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939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939A
KR20140140939A KR1020130061995A KR20130061995A KR20140140939A KR 20140140939 A KR20140140939 A KR 20140140939A KR 1020130061995 A KR1020130061995 A KR 1020130061995A KR 20130061995 A KR20130061995 A KR 20130061995A KR 20140140939 A KR20140140939 A KR 20140140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ock
voltage
data driver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병혁
임명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1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0939A/ko
Publication of KR2014014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복수의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영상 데이터에 클록을 임베디드시켜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에 전송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에 따른 내부 클록을 생성하며, 상기 송신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다가 상기 내부 클록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동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클록 트레이닝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오늘날 널리 이용되는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휴대폰 등에는 표시 장치가 필요하다. 표시 장치에는 음극선관 표시 장치, 플라즈마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등이 있다.
이 중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지 않아도 스스로 빛을 방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지 않아 두께가 얇고,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지 않고, 각 화소내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의 표시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시간을 증가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나 그 외 다양한 표시 장치는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데, 집적 회로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정상 동작을 하지 않아 표시되는 화상에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면서도 클록(내부 클록)과 영상 데이터간의 동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동기 이외에도 다른 원인(예, 고온)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동작 모니터링을 통해 불안정한 상태를 방지함으로서 표시 장치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복수의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영상 데이터에 클록을 임베디드시켜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에 전송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에 따른 내부 클록을 생성하며, 상기 송신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다가 상기 내부 클록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동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클록 트레이닝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을 수신하는 수신단; 상기 내부 클록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동기화 되어 있는지를 모니터링하는 CDR부; 및 상기 CDR부의 출력에 의하여 동작하는 LOCK 모드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OCK 모드 선택부와 상기 송신부를 연결하는 쇼팅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팅바는 상기 내부 클록이 동기화 되어 있을 때에는 일정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내부 클록이 어긋난 경우에는 접지 전압과 같은 저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에 의하여 분압된 전압을 상기 쇼팅바로 전달하는 전압 인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팅바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LOCK 모드 선택부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액티브 구간에서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된 상기 클록 외에 상기 클록이 포함된 DE 프로토콜, 상기 클록이 포함된 프로토콜 데이터 및 상기 클록이 포함된 라인 블랭크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블랭크 구간에서는 상기 클록이 포함된 상기 DE 프로토콜, 상기 클록이 포함된 블랭크 데이터, 상기 클록이 포함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상기 클록이 포함된 상기 라인 블랭크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은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복수의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영상 데이터에 클록을 임베디드시켜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에 전송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서 생성된 내부 클록이 동기화가 되지 않음을 감지하고 Unlock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Un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이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클록 트레이닝을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클록 트레이닝에 의하여 상기 내부 클록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서로 동기화되도록 하여 상기 Unlock 신호를 Lock 신호로 바꾸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이 다시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을 수신하는 수신단; 상기 내부 클록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동기화 되어 있는지를 모니터링하는 CDR부; 및 상기 CDR부의 출력에 의하여 동작하는 LOCK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LOCK 모드 선택부와 상기 송신부를 연결하는 쇼팅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서 생성된 내부 클록이 동기화가 되지 않음을 감지하고 Unlock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CDR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Un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이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클록 트레이닝을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CDR부의 Un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LOCK 모드 선택부가 상기 쇼팅바의 전압을 접지 전압과 같은 저전압으로 낮추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저전압을 수신한 후 상기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클록 트레이닝이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가 켜졌을 때에도 상기 블랭크 구간에 의하여 상기 클록 트레이닝이 진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영상 데이터에 클록을 임베디드시켜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에 전송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센서는 온도를 감지하여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상기 송신단에 전송하며, 상기 송신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다가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인 경우에만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영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을 수신하는 수신단; 및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에 의하여 동작하는 LOCK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OCK 모드 선택부와 상기 송신부를 연결하는 쇼팅바 및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에 의하여 분압된 전압을 상기 쇼팅바로 전달하는 전압 인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쇼팅바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한 온도가 상기 허용 범위 내일 때에는 일정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허용 범위 외일 때에는 접지 전압과 같은 저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쇼팅바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LOCK 모드 선택부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은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영상 데이터에 클록을 임베디드시켜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에 전송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온도 센서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Unlock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Un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이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하여 상기 허용 범위내의 온도로 바뀐 경우 상기 Unlock 신호를 Lock 신호로 바꾸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이 다시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Un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이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센서의 상기 Un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LOCK 모드 선택부가 상기 쇼팅바의 전압을 접지 전압과 같은 저전압으로 낮추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저전압을 수신한 후 상기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표시 장치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인트라 패널 인터페이스(intra panel interface)에서 블랭크 시간을 포함하지 않고 영상 데이터에 클록을 포함시켜 인가하다가 내부 클록과 영상 데이터의 동기가 깨어질 때 추가적으로 블랭크 구간을 생성하여 내부 클록과 영상 데이터의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표시 장치의 표시 시간을 증가시키면서도 표시 품질에는 문제가 없도록 한다. 또한, 표시 장치 내에서 비정상적인 동작이 발생하는 원인을 모니터하여 불안정한 상태를 방지하여 표시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신호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의 확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내에서 신호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로의 배선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내에서 신호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 간의 주고받는 데이터 및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내에서의 신호 파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내에서 추가되는 클록 트레이닝 구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신호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의 확대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300), 표시 패널(300)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부(500) 및 게이트 구동부(400) 그리고 데이터 구동부(500) 및 게이트 구동부(400)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부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며, 먼저 표시 패널(300)을 살펴본다.
