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725A -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725A
KR20140140725A KR1020130061443A KR20130061443A KR20140140725A KR 20140140725 A KR20140140725 A KR 20140140725A KR 1020130061443 A KR1020130061443 A KR 1020130061443A KR 20130061443 A KR20130061443 A KR 20130061443A KR 20140140725 A KR20140140725 A KR 20140140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hair dryer
hair
scalp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7391B1 (ko
Inventor
이경식
Original Assignee
이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식 filed Critical 이경식
Priority to KR20130061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3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A45D20/122Diffusers, e.g. for variable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집에서 사용하는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에 끼워져 사용되는 디퓨져에 다수의 바람 유도구멍이 형성된 안전판을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겉으로 드러난 머리카락은 물론이고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머리카락에도 바람이나 열을 골고루 닿도록 한 헤어드라이어 디퓨져(1)로, 헤어드라이어(1)의 토출구(2)에 장착되는 디퓨져(10)의 앞쪽에 다수 바람유도구멍(101)을 가지는 안전판(100)이 설치되며, 이 안전판(100)의 측면에 두피를 보호하기 위한 두피보호대(110)가 하나 이상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디퓨져 연결부(11) 내측에 연결부재(200)를 설치하여 제조사마다 다른 직경을 가지는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 디퓨져{Hair dryer diffusers}
본 발명은 헤어드라이어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집에서 사용하는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에 끼워져 사용되는 디퓨져에 다수의 바람 유도구멍이 형성된 안전판을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겉으로 드러난 머리카락은 물론이고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머리카락에도 바람이나 열을 골고루 닿도록 한 헤어드라이어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드라이기는 머리를 감은 후 젖은 모발을 신속하게 건조하기 위한 것으로, 이미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많은 사람이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로 많은 비용을 지급하면서 외모를 개성 있게 가꾸어 자신을 타인과 구별하도록 표현하여 이성교제 및 비즈니스 진행 등에서 타인보다 우위에 서는 동시에 주목받도록 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개성 있는 외모 가꾸기에서 가장 손쉽고 빠르게 큰 변화를 줄 수 있는 것이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머리카락의 모양을 변화하는 헤어스타일 성형이다. 헤어스타일(HAIRSTYLE)은 얼굴의 형태나 유행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화되는 것으로, 헤어스타일 성형에 사용되는 도구는 여러 가지가 있고 데워진 바람(열풍)과 데워지지않은 바람(냉풍)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헤어드라이어(HAIRDRYER)가 가장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다.
헤어드라이어는 동작전원의 공급에 의하여 회전운동하는 모터(MOTOR)를 구동하고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한 팬(FAN)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냉풍을 배출하거나 또는 동작전원의 공급에 의하여 발열하는 열선 또는 히터를 통과하면서 데워진 열풍을 배출한다.
이와 같이 배출되는 냉풍 또는 열풍을 압축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머리카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노즐(NOZZLE) 또는 디퓨져(DIFFUSER)(이하, ‘디퓨져’라 한다.)가 헤어드라이어의 끝단에 착탈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헤어드라이기의 디퓨져로부터 토출되는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젖은 모발을 자연상태에서보다 신속하게 건조하게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헤어드라이어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으로 머리카락을 성형하거나 말리거나 비슷한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디퓨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을 사방으로 넓게 퍼져 배출하므로 머리카락의 성형시간 또는 건조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머리카락의 헤어스타일을 바꾸는 성형의 경우 미용사에 의하여 두피 가까이에 위치한 머리카락 뿌리부분부터 열풍을 공급하여 성형하므로 단백질로 이루어진 머리카락이 타지 않으면서 전체 머리카락의 외형이 원하는 형태로 빨리 성형 되도록 하기 때문에 디퓨져를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머리카락을 브러시 등으로 말아 잡아당기는 동시에 서서히 풀어주면서 열풍을 공급하므로 일직선으로 펴지도록 성형하거나 곡선 또는 물결무늬 같은 웨이브 형태로 성형하거나 둥글게 말리도록 성형하며, 이러한 성형 과정을 머리카락의 두피에 가까운 뿌리부분부터 끝 부분까지 반복한다.
특히, 두피 가까이에 위치한 머리카락의 뿌리부분에서 성형이 잘 이루어지면 전체적으로 원하는 헤어스타일로 빠르게 성형할 수 있으므로 두피 가까이 까지 헤어드라이어의 디퓨져를 들이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두피에 가까이 위치하는 머리카락의 뿌리부분은 위치상 열풍을 충분히 공급하기 어려운 동시에 두피에 온도를 많이 빼앗기므로 원하는 형태로의 성형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두피 가까이에 있는 머리카락을 브러시로 잡아당기면서 헤어스타일을 위하여 곡선 등으로 성형하는 경우, 두피에 의하여 머리카락을 가파른 곡선으로의 성형이 어려우므로 자연히 종래 기술에 의한 디퓨져는 두피에 가까운 머리카락의 뿌리 부분과 해당 두피에 많은 열풍을 공급한다.
