태가 지속되어 통증이 발생되고, 이에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커프의 배기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배기조절 밸브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8-0010212호(공개일자: 2008.01.30, 발명의 명칭: 인장형 스프링을 이용하는 혈압계용 자동감압 밸브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3방향 밸브가 지지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인장형 스프링을 이용한 혈압계용 자동감압 밸브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밸브 몸체의 상부는 몸체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를 통해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 내부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고압일 때 돌출부가 상승하면서 배기구와 돌출부가 닿는 길이를 증가시켜서 유체 저항 길이를 크게 하고, 감압됨에 따라 유체 저항이 작아지게 되어 일정하게 감압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밸브 장치는 구조 상 밸브에 작용하는 중력 때문에 배기구 면적이 변할 수 있으며, 스프링의 인장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밸브가 항상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 일본특허출원 1992-103349(출원일: 1992.04.23, 발명의 명칭: 혈압계의 정속 배기 밸브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밸브 장치는 측면에 슬릿을 가지는 원통상 탄성체로 형성된 배기 밸브를 케이스 내주면과의 사이 공기실에 설치하는 구조로서, 압력이 감소하면서 슬릿이 서서히 개방됨에 따라 커프 내의 공기의 배기 속도를 조절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탄성체의 슬릿을 경계로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이에 의해 배기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슬릿의 길이를 늘리는 것 이외에는 그 구조를 변경하기 어려우며, 슬릿을 이용해야 하는 구조상 크기가 큰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커프의 감압 과정에서 시간에 따른 커프의 압력 변화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조가 간단함은 물론 안정적이며 사용에 따른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저럼한 비용으로 커프의 공기 배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는;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밸브 하우징; 및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측에 밀착되고, 상기 밸브 하우징의 공기 유동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배기 조절 홀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적 변형에 따라 상기 배기 조절 홀의 크기가 가변되어 상기 밸브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배출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혈압 측정장치는;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커프에는 상기 커프의 감압을 조절하는 밸브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밸브 모듈에는 탄성적으로 크기가 가변되어 상기 커프 내의 공기의 배출 속도를 제어하는 배기 조절 홀을 구비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는;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측에 밀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하나 또는 불규칙한 다공성으로 형성되는 배기 조절 홀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고압의 공기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배기 조절 홀의 크기가 작아지고, 공기의 배출 속도가 감소되며, 공기의 압력이 저하될수록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에 의해 상기 배기 조절 홀의 크기가 커지면서 공기의 배출 속도가 증가되어, 상기 밸브 모듈은 고압의 공기를 일정하게 감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는, 커프의 감압 과정에서 공기의 배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간에 따른 커프의 압력 변화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또한, 배기 조절 홀을 통한 공기의 배출 속도를 제어하게 됨으로써, 밸브 모듈의 구조가 간단함은 물론 중력 등에 영향을 받지 않아 어느 환경에서 사용하여도 정확한 혈압 측정 값을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출 속도가 일정하게 됨으로써, 커프의 압력 변화가 일정한 선형적인 변형이 발생되어, 혈압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하게 혈압을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높은 압력이나 압력의 변화에도 탄성부재가 찢어지는 등의 파손의 위험이 적어짐으로써 안정적인 밸브 모듈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혈압 측정 장치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밸브 모듈의 구조나 구성이 간단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밸브 모듈을 구현할 수 있으며, 커프의 공기 배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오실로메트릭 혈압계의 커프 압력 변화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혈압 측정 장치에서 커프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장치에서 공기의 압력에 따른 배기 조절 홀의 직경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개시된 장치에서, 시간에 따른 커프의 압력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밸브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개시된 장치에서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에서 배출구의 직경이 공기실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개시의 혈압 측정 장치에서 공기실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개시된 장치에서 밸브 하우징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혈압 측정 장치에서 배출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길이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1이나, 2 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서 커프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개시된 장치에서 공기의 압력에 따른 배기 조절 홀의 직경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밸브 모듈(100)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는, 커프(미도시)에 연결되어 커프의 공기가 배출되는 속도를 조절하는 밸브 모듈(100)이 제공된다. 