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883A - 사육수와 양분 공급이 가능한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 - Google Patents

사육수와 양분 공급이 가능한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883A
KR20140143883A KR1020130065564A KR20130065564A KR20140143883A KR 20140143883 A KR20140143883 A KR 20140143883A KR 1020130065564 A KR1020130065564 A KR 1020130065564A KR 20130065564 A KR20130065564 A KR 20130065564A KR 20140143883 A KR20140143883 A KR 20140143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pipe
supp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054B1 (ko
Inventor
이규태
이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Priority to KR20130065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05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다각형의 수조외벽으로 이루어진 수조본체; 상기 수조본체 중앙 상부에는 수조본체를 횡단하는 길이를 갖는 공급용 파이프가 설치되고; 공급용 파이프에는 수조본체바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대가 형성되어; 수조본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사육수를 복수개의 지지대 배관을 통해 수조본체로 공급하면서; 사육수공급펌프와 연결된 흡입구에는 미생물, 시약, 사료 등을 투입할 수 있는 공급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배관형 바이오플락용 사육수 및 미생물, 시약, 사료 공급수조로서, 사육수공급용파이프와 지지대배관을 통해 사육수, 미생물, 시약, 사료 등을 공급함으로써, 수조 바닥 구석구석에 슬러지가 쌓여 썩는 문제점, 사료 및 시약을 수조 전체에 고르게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점, 바닥배관 및 에어리프트 등 복잡한 바닥 구조물로 인해 수확하기 어렵고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점 등을 말끔하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육수와 양분 공급이 가능한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Aquaculture tank for bio-floc, include a ceiling pipe.}
본 발명은 양식수조에 바이오플락 사육수를 공급하여 수질환경을 개선하고 미생물, 시약, 사료 등을 양식수조 전체에 동시에 고르게 공급하며, 양식 어류의 수확 및 청소가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천장 배관형 바이오플락용 사육수 및 미생물, 시약, 사료 공급수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각형의 수조본체 상부에 수조본체를 횡단하는 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에 수조본체바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를 형성시켜, 지지대를 통해 공급되는 사육수를 이용하여 수조 바닥에 쌓여 있는 찌꺼기 및 유기물 등이 부상시킬 수 있고, 공급되는 사육수와 함께 미생물 및 배지, pH 및 알칼리도 조절 시약, 사료 등이 수조 전체에 동시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바이오플락 양식 수조와는 달리 바닥에 형성된 다른 장치에 의한 걸림 없이 양식 어류를 편리하게 수확하는 한편 수조 내부 청소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사육수, 미생물, 시약, 사료 등을 천장에 설치된 배관으로부터 공급할 수 있는 천장 배관형 바이오플락용 사육수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양식기술의 발전으로 대상생물을 바다가 아닌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하는 기술이 확립되었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도심지 등의 통제된 시설 내에서, 층별, 수조별 다양한 어패류를 양식하는 개념의 양식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산업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해양환경오염의 커다란 문제로 부각되면서 수산물의 어획량도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고품질의 수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양식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되고 있으며, 많은 나라에서 환경친화적이며 경제성 있는 양식에 관하여 많은 연구를 하고 있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양식 환경개선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의 육상 양식기술은 환수식이거나 순환여과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환수식 양식기술은 양식생물이 먹고 남은 사료나 찌꺼기, 배설물 등이 포함되어 있는 사육수를 새로운 깨끗한 물로 갈아주어 수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양식방식으로, 수질 유지를 위해서는 대규모의 환수를 필요하고, 많은 양의 유기성 폐수가 배출됨으로써, 적조 유발, 질병 창궐, 지하수 오염, 생태계 파괴 등의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대량의 환수용 물은 가까운 연안에서 취수하여 얻게 되는데 취수하는 물을 통해 질병균이 직간접적으로 유입되게 되므로 항상 질병 감염 문제에 노출되어 있으며 수질악화 시 바이러스, 질병 창궐로 대량 