표시 패널(3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이며, 복수의 게이트선(G1-Gn)과 복수의 데이터선(D1-Dm)을 포함하고, 복수의 게이트선(G1-Gn)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의 데이터선(D1-Dm)은 복수의 게이트선(G1-Gn)과 교차하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나의 게이트선(G1-Gn) 및 하나의 데이터선(D1-Dm)은 하나의 화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화소에는 게이트선(G1-Gn) 및 데이터선(D1-Dm)과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 스위칭 소자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1-Gn)과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D1-Dm)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전달된 데이터 전압은 구동 트랜지스터가 출력하는 전류를 조절하며, 해당 전류에 따라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한다. 구동 트랜지스터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연결 관계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양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6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R, G, B) 및 이의 제어 신호, 예를 들어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럭 신호(M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에 응답하여 표시 패널(300)의 동작 조건에 적합하게 처리한 후, 영상 데이터(R', G', B'), 게이트 제어 신호(CONT1) 및 클록(clock)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한다. 영상 데이터(R', G', B')와 클록이 인가되는 방식은 AiPi(Advanced intra panel interface)방식일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R', G', B')를 전송할 때 클록은 포함(임베디드(embedded))되어 전송되고, 영상 데이터(R', G', B')와 클록은 멀티 레벨로 구별되어 인가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R', G', B')와 클록은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에서 임베디드되어 데이터 구동부(500)로 전송된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임베디드되어 인가되는 클록을 추출하여 내부 클록을 생성하여 이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500) 및 표시 패널(300)은 동작한다.
이 때, 영상 데이터(R', G', B')에 임베디드된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이 존재하며, 액티브 구간의 사이에 영상 데이터(R', G', B') 대신 표시되지 않는 블랭크 데이터가 인가되는 블랭크 구간(수직 블랭크 구간이라고도 함)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영상 데이터(R', G', B')와 내부 클록의 동기가 어긋나는 경우에만 블랭크 구간이 생성되어 영상 데이터(R', G', B')와 내부 클록이 서로 동기되도록 클록 트레이닝(clock training) 동작이 수행된다. 즉, 클록 트레이닝시에는 블랭크 데이터에 클록을 임베디드하여 전송할 수 있다.