밸브 모듈(100)은 커프에 연결되어 커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밸브 하우징(110)과, 밸브 하우징(110)에 제공되어 공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탄성부재(12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모듈(100)은 공기가 주입된 커프 내의 공기의 배출속도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특히, 최대 고압 상태의 커프에서는 공기가 천천히 배출되도록 제어하고, 커프 내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공기의 배출속도를 빨리 배출되도록 하여, 커프의 감압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이로 인해, 본 개시의 밸브 모듈(100)에 의해 커프는 일정한 속도로 감압될 수 있어 정확한 혈압을 측정할 수 있으면서, 혈압 측정 시간은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밸브 모듈(100)은 밸브 하우징(110)과, 탄성부재(1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밸브 하우징(110)은 유입구(111)와, 배출구(112) 및 공기실(113)을 포함한다. 유입구(111)는 커프와 연결되어 커프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이며, 배출구(112)는 유입구(111)를 통해 공기실(113)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개구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배출구(112)는 후술하는 공기실(113)의 직경(D)보다 작은 직경(d1)을 가진다. 또한,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나, 후술하는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배출구(112)의 직경(d2)이 공기실(113)의 직경(D)과 동일하거나(d2=D), 공기실(113)의 직경(D)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d3>D). 또한,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서로 마주보는 구성이 아니라, 서로 이웃한 면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는 각각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 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실(113)은 기본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에,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하우징(110)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보면, 원통형상의 공기실(113)과, 공기실(113)의 양단부로 공기실(113)의 직경(D)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이다. 후술하나, 공기실(113)은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도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탄성부재(120)는 공기실(113)의 내측에 제공되고, 공기실(113)의 공기 유입 경로를 밀폐시킨다. 즉, 탄성부재(120)는 유입구(111)와 배출구(112) 사이의 공기실(113)을 분리하며, 공기실(113)의 내측에 맞물려 후술하는 배기 조절 홀(121) 이외로는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따라서, 공기실(113)은 탄성부재(120)를 중심으로 탄성부재(120)의 일측 공기실(113, 유입구(111)와 연결되는 공기실(113))과 타측 공기실(113, 배출구(112)와 연결되는 공기실(113))이 분리 구획되고, 탄성부재(120)에 제공되는 배기 조절 홀(121)을 통해서 탄성부재(120)의 일측 공기실(113)과 타측 공기실(113)은 연결된다. 즉, 탄성부재(120)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탄성부재(120)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기 조절 홀(121)이 형성되며,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탄성부재(120)의 배기 조절 홀(121)을 통해 배출구(112) 측으로 배출되게 연결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배기 조절 홀(121)은 탄성부재를 관통하도록 하나의 배기 조절 홀(121)로 형성되거나, 또는 스폰지와 같이 불규칙적인 다공성의 배기 조절 홀(121)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배기 조절 홀(121)은 하나 또는 불규칙적인 다공성의 형상에 한정되는 구성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20)가 가압됨에 따라 그 크기가 가변되어 공기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배기 조절 홀(121)의 개수나 형상 또는 형태, 직경 등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하나의 배기 조절 홀(121) 또는 다공성의 배기 조절 홀(121)을 가지는 탄성부재(120)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실(113)의 내경에 밀착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밸브 모듈(100)이 커프와 연결된 상태에서 공기의 배출 동작을 살펴본다.
커프에 공기가 꽉 채워져 고압 상태에서, 커프의 공기는 밸브 모듈(100)로 유입되어 서서히 감압된다. 커프의 고압 공기는 유입구(111)를 통해 공기실(113)로 유입된다. 탄성부재(120)는 고압 상태의 공기의 유입으로 공기실(113)에서 배출구(112) 측으로 이동되다가 배출구(112) 측에 지지되어 가압된다. 만약, 탄성부재(120)가 배출구(112) 측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된 경우라면, 탄성부재(120)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바로 배출구(112)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탄성부재(120)의 몸통은 공기실(113)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가압된 상태이므로, 탄성부재(120)는 동일 직경을 유지하면서 길이(두께)만 줄어들게 압축된다. 탄성부재(120)가 압축되면, 탄성부재(120)에 제공되는 배기 조절 홀(121)의 직경은 R1에서 R2로 작아진다. 즉,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단면적(이하 '유로 단면적'이라 함.)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배기 조절 홀(121)의 직경이 R1에서 R2으로 작아지면, 일측의 공기실(113)에서 타측의 공기실(113)로 이동되는 공기의 배출속도는 억제된다. 이에, 고압 상태의 커프의 감압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압력이 천천히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공기의 배출에 따라 커프 내의 압력이 저하되면, 밸브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저하된다. 