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4349A -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 Google Patents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4349A
KR20140144349A KR20130065821A KR20130065821A KR20140144349A KR 20140144349 A KR20140144349 A KR 20140144349A KR 20130065821 A KR20130065821 A KR 20130065821A KR 20130065821 A KR20130065821 A KR 20130065821A KR 20140144349 A KR20140144349 A KR 20140144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upport
fixed
work table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5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842B1 (ko
Inventor
박종규
문일우
김대환
장홍석
나영민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한토커팅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한토커팅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65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842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aw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모양을 절단 또는 용접하는 절단기에 장착되어 공작물을 지지하는 작업테이블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동일선상에 지지 홈이 형성되는 고정 틀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측 끝단이 상기 고정 틀의 지지 홈에 삽입되는 고정 축과; 상기 고정 축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고정 축의 회전작동을 제한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 축에 결합되고 외면에는 방사형으로 수평 지지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중공형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테이블을 구성하는 고정 틀과 지지대를 분리구성하여 부품의 손상시 해당부분만을 위치 변경 또는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부위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Work table for cutting machines equipped with Polygon roller-shaped support}
본 발명은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테이블을 구성하는 고정 틀과 지지대를 분리구성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단기는 다양한 모양을 절단 또는 용접하는 장비로서 국/내외 중공업 및 조선 사업 등에 널리 사용되는 핵심장비이다.
그리고 최근에 개발되는 가스 절단기, 플라즈마 절단기, 레이저 절단기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대형 절단 공작기계들은 기존의 성능 이외에도 고속, 고능률, 고정밀과 더불어 내구성이 좋고, 조작이 간편하며, 여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더불어 절단기에 기본적인 요소이면서 소모품인 공작물을 이송할 때 지지하는 작업테이블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상기 작업테이블의 종류에는 절단 방식에 따라 구조나 작업물을 지지하는 형상이 달라지고 구성재료도 여러 가지로 구분된다.
한편 상기 절단기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작업테이블의 경우 절단시 절단 부위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절단기를 구성하는 작업테이블은 해당 부분만을 교체할 수 없어 교체시 전체적으로 작업테이블을 교체해야 함으로써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비용과 경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테이블을 사용자가 직접 교체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교체주기가 짧을 경우 작업능률 및 생산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테이블을 사용자가 지정하여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손상부위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하중을 균등하게 분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응력집중과 변형이 생길 경우 손상을 가속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6624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0-01976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테이블을 구성하는 고정 틀과 지지대를 분리구성하여 부품의 손상시 해당 부분만을 위치 변경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 틀의 외면에 후크와 받침대를 형성하여 고정단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모양을 절단 또는 용접하는 절단기에 장착되어 공작물을 지지하는 작업테이블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동일선상에 지지 홈이 형성되는 고정 틀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측 끝단이 상기 고정 틀의 지지 홈에 삽입되는 고정 축과; 상기 고정 축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고정 축의 회전작동을 제한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 축에 결합되고 외면에는 방사형으로 수평 지지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중공형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홈이 형성되는 고정 틀의 외면 양측에는 고정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후크가 장착되고, 상기 후크와 대응하는 고정단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홈이 형성되는 고정 틀의 외면에는 고정단의 회전작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홈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고무 패킹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축의 양측 끝단과 고정단의 결합부분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지지 돌기는 지지대에 고정되는 수평 고정 부재와 상기 수평 고정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끝단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교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테이블을 구성하는 고정 틀과 지지대를 분리구성하여 부품의 손상시 해당부분만을 위치 변경 또는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부위를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 틀의 외면에 후크와 받침대를 형성하여 고정단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 축의 회전작동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의 요부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을 구성하는 고정 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을 구성하는 고정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의 요부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을 구성하는 고정 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을 구성하는 