그러므로 헤어스타일을 성형하는 사용자는 두피가 뜨거워지는 불쾌감을 느끼고 심한 경우에는 두피에 열상을 입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대기를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롤링(rolling) 또는 스트레이트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고대기는 전방에 열선이 내장된 발열판을 구비한 가압부재를 대향 되게 형성하여 발열판 사이에 머리카락을 위치시킨 뒤 롤링 스트레이트 작업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헤어드라이 작업과, 고대기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드라이기와 고대기를 병행하면서 함께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 한편으로는, 헤어드라이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머리에 적용하는 경우, 예컨대 젖은 머리카락을 말리는 경우에는 머리카락이 헤어드라이어를 통해 나오는 뜨거운 바람에 의해 머리카락이 눌려지게 하여, 전체적으로 머리의 모양이 좋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므로, 머리카락의 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일반인 사용할 시에도 머리카락의 눌려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율적인 헤어드라이어 디퓨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특허등록 제0853710호 움직일 수 있는 빗을 구비한 헤어드라이어(2008년 08월18일)
[특허문헌 2] 특허등록 제00455793호 핸즈프리헤어드라이어(2012년 01월19일)
[특허문헌 3] 공개특허 제10-2011-000819호 헤어드라이어의 디퓨져구조(2011년01월25일)
본 발명 헤어드라이어 디퓨져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디퓨져 상단에 바람 유도구멍이 다수 형성된 안전판을 설치하여 두피와 가까운 머리카락의 뿌리부분에 열풍을 공급하면서 두피에는 최소량의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여 헤어스타일 성형을 빠르게 하는 헤어드라이어 디퓨져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안전판에 의해 두피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전판 양측에 가요성을 가지는 두피보호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두피보호 및 사용 중 불쾌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디퓨져 내측에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제조회사마다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 크기가 달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 헤어드라이어의 디퓨져에 있어서,
상기 헤어드라이어(1)의 토출구(2)에 장착되는 디퓨져(10)의 앞쪽에 다수 바람유도구멍(101)을 가지는 안전판(100)이 설치되며, 이 안전판(100)의 측면에 두피를 보호하기 위한 두피보호대(110)가 하나 이상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디퓨져 연결부(11) 내측에 연결부재(200)를 설치하여 제조사마다 다른 직경을 가지는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0)는 원뿔형상의 관으로 하되 하부부터 상부가 점차 그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였으며, 상기 두피보호대(110)는 가요성재질로 형성되며 그 측면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헤어드라이어 디퓨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디퓨져 상단에 바람 유도구멍이 다수 형성된 안전판을 설치하여 두피와 가까운 머리카락의 뿌리부분에 열풍을 공급하면서 두피에는 최소량의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여 헤어스타일 성형을 빠르게 할 수가 있다.
둘째, 안전판에 의해 두피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전판 양측에 가요성을 가지는 두피보호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두피보호 및 사용 중 불쾌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였다.
셋째, 디퓨져 내측에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제조회사마다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 크기가 달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 디퓨져에 안전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 만 일부 발췌하여 나타낸 요부확대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에 연결부재가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는 디퓨져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디퓨져의 입구 쪽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기 헤어드라이어(1)의 토출구에 장착되는 디퓨져(10)로, 상기 디퓨져(10)의 앞쪽에 다수 바람 유도구멍(101)을 가지는 바람분사장치(100)가 설치되고, 헤어드라이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게 된다. 상기 디퓨져(10)의 연결부(11), 즉 헤어드라이어에 토출구에 연결되는 쪽의 직경은 외측으로 가면서 점점 더 커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바람분사장치(100)는 플라스틱 소재의 몸체부(102)와 분사판(101)으로 구성되고, 분사판(101)은 반원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그리고 스테인리스나 또는 열에 강한 금속소재를 박판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바람 유도구멍(101'1)은 중앙 쪽 라인은 작게 측면은 크게 형성하여 두피에 뜨거운 열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상기 바람분사장치(100)는 디퓨져(10)와 착탈 분리식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바람분사장치와 디퓨져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피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바람분사장치(100)의 측면에는 제1두피보호대(110)가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서는 다수의 제2두피보호대(120)가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두피보호대(110)는 몸체부(102)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형체이고, 상기 제2두피보호대(120)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재질로 하되 그 측면이 ∩형상의 리브(120)로 형성되고, 이 리브(120)의 끝단은 몸체부(102)에 등간격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두피보호대(110, 120)들은 상기 분사판(101)으로부터 2-4㎜ 정도 간격을 두고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디퓨져(10)의 연결부(11), 즉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를 연결하는 부분의 내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사마다 다른 직경을 가지는 헤어드라이어(1)의 토출구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부재(20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디퓨져(10)의 연결부(11) 내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그 외경은 연결부(11)의 내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부재(200)는 원뿔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지되, 디퓨져(10) 최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부터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그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200)는 되도록 이면 경질의 고무재질로 하는 것이 좋으나 가요성합성수지를 이용해도 좋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디퓨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측면 투시도이고, (b)는 우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 연결부재(200)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게 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퓨져(10)의 내측 원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긴 다수의 돌기(11)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조사마다 다른 직경을 가지는 헤어드라이어(1)의 토출구를 디퓨져(10)의 연결부(11) 내측에 끼우면,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의 외경만큼 연결부 내측으로 토출구가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토출구의 외면은 돌기와 마찰접촉하게 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는 반원형상으로 할 수도 있지만 삼각형상 또는 사각형상의 길이가 긴 띠형상의 돌기로 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 2는 스위치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헤어드라이어 디퓨져는 스위치(2)를 "온" 시키면 도시하지 않은 히터와 팬이 작동하여 더운 바람을 디퓨져(10)의 토출구 쪽으로 불게 되고, 이렇게 나오는 뜨거운 공기는 디퓨져에 착탈식으로 또는 일체로 고정된 바람분사장치(100)의 분사판(101)의 다수 바람 유도구멍(101)을 통하여 눌려진 진 머리카락 등을 원하는 볼륨으로 만들 수가 있다.