액티브 구간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는 구간을 늘려 표시 품질(예를 들면 휘도)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블랭크 구간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내부 클록과 영상 데이터(R', G', B')간의 동기화가 깨지는 경우에는 이를 다시 동기화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동기화가 깨어지는 이유로는 주파수의 갑작스런 변경이나 ESD와 같은 큰 노이즈 및 입력 전원의 변동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동기가 깨어진 것을 감지하여 클록 트레이닝을 통하여 동기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표시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는 게이트 온 펄스(게이트 신호(GS)의 하이 구간)의 출력 시작을 지시하는 수직 동기 시작 신호(STV; 이하 'STV 신호') 및 게이트 온 펄스의 출력 시기를 제어하는 게이트 클록 신호(CPV; 이하 'CPV 신호')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복수의 스테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300)의 복수의 게이트선(G1-Gn)은 게이트 구동부(400)의 각 스테이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게이트 구동부(400)는 신호 제어부(600)로부터 인가된 게이트 제어 신호(CONT1)에 따라서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을 교대로 게이트선(G1-Gn)에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복수의 집적 회로(550; 도 2 참고)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300)의 복수의 데이터선(D1-Dm)은 데이터 구동부(500)의 각 집적 회로(550)와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 구동부(500)의 각 집적 회로(550)는 신호 제어부(600)로부터 AiPi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영상 데이터(R', G', B')와 클록을 전달받는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계조 전압 생성부에서 생성된 아날로그의 계조 전압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R', G', B')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데이터선(D1-Dm)으로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500)는 임베디드되어 인가되는 클록을 추출하여 내부 클록을 생성하고 이에 따라 동작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R', G', B')와 내부 클록이 동기가 깨어지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감지할 수 있는 구조를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신호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의 확대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과 데이터 구동부(500) 내의 각 집적 회로(550)를 중심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복수의 집적 회로(550)를 포함하며, 복수의 집적 회로(550) 각각은 수신단(Rx; 551), CDR(clock data recovery)부(552) 및 LOCK 모드 선택부(553)을 포함한다. 또한,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에는 복수의 출력단(Tx)이 형성되어 있다.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과 연결되어 있는 쇼팅바(SBC; shorting bar connection; 560)가 형성되어 있다. 송신단(650)에는 쇼팅바(560)와 연결되어 있는 리시버(SBC RCV)가 형성되어 있다. 쇼팅바(560)는 일정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는 전압 인가부(565)가 연결되어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전압 인가부(565)는 저항을 포함하며, 3.3V의 전압을 저항에 의하여 분압한 후의 전압(이하 쇼팅바 전압이라 함)이 쇼팅바(560)에 인가된다.
데이터 구동부(500)의 복수의 집적 회로(550)와 송신단(650)의 출력단(Tx)은 일대일 대응하며, 송신단(650)의 출력단(Tx)은 집적 회로(550)의 수신단(Rx; 551)과 연결되어 클록이 임베디드된 영상 데이터(R', G', B')가 전송된다. 수신단(551)은 인가된 영상 데이터(R', G', B')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경하여 데이터선으로 전달한다.
집적 회로(550)의 CDR부(552)는 수신단(551)에 의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R', G', B')와 내부 클록이 동기가 맞는지 모니터링하며, 모니터링 결과 동기가 맞는 경우에는 Lock 신호를 출력하고, 동기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Unlock 신호를 출력한다. Lock 신호와 Unlock 신호는 전압의 레벨에 의하여 구분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Unlock 신호를 출력한 경우 데이터 구동부(500)의 집적 회로(550)에 인가되는 블랭크 데이터와 클록에 기초하여 내부 클록이 동기화되도록 한다.
집적 회로(550)의 LOCK 모드 선택부(553)는 CDR부(552)에서 출력된 신호(Lock 신호와 Unlock 신호)를 수신하며, CDR부(552)의 출력에 따라서 쇼팅바 전압을 그대로 유지하게 하거나 접지 전압으로 바뀌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OCK 모드 선택부(553)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CDR부(552)의 출력을 제어 단자로 받으며, 일단은 접지되어 있으며, 타단은 쇼팅바(560)와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CDR부(552)의 출력이 Lock신호인 경우 트랜지스터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쇼팅바(560)가 쇼팅바 전압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거나 CDR부(552)의 출력이 Unlock 신호인 경우 트랜지스터가 온 상태를 유지하여 쇼팅바(560)의 전압이 접지 전압으로 떨어지도록 한다. 쇼팅바(560)의 전압이 접지 전압으로 떨어지면, 송신단(650)에서 감지하여 영상 데이터(R', G', B')와 내부 클록이 동기가 깨어진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쇼팅바(560)를 기준으로 각 집적 회로(550)의 LOCK 모드 선택부(553)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즉,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에서는 영상 데이터(R', G', B')에 임베디드된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여 데이터 구동부(500)의 집적 회로(550)의 수신단(551)으로 전달하며, CDR부(552)에 의하여 영상 데이터(R', G', B')와 내부 클록의 동기가 어긋남을 감지하면 LOCK 모드 선택부(553)는 쇼팅바(560)의 전압을 접지 전압으로 낮추어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이 영상 데이터(R', G', B')와 내부 클록의 동기가 어긋남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은 액티브 구간을 전송하는 것을 중지하고, 블랭크 구간을 삽입한다. 즉, 블랭크 데이터에 클록을 임베디드 하여 데이터 구동부(500)로 출력하여, 집적 회로(550)내의 CDR부(552)에서 클록 트레이닝을 통하여 내부 클록과 블랭크 데이터가 서로 동기되도록 한다. 그 결과 CDR부(552)의 출력이 Lock 신호로 바뀌어 쇼팅바(560)의 전압이 쇼팅바 전압으로 상승하게 되고, 송신단(650)에서는 영상 데이터(R', G', B')와 클록을 임베디드하여 전송한다.
