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2204A -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204A
KR20140142204A KR1020140154331A KR20140154331A KR20140142204A KR 20140142204 A KR20140142204 A KR 20140142204A KR 1020140154331 A KR1020140154331 A KR 1020140154331A KR 20140154331 A KR20140154331 A KR 20140154331A KR 20140142204 A KR20140142204 A KR 20140142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copolymer
weight
unit
styr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6197B1 (ko
Inventor
엄준근
이남정
곽상민
김범석
윤석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54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19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12Monomers containing a branched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or a ring substituted by an alk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30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two or more oxygen atoms in the alcohol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에 관한 것으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와 스티렌계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주쇄에 카보네이트 부를 갖는 방향족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광학적 특성이 뛰어난 동시에 광학적 투명도가 우수하며, 헤이즈가 적고,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필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은 다양한 용도로 디스플레이 장치 등 정보전자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RESIN COMPOSITIONS AND OPTICAL FILMS FORM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와 스티렌계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주쇄에 카보네이트 부를 갖는 방향족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편광판용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에 비해 소비 전력이 낮고,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기 때문에 광학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셀의 양측에 편광판을 설치한 기본 구성을 가지며, 구동회로의 전계 인가여부에 따라 액정 셀의 배향이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 편광판을 통해 나온 투과광의 특성이 달라지게 됨으로써 빛의 가시화가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편광판은 여러 개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막이 되는 편광자 보호필름이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편광필름의 한쪽 면에는 점착제를 통해 편광필름용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고, 또 다른 한쪽 면에는 광시야각 위상차 필름을 접착하고 그 위에 점착층를 통해 이형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의 친수성 고분자에 요오드 또는 2색성 염료를 흡착시키고, 연신 배향 시킨 것이 사용된다. 편광자의 내구성 및 기계적 물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편광자 보호필름이 사용되며, 이때 보호필름은 편광자의 편광특성과 같은 광학특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성 및 등방성이 요구되며, 내열성 및 점착제/접착제와의 접착성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상기 편광판 내의 편광자, 편광자 보호필름, 이형 보호필름, 광시야각 위상차 필름 등은 상호 간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부착되어 있는데, 각 구성 필름 사이의 접착력은 편광판의 광학특성 및 내구성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상기 편광자 보호필름으로는 요구특성에 기초하여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환상올레핀계 필름, 노르보르넨계 필름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계 필름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계 필름은 면내의 위상차 값은 작지만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이 비교적 커, 외부 응력의 작용에 따른 위상차 값이 발현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계 필름은 분자사슬 구조 내에 친수성 작용기가 많아 투습율이 크게 되고, 이로 인해 내열/내습 조건에서 보호필름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편광자에서 요오드 이온의 해리가 발생하여 편광자의 편광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온고습 시험 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의 변형 발생은 필름 내에 불균일한 광학적 이방성을 발현시키며, 그 결과 빛샘 현상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투명성과 광학 등방성이 우수한 재료로서,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가 또한 알려져 있으나, 아크릴계 수지는 외부 충격에 약하여 부서지기 쉽고 낮은 내열성으로 인해 고온고습 조건에서 편광판의 편광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광학적 특성이 뛰어나며 동시에 강도 및 내열 등 내구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와 같은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와 스티렌계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주쇄에 카보네이트 부를 갖는 방향족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의 알킬 부(moiety)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계 단위는 스티렌의 벤젠고리 또는 비닐기에 C1-4알킬 및 할로겐을 포함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쇄에 카보네이트 부를 갖는 방향족계 수지(B)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단위를 5 내지 10,000 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X는 적어도 하나의 벤젠 고리를 포함하는 2가 기이다.