또한, 분사판(100)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 두피보호대(110, 120))들에 의해 두피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 중 불쾌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때, 제조회사마다 헤어드라이어(1)의 토출구 크기(직경)이 다른 경우 본 발명 디퓨져 내측에 연결부재(200)를 설치하여 내부의 열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3실시예에 따른 디퓨져(10')는 제1 및 제2실시예의 디퓨져(10)와 달리,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부분의 일부분을 외측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내경이 커지게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원통형으로 만들되, 원통형 몸체 둘레에 다수의 통공(10'1)을 형성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디퓨져(10')를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디퓨져의 원통형 몸통에 형성된 통공(10'1)을 통해 뜨거운 바람이 토출되게 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디퓨져를 젖은 머리카락에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통상적인 헤어드라이어의 사용방식과는 달리 디퓨져는 머리카락 내측으로 밀어넣은 후 머리카락을 감아올리듯이 작동시키면 젖은 머리카락은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머리카락이 눌리는 것과는 반대로 머리카락을 부풀어 오르게 하여 볼륨감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변형예를 부분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편의를 위해 디퓨져는 도 5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를 사용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3실시예에 따른 디퓨져(10')의 원통형 몸통의 통공(10'1)에 머리카락을 가지런히 정리할 수 있는 빗살부(10'2)를 일정 간격으로 또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설치한 것이다.
빗살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0'1)에 설치되는 빗살 설치부(10'21)와 이 빗살 설치부에 설치되는 빗살(10'22)로 구성된다. 빗살 설치부는 한쪽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개방부 둘레에는 빗살 설치부의 직경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통공(10'1)의 직경보다 큰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그리고 빗살 설치부 빗살이 설치되게 된다. 이때, 빗살 설치부가 압입되어 통공에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빗살 설치부의 직경과 통공의 직경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빗살 설치부를 통공에 설치하게 되면, 빗살 설치부의 플랜지부는 디퓨져의 몸통 표면과 밀찰하게 되면서 통공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디퓨져에 빗살 설치부를 설치하게 되면, 머리카락을 한층 간결하게 정리하는 한편 볼륨감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실시예에의 경우에, 빗살에 문제점이 있어 빗살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빗살부(10'2)를 디퓨져의 몸통으로부터 제거한 후 새로운 빗살부를 설치하면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디퓨져(10")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디퓨져(10")는 제3실시예와 달리, 통공(10'1)들 중 일부를, 밑바닥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맹공(10'3)형태로 구성하고, 이 맹공에 빗살(10'22)를 직접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제3실시예와 비교해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이에 따라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3 및 제4실시예에서,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에 연결하는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사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내지 제4실시예의 디퓨저는, 다양한 구경의 헤어드라이어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었으나, 특정 헤어드라이에만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에 연결하는 연결부는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에 맞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헤어드라이어 2 : 스위치
10 : 디퓨져 10'1 : 통공
10'2: 빗살부 100 : 분사판
101 : 바람 유도구멍 110, 120 : 두피보호대
200 : 연결부재

Claims (8)

  1. 헤어드라이어의 디퓨져에 있어서,
    디퓨져의 내경은 헤어드라이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연결부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에 장착되는 디퓨져의 앞쪽에 몸체부와 분사판으로 이루어지는 바람분사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분사판에는 다수의 바람유도구멍을 가지는 안전판이 설치되며, 상기 분사판의 양측에는 두피를 보호하기 위한 제1두피보호대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1부파보호대들 사이에서는 다수의 제2두피보호대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디퓨져의 연결부 내측에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제조사마다 다른 직경을 가지는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원뿔형상의 관으로 구성하되, 상기 디퓨져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두피보호대는 그 측면이 ∩형상을 가지며, 가요성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4. 제1 항에 있어서,