그 결과 영상 데이터(R', G', B')와 내부 클록의 동기가 어긋나더라도 곧바로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깨어진 화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실제 블랭크 구간이 삽입되는 시간이 매우 짧아서 사용자는 블랭크 구간이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기 어렵다. 이는 일반적인 AiPi 인터페이스에서는 액티브 구간의 사이에 블랭크 구간이 항상 존재하지만, 사용자가 블랭크 구간이 있다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복수의 집적 회로(550)를 포함하는데, 복수의 집적 회로(550) 중 어느 하나의 집적 회로(550)에서만 영상 데이터(R', G', B')와 내부 클록의 동기가 어긋나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절차가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하여 실제 쇼팅바(560)를 형성한 예를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내에서 신호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로의 배선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표시 패널(300)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 필름(310)에 의하여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320)과 연결되어 있다. PCB 기판(320)에는 신호 제어부(600) 및 전원 전압 생성부(DCDC; 700)가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 패널(30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데이터 구동부(500)의 집적 회로(SD; 550)가 형성되어 있다. 집적 회로(SD; 550)는 별도의 필름이나 기판을 통하여 표시 패널(3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FPC 필름(310)은 신호 제어부(600)와 데이터 구동부의 각 집적 회로(550)를 연결하며, 전원 전압 생성부(700)에서 생성된 전압을 각 집적 회로(550)로 전달한다. 전원 전압 생성부(700)에서 각 집적 회로(550)로 전달하는 전압은 전원 전압과 계조 전압을 포함한다. 전원 전압은 전원 전압 인가 배선(562)에 의하여 각 집적 회로(550)로 전달되며, 계조 전압은 계조 전압 인가 배선(563)에 의하여 각 집적 회로(550)로 전달된다.
한편, 신호 제어부(600)와 각 집적 회로는 영상 전달 배선(561)과 쇼팅바(56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영상 전달 배선(561)은 영상 데이터(R', G', B')함께 임베디드된 클록을 전달하는 배선이다. 쇼팅바(560)는 쇼팅바 전압으로 세팅되어 있지만, 영상 데이터(R', G', B')와 내부 클록의 동기가 깨어진 경우에는 전원 전압으로 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하여 신호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내에서 신호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 간의 주고받는 데이터 및 파형도이다.
영상 전달 배선(561)을 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입력 data)는 영상 데이터(R', G', B')함께 임베디드된 클록이 포함되어 있다. 임베디드된 클록은 집적 회로(550)의 수신단(551)에서 구분되어 별도의 내부 클록(internal clock)이 생성된다. 내부 클록과 입력 데이터는 서로 일치하지만, ESD와 같은 문제로 서로 어긋날 수 있다.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CDR부(552)에서는 Lock 신호를 출력하고, 서로 어긋난 경우에는 Unlock신호를 출력한다. 그 결과 쇼팅바(SBC; 560)에 인가되는 전압은 Lock 신호에 의하여 locking 모드에서는 하이 전압을 가지고, Unlock 신호에 의한 Unlocking 모드에서는 저전압(접지 전압)으로 변경되어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이 내부 클록이 어긋남을 감지하고,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클록 트레이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통하여 표시 장치가 처음으로 켜질 때와 내부 클록이 어긋난 경우 블랭크 구간에서의 클록 트레이닝을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내에서의 신호 파형도이다.
