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913A -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913A
KR20140142913A KR1020130064655A KR20130064655A KR20140142913A KR 20140142913 A KR20140142913 A KR 20140142913A KR 1020130064655 A KR1020130064655 A KR 1020130064655A KR 20130064655 A KR20130064655 A KR 20130064655A KR 20140142913 A KR20140142913 A KR 20140142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oor lock
light emitting
driv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효
김평회
정연홍
유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주식회사 루키스
주식회사 써드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주식회사 루키스, 주식회사 써드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30064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2913A/ko
Publication of KR2014014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33Seats; Arm rests; Head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2/981Warning systems, e.g. the seat or seat parts vibrates to warn the passenger when facing a d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어잠금장치의 신호를 송신하는 도어잠금 송신부와, 도어잠금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는 도어잠금 수신부와, 다수의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시트 발광수단과, 도어잠금 수신부로부터 도어잠금 해제신호가 수신되면 시트 발광수단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운전자가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조작에 따라 시트에 구비되는 시트 발광수단이 점등되고, 이에 운전자가 차량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LLUMINATING DEVICE FOR VEHICLE SEA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일루미네이팅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작동시 시트를 발광하도록 하여 차량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일루미네이팅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의 둔부가 안착되며 차체의 바닥면에 설치된 소정의 이송수단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는 시트쿠션, 시트쿠션의 후단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설치되며 소정 각도 조절수단을 매개로 전, 후 방향으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시트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용 시트에는 시트백을 폴딩시켜 공간의 확장을 극대화 하거나, 3도어 차량에서 전방시트를 슬라이딩시켜서 리어시트로의 탑승을 편리하게 하는 것과 같이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편의 장치가 구비되는 시트가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06-0010948(특허문헌1), 한국특허 등록번호 10-0649090(특허문헌2)에 개시되어 있다.
최근에는 탑승자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효과 즉, 차량의 실내 디자인이나 시각적인 효과로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중 시트에 발광기능을 갖추어 야간에 발광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트가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시트가 일본특허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86965호(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특허문헌3에서의 시트는 발광을 위하여 발광 섬유나 형광 도료를 사용하여 발광한 것으로, 단순히 야간에 시트를 식별하거나 시트 주변을 조명하기 위하여 제한된 것이며, 발광량이 작아 먼거리에서 식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06-0010948 한국특허 등록번호 10-0649090 일본특허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18696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트에 LED를 이용한 발광수단을 구비하고,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작동시 시트를 발광하도록 하여 차량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일루미네이팅 장치와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차량의 시동 후에 시트벨트가 착용되지 않을 때 시트의 발광수단이 발광되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일루미네이팅 장치와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도어잠금장치에 구비되고,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조작시 도어잠금장치의 신호를 송신하는 도어잠금 송신부와, 차량에 구비되고, 도어잠금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는 도어잠금 수신부와, 시트에 구비되며, 발광되는 다수의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시트 발광수단과, 도어잠금 수신부로부터 도어잠금 해제 및 잠금신호를 수신하고, 도어잠금 해제신호가 수신되면 시트 발광수단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트 발광수단이 점등된 후에 운전자의 도어핸들 조작을 검출하여 도어핸들 조작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도어핸들 조작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도어핸들 조작검출부로부터 도어핸들 조작신호가 수신되면 점등된 시트 발광수단을 오프(OFF) 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에 구비되며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운전자가 시트에 착석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시트착석 검출부와, 시트착석 검출부로부터 운전자의 시트 착석신호를 수신하여 엔진의 작동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엔진 작동검출부와, 엔진 작동 검출부로부터 엔진 작동 상태가 검출되면 운전자의 시트벨트 착용을 검출하기 위한 시트벨트 착용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 밖에서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도어잠금버튼을 눌러 조작하는 무선 도어잠금장치 조작단계와, 무선 도어잠금장치 조작에 의해 차량의 도어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면 시트 발광수단을 점등시키는 시트 발광수단 점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트 발광수단 점등 단계 이후에, 운전자가 도어핸들을 조작하여 도어를 개방하면 점등된 시트 발광수단을 오프시키는 시트 발광수단 오프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 발광수단 오프단계 이후에, 시트에 운전자가 착석한 상태가 검출되면 엔진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엔진 작동검출 단계와, 엔진의 작동검출 단계 이후에 운전자의 시트벨트 착용을 검출하는 시트백 착용 검출단계와, 운전자의 시트벨트 착용이 검출되지 않으면 시트 발광수단을 제어하여 점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조작에 따라 시트에 구비되는 시트 발광수단이 점등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운전하고자 엔진의 시동을 걸고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시트의 시트 발광수단을 점등시킴으로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어 사고시 시트벨트 미착용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크게 다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발광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를 보인 정면과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일루미네이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발광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를 보인 정면과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일루미네이팅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시트(10)는 도 1과 같이, 시트 쿠션(11), 시트 백(12), 헤드레스트(13)를 포함한다. 이 차량용 시트(10)의 시트쿠션(11), 시트백(12), 헤드레스트(13)에서 각각의 가장자리에 시트 발광수단(170)이 구비된다.