    디퓨져의 내경은 헤어드라이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토출구에 장착되는 디퓨져의 앞쪽에 몸체부와 분사판으로 이루어지는 바람분사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분사판에는 다수의 바람유도구멍을 가지는 안전판이 설치되며, 상기 분사판의 양측에는 두피를 보호하기 위한 제1두피보호대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1부파보호대들 사이에서는 다수의 제2두피보호대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디퓨져의 연결부 내측의 원주면에는 따라 길이방향으로 긴 다수의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5. 헤어드라이어의 디퓨져에 있어서,
    디퓨져의 연결부를 구성하는 부분의 내경은 헤어드라이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연결부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고, 나머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원통형의 나머지 부분에는 헤어드라이어로부터의 바람을 토출하기 위한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디퓨져의 연결부 내측의 원주면에는 따라 길이방향으로 탄성력과 마찰력을 가지는 다수의 긴 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6. 제5항에 있어서, 다수의 통공들 중 일부분에 빗살부를 설치하고, 상기 빗살부는 빗살 설치부와 빗살로 구성되고, 빗살 설치부의 직경은 통공의 직경과 동일하며, 빗살 설치부는 일단은 밀폐되고 타단은 개방되며, 개방된 타단에는 통공의 직경보다 큰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7. 제5항에 있어서, 다수의 통공 중 일부분은, 바닥부분은 밀폐되고 상부는 개방되는 맹공으로 구성하고, 이 맹공에 빗살을 직접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의 디퓨져.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어드라이어에 연결되는 디퓨져 부분의 내경은, 개별적인 헤어드라이어에 맞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의 디퓨져.
KR20130061443A 2013-05-30 2013-05-30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KR101507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1443A KR101507391B1 (ko) 2013-05-30 2013-05-30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1443A KR101507391B1 (ko) 2013-05-30 2013-05-30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725A true KR20140140725A (ko) 2014-12-10
KR101507391B1 KR101507391B1 (ko) 2015-04-06

Family

ID=5245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1443A KR101507391B1 (ko) 2013-05-30 2013-05-30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957B1 (ko) 2022-07-04 2023-04-25 고정곤 기능성 헤어 드라이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24B2 (ja) * 1978-05-31 1983-01-06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用ノズルアタツチメント
KR200197508Y1 (ko) 2000-03-29 2000-09-15 유닉스전자주식회사 브러쉬 겸용 헤어드라이기
KR200364337Y1 (ko) 2004-06-18 2004-10-08 권영호 헤어드라이어
KR20100086409A (ko) * 2009-01-22 2010-07-30 장선숙 헤어드라이기용 노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391B1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7256B2 (ja) 手持型機器のための付属品
JP6344570B2 (ja) 手持型機器のための付属品
JP5990839B2 (ja) 手持型機器のための付属品
JP6975043B2 (ja) 毛髪のグルーミング用真空アシスト・システム及び方法
EP2496111B1 (en) Hair styling attachment
WO2016001621A1 (en) Attachment for a hair care appliance
BR112015003657B1 (pt) dispositivo de tratamento de cabelo; concentrador para utilização com um aparelho para cabelo que expele ar através de uma saída; aparelho para o cabelo; e métodos de secagem de uma seção de cabelo
CN103251199A (zh) 一种具有吹干、梳理和保健功能的智能梳子
KR20110002484U (ko) 헤어드라이어 열축적 디퓨저 구조
US20020092196A1 (en) Hair Straightening device
KR101507391B1 (ko) 헤어드라이어 디퓨져
KR20080036822A (ko) 고데기형 헤어 드라이기
JP4663466B2 (ja) ヘアードライヤ
JP2011217996A (ja) ヘアードライヤ
EP4082384A1 (en) Air emitting device for hair treatment
RU2127993C1 (ru) Диффузор сушилки для волос
KR102287910B1 (ko) 속눈썹 드라이기
US5983517A (en) Hair drying and styling appliance
KR200197508Y1 (ko) 브러쉬 겸용 헤어드라이기
KR20210066347A (ko) 빗이 결합된 헤어 드라이기
KR101701340B1 (ko) 머리카락 정발기
CN220369635U (zh) 一种用于吹干头发并给头发做造型的装置
CN218515322U (zh) 梳体结构及美发设备
KR200493541Y1 (ko) 웨이브 머리카락을 만들기 위한 헤어드라이 장치
KR200492670Y1 (ko) 헤어 드라이어용 롤러 노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