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242B1 -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242B1
KR101546242B1 KR1020130092152A KR20130092152A KR101546242B1 KR 101546242 B1 KR101546242 B1 KR 101546242B1 KR 1020130092152 A KR1020130092152 A KR 1020130092152A KR 20130092152 A KR20130092152 A KR 20130092152A KR 101546242 B1 KR101546242 B1 KR 10154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sensor
lifter
chamb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995A (ko
Inventor
김경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092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242B1/ko
Publication of KR20150015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4Removing incrustations by mechanical means
    • C10B43/06Removing incrustations by mechanical means from conduits, valv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5/00Doors or closures for coke ovens
    • C10B25/02Doors; Door frames
    • C10B25/08Closing and opening the doors
    • C10B25/14Devices for lifting do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차에 구비된 도어 리프터에 설치되는 도어 리프터에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는 압출차에 구비된 도어 리프터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도어 리프터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승강부; 및 상기 도어 리프터에 결합된 탄화실 도어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탄화실 도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크리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CLEANING DEVICE OF COKE OVEN DOOR FOR DOOR LIFTER}
본 발명은 압출차에 설치되는 도어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차에 구비된 도어 리프터에 설치되는 도어 리프터에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서 용선을 생산할 때 투입되는 부원료인 코크스(Cokes)는 고로 내에서 열원, 환원제 등의 역할과 함께 통기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이용되는 석탄 숯의 일종으로써, 코크스 오븐에서 생산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 조업공정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 오븐(1)은 고로에 투입되는 부원료인 코크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석탄 건류장치로서, 그 내부공간에 원료를 장입하여 가열하기 위한 탄화실(20)을 형성한다. 그리고 탄화실(20)의 전/후면에 탄화실 도어(21)가 장착된다.
코크스 생산과정은 점결성이 있는 석탄을 코크스 오븐(1)의 노상부에서 장입차(Charging Car)를 이용하여 네 개의 장입구를 통하여 코크스 오븐(1)의 탄화실(20)로 장입한 뒤 코크스 오븐(1)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섭씨 1,300도로 간접 가열하여 약 18시간 동안 건류시킨다. 완성된 적열 코크스는 압출차(Pusher Car, 10)에 의해 코크스 오븐(1) 밖으로 압출(Pushing)하게 된다.
이때, 코크스 오븐(1) 반대편에서 트랜스퍼 카(Transfer Car)에 유도된 적열 코크스(C)를 이동대차(Quenching Car, 30)의 버켓(Bucket)에 적재 후 다음 공정인 C.D.Q.(Coke Dry Quenching)로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코크스가 배출되어 탄화실(20)이 빈 코크스 오븐(1)에 다시 석탄을 장입하게 된다.
석탄이 적열 코크스로 생성되는 과정 중에는 코크스 오븐(1)의 탄화실(20)에 장입된 석탄과 외부에서 공급되는 연소 가스의 작용에 의해 다량의 코크스 오븐 가스(Cokes Oven Gas; COG)가 발생되는데, 발생된 코크스 오븐 가스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 오븐(1)에 형성된 탄화실(20)의 내부 공간 중 석탄이 적치된 상부 공간을 통하여 유동되어 상승관을 통과한 후 가스 집합본관에 모인 다음 가스 취출 본관을 통해서 타설비, 예를 들어 화성설비로 보내진다. 이러한 코크스 오븐 가스(COG)의 흐름은 24시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화성설비로 보내진 가스는 정제공장을 거쳐 제철소 연료로 사용된다.
이러한 코크스 오븐(1)에서 석탄을 건류하는 조업 과정 중에 다량의 타르 및 카본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데, 이는 탄화실 도어(21)의 연와부와 씰링 스트립부에 타르와 카본 형태로 응착 및 생성되어 다음 조업을 위하여 탄화실 도어(21)를 닫을때 탄화실 도어에 형성된 부착물들이 기밀 작용을 저하시켜 탄화실 외부로 코크스 오븐 가스(COG)가 누출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탄화실 도어(21)에 응착된 카본(C)이 건류 과정에서 코크스와 융착되어 건류후 압출 작업을 위한 탄화실 도어(21)를 탈착할때 고온의 적열 코크스를 무너트리는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을 종료한 후에는 매회 탄화실 도어(21)를 클리닝 작업을 실시하였다.