이에, 배출구(112) 측으로 밀착되어 가압된 탄성부재(120)는 복원되고, 배기 조절 홀(121)의 크기도 R2 에서 R1로 복원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120)의 가압에 의해 직경이 작아진(R2) 배기 조절 홀(121)은, 탄성부재(120)가 복원되면서 점점 직경이 커지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최대 고압 상태의 공기가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최소한의 직경(R2)을 가지는 배기 조절 홀(121)을 통해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원 상태의 탄성부재(120)에 의한 배기 조절 홀(121)의 직경보다 작아 공기의 배출속도는 억제된다. 이 상태에서 공기가 배출됨으로써, 커프의 압력은 점점 낮아지고,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도 저하된다. 탄성부재(120)는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의 저하에 따라 점점 복원되고, 배기 조절 홀(121)의 직경도 점점 커지게 된다(R2에서 R1로 점점 커짐). 공기의 압력이 저하될수록 배기 조절 홀(121)의 직경이 커지고, 공기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프가 고압 상태에서 점점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도 공기의 배출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밸브 모듈(100)은 배기 조절 홀(121)의 크기에 따라 공기의 배출 속도가 조절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커프 내 압력이 높을 때, 공기실(113)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는 탄성부재(120)를 가압하고, 가압된 탄성부재(120)에 형성된 배기 조절 홀(121)의 직경은 작아져 공기의 유로 단면적이 감소하고, 공기실(113)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의 배출을 제한하여 억제한다.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커프의 압력은 점점 저하되고,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도 감소하고, 탄성부재(120)를 압박하는 힘도 작아진다. 가압된 상태의 탄성부재(120)는 원래의 크기로 복원되면서, 배기 조절 홀(121)의 직경도 원래 크기로 복원되고, 유로 단면적이 커지게 되어 공기의 배출이 초기에 비해 자유로워진다. 따라서, 배기 조절 홀(121)은, 압력이 높을 때는 배기를 억제하면서 공기의 배출을 제한하며, 압력이 낮아지면서 서서히 유로 단면적이 커지면서 배기가 점점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높을 때나 작을 때나 일정하게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2에 개시된 장치에서, 시간에 따른 커프의 압력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존의 밸브 모듈(100)의 경우, 커프의 최대 고압 시에는 빨리 배출되며, 커프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천천히 배출되던 구성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밸브 모듈(100)의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를 살펴보면, 종래와는 다르게 최대 고압 시에는 조금 천천히 배출되며, 커프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빨리 배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시간에 따른 커프의 압력 변화가 거의 선형적으로 변화될 수 있어, 커프의 배기 속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커프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천천히 공기가 천천히 배출되어 혈압 측정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반면, 본 개시의 밸브 모듈(100)의 경우에는 커프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공기의 배출 속도가 빨라짐으로써 혈압을 측정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정확한 혈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밸브 모듈(100)의 경우, 배출구(112)의 직경(d1)이 공기실(113)의 직경(D)보다 작은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하에서는 배출구(112)가 공기실(113)의 직경으로 형성되거나(D=d2) 또는 공기실(1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D<d3)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후술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밸브 모듈(100)과 중복되는 구성들은 앞서 설명한 내용을 준용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의 내용과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밸브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밸브 모듈(100)과 앞서 설명한 밸브 모듈(100)과의 차이점은 배출구(112)의 크기이다.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모듈(100)은 원통형상의 공기실(113)의 타측에 제공되는 배출구(112)의 직경(d2)이 공기실(113)의 직경(D)과 동일하게(D=d2)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배출구(113)에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가압되는 탄성부재(12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가 구비된다.
본 개시에서 지지부는 두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는 도 4에서와 같이, 고정홈(114)과 돌출돌기(12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고정홈(114)은 배출구(112)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돌출돌기(122)는 탄성부재(120)의 단부에서 측면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홈(114)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에, 탄성부재(120)의 형상은 마치 나사와 같이 몸통에 비해 머리부가 넓은 형상을 가진다. 탄성부재(120)의 몸통은 공기실(113)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탄성부재(120)의 돌출돌기(122)는 고정홈(114)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로서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는 서로 분리 구획되며 배기 조절 홀(121) 이외로는 공기의 유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에, 유입구(111)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면, 돌출돌기(122)는 고정홈(114)에 지지된 상태로 배출구(112) 측으로 가압된다. 탄성부재(120)에 형성된 하나 또는 다공성의 배기 조절 홀(121)은 그 직경이 작아지면서(R1에서 R2이 됨) 유로 단면적이 작아지고, 공기의 배출 속도를 저하되고,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점점 낮아짐에 따라 배기 조절 홀(121)의 크기가 복원되면서(R2에서 R1이됨) 공기의 배출이 처음보다 자유로워지게 된다. 이에, 공기의 배출속도를 일정하게 선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도 4 참조).
