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999A -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Google Patents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42999A KR20140142999A KR20130064868A KR20130064868A KR20140142999A KR 20140142999 A KR20140142999 A KR 20140142999A KR 20130064868 A KR20130064868 A KR 20130064868A KR 20130064868 A KR20130064868 A KR 20130064868A KR 20140142999 A KR20140142999 A KR 201401429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image
- image capturing
- disposed
- captur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24 fore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구강용 영상촬영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는: 몸체; 몸체에 배치되는 조명부; 몸체에 배치되는 영상 촬영부; 몸체에 연결되는 커플링 조인트; 및 커플링 조인트에 연결되어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강용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상태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구강용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나 병원 등에서는 치아나 구강을 보기 위해 구강 검사기를 사용한다.
구강 검사기는 몸체와, 몸체의 끝단부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거울을 포함한다. 구강 검사기는 거울을 구강에 집어넣고 몸체의 각도를 변경시키면서 치아나 구강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한다. 치아나 구강의 상태를 보고 치아나 구강의 치료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3877호(2010. 03. 31 공개, 발명의 명칭: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의사나 제3자를 통해서 자신의 치아나 구강 상태를 들을 수 있으므로, 자신의 치아나 구강 상태를 직접 보기 곤란했다. 또한, 감사자가 구강 검사기의 각도에 따라 머리나 허리를 다양한 각도로 틀면서 치아나 구강의 상태를 검사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신의 치아나 구강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사자가 머리나 허리를 거의 틀지 않고 치아나 구강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조명부;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영상 촬영부;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커플링 조인트; 및 상기 커플링 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플링 조인트는, 상기 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조인트 소켓부;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소켓부의 상기 수용부에 구름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조인트 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와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커플링 조인트에 의해 상기 몸체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자 장치에 송신하는 영상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송신부는 상기 영상을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커플링 조인트가 연결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조명부와 상기 영상 촬영부가 배치되고, 상기 영상 촬영부의 촬영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플랙시블하게 형성되는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제1조명부;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제1영상 촬영부;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제2조명부;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제2영상 촬영부;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커플링 조인트; 및 상기 커플링 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제1조명부, 상기 제1영상 촬영부 및 상기 디드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조명부와 상기 제2영상 촬영부가 배치되는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촬영부는 안모용 카메라이고, 상기 제2영상 촬영부는 상기 안모용 카메라보다 촬영 거리가 짧은 접사용 카메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자신의 치아나 구강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되므로, 검사자가 머리나 허리를 틀지 않고도 치아나 구강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부와 영상 촬영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인트 소켓부의 일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영상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구강용 영상촬영장치에서 제1바디와 제2바디의 회전 구조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영상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부와 영상 촬영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인트 소켓부의 일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영상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구강용 영상촬영장치에서 제1바디와 제2바디의 회전 구조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영상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부와 영상 촬영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는 몸체(110), 조명부(120), 영상 촬영부(130), 커플링 조인트(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검사자가 손으로 잡고 구강 내부로 집어넣기 용이하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 몸체(1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는 구강에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의 일단부에는 몸체(110)의 표면보다 약간 높게 돌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는 몸체(110)의 일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20)는 몸체(110)에 배치된다. 