고정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을 구성하는 지지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10)은 다양한 모양을 절단 또는 용접하는 절단기에 장착되어 공작물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1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고정 틀(20)과, 상기 고정 틀(2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고정 축(30)과, 상기 고정 축(30)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단(40)과, 상기 고정 축(30)에 장착되는 중공형의 지지대(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틀(20)은 내부에 수용공간(24)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동일선상에 지지 홈(23)이 수평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 틀(20)은 간격을 두고 상·하부 바(21)를 배치한 후 상기 상·하부 바(21)의 양측으로 상부에 지지 홈(23)이 형성되는 측면 바(22)를 결합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상·하부 바(21)와 측면 바(22)를 통해 형성되는 수용공간(24)은 고정 축(30)에 장착되는 지지대(50)의 손상에 따른 회전작동시 상기 지지대(50)의 회전 작동 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 홈(23)이 형성되는 측면 바(22)의 외면 양측에는 고정 축(30)과 결합되는 고정단(4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후크(25)가 장착되고, 상기 지지 홈(23)이 형성되는 측면 바(22)의 외면에는 고정단(40)의 회전작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받침대(26)가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25)는 지지 홈(23)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26)는 지지 홈(23)의 하부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홈(23)에는 지지대(50) 및 고정 축(3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면서 고정 축(30)과 밀착 고정을 위해 고무 패킹(60)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고정 틀(2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고정 축(3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양측 끝단(31)이 지지 홈(23)에 지지 및 고정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고정 축(30)은 회전 작동이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수용공간(24)에 배치되고, 양측 끝단(31)은 고정단(40)의 고정과 회전작동을 위하여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축(30)의 양측 끝단(31)을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한 것은 상기 고정단(40)과 결합시 결합력을 높이면서도 상기 지지대(50)의 교체에 따른 회전 작동시 원활하게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 축(30)의 양측 끝단(31)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단(40)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내측에는 상기 고정 축(30)의 끝단(31)과 결합되는 결합부분(41)이 함몰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단(40)은 결합부분(41)이 고정 축(30)의 양측 끝단(31)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고정 축(30)의 회전 작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단(40)의 결합부분(41)은 고정 축(30)의 양측 끝단(31)과 결합될 수 있도록 대등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원발명에서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바(22)의 후크(25)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고정단(40)의 양측에는 고정 틀(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42)이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 축(30)에 결합되는 중공형의 지지대(50)는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외면에는 방사형으로 수평 지지 돌기(51)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 축(30)과 지지대(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지지대(50)는 고정 축(30)에 삽입되면서 수평 지지 돌기(51)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지지 돌기(51)는 지지대(50)에 고정되는 수평 고정 부재(52)와 상기 수평 고정 부재(5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끝단(54)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교환 부재(53)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수평 지지 돌기(51)를 수평 고정 부재(52)와 교환 부재(53)로 분리구성하여 공작물을 지지하는 교환 부재(53)의 손상시 해당되는 교환 부재(53)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끝단(31)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고정 축(30)에 내부가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외면에는 방사형으로 수평 지지 돌기(51)가 돌출형성되는 지지대(50)를 삽입장착한 후 고정한다.
그리고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상·하부 바(21)와 상기 상·하부 바(21)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지지 홈(23)이 형성되는 측면 바(22)를 결합하여 고정 틀(2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 홈(23)을 기준으로 양측에 후크(25)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홈(23)의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받침대(26)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틀(20)을 구성하는 지지 홈(23)에 지지대(50)가 장착되는 고정 축(30)을 각각 배치한 후 상기 고정 축(30)의 양측 끝단(31)에 다각형 형상의 결합부분(41)이 형성되고 양측에는 고정홈(42)이 형성되는 고정단(40)을 각각 삽입결합하면서 상기 후크(25)에 고정홈(42)을 고정하면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10)을 구성하는 지지대(50)에 공작물을 안착시킨 후 절단 및 용접작업과 더불어 공작물의 이송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공작물을 지지하는 지지대(50)에 손상이 발생하면, 상기 고정 틀(20)의 후크(25)에 고정되는 고정단(40)을 제거한 후 상기 고정 축(30)의 양측 끝단(31)에서 분리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50)와 결합되는 고정 축(30)을 회전작동시켜 지지대(50)의 위치를 변경한 후, 상기 고정 축(30)의 양측 끝단(31)에 고정단(40)을 결합한 다음, 상기 고정 틀(20)의 후크(25)에 고정단(40)의 고정홈(42)을 결합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은 고정 틀과 지지대를 분리구성하여 부품의 손상시 해당 부분만을 간단한 조작을 통해 위치 변경 및 교체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20 : 고정 틀,
21 : 상·하부 바, 22 : 측면 바,
23 : 지지 홈, 24 : 수용공간,
25 : 후크, 26 : 받침대,
30 : 고정 축, 31 : 끝단,
40 : 고정단, 41 : 결합부분,
42 : 고정홈, 50 : 지지대,
51 : 수평 지지 돌기, 60 : 고무 패킹.