표시 장치에 파워가 인가되어 켜지는 경우에는 최초로 영상 데이터(R', G', B')와 내부 클록의 동기(클록 트레이닝)가 수행된다. 이 때에는 쇼팅바(560)의 전압은 저전압(접지 전압)일 수 있다. 그 후, 영상 데이터(R', G', B')와 내부 클록의 동기가 이루어진 후에는 영상 데이터(R', G', B')가 표시 패널(300)에 표시되는 액티브 구간만이 진행되며, 블랭크 구간이 존재하지 않아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발광하는 시간이 증가되어 표시 품질(예를 들면 휘도)이 증가하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동작 중에 외부의 요인 등으로 영상 데이터(R', G', B')와 내부 클록의 동기가 깨어진 경우에는 쇼팅바(560)의 전압이 저전압으로 변경되고, 클록 트레이닝이 수행된다. 이때는 액티브 구간이 아닌 블랭크 구간이다.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가 켜졌을 때의 클록 트레이닝의 시간(t8)과 동작 중의 클록 트레이닝의 시간(t9)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통하여 일 실시예에서 블랭크 구간이 삽입되는 경우 입력 데이터 및 그에 따른 신호의 상태를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내에서 추가되는 클록 트레이닝 구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동기 신호(SYNC)를 사용하여 동기 신호가 로우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이 액티브 구간을 형성하고, 하이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블랭크 구간을 형성하도록 설정된 실시예이다.
그 결과 쇼팅바(560)에 인가되는 전압이 하이인 경우에는 동기 신호가 로우를 유지하여 액티브 구간만이 존재하지만, 쇼팅바(560)에 인가되는 전압이 로우가 되는 경우에는 동기 신호가 하이를 유지하여 블랭크 구간이 삽입된다. 해당 블랭크 구간에는 클록 트레이닝이 수행되어 내부 클록과 영상 데이터(R', G', B')의 동기가 맞도록 수정된다.
도 6에서의 내부 DE(internal DE)신호는 임베디드된 클록과 영상 데이터(R', G', B')에서 영상 데이터(R', G', B')가 인가되는 타이밍을 알려준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는 액티브 구간마다 라인 블랭크(line black)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도 6의 실시예에서는 각 액티브 구간마다 라인 블랭크는 포함되어 있지만, 액티브 구간과 액티브 구간의 사이에 액티브 구간에 대응하는 블랭크 구간(vertical blank라고도 함)은 삽입되지 않다가, 내부 클록의 동기가 어긋나는 경우에만 클록 트레이닝이 수행된다.
도 6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액티브 구간은 클록이 포함된 DE 프로토콜(protocol), 클록이 포함된 영상 데이터(display data), 클록이 포함된 프로토콜 데이터(protocol data), 클록이 포함된 블랭크 데이터(blank data; 라인 블랭크 데이터라고도 함)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는 블랭크 구간(수직 블랭크 구간)은 클록이 포함된 DE 프로토콜(protocol), 클록이 포함된 블랭크 데이터(blank data), 클록이 포함된 프로토콜 데이터(protocol data), 클록이 포함된 블랭크 데이터(blank data; 라인 블랭크)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통하여 신호 처리 방법을 순서도로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에서는 액티브 구간만으로 영상 데이터(R', G', B')와 여기에 임베디드된 클록을 데이터 구동부(500)로 출력하다가, 내부 클록의 동기가 어긋나면, CDR부(552)에서 Unlock 이벤트(신호)를 발생시킨다. (S10)
CDR부(552)에서 발생된 Unlock 이벤트(신호)에 의하여 쇼팅바(560)의 전압은 저전압(접지 전압)으로 바뀐다. (S20)
그 결과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에서는 내부 클록이 어긋나는 것을 확인하고,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클록 트레이닝이 진행되도록 한다. (S30)
클록 트레이닝에 의하여 내부 클록의 동기가 완료되면, CDR부(552)에서는 Locking 신호를 출력(Locking 동작)한다. (S40)
CDR부(552)에서 출력된 Locking 신호에 의하여 LOCK 모드 선택부(553)가 Locking 모드인 것을 확인한다. (S50)
그 결과 쇼팅바(560)에 인가되는 전압은 다시 하이 전압으로 변경된다. (S60)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은 쇼팅바(560)의 하이 전압을 통하여 내부 클록이 동기된 것을 확인하여 액티브 구간만으로 영상 데이터(R', G', B')와 여기에 임베디드된 클록을 데이터 구동부(500)로 출력하도록 한다. (S70)