Figure pat00001
(화학식 I)
상기 X는 하기 구조식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가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2

상기 공중합체와 방향족계 수지는 90:10 내지 99.5:0.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카르보닐기로 치환된 3 내지 6원소 헤테로고리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테로고리 단위(c)는 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글루탈산 무수물, 글루탈이미드, 락톤 및 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스티렌계 단위 및 헤테로고리 단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원 공중합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a)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80 내지 99.9 중량부 및 (b)스티렌계 단위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a)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80 내지 99.9 중량부, (b)스티렌계 단위 0.1 내지 10 중량부 및 (c)적어도 하나의 카르보닐기로 치환된 3 내지 6원소 헤테로고리 단위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와 방향족계 수지는 90:10 내지 99.5:0.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컴파운딩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이 제공되며, 상기 광학필름은 편광판용 보호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광학적 특성이 뛰어난 동시에 광학적 투명도가 우수하며, 헤이즈가 적고,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필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은 다양한 용도로 디스플레이 장치 등 정보전자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a)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와 (b)스티렌계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주쇄에 카보네이트 부를 갖는 방향족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는 연신 과정에서 필름에 부의 면 내 위상차(Rin)와 음의 두께 방향 위상차(Rth)를 약한 정도로 부여하고, 상기 스티렌계 단위는 강한 부의 면 내 위상차(Rin)와 음의 두께 방향 위상차(Rth)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주쇄에 카보네이트 부를 갖는 방향족계 수지는 정의 면 내 위상차(Rin) 특성 및 양의 두께 방향 위상차(Rth)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부의 면내 위상차란 연신 방향과 면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굴절률이 가장 커지는 것을 의미하고, 정의 면내 위상차란 연신방향으로 굴절율이 가장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음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두께 방향의 굴절율이 면 방향 평균 굴절률보다 큰 것을 의미하고, 양의 두께 방향 위상차는 면 내 평균 굴절률이 두께 방향 굴절률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각 단위의 특성에 의해, 이로부터 제조되는 광학 필름의 위상차 특성은 각 성분들의 조성, 연신 방향, 연신비 및 연신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성분의 조성과 연신 방법을 조절하여, 특히 제로(0) 위상차 필름, 즉 보호 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중합체라 함은, 본 명세서에서 '단위'로 언급된 요소가 단량체로 중합되어 공중합체 수지 내에서 반복 단위로서 포함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공중합 형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의미는, '알킬아크릴레이트계 단위'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위'모두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의 알킬 부(moiety)는 탄소수가 1 내지 4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계 단위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위(b)는 치환되지 않은 스티렌 단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스티렌의 벤젠고리 또는 비닐기에 지방족 탄화수소 및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스티렌을 포함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C1-4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단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α-메틸스티렌, p-브로모 스티렌, p-메틸 스티렌 및 p-클로로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및 p-메틸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쇄에 카보네이트 부를 갖는 방향족계 수지(B)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단위를 5 내지 10,000 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3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X는 적어도 하나의 벤젠 고리를 포함하는 2가 기이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X는 하기 구조식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가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4

상기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a)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80 내지 99.9 중량부 및 (b)스티렌계 단위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가 8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광학 필름의 투과도가 저해되는 문제가 있으며, 99.9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광학 필름의 내열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티렌계 단위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광학 필름의 위상차 제어에 문제가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방향족계 수지와 혼화성에 문제가 있다.
상기 공중합체와 방향족계 수지는 90:10 내지 99.5:0.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95:5 내지 99:1로 혼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공중합체가 이보다 적은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 광학 필름의 위상차 제어에 문제가 있으며, 이를 초과하는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 공중합체와 방향족계 수지에 혼화성에 문제가 있어 광학필름의 투과도를 저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중합체는 (c)적어도 하나의 카르보닐기로 치환된 3 내지 6원소 헤테로고리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헤테로고리 단위는 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글루탈산 무수물, 글루탈이미드, 락톤 및 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르보닐기로 치환된 3 내지 6원소 헤테로고리 단위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필름에 우수한 내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열된 단위는 방향족계 수지와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며, 상기 나열된 (c) 단위와 (a)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경우 공중합체와 방향족계 수지의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적어도 하나의 카르보닐기로 치환된 3 내지 6원소 헤테로고리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a)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80 내지 99.9 중량부, (b)스티렌계 단위 0.1 내지 10 중량부 및 (c)적어도 하나의 카르보닐기로 치환된 3 내지 6원소 헤테로고리 단위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가 8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광학 필름의 투과도를 저해하는 문제가 있으며, 99.9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광학필름의 내열특성 저하의 문제가 있다. 스티렌계 단위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광학필름의 위상차 제어에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방향족계 수지와 혼화성에 문제가 있어 광학 필름의 투과도를 저해하는 헤이즈를 유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르보닐기로 치환된 3 내지 6원소 헤테로고리 단위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광학 필름의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수지 특성이 불안정(brittle)하게 되어 제조된 광학 필름이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될 수 있다.