Claims (6)

  1. 다양한 모양을 절단 또는 용접하는 절단기에 장착되어 공작물을 지지하는 작업테이블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동일선상에 지지 홈이 형성되는 고정 틀과;
    상기 수용공간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측 끝단이 상기 고정 틀의 지지 홈에 삽입되는 고정 축과;
    상기 고정 축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고정 축의 회전작동을 제한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 축에 결합되고 외면에는 방사형으로 수평 지지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중공형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홈이 형성되는 고정 틀의 외면 양측에는 고정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후크가 장착되고, 상기 후크와 대응하는 고정단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홈이 형성되는 고정 틀의 외면에는 고정단의 회전작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홈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고무 패킹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축의 양측 끝단과 고정단의 결합부분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 돌기는 지지대에 고정되는 수평 고정 부재와 상기 수평 고정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끝단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교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KR20130065821A 2013-06-10 2013-06-10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KR101491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821A KR101491842B1 (ko) 2013-06-10 2013-06-10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821A KR101491842B1 (ko) 2013-06-10 2013-06-10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349A true KR20140144349A (ko) 2014-12-19
KR101491842B1 KR101491842B1 (ko) 2015-02-12

Family

ID=5259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5821A KR101491842B1 (ko) 2013-06-10 2013-06-10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804B1 (ko) * 2018-12-27 2019-06-27 주식회사 유닉테크노스 가공장치용 작업 베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057B1 (ko) * 2017-07-05 2017-12-27 (주) 소부레이저 찌꺼기 제거수단을 갖는 소부재 가공장치
KR102250177B1 (ko) 2020-02-12 2021-05-10 씨앤더블 주식회사 가스절단에 사용되는 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793U (ja) * 1992-09-22 1994-04-19 川鉄鉄構工業株式会社 定 盤
JPH08244947A (ja) * 1995-03-14 1996-09-24 Toyo Kanetsu Kk ローラコンベヤ
KR980008068U (ko) * 1996-07-02 1998-04-30 이재복 제품이송 체인롤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804B1 (ko) * 2018-12-27 2019-06-27 주식회사 유닉테크노스 가공장치용 작업 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842B1 (ko)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842B1 (ko) 다각 롤러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JP5739539B2 (ja) 半完成品支持用モジュール構造体
CN202291575U (zh) T型铣刀
JP2016112681A (ja) 材料シートを切断する装置
JP2017164830A (ja) チェーン分解機
JP2016175122A (ja) レーザー切断機用のリバーシブルな作業台支持部材
KR101768677B1 (ko) 찬넬 커팅장치
CN204585022U (zh) 小型夹具结构
KR101265982B1 (ko) 볼베어링의 내외륜 분리가공용 바이트 조립체
KR20140004893U (ko) 강재 세팅 장치
KR20140144350A (ko) 콘 형상의 지지대를 구비한 절단기용 작업테이블
CN104028682A (zh) 具有多面使用活动切刀的钢筋剪切机构
KR200425245Y1 (ko) 롤테이프 절단기의 절단날 고정장치
CN216371252U (zh) 一种机器人加工设备刀库
KR101282650B1 (ko) 파이프 면취기용 헤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파이프 면취기
CN207709963U (zh) 一种铜螺柱开料装置
CN214724464U (zh) 一种砖茶切片装置
CN219598782U (zh) 一种套筒夹持工装
JP2010104083A (ja) 位置決め装置及び溶接構造物の組立方法
CN213794454U (zh) 一种可多表面加工的铣刀
KR20130120806A (ko) 러그 제조용 지그
KR20120007488A (ko) 나사탭 도우미와 그 도우미를 갖는 나사탭
TWM583338U (zh) 輕量化分條機刀套改良結構
CN211889265U (zh) 一种切割机
CN219749066U (zh) 一种制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