여기서,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각 액티브 구간은 라인 블랭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내부 클록의 동기 여부에 따라서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클록 트레이닝이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통하여 온도에 의하여 제어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본다. 여기서, 온도는 표시 장치가 불안정한 동작을 하게 되는 원인 중 하나의 예로 제시된 것이며, 온도 외에 다른 불안정한 동작을 하는 원인이 있으면, 해당 원인을 감지 및 모니터링하는 센서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이하 이러한 원인으로 온도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8을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중 신호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의 확대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2에 대응하며, 도 2의 CDR부(552) 대신 온도 센서(555)를 포함한다. 그 외의 구성 및 동작은 동일하다. 즉, 온도 센서(555)에서 감지된 온도가 허용 범위 내일 때에는 Lock 신호를 출력하고, 허용 범위 이상 또는 그 이하일 때에는 Unlock 신호를 출력한다. Unlock 신호가 출력되면, 쇼팅바(560)의 전압이 저전압으로 변하여 블랭크 구간이 삽입되어 표시 패널(300)에서는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다. 이는 직접 회로(550)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 온도에서는 화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깨어진 영상을 보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통하여 온도에 의하여 제어되는 신호 처리 방법을 순서도로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에서는 액티브 구간만으로 영상 데이터(R', G', B')와 여기에 임베디드된 클록을 데이터 구동부(500)로 출력하다가, 집적 회로(550)의 온도가 허용 범위 보다 높은 경우 온도 센서(555)에서 Unlock 이벤트(신호)를 발생시킨다. (S10)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허용 범위 보다 낮은 저온에서도 온도 센서(555)가 Unlock 이벤트(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온도 센서(555)에서 발생된 Unlock 이벤트(신호)에 의하여 쇼팅바(560)의 전압은 저전압(접지 전압)으로 바뀐다. (S20)
그 결과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에서는 내부 클록이 어긋나는 것을 확인하고, 영상 데이터(R', G', B')가 데이터 구동부(500)로 송출되지 않도록 블랭크 데이터가 포함된 블랭크 구간을 삽입한다. (S30)
온도 센서(555)에서는 일정한 주기로 계속 온도를 감지(S40)하고, 온도가 허용범위 내의 온도로 변경되면, 온도 센서(555)의 출력이 Locking 신호로 변경되어 LOCK 모드 선택부(553)가 Locking 모드인 것을 확인한다.
그 결과 쇼팅바(560)에 인가되는 전압은 다시 하이 전압으로 변경된다. (S50)
신호 제어부(600)의 송신단(650)은 쇼팅바(560)의 하이 전압을 통하여 온도가 허용 범위 내인 것을 확인하여 액티브 구간만으로 영상 데이터(R', G', B')와 여기에 임베디드된 클록을 데이터 구동부(500)로 출력하도록 한다. (S60)
여기서도,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각 액티브 구간은 라인 블랭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표시 패널(3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외에 액정 표시 패널 등 다양한 평판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300: 표시 패널 310: FPC 필름
320: PCB 기판 400: 게이트 구동부
500: 데이터 구동부 550: 직접 회로
551: 수신단 552: CDR부
553: LOCK 모드 선택부(553) 555: 온도 센서
560: 쇼팅바 561: 영상 전달 배선
562, 563: 전압 인가 배선 565: 전압 인가부
600: 신호 제어부 650: 송신단
700: 전원 전압 생성부

Claims (18)

  1.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복수의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영상 데이터에 클록을 임베디드시켜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에 전송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에 따른 내부 클록을 생성하며,
    상기 송신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다가 상기 내부 클록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동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클록 트레이닝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을 수신하는 수신단;
    상기 내부 클록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동기화 되어 있는지를 모니터링하는 CDR부;
    상기 CDR부의 출력에 의하여 동작하는 LOCK 모드 선택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LOCK 모드 선택부와 상기 송신부를 연결하는 쇼팅바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쇼팅바는 상기 내부 클록이 동기화 되어 있을 때에는 일정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내부 클록이 어긋난 경우에는 접지 전압과 같은 저전압이 인가되는 표시 장치.
