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381A - 고착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고착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381A
KR20140145381A KR20130067759A KR20130067759A KR20140145381A KR 20140145381 A KR20140145381 A KR 20140145381A KR 20130067759 A KR20130067759 A KR 20130067759A KR 20130067759 A KR20130067759 A KR 20130067759A KR 20140145381 A KR20140145381 A KR 20140145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driver
support portion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5911B1 (ko
Inventor
김경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067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91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4Removing incrustations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료를 처리하는 용기의 장입구를 개폐하는 덮개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덮개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장입구를 개폐하는 리프터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리프터로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상기 제1지지부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거기;를 포함하여, 원료를 처리하는 용기의 장입구를 개폐하는 덮개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착물 제거장치{Remove apparatus for deposit}
본 발명은 고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를 처리하는 용기의 장입구를 개폐하는 덮개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하는 고착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의 고로(高爐) 조업 시 사용되는 코크스(coke)는 사전에 여러 단계의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예컨대 코크스는 코크스 오븐(coke oven)의 탄화실에 대량(약 32톤 정도)의 원료탄(석탄)을 장입하여, 대략 1400℃ 정도에서 18시간 정도 가열한 후, 압출하여 별도의 소화설비에서 냉각시키는 과정을 통해 생산된다.
여기에서 코크스 오븐의 상부에는 원료탄인 석탄을 공급하는 원료탄 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코크스 오븐의 상부 면에는 코크스의 석탄을 장입하기 위한 장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장입구는 강철재로 형성된 리드(lid)를 통해 폐쇄되어 있다가, 석탄을 장입할 때에는 코크스 오븐 외부에 설치된 리드 리프터를 이용하여 리드를 분리함으로써 개방된다. 이때, 리드 리프터의 저면에는 전자석이 구비되어 있고, 자력을 이용하여 리드를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석탄을 건류하는 과정에서 석탄이 연소되면서 타르, 몰타르 등의 이물질이 발생한다. 이들 이물질은 코크스 오븐 내에서 상승하여 장입구와 장입구를 덮고 있는 리드에 부착되어 고착물을 형성하게 된다. 장입구와 리드에 부착된 고착물은 장입구와 리드 간의 밀착 정도를 저하시켜 그 장입구와 리드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석탄을 건류하는 과정에서 장입구와 리드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타르, 몰타르 등의 이물질이 유출되어 작업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장입구와 리드에 부착되는 고착물을 주기적으로 제거하여 리드가 장입구에 밀착되도록 하고 있다. 고착물 제거 시 리드 리프터를 이용하여 리드를 상승시켜 장입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스크래퍼를 장입구측으로 이동시켜 리드와 장입구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한다. 그런데 리드 리프터와 텔레스코프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작동하는 장치로서 하부로 쳐져 스크래퍼와 자주 충돌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리드 리프터와 스크래퍼 간의 레벨을 주기적으로 조정해주어야 하고, 이와 같은 번거로움 때문에 작업자들이 리드와 장입구에 부착되는 고착물을 제거하지 않아 리드와 장입구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KR 0503201 B KR 2013-0026868 A
본 발명은 원료의 처리를 과정에서 설비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고착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설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고착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는, 원료를 처리하는 용기의 장입구를 개폐하는 덮개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덮개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장입구를 개폐하는 리프터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리프터로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상기 제1지지부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는, 내부에 상기 리프터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1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거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기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지지부 하부에는 한 쌍의 제2구동기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거기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3지지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에 상기 제거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검지하는 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거기는, 적어도 상기 덮개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상부면을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기는, 적어도 상기 덮개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상부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제3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기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덮개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내는 스크래퍼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쓸어내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는, 용기의 덮개에 부착된 고착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원료가 처리되는 용기의 장입구를 효과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해 가스의 누출을 억제하여 유해 가스로 인한 환경 오염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덮개를 지지하고 있는 리프터와의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어 레벨 차이에 의한 설비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내에서 원료를 처리하는 과정과 동시에 덮개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어, 원료를 처리하는 전체 공정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가 적용된 코크스 오븐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의 제거부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원료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나, 가열로 등에 원료를 장입하는 장입구에 설치된 덮개(lid)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하는데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코크스 오븐의 장입구에 설치된 덮개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가 적용된 코크스 오븐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의 제거부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코크스 오븐 설비는 원료탄을 장입하기 위한 장입구(210)가 형성되고, 장입구(210)를 개폐하는 덮개(220)가 구비된 코크스 오븐(200)과, 코크스 오븐(200) 상부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코크스 오븐(200)에 원료탄을 공급하는 장입차(100)와, 장입차(100)에 연결되어 장입구(210)를 통해 장입차(200)에 수용되어 있는 원료탄을 코크스 오븐(200)의 장입구(210)로 투입하는 호퍼(110)와, 장입차(100)에 연결되며 리프터(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덮개(220)를 개폐하는 리프터(300) 및 덮개(220)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하는 고착물 제거장치(400)를 포함한다. 또한, 리프터(300)와 고착물 제거장치(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호퍼(110)와 리프터(300)는 장입차(100)에 연결되어 장입차(100)와 함께 이동하며, 원료탄이 투입되는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덮개(220)를 개폐하고, 원료탄을 투입한다. 이때, 리프터(300)는 전자석(320)과, 전자석(32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310)로 구성될 수 있다.