도 2는 종래 탄화실 도어 크리닝 장치와 도어 리프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는 종래 탄화실 도어 크리닝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리프터(11)에 결합된 탄화실 도어(21) 방향으로 도어 크리너(11)가 전진하여 탄화실 도어(21)에 접촉되고 도어 크리너(12)가 승강되면서 탄화실 도어(21)의 외면에 부착된 카본, 타르 등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도어 리프터(11)가 조금이라도 도어 크리너(12)와 각도가 안맞는 경우, 도어 크리너(12)가 탄화실 도어(21) 방향으로 전진시 탄화실 도어(21)와 충돌되어 손상되거나, 도어 크리너(12)에 구비된 스크래퍼와 탄화실 도어(21) 사이의 간격이 좁아 승강이 불가능하여 크리닝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종래 탄화실 도어 클리너는 탄화실 도어의 표면에 응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서는 "탄화실 도어 클리너(공개특허 10-2007-0045693)" 등에서 구체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탄화실 도어 클리너는 탄화실 도어를 견고하게 고정하거나 정렬하기 위한 수단을 갖고 있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이물질 제거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탄화실 도어가 지정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는 경우, 도어 크리너가 탄화실 도어와 충돌되어 손상되거나, 특히, 탄화실 도어가 일측으로 기울어질 경우에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이동하는 장치와 탄화실 도어의 표면 및 도어 프레임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게 되어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10-2007-0045693 (2007. 05. 02.)
본 발명은 도어 리프터에 일체화되어 설치될 수 있는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탄화실 도어의 이격 위치에 관계없이 도어 크리닝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탄화실 도어와 충돌을 방지하여 탄화실 도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는 압출차에 구비된 도어 리프터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도어 리프터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승강부; 및 상기 도어 리프터에 결합된 탄화실 도어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탄화실 도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크리닝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리프터에는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양 단에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된 지지축; 및 일측이 상기 도어 리프터에 고정되고, 타측에서 신장되는 로드가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크리닝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거치바; 일측이 상기 거치바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암; 상기 암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거치바에 고정되고 타측에서 신장되는 로드가 상기 암에 고정된 제2 실린더; 및 상기 암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화실 도어의 측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암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제거편;을 포함한다.
상기 제거편은 상기 탄화실 도어 측면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치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는 상기 제거편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바의 배면에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전진센서 및 후진센서; 및 상기 전진센서 및 후진센서로부터 상기 제거편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제거편이 상기 탄화실 도어 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1 실린더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승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여 상기 도어 리프터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 및 상기 프레임이 승강에 따라 상기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터치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프레임이 왕복 승강되도록 상기 제1 실린더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리프터를 이용하여 탄화실 도어 분리시 탄화실 도어의 이격 위치에 관계없이 탄화실 도어의 크리닝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탄화실 도어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탄화실 도어의 크리닝 작업시 탄화실 도어와 도어 크리너의 충돌을 방지하여 탄화실 도어 및 도어 크리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코크스 오븐 조업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도어 크리닝 장치와 도어 리프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는 종래 탄화실 도어 크리닝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의 설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를 이용한 탄화실 도어 크리닝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닝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의 설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는 압출차(10)에 구비된 도어 리프터(11)의 외주면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200) 및 상기 탄화실 도어(21)에 부착된 타르 등 이물질을 긁어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크리닝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리프터(11)에는 상기 프레임(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1a)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200)는 상기 가이드 레일(11a)을 따라 상기 크리닝부(300)가 설치된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도어 리프터(11)에서 승강 이동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프레임(100)의 내주면에 결합된 지지축(210) 및 일측은 상기 도어 리프터(11)에 고정되고 타측에서 신장되는 로드의 단부가 상기 지지축(210)의 중심에 결합되어 로드가 신장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100)을 승강시키는 제1 실린더(2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축(210)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1a)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21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가이드 레일(11a)을 따라 승강되는 상기 프레임(1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가이드 레일(11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11a)은 상기 도어 리프터(1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축(210)은 상기 가이드 레일(11a)의 갯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을 승강시키는 상기 제1 실린더(220)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실린더(220)는 전술된 실시예에 제시된 실린더의 종류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 레일(11a)을 따라 상기 프레임(100)을 승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실린더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크리닝부(300)는 상기 프레임(100)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거치바(310)와 상기 거치바(310)에 힌지(321) 결합되는 암(320), 상기 암(320)을 회동시키는 제2 실린더(330) 및 상기 암(320)의 일단에 상기 탄화실 도어(21)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결합된 제거편(340)을 포함한다.