폐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질병균 유입에 대응하기 위해 항생제, 살생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양식 수산물이 항생제 등으로 오염되어 사람이 섭취할 경우 인체위해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겨울에는 외부의 찬물을 끌어들여 미리 가온해서 사육수 온도에 맞춰준 후 양식장에 환수해줘야 하기 때문에 물을 가온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여 환수식 양식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환수식 양식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육수 환수량을 줄일 수 있는 순환여과식 양식기술이 등장했으나, 사육수내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고 깨끗한 물로 환수하기 위해서는 입자성 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드럼필터와 대용량 펌프 시설, 암모니아와 아질산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생물학적 수처리 시설, 질병세균을 멸균하기 위한 자외선 또는 오존 살균 시설, 활성탄 등 필터 카트리지 시설 등 시설설비에 대한 비용과 부대 비용이 만만치 않아 뱀장어와 같이 부가가치가 높은 어종을 양식하는 일부 양식어가에서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소개되고 있는 바이오플락 양식기술은 사육수를 환수하지 않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암모니아 아질산, 황산염, 유기물 등 각종 오염물질을 분해시켜 제거하거나 생합성하여 양식생물이 먹을 수 있는 신 유기물질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사육수를 환수하지 않고 양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플락이란 사육수내 존재하는 미생물-식물플랑크톤-동물플랑크톤-원생동물-선충류-생물사체-사료찌꺼기 등이 서로 얽혀있는 양질의 유기물 덩어리를 일컫는 용어로, 상기의 유기물 덩어리가 점점 뭉쳐져, 어느 정도 크기 이상이 되면 새우 등 양식생물의 먹이가 되어 사육수내의 사료 찌꺼기 및 배설물 등이 제거되어 수질이 개선되어 사육수를 환수하지 않고 양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육수를 환수하지 않고 양식할 수 있게 된다면 사육수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문제, 생태계 파괴를 일으키지 않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양식할 수 있게 되며, 외부에서 물 또는 숙주를 통해 유입되는 바이러스와 질병균을 원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대량 양식할 수 있으며, 환수 펌프를 돌릴 필요도 없고, 겨울에 찬물을 끌어들여 가온할 필요가 없어 에너지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발생 저감효과도 누릴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사육수를 환수하지 않고 양식하기 위해서는 발생되는 암모니아, 아질산 등 오염물질의 양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의 적정량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바이러스나 질병균이 유입되지 않도록 사육수를 관리해야 한다. 바이러스 및 질병균은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사육수내 슬러지가 쌓여 부패하여 썩는 경우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방역을 철저히 하여 외부 유입균이 없도록 하고, 사육수내 슬러지가 쌓이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사육수내 슬러지를 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육수조 내 적절한 구조물을 설치하여 수조 바닥에 쌓이는 슬러지를 재부유시켜 주어야 하며 이러한 방법은 여러 공학적 방법과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각형의 수조본체 상부에 수조본체를 횡단하는 파이프를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에 수조본체 바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대가 형성시켜, 복수개의 지지대를 통해 사육수가 수조 내부로 공급되어 수조바닥에 쌓인 배설물 및 사료 침전물 등을 부유, 분산시킴으로서, 양식 어류를 수확 및 청소할 시, 기존의 수조에서와 같이 바닥에 설치된 수조 부속 장치에 의한 걸림 없이 편리하게 양식어류를 수확하고 수조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를 제공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9368호에는 양어장 수조에 물고기의 배설물 및 사료의 침전으로 인한 수질오염을 막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세척장치를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수조하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각종오염물질이 배출구로 모이도록 하며, 깨끗한 물을 계속 유입시키면서 유입된 수량만큼 수조하단의 침전물이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항상 깨끗한 양식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양어장용 수조 세척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5873호에는 사육수를 저장하는 수조; 상기 수조에 배치되는 해삼이 먹이활동을 하는 부착기; 및 상기 수조의 사육수를 유입한 후, 사육수에 공기를 포함시켜 상기 수조로 재공급하는 벤추리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기는 상기 수조의 바닥에서 일정 거리(D) 이격 설치되어 있는 타가영양세균을 