고착물 제거장치(400)는 덮개(220)를 개폐하는 리프터(300)의 일측에 리프터(300)로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지지부(420)와, 제1지지부(42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지지부(430) 및 제2지지부(43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제거기(450)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420)는 장입차(100)의 하부에 이동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리프터(30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이에 장입차(100)의 하부에는 제1지지부(420)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410)이 구비되며, 제1지지부(420)에는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휠(4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420)는 내부에 리프터(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 예컨대 리프터(300) 측으로 개방된 'ㄷ'자형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420)의 타측에는 제1지지부(42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기(426)가 연결된다. 제1구동기(426)는 제1지지부(420)를 직선 운동시키는 다양한 종류의 구동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제1구동기(426)로서 제1지지부(420)에 연결되는 구동축을 통해 제1지지부(420)를 직선 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였다.
제2지지부(430)는 제1지지부(420)의 일측에 제1지지부(420)와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지지부(430)는 'ㄷ'자형으로 형성되는 제1지지부(420)의 일측에 한 쌍이 연결될 수 있다. 제2지지부(430)의 내부에는 제거기(45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기(4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구동기(440)는 제2지지부(430)의 길이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구동축을 갖는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구동축은 제2지지부(430)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기(440)는 한 쌍의 제2지지부(430)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2구동기(440)의 끝단은 제거기(450)를 지지하기 위한 제3지지부(442)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2구동기(440)는 제2지지부(430) 내부에서 작동하여 제3지지부(44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제3지지부(442)에 의해 지지되는 제거기(45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430) 내부에는 제2구동기(440)의 구동축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롤러(436)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부(430)에는 제2구동기(440)를 통한 제거기(450)의 이동 거리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검지부는 제2지지부(43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센서(432)와, 제2구동기(440)의 구동축에 한 쌍의 센서(432)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터치바(434)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바(434)는 제2구동기(440)의 구동축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센서(432)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제2구동기(440)의 구동에 의한 구동축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조절한다. 검지부는 제2구동기(44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센서(432)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제거기(450)와 덮개(220)의 접촉 여부를 검지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제거기(450)는 제3지지부(442)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거기(450)는 적어도 덮개(220)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상부면을 갖는 본체(451)와, 제3지지부(442)를 관통하여 제3지지부(442)의 하부에서 본체(451)를 지지하는 지지대(452) 및 본체(451)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기(454)를 포함한다.
본체(451)는 제3지지부(442) 상부에 배치되며, 그 상부면은 적어도 덮개(220)의 하부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45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220)의 하부면 일부와 접촉하여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452)는 제3지지부(442) 하부에 배치되며, 본체(451)의 하부에 제3지지부(442)를 관통하는 회전축(453)에 의해 연결된다.