상기 암(320)은 상기 거치바(310)에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실린더(330)는 상기 거치바(310)의 연장 방향으로 로드가 신장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바(310)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그 일측은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암(320)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제2 실린더(330)의 로드가 신장함에 따라 상기 암(320)이 회동되어 상기 탄화실 도어(21)의 측면에 접촉된 상기 제거편(340)을 상기 탄화실 도어(21)에서 이격시켜 상기 도어 리프터(11)에 상기 탄화실 도어(21)의 착탈시 상기 탄화실 도어(21)와 상기 제거편(340)이 충돌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암(320)을 회동시키는 상기 제2 실린더(330)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실린더(330)는 전술된 실시예에 제시된 실린더의 종류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힌지(321)를 중심으로 상기 암(320)을 회동시켜 선택적으로 상기 제거편(340)을 상기 탄화실 도어(21)의 측면에 접촉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실린더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편(340)은 단부에서 상기 탄화실 도어(21)의 측면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치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탄화실 도어(21)의 클리닝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고착된 이물질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는 상기 제거편(340)이 상기 탄화실 도어(21)의 측면에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바(310)의 배면에 설치되는 전진센서(410), 후진센서(420) 및 상기 전진센서(410) 및 후진센서(420)로부터 상기 제거편(34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실린더(22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암(3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거치바(310)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암(320)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바(310)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암(320)의 단부가 상기 전진센서(410) 또는 후진센서(42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전진센서(410) 및 후진센서(420)는 상기 암(320)의 단부가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500)에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거편(34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승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인접하여 상기 도어 리프터(11)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상부센서(430) 및 하부센서(440)가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0)이 승강함에 따라 상기 상부센서(430) 및 하부센서(440)에 접촉되도록 상기 상부센서(430) 및 하부센서(4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터치바(4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센서(430) 및 하부센서(440)의 이격 간격은 상기 가이드 레일(11a)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센서(430) 및 상기 하부센서(440)는 상기 터치바(450)의 접촉여부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제1 실린더(220)에 승·하강 작동신호를 반복 전송하여 상기 프레임(100)이 왕복 승강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터치바(450)가 상기 상부센서(430)에 접촉되면 상기 제1 실린더(22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프레임(100)을 하강시키고, 상기 터치바(450)가 상기 하부센서(440)에 접촉되면 제1 실린더(22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프레임(100)을 승강시켜 상기 프레임(100)이 상기 가이드 레일(11a)을 따라 반복적으로 승강되도록 하여, 상기 탄화실 도어(21)의 측면에 접촉된 상기 제거편(340)이 상기 탄화실 도어(21)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를 이용한 탄화실 도어의 크리닝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리닝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는 상기 도어 리프터(11)가 상기 탄화실 도어(21)를 상기 탄화실(20)에서 분리시 상기 탄화실(20)과 충돌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실린더(330)는 상기 암(320)의 단부가 상기 후진센서(420)에 접촉되도록 신장된다.
상기 도어 리프터(11)가 탄화실(20)로부터 상기 탄화실 도어(21)를 분리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거편(340)이 상기 탄화실 도어(21)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실린더(330)에 작동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암(320)의 단부가 상기 전진센서(410)에 접촉되면, 상기 제거편(340)의 단부에서 에어를 분사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 실린더(22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프레임(100)을 반복적으로 승강시킨다.
이때, 상기 터치바(450)가 상기 상부센서(430)에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1 실린더(22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프레임(100)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프레임(100)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터치바(450)가 상기 하부센서(440)에 접촉되면, 다시 상기 제어부(500)는 제1 실린더(22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프레임(100)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프레임(100)이 반복적으로 승강함에 따라, 상기 탄화실 도어(21)의 측면에 접촉된 상기 제거편(340)이 상기 탄화실 도어(21)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 제거한다.