이때, 조명부(120)는 몸체(110)의 돌출부(115)에 다수 배치된다. 조명부(120)는 엘이디 램프(LED lamp)일 수 있다. 엘이디 램프는 소비 전력이 적고, 조도가 높다. 도 2에서는 조명부(120)가 4개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었으나 조명부(120)의 조도에 따라 조명부(120)의 개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영상 촬영부(130)는 몸체(110)에 배치된다. 이때, 영상 촬영부(130)는 몸체(110)의 돌출부(115)에 다수 배치된다. 영상 촬영부(130)는 치아나 구강 내부의 영상을 촬영한다. 영상 촬영부(13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조명부(120)와 영상 촬영부(130)는 구강 내의 침과 습기가 침투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한, 몸체(110)는 침과 습기와 같은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매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커플링 조인트(140)는 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 조인트(14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영상 촬영부(130)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커플링 조인트(140)에 연결되어 몸체(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0)는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검사자가 영상 촬영부(130)를 구강에 집어넣고 다양한 각도에서 치아나 구강의 상태를 촬영할 때에, 디스플레이부(150)를 보기 편안한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110)의 각도가 변경되더라도 디스플레이부(150)를 회전시키면 되므로, 검사자가 몸체(110)의 각도가 변할 때마다 몸이나 머리를 거의 틀지 않고 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를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키면, 피검사자가 직접 치아나 구강의 상태를 영상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피검사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명부(120)와 영상 촬영부(130)는 몸체(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부(150)는 커플링 조인트(140)에 의해 몸체(110)의 타측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부(150)가 조명부(120)와 영상 촬영부(130)의 반대편에 설치되므로, 디스플레이부(150)가 피검사자의 얼굴로부터 멀리 위치된다. 따라서, 피검사자의 눈이 디스플레이부(150)로부터 충분히 떨어지므로, 피검사자가 디스플레이부(150)를 편안하게 볼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50)가 피검사자의 눈에 너무 가까이 위치되면, 피검사자가 디스플레이부(150)를 보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150)가 조명부(120)와 충분히 멀리 배치되도록 조명부(120)의 반대편에 배치시키는 것이다.
몸체(110)에는 배터리부(167)가 더 포함된다. 배터리부(167)는 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배터리부(167)는 몸체(110)에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부(167)가 몸체(110)의 두께를 증가시키므로, 검사자의 손이 배터리부(167)와 몸체(110)를 감싼 상태로 잡을 수 있다. 배터리부(167)는 손잡이 역할도 수행한다. 배터리부(167)는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몸체(110)에는 조명부(120), 영상 촬영부(130), 디스플레이부(150)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160)가 설치된다. 조작부(160)는 조명부(120), 영상 촬영부(130), 디스플레이부(150)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스위치일 수 있다. 조작부(120)에 손을 접촉시키면 비디오 모드로 전환되고, 조작부(120)에서 손가락을 떼면 영상 촬영부(130)가 카메라 모드로 전환된다. 비디오 모드에서는 영상 촬영부(130)에서 촬영되는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0)에 계속적으로 전송하고, 카메라 모드에서는 손가락을 떼는 순간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0)에 전송된다.
도 3은 도 1의 조인트 소켓부의 일 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플링 조인트(140)는 조인트 소켓부(141)와 조인트 볼부(145)를 포함한다.
조인트 소켓부(141)는 몸체(110)와 디스플레이부(15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조인트 소켓부(141)의 내부에는 수용부(143)가 형성된다. 수용부(143)는 구형태의 공간일 수 있다.
조인트 볼부(145)는 몸체(110)와 디스플레이부(150)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된다. 조인트 볼부(145)는 조인트 소켓부(141)의 수용부(143)에 구름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조인트 볼부(145)는 수용부(143)의 공간과 동일한 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 조인트(140)가 디스플레이부(150)의 둘레부 중앙 정도에 설치된다면, 디스플레이부(150)의 회전 궤적이 감소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조인트(140)는 디스플레이부(150)의 모서리부 또는 모서리 근처에 연결되므로, 디스프레이부의 회전 궤적을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0)가 영상을 보기에 가장 편안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 조인트(14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는 몸체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2실시예의 몸체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몸체(110)는 커플링 조인트(140)가 연결되는 제1몸체(111)와, 제1몸체(111)에 연결되는 제2몸체(112)를 포함한다.
제1몸체(111)은 커플링 조인트(140)의 연결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갖는다. 또한, 제1몸체(111)은 디스플레이부(150)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갖는다.
제2몸체(112)에는 조명부(120)와 영상 촬영부(130)가 배치된다. 이때, 제2몸체(112)에는 돌출부(115)가 형성되고, 조명부(120)와 영상 촬영부(130)가 돌출부(115)에 배치된다.
