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794A -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794A
KR20140138794A KR1020147027154A KR20147027154A KR20140138794A KR 20140138794 A KR20140138794 A KR 20140138794A KR 1020147027154 A KR1020147027154 A KR 1020147027154A KR 20147027154 A KR20147027154 A KR 20147027154A KR 20140138794 A KR20140138794 A KR 20140138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key
symbols
keys
symb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 로우
잔 문스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40138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손가락들을 이용하여 문자들 또는 숫자들과 같은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은, 복수의 심볼들과 결합된 키; 상기 키에 결합된 키 영역을 누르는 손가락의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식기; 상기 결정된 손가락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심볼들 중 한 심볼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 포함한다.

Description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SYMBOLS}
본 발명의 분야는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키보드 시스템, 더 상세하게는 가상 키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2년에 걸쳐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바이스들이 인기를 얻어 왔다. 오늘날, 스마트 폰, 모바일 폰, 태블릿 및 PC 모두 멀티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스마트 폰, 모바일 폰, 및 태블릿에는 종종 전통적인 키보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 필요할 때 터치 스크린상에 소프트 키보드가 제공된다. 그러나, 실제 키보드 상에서 타이핑하는 것과 비교하여, 소프트 키보드의 결과는 종종 더 많은 에러를 야기하고 타이핑 속도도 더 느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프트 키보드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에러 수를 감소시키며 및/또는 타이핑 속도를 증가시키는 키보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라,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숫자와 같은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복수의 심볼들과 결합된 키; 상기 키에 결합된 키 영역을 누르는 손가락의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식기; 및 상기 결정된 손가락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심볼들 중 한 심볼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한다.
실시예의 제1 유형에 따라, 그러한 시스템은 인접한 키들의 키 영역들이 중첩될 수 있고 심볼이 키 영역을 터치한 손가락의 유형을 이용함으로써 결정되는 키보드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AZERTY 키보드의 경우에, 키 Z는 심볼 A, Z 및 E와 결합될 수 있고, 키 A에 결합된 키 영역은 키 Z의 키 영역과 중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타이핑된 심볼이 중첩 영역을 터치한 손가락의 유형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고, 즉, 이 예에서, 새끼 손가락은 심볼 A가 타이핑된다는 결론을 야기할 것이고 약지 손가락은 심볼 Z가 타이핑되고 있다는 결론을 야기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키 영역은 중첩하지는 않지만, 키 영역을 터치하는 손가락의 유형에 따라 어떤 심볼이 타이핑되는지 결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인식기는 키 영역을 터치하는 손가락의 지문의 디지털 이미지를 취하도록 구성된 지문 식별 수단을 포함한다. 지문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유형이 고유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지문을 사용하기보다는 카메라를 통해 얻어진 손가락의 이미지를 이용하는 다른 기술 또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인식기는 키 영역을 누르는 손가락의 유형을 엄지 손가락, 검지 손가락, 중지 손가락, 약지 손가락, 새끼 손가락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그러한 손가락이 왼손에 속하는지 또는 오른손에 속하는지가 또한 결정된다. AZERTY 또는 QWERTY 키보드의 경우에, 검지가 왼손에 속하는지 또는 오른손에 속하는지가 판단된다면 특히 이로울 수 있다. AZERTY 또는 QWERTY 키보드의 경우에, 이것은, 예를 들면, 문자 G 또는 H가 타이핑되었는지를 보다 쉽게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키는 키보드의 일부인 것으로 여겨지고, 키보드의 인접한 다수의 다른 키인 것으로 여겨진다. 