  5. 제3항에서,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에 의하여 분압된 전압을 상기 쇼팅바로 전달하는 전압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3항에서,
    상기 쇼팅바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LOCK 모드 선택부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액티브 구간에서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된 상기 클록 외에 상기 클록이 포함된 DE 프로토콜, 상기 클록이 포함된 프로토콜 데이터 및 상기 클록이 포함된 라인 블랭크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블랭크 구간에서는 상기 클록이 포함된 상기 DE 프로토콜, 상기 클록이 포함된 블랭크 데이터, 상기 클록이 포함된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 상기 클록이 포함된 상기 라인 블랭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복수의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영상 데이터에 클록을 임베디드시켜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에 전송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서 생성된 내부 클록이 동기화가 되지 않음을 감지하고 Unlock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Un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이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클록 트레이닝을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클록 트레이닝에 의하여 상기 내부 클록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서로 동기화되도록 하여 상기 Unlock 신호를 Lock 신호로 바꾸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이 다시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을 수신하는 수신단; 상기 내부 클록과 상기 영상 데이터가 동기화 되어 있는지를 모니터링하는 CDR부; 및 상기 CDR부의 출력에 의하여 동작하는 LOCK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LOCK 모드 선택부와 상기 송신부를 연결하는 쇼팅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서 생성된 내부 클록이 동기화가 되지 않음을 감지하고 Unlock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CDR부에서 수행하는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Un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이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클록 트레이닝을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CDR부의 Un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LOCK 모드 선택부가 상기 쇼팅바의 전압을 접지 전압과 같은 저전압으로 낮추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저전압을 수신한 후 상기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클록 트레이닝이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가 켜졌을 때에도 상기 블랭크 구간에 의하여 상기 클록 트레이닝이 진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
  12.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영상 데이터에 클록을 임베디드시켜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에 전송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 센서는 온도를 감지하여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상기 송신단에 전송하며,
    상기 송신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다가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인 경우에만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영상을 표시하지 않도록 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을 수신하는 수신단; 및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에 의하여 동작하는 LOCK 모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LOCK 모드 선택부와 상기 송신부를 연결하는 쇼팅바 및
    저항을 포함하며, 상기 저항에 의하여 분압된 전압을 상기 쇼팅바로 전달하는 전압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쇼팅바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한 온도가 상기 허용 범위 내일 때에는 일정 레벨의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허용 범위 외일 때에는 접지 전압과 같은 저전압이 인가되는 표시 장치.
  16. 제14항에서,
    상기 쇼팅바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LOCK 모드 선택부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17.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며,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영상 데이터에 클록을 임베디드시켜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에 전송하는 송신단을 포함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온도 센서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Unlock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Un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이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하여 상기 허용 범위내의 온도로 바뀐 경우 상기 Unlock 신호를 Lock 신호로 바꾸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이 다시 상기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영상 데이터에 임베디드 된 상기 클록이 인가되는 액티브 구간만을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상기 복수의 집적 회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
  18. 제17항에서,
    상기 Un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송신단이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센서의 상기 Unlock 신호에 의하여 상기 LOCK 모드 선택부가 상기 쇼팅바의 전압을 접지 전압과 같은 저전압으로 낮추는 단계; 및
    상기 송신단은 상기 저전압을 수신한 후 상기 블랭크 구간을 삽입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
KR1020130061995A 2013-05-30 2013-05-3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 KR20140140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995A KR20140140939A (ko) 2013-05-30 2013-05-3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995A KR20140140939A (ko) 2013-05-30 2013-05-3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939A true KR20140140939A (ko) 2014-12-10

Family

ID=5245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995A KR20140140939A (ko) 2013-05-30 2013-05-30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093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357A (ko) * 2016-04-26 2017-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028818A (ko) * 2016-09-09 2018-03-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컨트롤러, 드라이버 ic 및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1972730B2 (en) 2022-06-21 2024-04-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2357A (ko) * 2016-04-26 2017-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80028818A (ko) * 2016-09-09 2018-03-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컨트롤러, 드라이버 ic 및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
US11972730B2 (en) 2022-06-21 2024-04-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7185B2 (en) Controller, source driver IC, display device,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thereof
US10354587B2 (en) Display device
KR102249807B1 (ko) 표시장치 및 전원제어장치
CN108022558B (zh)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160028584A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및 타이밍 컨트롤러
US20130038597A1 (en) Flat panel display and driving circuit thereof
CN113835561B (zh) 具有触摸传感器的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20170135383A (ko) 타이밍 콘트롤러, 그를 포함한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80003163A (ko) Oled 표시 장치
KR102576968B1 (ko) 표시장치
KR20140140939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신호 처리 방법
KR102293371B1 (ko) 표시장치
KR20110066735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14997A (ko) 통신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53132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220082604A (ko) 터치 구동 회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구동 방법
EP3038092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552277B1 (ko)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90832B1 (ko) 표시장치
US11567600B2 (en)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210081905A (ko) 표시장치
KR20230019485A (ko) 영상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87481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80076783A (ko) 표시 장치
US8659530B2 (en) Timing controller counts clock signals to produce a control signal only after a number of clock pulses are coun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