여기서, 시트쿠션(11)은 푹신푹신하도록 탄성을 갖는 쿠션부재와, 이 탄성부재의 표면을 감싸는 표피제로 구성된다. 시트백(12)과 헤드레스트(13)도 쿠션부재, 쿠션부재의 표면을 감싸는 표피제로 구성된다.
따라서, 시트 발광수단(170)은 시트쿠션(11), 시트백(12), 헤드레스트(13)에 모두 구비되되, 쿠션부재와 표피제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 시트 발광수단(170)은 LED유닛으로 구성된다. 즉, LED유닛은 원형의 두께를 가지는 케이블 형태로 형성되어 시트쿠션(11), 시트백(12), 헤드레스트(13)에 각각 구비되되, 도 1과 같이, 시트쿠션(11), 시트백(12), 헤드레스트(13)의 각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LED 유닛은 다수의 LED 소자를 늘어놓아 구성하되,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가 공급되어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케이블은 반투명이나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LED 소자가 발광할 때, 빛이 케이블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LED 유닛을 구성하는 다수의 LED소자는 3원색(Red, Green, Blue)의 발광색을 가지는 LED소자가 교대로 배설되어 LED 유닛을 구성하고 있어, 모든 색상의 표현을 가능하게 구성하게 된다.
물론, 시트 발광수단(170)의 LED소자를 단색 혹은 3원색(R,G,B) 이외의 발광색을 가지는 LED소자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트 발광수단이 LED소자를 이용하고 있지만, EL소자나 백열등, 전계 발광섬유 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시트 발광수단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일루미네이팅 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을 탑승하기 전에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조작시 시트에 구비되는 시트 발광수단(170)이 점등되어 운전자가 차량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잠금 송신부(110), 도어잠금 수신부(120), 도어핸들 조작검출부(130), 제어부(180), 시트 착석 검출부(140), 엔진작동 검출부(150), 시트벨트 착용검출부(160), 시트 발광수단(170)을 포함한다.
먼저, 무선 도어잠금장치는 리모콘 형태로 구성되며, 도어 잠금 및 잠금해제 버튼, 시동버튼이 구비된다. 이 무선 도어잠금장치에는 도어잠금 송신부(110)가 구비된다.
도어잠금 수신부(120)는 차량에 장착되며 운전자가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도어잠금버튼을 조작할 때 도어잠금 송신부(110)에서 송신한 신호를 받아서 제어부(18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80)는 차량에 구비되며, 도어잠금 수신부(120)에 연결되어, 도어 잠금 및 잠금해제 신호를 도어잠금 수신부(120)로부터 전달받아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잠금 장치와 시트 발광수단(17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어핸들 조작검출부(130)는 운전자가 차량을 탑승하기 위하여 도어핸들을 조작하였을 때,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핸들이 작동되는 것을 검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도어핸들 조작검출부(130)는 제어부(180)에 연결되며, 제어부(180)로 운전자에 의해 도어핸들이 조작되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것을 검출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어부(180)는 도어잠금 수신부(120)로부터 도어잠금 해제 신호를 전달받은 후에, 도어핸들 조작검출부(130)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를 전달받으면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작동에 의해 점등된 시트 발광수단(170)를 제어하여 오프(OFF)시키도록 구성된다.
시트 착석 검출부(140)는 시트(10)의 시트쿠션(11)에 구비되어 제어부(180)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시트쿠션(11)에 착석하는 것을 검출하여 운전자의 착석 상태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게 된다.