(c)적어도 하나의 카르보닐기로 치환된 3 내지 6원소 헤테로고리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공중합체와 방향족계 수지는 90:10 내지 99.5:0.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중합체가 이보다 적은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 광학 필름의 위상차 제어에 문제가 있으며, 이를 초과하는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 방향족계 수지와 혼화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을 컴파운딩범과 같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블렌딩함으로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들의 용융 혼합은 압출기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윤활제, 산화방지제, UV안정제, 열안정제 등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상기와 같은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획득한 후, 필름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을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의 제조 시에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어떠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압출 성형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을 진공 건조하여 수분 및 용존 산소를 제거한 후, 원료 호퍼(hopper)로부터 압출기를 질소 치환한 싱글 또는 트윈 압출기에 공급하고, 고온에서 용융하여 원료 펠렛을 얻고, 얻어진 원료 펠렛을 진공 건조하고, 원료 호퍼로부터 압출기까지를 질소 치환한 싱글 압출기로 용융한 후, 코트 행거 타입의 T-다이에 통과시키고, 크롬 도금 캐스팅 롤 및 건조 롤 등을 거쳐 필름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필름을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은 두께가 5~3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광학 필름의 광투과도는 90% 이상이고, 헤이즈(haze) 특성은 2.5%이하,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의 투과도가 90% 미만이고, 헤이즈가 2.5%를 초과하는 경우, 이러한 광학필름이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의 휘도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는 1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는 200℃ 이하일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리전이온도가 110℃ 미만인 경우, 내열성이 부족하여 고온 고습 조건에서 필름의 변형이 일어나기 쉽고 그로 인해 필름의 보상 특성이 불균일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내열성, 가공성, 생산성의 측면 등에서 5만 내지 5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편광판용 보호필름의 용도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편광자에 보호 필름으로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수계 접착제로 적층시킨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편광자로 사용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과 편광자용 보호 필름으로 사용된 TAC 필름을 모두 내열성과 내습성이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필름들로 이루어지는 편광판을 고온 또는 고습의 분위기 하에서 장시간 사용하면, 편광도가 저하되고, 편광자와 보호필름이 분리되거나 광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용도 면에서 여러 가지 제약을 받고 있는 바,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이러한 보호필름을 대체하는 편광자 보호필름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위상차는 하기 식에 따라 정의될 수 있으며, 면내 위상차(Rin) 및 두께 방향 위상차(Rth)로 구분된다.
Rin=(nx-ny) ×d,
Rth=[(nx+ny)/2 - nz)]×d
nx는 광학 필름의 면내 굴절율 중 가장 큰 굴절율이고,
ny는 광학 필름의 면내 굴절율 중 nx와 수직인 방향의 굴절율이고,
nz는 광학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율이고,
d는 필름의 두께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폴리(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o-메틸메타크릴레이트-co-α메틸-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98:2의 중량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수지 조성물을 원료 호퍼(hopper)로부터 압출기까지를 질소 치환한 24φ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250℃에서 용융하여 원료 펠렛(pellet)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수지는 DSC를 이용하여 유리전이 온도(Tg)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LG-DOW 폴리카보네이트 사의 1080DVD(MFR: 80g/10min(300℃, 1.2 kg), Tg=143℃)을 사용하였고, 폴리(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o-메틸메타크릴레이트-co-α메틸- 스티렌) 수지는 NMR 분석 결과 N-시클로헥실마레이미드의 함량이 6.0 중량%, α메틸-스티렌의 함량은 2.0 중량%였다.