이용한 해삼양식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0874364호에는 교반판을 형성한 교반실 상측으로 침전실을 형성한 교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용수가 공급될 때에 교반실에서 산소와 혼합되고 불순물이 제거된 상태로 수조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수조로 공급되는 용수에 대하여 1차적으로 정화 및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의 정화와 산소 공급을 위한 교반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0724806호에는 여과조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스크린 및 하부스크린과 해수주입라인, 수직에어라인, 공기확산장치, 에어공급라인, 배수라인, 거품배출구, 침전찌꺼기 배출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해수순환 여과시스템의 유동상 여과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양식수조 내 사육수의 수질개선만을 위한 목적으로 사육수조가 아닌 침전조, 여과조, 반응조와 같은 수처리조에서 입자성 물질을 여과하거나 오염물질을 처리하거나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구조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수조본체 상부에 수조본체를 횡단하는 파이프에 수조본체 바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대가 형성되어 수조 내부로 사육수를 공급하여 수조 바닥의 배설물 및 사료의 침전물을 분산시켜 미생물의 기능을 이용해 수질오염을 개선시키면서 동시에 미생물, 시약, 사료 등을 수조 전체에 공급하려는 목적이 개시되지 않아 차이가 있으며, 수조 내에 바닥 걸림이 없어 편리하게 양식어류를 수확 또는 수조내부를 청소 할 수 있는 구성과 효과도 개시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수조본체 상부에 수조 본체를 횡단하는 파이프에 수조본체 바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를 형성하여 사육수조 내부의 사육수 그 자체를 다시 사육수조에 공급하는 장치와 사육수를 흡입하는 펌프 흡입구 주변에 미생물, 시약, 사료 등이 공급될 수 있는 파이프를 설치함으로써 수질 변화없이 수조바닥에 쌓인 배설물 및 사료 침전물을 부유, 분산시키면서 미생물 기능을 이용해 부유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고, 양식관리에 필요한 미생물, 시약, 사료 등을 동시에 수조 전체에 고르게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바이오플락 양식에서 흔히 사용되는 바닥 배관이나 에어리프트와 같은 구조물이 없어 양식 어패류를 수확할 시 편리하게 양식 어류를 수확 또는 청소할 수 있는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다각형의 수조외벽으로 이루어진 수조본체; 상기 수조본체 중앙 상부에는 수조본체를 횡단하는 길이를 갖는 공급용 파이프가 설치되고; 공급용 파이프에는 수조본체 바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대가 형성되며; 사육수 흡입구에는 미생물, 시약, 사료 등이 공급되는 파이프가 연결되어; 수조본체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사육수를 복수개의 지지대 배관을 통해 수조본체로 공급하면서 필요시 미생물, 시약, 사료도 함께 수조 전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기본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용 파이프는 사육수 공급 입구에서 멀어질수록 파이프직경이 감소하며, 공급용 파이프로부터 수조본체바닥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지지대의 일부에는 밸브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벤추리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공급용 파이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는 안테나식 또는 주름식 자바라 형태를 갖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배관이 형성되어 바이오플락용 사육수, 미생물, 시약 및 사료 공급의 가능한 수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양식수조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조본체 상부에 수조 본체를 횡단하는 파이프에 수조본체 바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를 형성하여 사육수를 공급함으로써, 수조 바닥에 쌓인 배설물 및 사료 침전물을 부유시켜 분산시킬 수 있고, 양식관리에 필요한 미생물, 시약, 사료 등을 동시에 수조 전체에 고르게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바이오플락 양식에서 흔히 사용되는 바닥 배관이나 에어리프트와 같은 수조 내부 구조물이 없어 양식 어패류를 수확할 시 편리하게 양식 어류를 수확 또는 청소할 수 있어 편리한 방식으로 무환수-무배출 바이오플락 양식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의 측면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 지지대의 자바라배관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의 집수통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다각형의 수조외벽으로 이루어진 수조본체; 상기 수조본체 상부에는 수조본체를 횡단하는 길이를 갖는 공급용 파이프가 설치되고; 공급용 파이프에는 수조본체바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대가 형성되며; 사육수 흡입구에는 미생물, 시약, 사료 등이 공급되는 파이프가 연결되어; 수조본체로부터 공급받은 사육수를 복수개의 지지대 배관을 통해 수조본체로 재공급하면서 필요시 미생물, 시약, 사료도 함께 수조 전체로 공급된다.