각각의 다른 키가 적어도 제1 심볼과 결합된다고 가정하면, 그 키와 결합된 복수의 심볼들은 적어도 자신의 제1 심볼뿐만 아니라 다른 키들의 제1 심볼들을 포함한다. QWERTY 또는 AZERTY 키보드의 경우에, 다수의 인접한 키들은 전형적으로 동일한 라인 상의 인접한 키들, 즉, 동일한 유형의 손가락으로 터치되지 않는 키들일 것으로, 예를 들면, 키 D에 대하여, 인접한 키들은 키 S 및 F일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은 키가 소프트 또는 가상 키의 형태로 제공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은 키 영역에서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선택기는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심볼들 중 하나의 심볼을 선택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제2 양상에 따라, 손가락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숫자와 같은 심볼들을 입력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복수의 심볼들과 결합된 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키에 결합된 키 영역을 누르는 손가락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손가락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심볼들 중 한 심볼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손가락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지문 식별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키 영역을 누르는 손가락의 유형은 엄지 손가락, 검지 손가락, 중지 손가락, 약지 손가락, 새끼 손가락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되고, 및/또는 왼손 또는 오른손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 키를 포함하는 키보드가 제공되고, 상기 키보드는 상기 제1 키에 인접한 다수의 다른 키를 포함하며, 각각의 다른 키는 적어도 제1 심볼과 결합된다. 그러한 경우에, 상기 제1 키와 결합된 복수의 심볼들은 바람직하게는 제1 심볼과 상기 다른 인접한 키들의 제1 심볼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 방법은 키 영역에서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심볼들 중 한 심볼을 선택하는 단계는 결정된 위치에 또한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라, 손가락을 이용하여 숫자들의 문자와 같은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보드; 상기 키보드에 결합된 키보드 영역을 누르는 손가락의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식기; 상기 결정된 손가락 유형에 기초하여 복수의 키들과 연관된 복수의 심볼들 중 한 심볼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 키보드 시스템은 키보드 영역에서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선택기는 바람직하게는 결정된 위치 및 결정된 손가락의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심볼들 중 한 심볼을 선택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비제한적인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특징의 상기 및 다른 이점은 첨부 도면과 결합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되고 자명해질 것이다.
도 1a는 QUERTY 키보드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는 키보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은 소프트 QWERTY 키보드가 사용되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기존의 소프트 키보드가 갖는 문제점은 터치 스크린의 크기에서 기인한다.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바이스는 표준 키보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이에 따라 키들이 더 작고 및/또는 키들 간의 간격이 더 작게 된다. 더욱이, 인접한 키들 간에 명확한 경계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것은 잘못된 키를 누르거나 또는 두 개의 키를 동시에 누름으로써 잘못 타이핑할 확률을 증가시킨다.
QWERTY 키보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A, S, D, F, G, H, J, K, L을 갖는 기준 행(1)을 포함한다. 규칙에 따라 타이핑할 때, 문자 A는 왼손의 새끼 손가락(2)에 의해 제어되고; 문자 S는 왼손의 약지 손가락(3)에 의해 제어된다. 키보드의 각각의 키에 대하여, 키 영역(4)이 정의된다. 문자 Q, W, E, R, T, Y를 포함하는 라인에 포함되는 키들에 대하여, 키들보다 상당히 더 큰 각각의 키 영역들(4, 5)이 정의될 수 있다. 새끼 손가락이 Q와 결합된 영역(4)을 터치한다고 결정되면, 심볼 Q가 타이핑된다고 결정한다. Q와 결합된 키 영역은 W와 결합된 키 영역과 적어도 중첩할 것이고, 약지 손가락이 Q와 결합된 영역과 W와 결합된 영역 사이의 중첩 영역을 터치한다면, 심볼 W가 타이핑된다고 결정될 것이다. 기준 행(1)의 문자들에 대해, 키 A와 결합된 영역이 키 S를 넘어 연장될 수 있고, 새끼 손가락이 A와 결합된 영역에서 키 S를 터치한다면, 문자 A가 타이핑되는 것이지 문자 S가 타이핑되는 것은 아니라고 결정된다. 새끼 손가락, 약지 손가락, 중지 손가락 또는 검지 손가락에 의해 터치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른 키들에 대해서도 유사한 고려를 적용한다. 검지 손가락에 대하여, 이 손가락은 세 개보다 많은 키들을 제어하기 때문에 상황이 약간 더 복잡하다. 예를 들면, 문자 T 및 Y에 대하여, 그들 키와 결합된 영역들(5)은 타이핑되는 심볼이 T인지 또는 Y인지가 결정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그들 영역들(5)은 사용자의 타이핑 스타일에 따라 정의된 사용자일 수 있다.