<실시예 2>
폴리(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o-메틸메타크릴레이트-co-α메틸-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94:6의 중량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유리전이 온도(Tg)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폴리(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o-메틸메타크릴레이트-co-α메틸-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100:0의 중량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유리전이 온도(Tg)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100:0의 중량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유리전이 온도(Tg)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98:2의 중량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유리전이 온도(Tg)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폴리(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o-메틸메타크릴레이트-co-α메틸-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89:11의 중량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유리전이 온도(Tg)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비교예 5>
폴리(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o-메틸메타크릴레이트-co-α메틸-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83:17의 중량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유리전이 온도(Tg)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혼합비율(%) Tg(℃)
실시예 1 98:2 126
실시예 2 94:6 126
비교예 1 100:0 124
비교예 2 100:0 100
비교예 3 98:2 101
비교예 4 89:11 126
비교예 5 83:17 126
2.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광학 필름의 제조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원료 펠렛을 진공 건조하고 250℃에서 압출기로 용융한 뒤, 코트 행거 타입의 티-다이(T-die)에 통과시키고, 크롬 도금 캐스팅 롤 및 건조 롤 등을 거쳐 두께 240㎛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필름을 실험용 필름 연신 장비를 사용하여 각 필름의 유리전이온도(Tg) 보다 5℃ 높은 조건인 129~133℃에서 MD 및 TD 방향으로 표 2에 기재한 비율로 이축 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필름의 면 방향 위상차 값 및 두께 방향 위상차 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연신 온도(℃) 연신율(%) 위상차(nm) 두께(㎛)
MD TD Rin Rth
실시예 1 131 100 0 7.8 -16.9 105
실시예 2 131 100 100 0.6 -9.5 60
비교예 1 129 100 100 2.1 -81.1 60
비교예 2 105 100 0 31 -46.5 105
비교예 3 106 100 0 12 -26.0 105
비교예 4 131 100 100 3.1 55.4 60
비교예 5 131 100 0 41 -61.5 100
상기 실시예들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름은 혼합비 조절을 통해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의 절대값이 0에 가까운 값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5)

  1. (A)(a)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및 (b)스티렌계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B)주쇄에 카보네이트 부를 갖는 방향족계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의 알킬 부(moiety)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단위는 스티렌의 벤젠고리 또는 비닐기에 C1-4알킬 또는 할로겐을 포함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스티렌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쇄에 카보네이트 부를 갖는 방향족계 수지(B)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적어도 1종의 단위를 5 내지 10,000 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05

    상기 식에서, X는 적어도 하나의 벤젠 고리를 포함하는 2가 기이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X는 하기 구조식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가 기인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06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a)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80 내지 99.9 중량부 및 (b)스티렌계 단위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와 방향족계 수지는 90:10 내지 99.5:0.5의 중량비로 혼합된 수지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c)적어도 하나의 카르보닐기로 치환된 3 내지 6원소 헤테로고리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고리 단위(c)는 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글루탈산 무수물, 글루탈이미드, 락톤 및 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조성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a)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b)스티렌계 단위 및 (c)헤테로고리 단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2원 공중합체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a)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위 80 내지 99.9 중량부, (b)스티렌계 단위 0.1 내지 10 중량부 및 (c)적어도 하나의 카르보닐기로 치환된 3 내지 6원소 헤테로고리 단위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와 방향족계 수지는 90:10 내지 99.5:0.5의 중량비로 혼합된 수지 조성물.
  13. 제 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은 컴파운딩 수지인 수지 조성물.
  14. 제 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편광판용 보호필름인 광학필름.
KR1020140154331A 2014-11-07 2014-11-07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KR101546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331A KR101546197B1 (ko) 2014-11-07 2014-11-07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331A KR101546197B1 (ko) 2014-11-07 2014-11-07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837A Division KR20130036635A (ko) 2011-10-04 2011-10-04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204A true KR20140142204A (ko) 2014-12-11
KR101546197B1 KR101546197B1 (ko) 2015-08-20

Family

ID=5245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331A KR101546197B1 (ko) 2014-11-07 2014-11-07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1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7333B (zh) * 2009-02-18 2015-06-10 Lg化学株式会社 丙烯酸类树脂组合物和包含该丙烯酸类树脂组合物的光学膜
JP2011157412A (ja) * 2010-01-29 2011-08-18 Sanyo Chem Ind Ltd 重縮合物を用いた低複屈折性透明樹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197B1 (ko)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815B1 (ko)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5330502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情報電子装置
JP5220129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情報電子装置
KR101347021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KR101471228B1 (ko)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
JP5770374B2 (ja) 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て形成された光学フィルム、これを含む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418755B1 (ko)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상필름
JP5888571B2 (ja) 光学フィルム
JP2020509115A (ja) 高いガラス転移温度を有する樹脂成分をベースとする透明フィルム
KR101464826B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140146902A (ko) 인장 탄성률이 낮은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546197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KR101613781B1 (ko) 셀프 와인딩이 가능한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KR101529370B1 (ko) 내열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KR101506067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보상필름
KR102063204B1 (ko)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38666B1 (ko) 표면 특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광학 필름
KR101497183B1 (ko) 광학 필름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101627975B1 (ko) 인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박형 편광판
KR101517267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KR101565629B1 (ko)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101669180B1 (ko) 위상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23825A (ko) 인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박형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