도 6은 도 5에 개시된 장치에서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두번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는 고정홈(114)과, 지지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고정홈(114)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배출구(112)의 내측면으로 형성된 구성이며, 지지플레이트(130)는 고정홈(114)에 끼워져 고정되며, 탄성부재(12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지지플레이트(1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131)이 형성되어, 탄성부재(1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 될 수 있게 구비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지지부를 구비한 밸브 모듈(100)의 경우도, 고압의 공기가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면, 탄성부재(120)는 지지플레이트(130) 측으로 가압된다. 탄성부재(120)는 지지플레이트(130)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 두께가 압축된다. 이에, 탄성부재(120)에 제공되는 배기 조절 홀(121)의 직경이 작아지고(R1에서 R2이 됨), 일측 공기실(113)의 공기는 배기 조절 홀(121)의 작아진 직경을 통해 공기의 배출 속도가 제한되면서 지지플레이트(130)의 배출홀(131)로 배출된다. 또한, 공기의 배출에 따라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저하되고, 지지플레이트(130) 측으로 가압된 탄성부재(120)는 점점 복원되고, 이에 배기 조절 홀(121)도 복원되면서 점점 직경이 커진다.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는 커지는 배기 조절 홀(121)을 통해 공기의 배출이 점점 용이해진다. 따라서, 공기의 배출 속도는 고압인 경우에서 저압으로 감압되어도, 공기의 배출 속도는 일정하게 선형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비교하여 커프의 고압 상태에서는 공기의 배출 속도가 조금 느려지고, 커프의 압력이 감압될수록 공기의 배출 속도는 종래에 비해 빨라지게 된다(도 4참조). 이에, 혈압 측정 시간은 줄어들 수 있으며, 혈압 측정 시간이 줄어들어도 정확한 혈압을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서 배출구(112)의 직경(d3)이 공기실(113)의 직경(D)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에서 배출구의 직경이 공기실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밸브 모듈(100)의 배출구(112)는 공기실(113)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d3>D). 이에, 배출구(112)에는 배출구(113)를 밀폐시키며, 가압되는 탄성부재(12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플레이트(130)가 제공되고, 지지플레이트(130)와 배출구(112)의 내측벽면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재(14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130)는 볼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탄성부재(120)는 공기실(113)에 맞물리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배출구(112) 측으로 좀더 돌출되도록 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140)는 지지플레이트(130)의 외측면과 배출구(112)의 내측면 사이를 실링하여 배기 조절 홀(121) 이외로는 공기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게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에서 실링부재(140)는 오링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에, 공기실(113)에 탄성부재(120)가 끼워지고, 오링이 배출구(112)의 내측면에 끼워진 후, 지지플레이트(130)가 배출구(112)에 맞물려 밸브 모듈(100)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유입구(111)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면, 탄성부재(120)는 지지플레이트(130) 측으로 가압되고, 압축된다. 이에, 탄성부재(120)에 형성된 하나 또는 다공성의 배기 조절 홀(121)은 직경이 작아지면서(R1에서 R2이 됨) 공기의 배출 속도를 제한한다. 공기의 배출에 따라 커프의 압력이 저하되면서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도 저하된다.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저하됨으로써 탄성부재(120)는 점점 복원되고, 배기 조절 홀(121)의 크기도 복원되어 직경이 커진다. 이에, 배기 조절 홀(121)의 유로 단면적이 커지는 만큼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배기 조절 부의 직경 크기의 변화에 따라 압력이 높을 때나 점점 저하될 때나 공기는 일정하게 배출 될 수 있는 것이다(도 4 참조).