이하, 본 발명의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와 관련한 실시예 및 결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양식수조는 통상 원형수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조의 중심부를 낮게 형성하여 사료 찌꺼기 및 배설물이 수조의 중심으로 모이게 하여 중심부의 배출시설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에 따라 수조바닥에 배수장치를 포함하여 물의 회전을 주기위한 여러 구조물들이 수조 내부에 설치되어 사료 찌꺼기가 구조물 사이로 쌓여 수조의 청소가 어렵고 양식된 어류 등의 수확시 장해물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수조본체 상부 또는 천장에 고정되어 수조본체를 횡단하는 공급용 파이프는 본체 수조 크기에 따라 복수의 열로 1-2m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파이프 일측 면에는 사육수가 유입되는 입구에 연결된 입구관이 설치되고, 타측면은 막혀있고, 파이프의 중간 중간에는 유입된 사육수가 유출되는 지지대와 연결되는 출구관이 설치된다.
공급용파이프의 입구관측 선단에는 공급펌프가 설치되어 사육수를 파이프 내로 이송하고, 이송된 사육수는 파이프의 출구관을 통하여 지지대로 유출된다. 즉, 공급용파이프는 유입 펌프의 작동시 입구관을 통해 사육수가 유입되어 출구관으로 사육수가 이동되며, 동시에 공급용 파이프 출구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대 배관을 통해 수조 안으로 사육수가 공급된다.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유입펌프, 배수펌프, 지지대 배관 조작스위치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이들의 on/off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육수공급용파이프의 출구관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대는 자바라형태로 신축가능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바라 지지대는 안테나식 또는 주름관형태의 자바라식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육수를 공급할 때에는 자바라식 지지대를 펴서 수조바닥면을 교반하기에 적당한 위치에 오도록 위치조절을 할 수 있으며, 사육수 공급이 완료되거나, 양식어류를 수확 또는 수조를 청소할 때에는 지지대를 위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어 수조 내부에 바닥 걸림 없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본구성으로부터 기존의 수조와는 달리 수조바닥 구석구석에 슬러지가 쌓여 썩는 문제점, 바닥배관 및 에어리프트 등 복잡한 바닥 구조물로 인해 수확하기 어렵고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점 등을 말끔하게 해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의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의 공급용 파이프는 수조본체 상부 또는 천장에 고정되어 수조본체를 횡단하여 설치된다. 공급용 파이프의 일측면에는 사육수가 유입되는 입구관이 설치되고, 타측면은 막혀있고 중간 중간에는 유입된 사육수가 유출되는 출구관이 설치되어 지지대 배관과 연결된다. 공급용파이프의 형상은 공급 입구에서부터 멀어질수록 파이프 직경이 감소한다.