도 1a의 영역들(4 및 5)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자. 전형적으로, 영역들(4)은 도시된 것보다 상당히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왼손의 새끼 손가락이 기준 행(1)의 키들의 범위를 정하는 상부 라인 위의 영역을 터치한다면, 문자 Q가 타이핑된다고 결정된다고 정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알고리즘은, 왼손의 새끼 손가락이 기준 행(1)의 키들의 하부 라인 아래의 영역을 터치한다면, 문자 Z가 타이핑된다고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알고리즘은, 왼손의 새끼 손가락이 기준 행(1) 내의 영역을 터치한다면, 문자 A가 타이핑된다고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새끼 손가락 또는 중지 손가락에 의해 타이핑되는 기준 행의 상부 라인 위, 하부 라인 아래 또는 기준 행 내부의 다른 키들에 대해서도 유사한 고려가 적용될 수 있다.
키들이 터치 스크린 상에 반드시 도시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특히 맹목적으로 타이핑할 수 있는 사용자들을 위해 키보드의 일부 윤곽 또는 세 개의 행만을 단지 도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실시예는 매우 많은 이점을 갖는다. 사용자들은 타이핑할 때 매우 정확하게 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왼손의 새끼 손가락이 키 A의 위의 영역을 터치하기만 하면, 문자 Q가 타이핑된다고 결정된다. 문자 W 또는 E가 타이핑된다고 결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문자 Q와 문자 W 간의 잘못된 타이핑이 피해진다. 다른 인접한 문자들에 대해서도 유사한 고려가 적용된다. 더욱이, 사용자가 임의의 키와 결합된 영역들을 정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키보드가 개인화될 수 있다.
요약하면, 도 1의 실시예에 대해, 각각의 키에 대해, 복수의 심볼들 및 키 영역(4, 5)이 정의된다. 그러한 키 영역(4, 5)을 터치하는 손가락의 유형에 따라, 복수의 심볼들 중 한 심볼이 선택된다. 예를 들면:
- 키 A는 심볼 A 및 S와 결합된다; 새끼 손가락이 A의 키 영역을 터치하면, 문자 A가 타이핑되는 것으로 결정되지만, 약지 손가락이 A의 키 영역을 터치하면, 문자 S가 타이핑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 문자 Q에 대하여, 키 영역은 문자 A 위의 전체 영역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더욱이, 키 Q는, 예를 들면, 심볼 Q, W, E, R과 결합될 수 있다; Q에 대한 영역이 각각 새끼 손가락, 약지 손가락, 중지 손가락, 검지 손가락으로 터치되는지에 따라, 타이핑되는 문자는 Q, W, E, 또는 R이라고 결정된다.
키 영역들은 많은 상이한 방법들로 정의될 수 있고, 또한 전술한 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임의의 실시예에서, 키 영역들은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키보드는 아홉 개의 키(10)로 구성된다. 각각의 키(10)는 복수의 심볼들과 결합된다. 예를 들면, 제1 키는 심볼 1, A, B, C와 결합된다. 제1 키는 심볼 2, D, E, F와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특정 손가락과 결합한 특정 키는 어떤 심볼을 선택하는지를 결정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키가 검지 손가락으로 터치된다면, 1이 타이핑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제1 키가 중지 손가락으로 터치된다면, A가 타이핑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제1 키가 약지 손가락으로 터치된다면, B가 타이핑되는 것으로 결정되고, 제1 키가 새끼 손가락으로 터치된다면, C가 타이핑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제2 및 추가의 키들에 대해서 유사한 링크가 정의될 수 있다.
단일 키를 이용하여 다수의 상이한 심볼들을 타이핑함으로써, 키들이 더 적게 필요하게 되고, 키들을 더 크게 만들 수 있으며, 타이핑 에러의 기회를 다시 줄일 수 있다.