상기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출구(112)가 공기실(113)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크게 형성됨으로써, 고압의 공기에 따른 탄성부재(120)의 감압에 따라 배기 조절 홀(121)의 크기가 작아져 유로 면적이 작아지는 경우, 공기의 와류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밸브 모듈(100)에서 공기실(113)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앞서서 설명한 밸브 모듈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내용을 준용하며, 차이점 및 이에 따른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서 공기실이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개시된 장치에서 밸브 하우징의 다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밸브 모듈(100)은 밸브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밸브 하우징(110)의 공기실(113)의 형상이 앞서 설명한 밸브 모듈(100)과 차이점이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밸브 모듈(100)의 공기실(113)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모듈(100)의 공기실(113)은 원뿔형상(또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유입구(111)는 원뿔형상의 공기실(113) 중 넓은 일면에 형성되고, 배출구(112)는 원뿔형상의 단부, 즉 모서리 측에 형성된다. 탄성부재(120)의 형상도 원뿔형상의 공기실(113)에 밀착될 수 있게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공기실(113)이 원뿔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출구(112)가 원뿔형상의 뾰족한 모서리 측에 형성됨으로써, 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구(112) 측으로 집중 될 수 있다. 즉, 공기실(113)의 형상에 의해 공기실(113)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12)에 압력이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또는 다공성의 배기 조절 홀(121)이 형성된 원뿔형상의 탄성부재(120)는 원뿔형상의 공기실(113)에 밀착 결합된다.
이 상태의 밸브 모듈(100)이 커프와 연결되어 고압의 커프의 공기의 배출 속도를 조절하는 동작을 살펴본다. 유입구(111)를 통해 고압의 커프의 공기가 원뿔형상의 공기실(113)로 유입되면, 탄성부재(120)는 배출구(112) 측으로 가압된다. 이때,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를 중심으로, 탄성부재(120)의 양측면보다 중앙 부분이 더 많이 가압되어 오목한 형상으로 압축된다. 이에, 탄성부재(120)에 형성된 하나의 배기 조절 홀(121) 또는 다공성의 배기 조절 홀(121)을 경유하는 공기들은 배출구(112) 측으로 집중될 수 있다. 고압의 공기에 의해 탄성부재(120)가 가압되면, 탄성부재(120)에 형성되는 배기 조절 홀(121)의 직경은 탄성부재(120)의 가압에 의해 작아지게 되고, 작아진 유로 면적만큼 공기의 배출은 제한된다. 커프의 공기가 배출되면 될수록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은 저하되고, 가압된 상태의 탄성부재(120)가 점점 복원된다. 배기 조절 홀(121)은 탄성부재(120)의 가압에 의해 직경이 작아진 상태에서 탄성부재(120)가 복원됨으로써 배기 조절 홀(121)의 크기도 점점 커진다. 이에, 앞서 살펴본 밸브 모듈(100)과 마찬가지로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높은 경우, 배기 조절 홀(121)의 직경이 작아짐에 의해 공기의 배기는 억제되고, 서서히, 배기 조절 홀(121)의 직경이 복원되어 커짐에 따라 공기의 배기는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높을 때나 작을 때 공기의 배출 속도는 일정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공기의 압력이 낮아질 때, 공기의 배출을 기존에 비해 빠르게 할 수 있어 혈압 측정 시간은 줄이면서, 정확하게 혈압이 측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도 4참조).
상기와 같이 공기실(113)이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공기실(113)을 감싸고 있는 밸브 하우징(110)의 형상은 두 가지의 일례로 형성할 수 있다(도 8 및 도 9 비교). 하나는(도 8 참조) 공기실(113)의 형성과 동일하게 밸브 하우징(110)의 형성 또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도 9 참조) 공기실(113)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나, 밸브 하우징(1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밸브 하우징(110)은 유입구(111)에서 배출구(112)로 갈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밸브 하우징(110)의 강도를 보완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배출구(112)가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구성들과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내용들을 준용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에서 배출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밸브 하우징(110) 및 공기실(113)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개시의 밸브 모듈(100)과 앞서 살펴본 다양한 실시예들의 밸브 모듈(100)과 차이점이 배출구(112)의 위치이며, 이에 따른 탄성부재(120)의 형상이다. 즉, 앞서서 살펴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서로 마주하게 구비되었으나,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 모듈(100)은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서로 이웃한 면에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원통형상의 밸브 하우징(110)의 일단에는 유입구(111)가 제공되고, 유입구(111)가 형성된 일단에 마주한 밸브 하우징(110)의 타단은 밀폐되어 막혀있는 구성이다. 배출구(112)는 원통형상의 밸브 하우징(110)의 측면, 구체적으로 몸통의 둘레면 측에 형성된다. 이에, 밸브 하우징(110)의 일단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밸브 하우징(110)의 측면 즉, 몸통을 통해 배출되는 유동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 경로를 가지는 밸브 하우징(110)에 제공되는 탄성부재(120)는 유입구(111)와 배출구(112) 사이를 밀폐하기 위해, 관통홀(123)을 구비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탄성부재(120)의 중앙측에는 유입구(111)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관통홀(12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기 조절 홀(121)은 탄성부재(120)의 중앙을 관통하는 관통홀(123)과 탄성부재(120)의 외측면을 연결한다. 탄성부재(120)가 공기실(113)에 밀착되면, 유입구(111)는 관통홀(123)과 연결되고, 공기실(113)의 내측벽면은 탄성부재(120)의 외측면에 맞물려 서로 밀착된다. 이에, 배출구(112)와 유입구(111)는 탄성부재(120)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유입구(111)를 통해 관통홀(123)로 유입된 공기는 탄성부재(120)의 배기 조절 홀(121)을 통해 밸브 하우징(110)의 몸통 측에 형성된 배출구(112)로 배출된다. 