상기 탄화실 도어(21)의 크리닝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 실린더(33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거편(340)이 상기 탄화실 도어(21)에서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암(320)의 단부가 상기 후진센서(420)에 접촉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2 실린더(330)를 정지하고 상기 탄화실 도어(21)의 크리닝 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코크스 오븐 10: 압출차
11: 도어 리프터 11a: 가이드 레일
20: 탄화실 21: 탄화실 도어
100: 프레임 200: 승강부
210: 지지축 211: 롤러
220: 제1 실린더 300: 크리닝부
310: 거치바 320: 암
321: 힌지 330: 제2 실린더
340: 제거편 410: 전진센서
420: 후진센서 430: 상부센서
440: 하부센서 450: 터치바
500: 제어부

Claims (6)

  1. 압출차에 구비된 도어 리프터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도어 리프터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승강부; 및
    상기 도어 리프터에 결합된 탄화실 도어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탄화실 도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복수 개의 크리닝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리프터에는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양 단에 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된 지지축 및 일측이 상기 도어 리프터에 고정되고, 타측에서 신장되는 로드가 상기 지지축에 결합되는 제1 실린더를 포함하는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거치바;
    일측이 상기 거치바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암;
    상기 암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거치바에 고정되고 타측에서 신장되는 로드가 상기 암에 고정된 제2 실린더; 및
    상기 암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화실 도어의 측면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암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제거편;을 포함하는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거편은 상기 탄화실 도어 측면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치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거편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바의 배면에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전진센서 및 후진센서; 및
    상기 전진센서 및 후진센서로부터 상기 제거편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제거편이 상기 탄화실 도어 측면에 접촉되면 상기 제1 실린더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승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여 상기 도어 리프터의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 및
    상기 프레임이 승강에 따라 상기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와 접촉될 수 있도록 상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터치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센서 및 하부센서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프레임이 왕복 승강되도록 상기 제1 실린더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KR1020130092152A 2013-08-02 2013-08-02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KR10154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52A KR101546242B1 (ko) 2013-08-02 2013-08-02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152A KR101546242B1 (ko) 2013-08-02 2013-08-02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995A KR20150015995A (ko) 2015-02-11
KR101546242B1 true KR101546242B1 (ko) 2015-08-27

Family

ID=5257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152A KR101546242B1 (ko) 2013-08-02 2013-08-02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2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0257A (en) 1980-04-25 1981-11-17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Apparatus for cleaning coke oven door
JP2006036838A (ja) 2004-07-23 2006-02-09 Shi Mechanical & Equipment Inc 炉蓋掃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0257A (en) 1980-04-25 1981-11-17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Apparatus for cleaning coke oven door
JP2006036838A (ja) 2004-07-23 2006-02-09 Shi Mechanical & Equipment Inc 炉蓋掃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995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23708B2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ke
US9458383B2 (en) Method and device for breaking up a fresh and hot coke charge in a receiving trough
KR101246327B1 (ko) 스몰도어의 잔탄 제거장치
KR101546242B1 (ko) 도어 리프터용 도어 크리닝 장치
KR19980042976U (ko) 코크스로 탄화실의 장입구 청소장치
KR101569572B1 (ko) 탄화실 연와 보수 기능을 갖는 챔버 프레임 클리너
KR101387331B1 (ko) 코크스 오븐 탄화실 바닥의 누적카본 제거장치
US3577321A (en) Combined coke oven door jamb cleaning apparatus and door handling apparatus
KR101760579B1 (ko) 코크스 오븐 도어용 클리닝 장치
KR101518539B1 (ko) 코크스 오븐 도어의 조정볼트 및 플런저 플러그 보호 커버 장치
KR101485911B1 (ko) 고착물 제거장치
CA1176202A (en) Coke oven battery bench cleaning apparatus
KR101554817B1 (ko) 건식소화설비용 코크스 회수장치
KR20010111219A (ko) 코크스 오븐 도어 클리닝 장치
KR101562438B1 (ko) 코크스 오븐용 리버싱 코크 소제장치
KR101298531B1 (ko) 고착물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321922B1 (ko) 텔레스코프 막힘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텔레스코프 막힘 방지 방법
KR101586752B1 (ko) 이물질 제거장치 및 이물질 제거방법
JP6724301B2 (ja) コークス炉のコークス詰まり除去装置
KR101433467B1 (ko) 탄화실 도어 가스 웨이 세정장치
KR101421821B1 (ko) 가변식 집진후드를 이용한 코크스 오븐 탄화실 분진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453656B1 (ko) 타격형 타르받이 크리너 장치
JP3612911B2 (ja) コークス炉装入口周りのカーボン除去方法及びカーボン除去装置
CN210267278U (zh) 两头翘水封式刮板捞渣机
KR200174590Y1 (ko) 코크스 오븐 도어 가스웨이 부착물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