도 1b가 아홉 개의 키들을 갖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아홉 개의 키보다 많거나 적고 더 많거나 더 적은 심볼들을 갖는 다른 예들 또한 예상된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더 많거나 더 적은 심볼들이 각각의 키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b는 키 영역들이 키들의 경계들과 대응하는 예를 도시하고, 도 1a는 중첩하는 키 영역들이 사용되는 예이다. 또한, 이들 두 개의 가능성들을 결합하는 키보드들도 본 발명의 체계 내에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시스템은 복수의 키(21)를 갖는 소프트 키보드(20)를 포함한다. 더욱이, 복수의 키 중 한 키에 결합된 키 영역을 누르는 손가락의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식기(22)가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인식기(22)는 지문을 도출함으로써 손가락의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지문 식별 수단이다. 지문 식별 수단의 실시예에 따라, 소프트 키보드의 터치 표면에는 키보드를 터치하는 손가락의 지문 패턴의 디지털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구성된 지문 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지문 센서 기술의 예로는 광학 지문 센서, 초음파 센서, 수동 커패시턴스 센서 또는 능동 커패시턴스 센서를 포함하는 커패시턴스 센서가 있다. 더욱이, 지문 식별 수단은 지문의 검색된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하여 어떤 손가락이 표면을 터치하고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매칭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매칭 알고리즘은, 예를 들면, 특징점(minutia) 매칭 또는 패턴 매칭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의 시스템의 실시예는 또한 터치 위치 식별 수단(23)의 형태로 위치 결정 수단을 포함한다. 터치 위치 식별 수단은 키보드를 터치하는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터치 위치 식별 기술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많은 단일 터치 및 멀티 터치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되는 많이 개발된 기술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지문 식별 수단(22)에 의해 결정된 지문 및 터치 위치 식별 수단에 의해 결정된 터치 위치가 동적 소프트 키보드 코어(24)로 이송된다. 동적 소프트 키보드 코어는 전형적으로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동적 소프트 키보드 코어(24)는 결정된 지문 및 결정된 터치 위치를 이용하여 타이핑된 심볼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단계(31)에서, 키보드가 손가락에 의해 터치되는지가 결정된다. 손가락에 의한 터치가 감지되면, 단계(32)에서 어떤 유형의 손가락이 키보드를 터치했는지가 결정된다. 단계(33)에서, 키보드에서 어떤 위치가 터치되었는지가 결정된다. 어떤 키 영역들이 터치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고,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자. 단계(33)는 단계(32) 전에 또는 단계(32)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결정된 손가락의 유형 및 결정된 위치/키 영역들에 기초하여, 단계(34)에서, 어떤 심볼이 타이핑되는지가 결정된다. 도 1b의 예에 대해, 예를 들면, 제1 키의 키 영역이 새끼 손가락으로 터치되었다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심볼 1, A, B, 및 C 중에서 심볼 C가 선택된다. 유사하게, 도 1a의 예에 대해, 기준 행(1)의 키들 위의 영역이 왼손의 약지 손가락으로 터치되었다고 결정될 수 있다. 그 경우에, 문자 W가 타이핑되었다고 결정될 것이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문자 타이핑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숫자, !, @, #, $, % 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심볼들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가 특정 실시예와 결합하여 전술되었지만, 이러한 설명은 단지 예이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는 보호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손가락들을 이용하여 문자들 또는 숫자들과 같은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심볼들과 결합된 하나의 키와,
    상기 키에 결합된 키 영역(a key area)을 누르는 손가락의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식기와,
    상기 결정된 손가락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심볼들 중 하나의 심볼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심볼 입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기는 상기 키 영역을 터치하는 손가락의 지문의 디지털 이미지를 취하도록 구성된 지문 식별 수단을 포함하는
    심볼 입력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기는 상기 키 영역을 누르는 손가락의 유형을 엄지 손가락, 검지 손가락, 중지 손가락, 약지 손가락, 새끼 손가락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심볼 입력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기는 상기 손가락이 왼손의 손가락인지 또는 오른손의 손가락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심볼 입력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키는 키보드의 일부이고, 상기 키보드의 다수의 다른 키들에 인접하며, 각각의 다른 키는 적어도 제1 심볼과 결합되며, 상기 하나의 키와 결합된 복수의 심볼들은 적어도 제1 심볼 및 상기 다른 키들의 제1 심볼들을 포함하는
    심볼 입력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프트 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심볼 입력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영역에서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기는 상기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심볼들 중 하나의 심볼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는
    심볼 입력 시스템.