즉 공기는 밸브 하우징(110)의 일단으로 유입되어 측면 방향으로 배출되는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유입구(111)를 통해 공기실(113)로 유입되는 공기는 탄성부재(120)의 관통홀(123)로 유입된다. 관통홀(123)의 직경이 커지면서, 탄성부재(120)는 공기실(113)의 내측면 측으로 가압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탄성부재(120)가 공기실(113)의 내측면으로 가압되면서 배기 조절 홀(121)은 직경이 작아져 유로 단면적이 작아진다. 관통홀(123)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는 직경이 작아진 배기 조절 홀(121)을 통해 배출되어야 하므로 배출 속도에 제한이 발생하고, 배출 속도가 억제된다. 고압 상태의 커프에서 공기가 점점 배출되면서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고, 관통홀(123)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도 낮아지고, 탄성부재(120)는 서서히 복원된다. 관통홀(123)의 직경은 점점 작아져 원래의 직경으로 복원되며, 배기 조절 홀(121)의 직경은 점점 커져 유로 단면적이 증가한다. 이에, 관통홀(123)로 유입된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커프의 압력이 높아 관통홀(123)로 고압의 공기가 유입될 때나, 공기의 압력이 점점 감압되어 저하되어도 공기의 배출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밸브 모듈(100)과 비교하면, 고압 상태에서는 좀더 천천히 공기가 배출되며, 감압되면 될수록 공기의 배출 속도는 종래에 비해 빨라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 모듈(100)은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중력 등에 영향을 받지 않아 어떠한 환경에서도 사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커프가 고압 상태서 공기의 배출을 일정한 속도로 유질 될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해, 혈압 측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정확한 측정 데이터 값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개시는 혈압을 측정하는 커프에 제공되는 밸브 모듈(100)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여러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서 밸브 하우징(110)에서 유입구(111)는 밸브 하우징(110)의 일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원통형상의 밸브 하우징(110)의 일단이 오픈되고, 오픈된 밸브 하우징(110)의 일단에 유입구(111)를 가지는 커버부가 밀봉되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기 조절 홀(121)을 하나 또는 다공성을 가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혈압 측정 장치에 따라, 또는 혈압 측정 장치가 사용되는 환경 등에 따라 배기 조절 홀(121)의 직경이나 개수, 형상 등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110)이나, 공기실(113)을 원통형상, 또는 원뿔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밸브 모듈 110: 밸브 하우징
111: 유입구 112: 배출구
113: 공기실 120: 탄성부재
121: 배기 조절 홀 122: 돌출돌기
123: 관통홀 130: 지지플레이트

Claims (18)

  1.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밸브 하우징; 및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측에 밀착되고, 상기 밸브 하우징의 공기 유동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배기 조절 홀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적 변형에 따라 상기 배기 조절 홀의 크기가 가변되어 상기 밸브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배출 속도를 제어하는 혈압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조절 홀은 상기 탄성부재에 하나 또는 불규칙한 다공성으로 형성되는 혈압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고압의 공기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배기 조절 홀의 크기가 작아지고, 공기의 배출 속도가 감소되며,
    공기의 압력이 저하될수록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에 의해 상기 배기 조절 홀의 크기가 커지면서 공기의 배출 속도가 증가되어,
    상기 밸브 모듈은 고압의 공기를 일정하게 감압시키는 혈압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탄성부재가 밀착되며,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공기실;
    커프의 공기를 상기 공기실로 유입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배기 조절 홀의 직경은 좁아져 상기 공기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배출 속도가 느려지고,
    상기 공기실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저하될수록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에 의해 상기 배기 조절 홀의 직경은 넓어져 공기의 배출 속도가 빨라지는 혈압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혈압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는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혈압 측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공기실 직경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거나 또는 크게 형성되는 혈압 측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상기 공기실의 직경과 같거나 또는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밸브 하우징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포함되는 혈압 측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출구의 내측벽에 제공되는 고정홈; 및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서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홈에 맞물려 고정되는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출구를 커버하며, 다수의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혈압 측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측면과 상기 배출홀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더 포함되는 혈압 측정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단에 제공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밸브 하우징의 몸체 둘레면에 제공되는 혈압 측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배기 조절 홀은 상기 관통홀과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혈압 측정 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은 원뿔 형상 또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혈압 측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측으로 갈수록 외벽이 두껍게 제공되는 혈압 측정 장치.