엔진 작동검출부(150)는 운전자가 착석하여 이그니션 스위치 조작하거나 이그니션 키박스에 키를 끼우고 차량의 시동을 작동시켰을 때, 엔진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여 엔진의 작동 상태를 제어부(18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시트벨트 착용검출부(140)는 기존에 시트벨트 착용하지 않으면 운전자에게 소리나 경고등으로 알리도록 구성되는 구성과 같게 구성되되, 운전자가 벨트를 착용한 것을 검출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즉, 시트벨트 착용검출부(140)는 운전자가 엔진의 시동을 걸면 운전자의 벨트 착용 상태를 제어부(180)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80)는 엔진 작동검출부(150)로부터 엔진이 시동되고, 시트벨트 착용검출부(140)로부터 시트벨트가 착용되었다는 신호가 전달되면 시트 발광수단(170)를 오프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엔진 작동검출부(150)로부터 엔진이 시동되고, 시트벨트 착용검출부(140)로부터 운전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았다는 신호가 전달되면 시트 발광수단(170)이 점등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의 제어방법은,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도어잠금버튼을 눌러 조작하는 단계를 갖는다. (S10)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조작 단계(S10)는, 운전자가 외부에서 차량의 도어 잠금 장치의 도어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도어잠금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때, 무선 도어잠금장치에 구비되는 도어잠금 송신부(110)에서 도어잠금 해제 신호를 차량에 구비되는 도어잠금 수신부(120)로 보내게 된다. 그러면, 도어잠금 수신부(120)는 도어잠금 송신부(110)로부터 도어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로 보내게 된다.(S11)
이후에, 제어부(180)는 도어잠금 수신부(120)의 도어잠금 해제신호를 수신한 후에, 도어 잠금장치의 도어잠금을 해제함과 동시에 시트 발광수단(170)가 작동시켜 온(ON)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갖는다. (S20)
시트 발광수단(170)의 작동하여 온(ON)시키는 단계(S20)는, 운전자가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버튼을 작동시키면, 제어부(180)가 도어잠금 수신부(120)로부터 도어잠금 해제신호를 전달받은 후에 시트 발광수단(170)를 온(ON) 시켜서 운전자가 차량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후에,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핸들 조작검출부(130)에서 도어핸들의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를 갖는다. (S30)
이 도어핸들 조작 검출단계(S30)는 운전자가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한 후에, 차량을 찾은 후에 차량에 탑승을 위하여 도어 핸들을 조작할 때, 이 도어핸들을 조작하는 것을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핸들 조작검출부(130)가 검출하는 단계이다.
이 도어핸들 조작검출부(130)는 제어부(180)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도어핸들을 조작하게 되면 도어핸들의 조작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게 된다.
이후에, 도어핸들 조작검출부(130)로 도어핸들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80)는 작동되고 있는 시트 발광수단(170)를 제어하여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갖는다. (S40)
한편, 상기와 같이, 제어부(180)가 시트 발광수단(170)를 오프시키는 단계 이후에,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시트에 착석한 상태를 검출한 후에, 엔진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갖는다. (S50)
엔진 작동상태 검출단계(S50)는,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면, 시트에 구비되는 시트 착석 검출부(140)에서 운전자가 착석한 상태를 검출하게 되면, 엔진 작동검출부(150)에서 엔진의 작동 여부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송신하게 된다.
이후에, 엔진 작동검출부(150)에서 운전자가 이그니션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엔진의 작동이 검출되면, 시트벨트 착용검출부(160)에서 운전자의 시트벨트 착용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갖는다. (S60)
시트벨트 착용 검출단계(S60)는 제어부(180)에 엔진 작동검출부(150)로부터 송신된 엔진의 작동 중인 신호가 수신되면, 시트벨트 착용검출부(160)에서 시트벨트 착용 상태를 검출하여 운전자의 시트벨트 착용상태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송신하게 되는 단계이다.