  8. 손가락들을 이용하여 문자들 또는 숫자들과 같은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복수의 심볼들과 결합된 하나의 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키에 결합된 키 영역을 누르는 손가락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손가락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심볼들 중 하나의 심볼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볼 입력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는 지문 식별을 이용하여 행해지는
    심볼 입력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 영역을 누르는 손가락의 유형은 엄지 손가락, 검지 손가락, 중지 손가락, 약지 손가락, 새끼 손가락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되고, 및/또는 왼손에 속하는지 또는 오른손에 속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심볼 입력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키보드가 제공되고, 상기 키보드는 상기 하나의 키에 인접한 다수의 다른 키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다른 키는 적어도 제1 심볼과 결합되고, 상기 키와 결합된 복수의 심볼들은 적어도 제1 심볼 및 상기 다른 키들의 제1 심볼들을 포함하는
    심볼 입력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터치 스크린상에 제공되는
    심볼 입력 방법.
  13. 손가락들을 이용하여 문자들 또는 숫자들과 같은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키보드와,
    상기 키보드에 결합된 키보드 영역을 누르는 손가락의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식기와,
    상기 결정된 손가락 유형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키들과 연관된 복수의 심볼들 중 하나의 심볼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기를 포함하는
    심볼 입력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영역에서 손가락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기는 상기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심볼들 중 하나의 심볼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되는
    심볼 입력 시스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들 중 제1 키는 상기 복수의 키들 중 다수의 인접한 키들에 인접하고, 각각의 인접한 키는 적어도 제1 심볼과 결합되며, 상기 제1 키와 결합된 복수의 심볼들은 적어도 제1 심볼 및 상기 인접한 키들의 제1 심볼들을 포함하는
    심볼 입력 시스템.
KR1020147027154A 2012-02-28 2013-02-25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87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305237.5A EP2634672A1 (en) 2012-02-28 2012-02-28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symbols
EP12305237.5 2012-02-28
PCT/EP2013/053646 WO2013127711A1 (en) 2012-02-28 2013-02-25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symbol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794A true KR20140138794A (ko) 2014-12-04

Family

ID=4774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154A KR20140138794A (ko) 2012-02-28 2013-02-25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33177A1 (ko)
EP (1) EP2634672A1 (ko)
JP (1) JP2015508975A (ko)
KR (1) KR20140138794A (ko)
CN (1) CN104205019A (ko)
WO (1) WO2013127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5632B (zh) * 2014-02-22 2018-07-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输入方法和装置
CN106155535A (zh) * 2015-03-23 2016-11-23 联想(北京)有限公司 触摸屏软键盘输入方法及装置
CN106295282B (zh) * 2015-05-15 2021-0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指纹输入密码的方法及装置
CN104991609A (zh) * 2015-07-20 2015-10-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5389048A (zh) * 2015-11-09 2016-03-09 江苏惠通集团有限责任公司 手势识别装置的印刷电路板及电子设备
CN105718196A (zh) * 2016-01-18 2016-06-2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触摸屏上左右手的识别方法
CN105867806B (zh) * 2016-03-25 2020-05-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及电子设备
US20180107380A1 (en) * 2016-10-14 2018-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key area correction
US10877574B2 (en) * 2017-01-09 2020-12-29 Inventec Appliances (Pudong) Corporation Computer mouse, touchpad, input suite, and mobile device
CN107609376A (zh) * 2017-09-11 2018-01-19 刘先利 一种包含生物特征的信息录入方法及装置
CN108073835B (zh) * 2018-01-03 2020-11-06 北京知道创宇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密码映射方法、系统及键盘
CN109062477A (zh) * 2018-06-15 2018-12-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输入方法及终端
CN109976653A (zh) * 2019-02-27 2019-07-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输入方法及终端设备
WO2022056915A1 (zh) 2020-09-21 2022-03-24 深圳大学 一种基于电容按键的人机交互方法和交互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0103A (en) * 1995-10-04 1998-08-04 Willner; Michael A. Ergonomic keyboard entry system
US5793312A (en) * 1997-04-09 1998-08-11 Tsubai; Ryozo Data entry system
US6710770B2 (en) * 2000-02-11 2004-03-23 Canesta, Inc. Quasi-three-dimensional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and localize interaction of user-object and virtual transfer device