제3구동기(454)는 제3지지부(442)와 지지대(452)에 연결되어 본체(451)를 회전시킨다. 제3구동기(454)는 본체(451)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3지지부(442)와 지지대(452)에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는 실린더를 사용하였다. 제3구동기(454)는 지지대(452)의 일측과 제3지지부(442)의 일측, 지지대(452)의 타측과 제3지지부(442)의 타측에 구동축을 통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실린더를 사용하였다. 이때, 구동축은 지지대(45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3구동기(454)를 실린더에 연결된 구동축이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구동축의 이동방향을 따라 지지대(452)가 회전축(453)을 중심으로 제3지지부(442) 내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452)에 회전축(453)을 통해 연결된 본체(451)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덮개(220)에 형성된 고착물 제거시 본체(451)는 덮개(220)의 하부면에 접촉한 상태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덮개(220)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3구동기(454)는 제3지지부(442)에 연결되어 본체(451)를 회전시키는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거기(450)를 통해 고착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본체(451)의 상부면에는 스크래퍼(456)와 브러쉬(458)가 구비될 수 있다. 스크래퍼(456)와 브러쉬(458)는 각각 복수 개씩 구비되어 쌍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스크래퍼(456)와브러쉬(458)는 제3구동기(454)에 의한 본체(451)의 회전 각도에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3구동기(454)에 의한 본체(451)의 회전 각도가 120°인 경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3개의 120°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스크래퍼(456)와 브러쉬(458)가 본체(451)와 함께 회전하면서 덮개(220)에 부착된 고착물을 전 영역에 걸쳐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스크래퍼(456)는 본체(451)가 회전할 때 본체(451)와 함께 회전하면서 덮개(220)에 부착된 고착물을 긁어낼 수 있다. 이때, 스크래퍼(456)는 본체(451)에 연결하기 위한 몸체 내부에 탄성부재(457)를 개재하여 상하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체(451)와 덮개(220)를 접촉시킬 때 발생하는 충격이나, 고착물 제거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스크래퍼(456)를 보호할 수 있다.
브러쉬(458)는 본체(451)가 회전할 때 본체(451)와 함께 회전하면서 덮개(220)에 부착된 고착물을 긁어낼 수 있으며, 스크래퍼(456) 및 본체(451)에 의해 제거된 고착물을 제거하는 작용도 수행할 수 있다. 브러쉬(458)는 별도의 구동기(459)를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고착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코크스 오븐의 장입구 덮개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착물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건류된 코크스가 압출되면, 코크스 오븐(200)의 탄화실에는 새로운 원료탄이 장입된다. 이에 리프터(300)를 하강시켜 전자석(320)에 덮개(220)를 부착시켜 장입구(210)를 개방하고, 장입차(100)를 이동시켜 리프터(300)를 장입구(210)로부터 회피시킨다. 그리고 호퍼(110)를 장입구(210)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원료탄을 장입구(210)를 통해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 장입한다.
리프터(300)가 장입구(210)로부터 회피되면, 고착물 제거장치(400)는 리프터(300) 측으로 전진하여 리프터(300)의 전자석(320)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220)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한다.
즉, 제1구동기(426)가 작동하여 가이드 레일(410)을 따라 제1지지부(420)를 리프터(300)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리프터(300)는 제1지지부(42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제1지지부(420) 내에 배치되고, 제거기(450)는 하강한 상태로 리프터(300)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2구동기(440)의 구동축에 구비된 터치바(434)는 제2지지부(430)에 구비된 센서(432) 중 하부측에 구비된 센서(432)에 접촉되어 있다.