제2몸체(112)는 영상 촬영부(130)의 촬영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제2몸체(112)는 검사자가 일정한 형태로 구부린 후 외력을 제거하면 구부려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영상 촬영부(130)가 다양한 각도에서 치아나 구강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검사자도 편안한 자세에서 치아나 구강 내부를 검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는 영상을 전자 장치에 송신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3실시예에서는 영상을 전자 장치에 송신하는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몸체(110)에는 영상 촬영부(1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자 장치(18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영상 송신부(17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영상 송신부(171)는 영상을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일 수 있다.
영상 송신부(171)는 지그비(Zigbee), 와아파이(WiFi), 불루투스(Bluetooth), 무선하트통신(WirelessHART), 와이맥스(WiMAX), LTE 등과 같은 영상 송신 방식으로 영상을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8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다양한 원격 통신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장치로는 컴퓨터, 무선통신 단말기, PDA, 노트패드 등 다양한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는 영상 촬영부(1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영상 저장부(17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영상 저장부(175)는 구강이나 치아의 영상을 저장하므로, 검사자나 피검사자가 원하는 때에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영상 촬영부(130)와 조명부(120)는 제어부(17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영상 저장부(175), 영상 송신부(171) 및 디스플레이부(150) 역시 제어부(17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구강용 영상촬영장치는 몸체(110), 제1조명부(121), 제1영상 촬영부(131), 제2조명부(122), 제2영상 촬영부(132), 커플링 조인트(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검사자가 손으로 잡고 구강 내부로 집어넣기 용이하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된다. 몸체(11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는 구강에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의 양단부에는 몸체(110)의 표면보다 약간 높게 돌출부(115,116)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는 몸체(110)의 일측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10)는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를 포함한다. 제1몸체(111)에는 제1조명부(121), 제1영상 촬영부(131) 및 디스플레이부(130)가 배치된다. 제2몸체(112)에는 제2조명부(122)와 제2영상 촬영부(132)가 배치된다.
제1몸체에는 집게 손가락과 손바닥이 만나는 부분(도 7의 하측)에 편안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112)는 제1몸체(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제2몸체(112)는 제1몸체(111)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1몸체(111)에는 결합홈(111a)이 형성되고, 제2몸체(112)에는 결합홈(111a)에 결합되도록 결합돌기(11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111)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제2몸체(112)에는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112)가 제1몸체(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는 다양하게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112)는 제1몸체(111)에 대략 220˚ 정도 범위에서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111)에는 걸림돌기(111b)를 형성하고, 제2몸체(112)에는 제1몸체(111)의 걸림돌기(111b)가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도록 가이드홈(112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111)에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제2몸체(112)에는 가이드홈에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112)와 제1몸체(11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1영상 촬영부(131)와 제2영상 촬영부(132)의 촬영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제1영상 촬영부(131)가 얼굴이나 치아를 가장 잘 볼 수 있는 각도로 회전되고, 제2영상 촬영부(132)가 치아의 일부나 구강의 일부를 가장 잘 볼 수 있는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영상 촬영부(131)와 제2영상 촬영부(132)가 구강의 내부와 외부에서 다양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상 촬영부(131)와 제2영상 촬영부(132)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므로, 제1영상 촬영부(131)와 제2영상 촬영부(132)의 촬영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조명부(121)는 몸체(110)의 일측에 배치된 제1몸체(111)에 배치된다. 이때, 제1조명부(121)는 몸체(110)의 돌출부(116)에 다수 배치된다. 제1조명부(121)는 엘이디 램프(LED lamp)일 수 있다.
제1영상 촬영부(131)는 몸체(110)의 일측에 배치된 제1몸체(111)에 배치된다. 이때, 제1영상 촬영부(131)는 제1몸체(111)의 돌출부(116)에 다수 배치된다. 제1영상 촬영부(131)는 제2영상 촬영부(132)에 비해 촬영 거리가 상대적으로 먼 안모용 카메라일 수 있다. 제1영상 촬영부(131)는 얼굴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 얼굴 전체나 앞니 전체에 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1영상 촬영부(131)는 몸체에 대하여 대략 20-30˚ 정도 경사진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1몸체(111)의 일측(도 7의 좌측)이 대략 20-30˚ 정도 경사지게 만곡되고, 제1몸체(111)의 만곡된 부분에 제1영상 활영부(13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조명부(122)는 몸체(110)의 타측에 배치된 제2몸체(112)에 배치된다. 이때, 제2조명부(122)는 몸체(110)의 돌출부(115)에 다수 배치된다. 제2조명부(122)는 엘이디 램프(LED lamp)일 수 있다.