이후에 운전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시트 발광수단(170)를 제어하여 점등시키는 단계를 갖는다. (S70)
즉, 제어부(180)는 시트벨트 착용검출부(16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가 운전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라면 시트 발광수단(170)의 오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시트벨트 착용검출부(160)로부터 수신하는 신호가 운전자가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라면 시트 발광수단(170)를 제어하여 시트 발광수단(170)를 점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운전자가 시트 발광수단(170)의 점등하는 경고에 의해 시트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제어부(180)는 시트 발광수단(170)로부터 시트벨트 착용을 검출 신호 수신하여 시트 발광수단(170)의 작동을 오프(OFF) 시키는 제어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는 운전자가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조작에 따라 시트에 구비되는 시트 발광수단(170)가 점등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가 운전하고자 엔진의 시동을 걸고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 시트의 시트 발광수단(170)를 점등시킴으로 운전자에게 경고할 수 있어 사고시 시트벨트 미착용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크게 다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도어잠금 송신부
120 : 도어잠금 수신부
130 : 도어핸들 조작검출부
140 : 시트 착석 검출부
150 : 엔진 작동 검출부
160 : 시트벨트 착용검출부
170 : 시트 발광수단
180 : 제어부

Claims (6)

  1. 무선 도어잠금장치에 구비되고,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조작시 도어잠금장치의 신호를 송신하는 도어잠금 송신부;
    차량에 구비되고, 도어잠금장치의 신호를 수신하는 도어잠금 수신부;
    시트에 구비되며, 발광되는 다수의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시트 발광수단;
    도어잠금 수신부로부터 도어잠금 해제 및 잠금신호를 수신하고, 도어잠금 해제신호가 수신되면 시트 발광수단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시트 발광수단이 점등된 후에 운전자의 도어핸들 조작을 검출하여 도어핸들 조작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도어핸들 조작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도어핸들 조작검출부로부터 도어핸들 조작신호가 수신되면 점등된 시트 발광수단을 오프(OFF)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시트에는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운전자가 시트에 착석하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시트착석 검출부;
    시트착석 검출부로부터 운전자의 시트 착석신호를 수신하여 엔진의 작동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엔진 작동검출부;
    엔진 작동 검출부로부터 엔진 작동 상태가 검출되면 운전자의 시트벨트 착용을 검출하기 위한 시트벨트 착용검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
  4. 운전자가 차량 밖에서 무선 도어잠금장치의 도어잠금버튼을 눌러 조작하는 무선 도어잠금장치 조작단계;
    무선 도어잠금장치 조작에 의해 차량의 도어잠금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면 시트 발광수단을 점등시키는 시트 발광수단 점등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시트 발광수단 점등 단계 이후에, 운전자가 도어핸들을 조작하여 도어를 개방하면 점등된 시트 발광수단을 오프시키는 시트 발광수단 오프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시트 발광수단 오프단계 이후에, 시트에 운전자가 착석한 상태가 검출되면 엔진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엔진 작동검출 단계;
    엔진의 작동검출 단계 이후에 운전자의 시트벨트 착용을 검출하는 시트백 착용 검출단계;
    운전자의 시트벨트 착용이 검출되지 않으면 시트 발광수단을 제어하여 온(ON) 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064655A 2013-06-05 2013-06-05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2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655A KR20140142913A (ko) 2013-06-05 2013-06-05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655A KR20140142913A (ko) 2013-06-05 2013-06-05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913A true KR20140142913A (ko) 2014-12-15

Family

ID=5246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655A KR20140142913A (ko) 2013-06-05 2013-06-05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291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381B1 (ko) * 2015-04-20 2016-09-09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 실내 바닥 조명 제어시스템
WO2020061136A1 (en) * 2018-09-18 2020-03-26 Tactual Labs Co. Biometric frequency
CN113302146A (zh) * 2018-12-27 2021-08-24 三菱物捷仕株式会社 叉车
WO2022094369A3 (en) * 2020-10-31 2022-06-23 Tactual Labs Co. Seat algorithm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381B1 (ko) * 2015-04-20 2016-09-09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차량 실내 바닥 조명 제어시스템
WO2020061136A1 (en) * 2018-09-18 2020-03-26 Tactual Labs Co. Biometric frequency
CN113302146A (zh) * 2018-12-27 2021-08-24 三菱物捷仕株式会社 叉车
WO2022094369A3 (en) * 2020-10-31 2022-06-23 Tactual Labs Co. Seat algorith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9491B2 (en) Vehicle start/stop button status feedback and lighting
US20040233677A1 (en) Car door handle module
KR20140142913A (ko) 자동차 시트용 일루미네이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013720B2 (en) Signal apparatus for facilitating safe backup of vehicles
US9694741B2 (en) Ambient functional lighting of a seat
JP6078032B2 (ja) 車載用警告装置
US20150145668A1 (en) Vehicle wheel assembly illumination lamp
JP2006232092A5 (ko)
WO2018008348A1 (ja) 報知装置
CN105034939A (zh) 带有低光强设置的车辆阅读灯
JP2020519515A5 (ko)
US8926149B2 (en) Side-view mirror assembly with selectively illuminating portion
JP2009292167A (ja) 発光機構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EP1479857A1 (en) Car door handle module
US20140098550A1 (en) Light Adjustable Car Threshold Pedal
US20150131303A1 (en) Vehicle for supporting lighting control function
JP4295481B2 (ja) 車両に用いられる操作スイッチの照明装置
JPH11105547A (ja) 車室側ドアハンドル表示照明装置
JP5326542B2 (ja) 警告灯付シート
JP2010162922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20140088626A (ko) 차량용 램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951936B2 (en) Door handle for a vehicle door
KR101130763B1 (ko) 액세서리 겸 실시간 점등감지용 모형장치
WO2013118394A1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06089948A (ja) スマートエントリ機能付き車両用施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