  17.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커프에는 상기 커프의 감압을 조절하는 밸브 모듈이 포함되며,
    상기 밸브 모듈에는 탄성적으로 크기가 가변되어 상기 커프 내의 공기의 배출 속도를 제어하는 배기 조절 홀을 구비하는 탄성부재가 포함되는 혈압 측정 장치.
  18. 혈압 측정 장치에 있어서,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측에 밀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하나 또는 불규칙한 다공성으로 형성되는 배기 조절 홀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가 고압의 공기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배기 조절 홀의 크기가 작아지고, 공기의 배출 속도가 감소되며,
    공기의 압력이 저하될수록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에 의해 상기 배기 조절 홀의 크기가 커지면서 공기의 배출 속도가 증가되어,
    상기 밸브 모듈은 고압의 공기를 일정하게 감압시키는 혈압 측정 장치.
KR1020130067985A 2013-06-13 2013-06-13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 KR20140145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985A KR20140145483A (ko) 2013-06-13 2013-06-13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985A KR20140145483A (ko) 2013-06-13 2013-06-13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483A true KR20140145483A (ko) 2014-12-23

Family

ID=52675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985A KR20140145483A (ko) 2013-06-13 2013-06-13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54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8836A (zh) * 2018-04-19 2018-08-10 刘杨 排气控制机构及血压测量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8836A (zh) * 2018-04-19 2018-08-10 刘杨 排气控制机构及血压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9826B2 (en) Arteriosclerosis degree judgment device capable of judging arteriosclerosis degree precisely
JP6219378B2 (ja) 血圧の連続的で非観血的な測定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905940B2 (en) Flow rate control valve and blood pressure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119538B2 (en) Electronic sphygmomanometer
US20070060825A1 (en) Self-compensating blood pressure bleed valve
ATE368418T1 (de) Kontinuierliches nicht-invasives blutdruckmessgerät
JP5233967B2 (ja) 血圧測定装置
EP3681387B1 (en) Inflation apparatus for an inflation-based non-invasive blood pressure monito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40145483A (ko) 밸브 모듈을 구비하는 혈압 측정 장치
US7361149B2 (en) Pressure-dependent automatic leak valve for sphygmomanometers
US8075492B2 (en) Automatic decompression valve for sphygmomanometer with extension spring
WO2006137231A1 (ja) 製造コストを抑えることのできる脈波測定装置
JPH10137204A (ja) 非観血式血圧計
KR102570356B1 (ko) 개선된 혈압 측정 시스템
RU2638712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сенсор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неинвазивного измерения артериального давления
CN211962029U (zh) 基于血压测量的智能泄压系统
JP6823054B2 (ja) 血圧測定システムに使用する検出装置
JP2010068922A (ja) 電子血圧計および血圧測定制御方法
JPH01214339A (ja) 血圧モニタ装置
CN113543701A (zh) 血压测量系统及利用其的血压测量方法
RU2675066C1 (ru) Монолитный трёхкамерный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сенсор с встроенными дроссельными каналами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неинвазивного измерения артериального давления
JP2005080722A (ja) 脈圧測定装置
US20230055552A1 (en) Liquid coupled blood pressure sensor
JP4767586B2 (ja) 血圧測定装置
JP4773127B2 (ja) 血圧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