제2영상 촬영부(132)는 몸체(110)의 타측에 배치된 제2몸체(112)에 배치된다. 이때, 제2영상 촬영부(132)는 제2몸체(112)의 돌출부(115)에 다수 배치된다. 제2영상 촬영부(132)는 제1영상 촬영부(131)에 비해 촬영 거리가 짧은 접사용 카메라일 있다. 제2영상 촬영부(132)는 치아의 일부나 구강의 일부에 관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2영상 촬영부(132)는 몸체(110)에 대햐여 대략 20-30˚ 정도 경사진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제2몸체(112)의 일측(도 7의 우측)이 대략 20-30˚ 정도 경사지게 만곡되고, 제2몸체(112)의 만곡된 부분에 제2영상 활영부(13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몸체(112)의 만곡된 부분은 제1몸체(111)의 만곡된 부분과 반대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커플링 조인트(140)는 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 조인트(14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1영상 촬영부(131)와 제2영상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0)는 조작부(160)의 조작에 따라 제1영상 촬영부(131)와 제2영상 촬영부(132)에서 촬영된 영상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화면이 구획됨에 따라 제1영상 촬영부(131)와 제2영상 촬영부(132)에서 촬영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커플링 조인트(140)에 연결되어 몸체(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0)는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검사자가 제2영상 촬영부(131)를 구강에 집어넣고 다양한 각도에서 치아나 구강의 상태를 촬영할 때에, 디스플레이부(150)를 보기 편안한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110)의 각도가 변경되더라도 디스플레이부(150)를 회전시키면 되므로, 검사자가 몸체(110)의 각도가 변할 때마다 몸이나 머리를 거의 틀지 않고 영상을 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를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키면, 피검사자가 직접 치아나 구강의 상태를 영상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피검사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몸체(110)에는 조명부(120), 영상 촬영부(130), 디스플레이부(150)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160)가 설치된다. 조작부(160)는 조명부(120), 영상 촬영부(130), 디스플레이부(150)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스위치일 수 있다. 조작부(120)에 손을 접촉시키면 비디오 모드로 전환되고, 조작부(120)에서 손가락을 떼면 영상 촬영부(130)가 카메라 모드로 전환된다. 비디오 모드에서는 영상 촬영부(130)에서 촬영되는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0)에 계속적으로 전송하고, 카메라 모드에서는 손가락을 떼는 순간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0)에 전송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몸체 111: 제1몸체
111a: 결합홈 111b: 걸림돌기
112: 제2몸체 112a: 결합돌기
112b: 가이드홈 115,116: 돌출부
120: 조명부 130: 영상 촬영부
140: 커플링 조인트 141: 조인트 소켓부
143: 수용부 145: 조인트 볼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조작부
167: 배터리부 171: 영상 송신부
173: 제어부 175: 영상 저장부
180: 전자 장치
111a: 결합홈 111b: 걸림돌기
112: 제2몸체 112a: 결합돌기
112b: 가이드홈 115,116: 돌출부
120: 조명부 130: 영상 촬영부
140: 커플링 조인트 141: 조인트 소켓부
143: 수용부 145: 조인트 볼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조작부
167: 배터리부 171: 영상 송신부
173: 제어부 175: 영상 저장부
180: 전자 장치
Claims (10)
- 몸체;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조명부;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영상 촬영부;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커플링 조인트; 및
상기 커플링 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조인트는,
상기 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조인트 소켓부; 및
상기 몸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소켓부의 상기 수용부에 구름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조인트 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와 상기 영상 촬영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커플링 조인트에 의해 상기 몸체의 타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자 장치에 송신하는 영상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송신부는 상기 영상을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커플링 조인트가 연결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조명부와 상기 영상 촬영부가 배치되고, 상기 영상 촬영부의 촬영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플랙시블하게 형성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몸체;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제1조명부;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제1영상 촬영부;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제2조명부;