이는 사육수가 유입되는 유수의 압력은 베르누이 정리로부터 가까운 곳부터 압력이 높아 배수압이 크고, 멀어질수록 압력이 낮아 배수압이 낮아지는 것을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유입펌프와 가까운 위치에 있는 첫 번째 지지대 배관에서는 사육수가 많이 배출되고 입구관과 먼쪽에 위치한 마지막 지지대 배관에서는 사육수가 적게 배출되는 것을 파이프 직경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급용 파이프와 복수개의 지지대 배관 연결부위에 지지대밸브를 설치하여 밸브조작을 통해 동일한 사육수량이 지지대 배관을 통하여 수조 내부로 고르게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천장 배관형 바이오플락용 사육수 및 미생물, 시약, 사료 공급수조의 지지대배관을 나타낸다. 사육수공급용파이프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배관은 배관 안으로 신축수납가능한 방식의 안테나식 또는 주름관 자바라식으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수조내부로 사육수를 공급할 때에는 지지대배관을 펴서 수조 바닥면에 교반하기 적당한 위치에 오도록 할 수 있고, 사육수공급이 완료되거나 수확 또는 청소를 할 때에는 지지대배관을 위로 접어 수납함으로서, 기존의 양식수조와 같이 바닥에 설치되는 장비에 의한 바닥걸림 없이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안테나식 배관은 다단통의 외통 및 내통의 물림상태로서 신장 및 수축이 용이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합부위에 누수가 발생해 수압이 낮아지지 않도록 안쪽관의 상단부에 고무링을 장착시킬 수 있으며, 도 3와 같이 배관이 3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육수공급용파이프의 위치에 따라 2단 또는 4단 이상의 다단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주름관 자바라식은 통상 사용되는 후드용 자바라와 같은 형태로써, 사용할 때에는 주름관을 펼쳐 사용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주름관을 위로 접어 보관할 수 있다.
이처럼 안테나식 또는 주름관 자바라식으로 제작될 수 있는 지지대 배관은 사육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배관을 위쪽으로 신축 수납시켜 보관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승 및 하강동작은 사용자가 업/다운 조작스위치를 제어함으로서 전동으로 지지대배관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지지대는 1-3m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파이프 및 배관의 재질은 부식에 강한 PVC, PE 등의 플라스틱 또는 스틸, 스테인레스를 사용하여 제작 가능하여 전체적인 수조의 미관이 깔끔할 뿐만 아니라,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지지대 배관 끝단에는 벤추리 관을 연결하여 사육수를 공급하는 동시에 기포발생을 통한 산소를 추가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으며, 사료 및 배설물 등이 배출되는 기포와 함께 부상하면서 넓게 퍼지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수조 전체에 미생물, 시약, 사료, 산소 등을 전달할 수 있다.
바이오플락을 이용하여 사육수내 존재하는 미생물-식물플랑크톤-동물플랑크톤-원생동물-선충류-생물사체-사료찌꺼기 등이 서로 얽혀있는 양질의 유기물 덩어리가 한곳에 정체하지 않고 수조 내를 부유하면서 이동하여 점점 뭉쳐져 어느 정도 크기 이상이 되면 사육수조내의 양식생물의 먹이가 될 수 있다.
즉, 사료찌꺼기가 환경유용미생물 작용에 의해 신생성천연유기물로 전환되어 재이용되며 미생물 등 여러 종류의 생물기원 물질로 구성된 천연 먹이와 찌꺼기 등이 유기물 덩어리 형태의 복합체를 형성하면서 먹이로 이용될 수 있는데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저분자 단백질이 많아 소화도 잘되고 천연면역강화 기능도 부여하게 되어 성장도 빠르고 질병에도 잘 견딜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육수 공급 및 벤츄리관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다시 부유시켜 줌으로써 바이오플락에 의한 천연먹이와 찌꺼기 등의 유기물 덩어리가 수조바닥에 쌓이지 않으면서, 양식생물의 먹이를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수질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사육수 공급이 완료 되었을 때에는 지지대 배관을 위로 올려 보관하여 수조 바닥걸림 없이 양식어류를 수확하거나 청소할 수 있어 편리하게 수조를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의 집수통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공급용 파이프는 공급펌프와 연결되고 공급펌프의 흡입관 일부에는 미생물, 시약, 사료 등을 넣을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된다. 투입구에 떨어진 미생물, 시약, 사료 등은 공급 파이프를 통해 흡입관 인근으로 떨어지면서 공급펌프로 빨려들어가 지지대를 통해 수조 전체에 동시에 고르게 공급된다.