이후, 제2구동기(440)를 작동시켜 제거기(450)를 상승시킨다. 제2구동기(440)가 작동하면, 제2구동기(440)의 구동축이 상승하게 되고, 구동축에 연결된 제3지지부 및 제거기(450)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2구동기(440)의 구동축에 구비된 터치바(434)가 제2지지부(430)에 구비된 센서(432) 중 상부측에 구비된 센서(432)에 접촉되면 제거기(450)의 본체(451)가 덮개(220)의 하부면에 접촉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2구동기(44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제거기(450)의 본체(451)가 덮개(220)의 하부면에 접촉되면 고착물 제거를 위한 준비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3구동기(454)를 작동시켜 본체(451)를 회전시킨다. 본체(451)는 제3구동기(454)의 구동축의 이동 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부면에 접촉되어 있는 덮개(220) 하부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한다. 이때, 본체(451) 상부면에 구비된 스크래퍼(456)와 브러쉬(458)도 본체(451)와 함께 회전하면서 덮개(220)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원료탄의 장입과 함께 덮개(220)에 부착된 고착물을 제거할 수 있어 고착물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리프터(300)에 부착되어 있는 덮개(220)와 고착물 제거장치 간에 정렬을 자동을 수행할 수 있어 레벨 조정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장입차 200: 코크스 오븐
300: 리프터 400: 고착물 제거장치
450: 제거기

Claims (10)

  1. 원료를 처리하는 용기의 장입구를 개폐하는 덮개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덮개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상기 장입구를 개폐하는 리프터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리프터로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상기 제1지지부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거기;
    를 포함하는 고착물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내부에 상기 리프터가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의 타측에는 상기 제1지지부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기가 연결되는 고착물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제거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기가 각각 구비되는 고착물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지지부 하부에는 한 쌍의 제2구동기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거기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3지지부가 연결되는 고착물 제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에 상기 제거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검지하는 검지부가 구비되는 고착물 제거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거기는,
    적어도 상기 덮개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상부면을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기를 포함하는 고착물 제거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거기는,
    적어도 상기 덮개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상부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제3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제3구동기;
    를 포함하는 고착물 제거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거기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덮개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내는 스크래퍼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쓸어내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고착물 제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착물 제거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착물 제거장치.
KR20130067759A 2013-06-13 2013-06-13 고착물 제거장치 KR101485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759A KR101485911B1 (ko) 2013-06-13 2013-06-13 고착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759A KR101485911B1 (ko) 2013-06-13 2013-06-13 고착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381A true KR20140145381A (ko) 2014-12-23
KR101485911B1 KR101485911B1 (ko) 2015-01-26

Family

ID=52592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759A KR101485911B1 (ko) 2013-06-13 2013-06-13 고착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9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08618A (zh) * 2020-06-30 2020-10-23 河北华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导烟套筒
KR102292459B1 (ko) 2020-05-11 2021-08-24 허기복 코크스 오븐의 리드 이물질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80Y1 (ko) 1997-12-24 2002-06-28 이구택 장입리드의부착물제거장치
KR101300506B1 (ko) * 2011-09-06 2013-08-26 주식회사 포스코 리드 클리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459B1 (ko) 2020-05-11 2021-08-24 허기복 코크스 오븐의 리드 이물질 제거장치
CN111808618A (zh) * 2020-06-30 2020-10-23 河北华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导烟套筒
CN111808618B (zh) * 2020-06-30 2021-11-12 河北华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导烟套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5911B1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5911B1 (ko) 고착물 제거장치
US11614283B2 (en) Slag door for a melting furnace
US10036594B2 (en) Apparatus for closing the slag doorway and for cleaning the slag doorway and channel of a metallurgical furnace and relative method
KR101220273B1 (ko) 리드 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200216578Y1 (ko) 코크스로 탄화실의 장입구 청소장치
KR101597261B1 (ko) 원료의 장입 레벨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1359144B1 (ko) 장입구 및 리드 크리닝장치
KR101760579B1 (ko) 코크스 오븐 도어용 클리닝 장치
US3577321A (en) Combined coke oven door jamb cleaning apparatus and door handling apparatus
KR101298531B1 (ko)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546242B1 (ko)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US3410543A (en) Mean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otary hearth furnace
KR101735953B1 (ko) 코크스 오븐의 레벨러 도어 클리닝 장치
US2746611A (en) Coke oven door handling machine
JP2963625B2 (ja) コークス炉窯口下部周辺の清掃装置
KR101586752B1 (ko) 이물질 제거장치 및 이물질 제거방법
KR102018522B1 (ko) 코크스오븐의 도어 가스누출방지용 수리대차
CN202450042U (zh) 一种焦炉装煤车炉盖清扫装置
CN116716574B (zh) 一种低碳钢微渗碳等温淬火系统
KR102081547B1 (ko) 코크스 오븐의 누적탄 제거 장치
KR100985323B1 (ko) 코크스 오븐의 상승관 리드 개폐장치
KR100805707B1 (ko) 코크스 장입차 곡관부의 카본 제거장치
KR101562438B1 (ko) 코크스 오븐용 리버싱 코크 소제장치
SU165944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ъема и установки крышки загрузочного люка коксовых печей
KR101453656B1 (ko) 타격형 타르받이 크리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