상기 몸체에 배치되는 제2영상 촬영부;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커플링 조인트; 및
상기 커플링 조인트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조명부, 상기 제1영상 촬영부 및 상기 디드플레이부가 배치되는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조명부와 상기 제2영상 촬영부가 배치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 촬영부는 안모용 카메라이고,
상기 제2영상 촬영부는 상기 안모용 카메라보다 촬영 거리가 짧은 접사용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4868A KR101513864B1 (ko) | 2013-06-05 | 2013-06-05 |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64868A KR101513864B1 (ko) | 2013-06-05 | 2013-06-05 |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2999A true KR20140142999A (ko) | 2014-12-15 |
KR101513864B1 KR101513864B1 (ko) | 2015-04-21 |
Family
ID=5246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64868A KR101513864B1 (ko) | 2013-06-05 | 2013-06-05 |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1386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24724A1 (ko) * | 2016-12-29 | 2018-07-05 | 전자부품연구원 | 스캐너 장치 및 그 스캐닝 방법 |
KR102489853B1 (ko) * | 2022-05-19 | 2023-01-19 | (주)비포덴트 |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040305A1 (en) | 2008-09-24 | 2012-02-16 | Denstply International Inc. | Imaging device for dental instruments and methods for intra-oral viewing |
JP5543865B2 (ja) * | 2010-06-29 | 2014-07-09 | 株式会社アドバンス | 口腔内撮影システム |
-
2013
- 2013-06-05 KR KR1020130064868A patent/KR10151386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24724A1 (ko) * | 2016-12-29 | 2018-07-05 | 전자부품연구원 | 스캐너 장치 및 그 스캐닝 방법 |
KR102489853B1 (ko) * | 2022-05-19 | 2023-01-19 | (주)비포덴트 |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 |
KR20230161865A (ko) * | 2022-05-19 | 2023-11-28 | (주)비포덴트 |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 |
KR20230161866A (ko) * | 2022-05-19 | 2023-11-28 | (주)비포덴트 | 고정 초점 구강카메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13864B1 (ko) | 2015-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06478B2 (ja) | 内視鏡 | |
US20180263483A1 (en) | Dental Mirror Device with Affixed Camera | |
US8951187B2 (en) | Intraoral imaging system | |
US9655517B2 (en) | Portable eye imaging apparatus | |
CN204169813U (zh) | 便携式口腔内窥镜及移动通讯终端 | |
KR101321423B1 (ko) | 스마트폰을 이용한 의료용 화상시스템 | |
WO2011014204A1 (en) | Digital imaging ophthalmoscope | |
GB2511626A (en) |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 of anterior part of iris and medical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 |
TW200942206A (en) | Oral cavity insertion instrument and pharyngoscope apparatus | |
KR101513864B1 (ko) | 구강용 영상촬영장치 | |
JP6697389B2 (ja) | 可変焦点距離を有するハンドヘルド拡大機カメラ | |
KR101651604B1 (ko) | 치과용 구강 검사 시스템 | |
JP6675348B2 (ja) | 上下ボタンを備えた対象撮影装置及び対象撮影装置の作動方法 | |
CN115299863A (zh) | 便携式3d牙齿成像仪 | |
US20060274890A1 (en) |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s | |
US20100216086A1 (en) | Intra-oral image system having swivel head optic | |
KR20130049704A (ko) | 스마트폰을 이용한 검이경, 및 이에 사용되는 스페큘러 구조 | |
CN210300932U (zh) | 一种带有双摄像头的口腔内窥镜 | |
CN107735011B (zh) | 用于腔内可视检查的设备 | |
KR101979787B1 (ko) | 투영기능을 갖는 이동통신장치 | |
KR20150142289A (ko) | 의료진단용 영상 촬영 장치 | |
TW201700904A (zh) | 攝像裝置 | |
JP3165515U (ja) | 口腔内内視装置の無段階調整式ディスプレイ | |
WO2020145238A1 (ja) | 口腔内観察デバイス | |
JP2005237818A (ja) | 内視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