사육수 공급라인을 통해 동일한 시간에 수조 전체에 사료공급이 가능하며, 미생물 유지에 필요한 당밀, 타피오카, 수크로오즈, 글루코오즈, 밀가루, 전분 등을 포함한 탄소원의 투입이 가능하고, 암모니아, 아질산, 질산염, 황화물 등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나이트로조모나스, 나이트로박터, 로도수피룰리나 등의 자가영양 미생물, 타가영양 미생물, 광합성미생물 계열의 환경유용미생물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유기물 분해, 합성, 면역기능 강화 등의 목적으로 추가되는 바실러스, 효모, 유산균 등을 포함한 프로바이오틱스 미생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pH 버퍼와 알칼리도 보상을 위해 사용되는 소듐 바이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생석회, 소석회 등의 시약 등을 흡입시켜 이들이 사육수와 함께 펌프로 흡입된 후 공급용 파이프를 지나 복수개의 지지대를 통해 수조 전체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육수, 사료 및 첨가물을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사료를 수동으로 공급하는 번거로움과 시간을 감소할 수 있으며, 수조 전체에 사료를 공급하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료를 동시에 수조 전체에 공급하는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양식어류들이 한군데로 몰리지 않고 수조 전체에서 분산되어 먹이를 먹게 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사료를 한 곳에서 공급할 때 나타나는 현상, 양식어류들이 사료 주변에 과다하게 몰려 몰린 지역에서의 과다한 산소소비로 인한 빈산소 수괴가 형성되고 이로부터 호흡곤란으로 사망하는 문제, 좁은 공간에서의 과다한 접촉, 마찰로 인한 상처 및 질병 감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시약, 미생물 등을 넣어주는 경우에도 사육수에 고르게 들어가게 하기 어려운 문제, 부분적으로 고농도가 투여되어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문제 등을 간단하게 해결해줄 수 있다.
천장 배관형 바이오플락용 사육수 및 미생물, 시약, 사료 공급수조를 이용함으로써, 수조내 양식어류의 배설물 및 사료의 침전물이 쌓이지 않도록 사육수를 펌프로 빨아들인후 지지대를 통해 수조바닥으로 분사시켜 찌꺼기를 부유시켜 미생물이 분해하게 함으로써 사육수를 환수하지 않고도 사육수의 수질오염을 개선할 수 있고, 지지대를 통해 분사되는 사육수와 함께 미생물, 시약, 사료, 산소 등을 동시에 수조 전체에 골고루 공급할 수 있어 노동 시간 단축, 비용 절약은 물론 함께 한곳에 과다 투여되거나 부족하여 받게되는 스트레스를 줄임으로써 양식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수조 안에 다른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양식 어류를 수확할 시에 양식어류를 남김없이 손쉽게 수확할 수 있어 양식생산량을 극대화되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수조본체 11: 집수통
20: 공급용 파이프 21: 배관파이프 22: 배수관
30: 지지대 31: 벤추리관
40: 밸브
50: 공급펌프 51: 흡입구
60; 공급구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되고 일정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수조외벽으로 이루어진 수조본체;
    상기 수조본체 상부에는 수조본체를 횡단하는 길이를 갖는 공급용 파이프가 하나 이상 설치되고;
    공급용 파이프에는 수조본체 바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가 형성되어;
    수조본체로부터 공급받은 사육수를 하나 이상의 지지대 배관을 통해 수조본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공급용 파이프는 사육수 공급 입구에서 멀어질수록 파이프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
  3. 제2항에 있어서, 공급용 파이프로부터 수조본체바닥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지지대의 일부에는 밸브가 형성되고, 파이프 선단에는 벤추리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
  4. 제3항에 있어서, 공급용 파이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대는 안테나식 또는 주름식 자바라 형태를 갖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
  5. 제4항에 있어서, 공급용 파이프는 공급펌프와 연결되고, 공급펌프와 연결된 흡입구에는 사육수, 미생물, 시약, 사료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액체상 또는 고체상 물질을 투입할 수 있는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