US6348878B1 (en) * 2000-08-10 2002-02-19 Kenzo Tsubai Data entry keyboard
US7439957B2 (en) * 2001-01-25 2008-10-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ct universal keyboard
JP4084582B2 (ja) * 2001-04-27 2008-04-30 俊司 加藤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
US20030048260A1 (en) * 2001-08-17 2003-03-13 Alec Matusis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ction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user's fingers
US20090006543A1 (en) * 2001-08-20 2009-01-01 Masterobjects System and method for asynchronous retrieval of information based on incremental user input
US7310053B2 (en) * 2003-04-24 2007-12-18 Taylor Bollman Compressed standardized keyboard
US7555732B2 (en) * 2004-03-12 2009-06-30 Steven Van der Hoev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 data entry interface
US7505796B2 (en) * 2004-12-28 2009-03-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Keypad for portable wireless devices
US9760214B2 (en) * 2005-02-23 2017-09-12 Zieno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entry input
US9274551B2 (en) * 2005-02-23 2016-03-01 Zieno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entry input
EP2071436B1 (en) * 2006-09-28 2019-01-09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521927B2 (en) * 2007-07-07 2013-08-27 David Hirshberg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US10133479B2 (en) * 2007-07-07 2018-11-20 David Hirshberg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US20080042979A1 (en) * 2007-08-19 2008-02-21 Navid Nikbi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commands or inputting data based on finger's characteristics and Multi-Finger key
US8232973B2 (en) * 2008-01-09 2012-07-31 Apple Inc. Method,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providing word recommendations for text input
US20090231282A1 (en) * 2008-03-14 2009-09-17 Steven Fyke Character selection on a device using offset contact-zone
KR20100000617A (ko) * 2008-06-25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JP4752887B2 (ja) * 2008-09-12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390583B2 (en) * 2009-08-31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Pressure sensitive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US8686955B2 (en) * 2010-03-11 2014-04-0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erforming character en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8975A (ja) 2015-03-23
CN104205019A (zh) 2014-12-10
EP2634672A1 (en) 2013-09-04
WO2013127711A1 (en) 2013-09-06
US20150033177A1 (en)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8794A (ko) 심볼들을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280229B2 (en) Touch alphabet and communication system
US10126941B2 (en) Multi-touch text input
US200800429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commands or inputting data based on finger's characteristics and Multi-Finger key
TWI437484B (zh) 具方向性手勢輸入之轉譯
US9535603B2 (en) Columnar fitted virtual keyboard
KR101411569B1 (ko)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10264442A1 (en) Visually emphasizing predicted keys of virtual keyboard
US20110175816A1 (en) Multi-touch character input method
US20130002562A1 (en) Virtual keyboard layouts
US20130257732A1 (en) Adaptive virtual keyboard
CN105074643B (zh) 非词典字符串的手势键盘输入
CN103677644A (zh) 一种智能移动终端的解锁方法及系统
CN101390036A (zh) 一种用于输入对应于由触摸位置移动产生的相对坐标值的文本的装置和方法
WO2012102859A1 (en) Overloaded typing apparatuses, and rel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102177485A (zh) 数据输入系统
WO2012158257A2 (en) Typing inpu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20130271379A1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9898809B2 (en) Systems, methods and techniques for inputting text into mobile devices using a camera-based keyboard
CN102122232A (zh) 一种触摸屏键盘及汉字输入方法
JP5102894B1 (ja) 文字入力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KR101454578B1 (ko) 소프트웨어 한글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N101943985A (zh) 具有虚拟键盘的电子装置及其虚拟键盘操作方法
CN102177486A (zh) 具有多级虚拟键盘的通信装置
CN104516556A (zh) 防止便携式电脑的触控板误触控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