KR20130065564A 2013-06-08 2013-06-08 사육수와 양분 공급이 가능한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 KR101508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564A KR101508054B1 (ko) 2013-06-08 2013-06-08 사육수와 양분 공급이 가능한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5564A KR101508054B1 (ko) 2013-06-08 2013-06-08 사육수와 양분 공급이 가능한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883A true KR20140143883A (ko) 2014-12-18
KR101508054B1 KR101508054B1 (ko) 2015-04-07

Family

ID=5267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5564A KR101508054B1 (ko) 2013-06-08 2013-06-08 사육수와 양분 공급이 가능한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0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674A (ko) * 2015-11-30 2017-06-08 엔유씨 주식회사 바이오플락 양식수조용 첨가제 자동공급장치
KR102267033B1 (ko) 2020-03-18 2021-06-18 리즌인터내셔널(주) 미생물을 활용한 양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435B1 (ko) 2015-11-03 2015-12-24 엔유씨 주식회사 트랩을 이용한 바이오플락 시스템 양식수조의 슬러지 제어 장치
CN105794714B (zh) * 2016-05-13 2018-04-24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一种养殖池塘残饵及粪便自动抽取装置
KR102655729B1 (ko) * 2017-02-17 2024-04-09 가부시키가이샤 닛스이 양식 시스템 및 수산생물의 생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692Y1 (ko) * 2001-12-24 2002-03-12 윤동현 양어장의 수조바닥 세척장치
KR100706273B1 (ko) * 2005-09-29 2007-04-12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순환여과양식시스템 및 새우 사육수 순환여과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2674A (ko) * 2015-11-30 2017-06-08 엔유씨 주식회사 바이오플락 양식수조용 첨가제 자동공급장치
KR102267033B1 (ko) 2020-03-18 2021-06-18 리즌인터내셔널(주) 미생물을 활용한 양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054B1 (ko)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85097B (zh) 一种循环式水产养殖装置及方法
KR20140143882A (ko) 가이드레일을 갖는 바이오플락용 자동 양식 수조
CN203692217U (zh) 一种沉淀分离式养殖池
KR101508054B1 (ko) 사육수와 양분 공급이 가능한 천장 배관이 형성된 바이오플락용 수조
CN103478055A (zh) 一种南美白对虾室内工厂化培育装置
CN102037922B (zh) 一种工厂化水产养殖循环水的处理方法
CN108849693A (zh) 一种池塘循环流水环形槽养殖系统
KR101508055B1 (ko) 생물학적 스키머를 이용한 바이오플락용 복합양식수조
CN105621794B (zh) 一种集约化海水养殖废水的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WO2014190571A1 (zh) 一种结合水产养殖及无土农业种植的系统
CN103719011B (zh) 一种沉淀分离式养殖池
TWI504345B (zh) 多重立體式生態循環養殖系統
CN113213710A (zh) 海水工厂化大棚养殖南美白对虾尾水处理系统和方法
CN108298767A (zh) 一种水产养殖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207885493U (zh) 一种新型绿色水产养殖水处理系统
CN107751085A (zh) 一种基于微藻膜生物反应器的循环海水养殖系统
CN112616769A (zh) 一种淡水工厂化养殖的水处理装置
CN209113657U (zh) 一种池塘循环水预处理系统
CN205337242U (zh) 活鱼养殖池
CN205455396U (zh) 一种叠式鱼虾循环水混养系统
CN211211022U (zh) 一种分区养殖池塘
CN211631400U (zh) 循环养殖的圆锅底水池
CN208791377U (zh) 一种水产养殖池水体高效净化的装置
CN109169470B (zh) 一种青蟹种蟹培育循环水养殖系统
CN106630427A (zh) 养殖排泄物预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