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751A - 음료용기용 뚜껑 및 증기 안내 배플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용 뚜껑 및 증기 안내 배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751A
KR20140138751A KR1020147026233A KR20147026233A KR20140138751A KR 20140138751 A KR20140138751 A KR 20140138751A KR 1020147026233 A KR1020147026233 A KR 1020147026233A KR 20147026233 A KR20147026233 A KR 20147026233A KR 20140138751 A KR20140138751 A KR 20140138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drinking
lid
edg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글라스 에이치. 플레밍
Original Assignee
더글라스 에이치. 플레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글라스 에이치. 플레밍 filed Critical 더글라스 에이치. 플레밍
Publication of KR2014013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9/00Envelopes, wrappers, and paperboard boxes
    • Y10S229/9061Cup lid with means for forming a drinking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용 음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상기 뚜껑은 사용자가 컵 또는 찻잔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음료를 조금씩 마실 수 있도록 드링크 웰 베이스를 액체로 채울 수 있는 음료 배출구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는 음료용기의 개구부를 밀봉식으로 맞무는 크기 및 형상이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부를 갖는 중공의 융기된 립부가 제공된다. 하방향으로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내측부를 갖는 외부 립부가 제공된다.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는 하단부들을 따라 주변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진 플로어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료용기용 뚜껑 및 증기 안내 배플{LID AND VAPOR DIRECTING BAFFLE FOR BEVERAGE CONTAINER}
본 특허 문헌의 개시의 일부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자료를 포함한다. 특허권자는 특허상표청의 특허 파일 또는 기록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특허 문헌 또는 특허 명세서의 어느 하나에 의한 팩시밀리 복제에 대하여 이의는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모두 저작권 권리를 유보한다.
본 출원은 2012년 3월 23일에 발명의 명칭 "음료용기용 증기 안내 뚜껑 및 배플"로 출원되었으며, 명세서, 도면 및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그의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편입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614,955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음용 컵용 뚜껑, 특히 음료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어떤 관점에서는 커피 또는 홍차와 같은 향을 갖는 음료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음용 컵 또는 음료수 컵으로 기재될 수 있는 일회용 음료용기들은 액체, 특히 커피 또는 홍차와 같은 뜨거운 음료를 "계속(on-the-go)" 소비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아주 흔하게 존재한다. 일회용 음료컵들은 음료수가 용기로부터 튀거나(splashing) 또는 흘러넘치는(spilling)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종종 일회용 뚜껑을 이용한다. 현재, 일회용 뚜껑들은 가장 일반적으로 융기한 림의 상면에 수평으로 배향된 음료 개구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설계들의 대부분은, 많은 관점에서, 제한된 양의 액체가 제공되는 빨대, 또는 그보다도 못한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는 방식으로 뚜껑을 통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한다. 방출 개구부들이 아주 적거나 또는 불충분하게 제공되는 경우, 이러한 결점들이 더욱 악화된다. 더욱이, 이러한 음료 개구부는 사용자의 입술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마시는 동안 음료수로부터 매우 적은 향이 사용자의 코로 들어간다.
사용자가 뚜껑이 없는 컵이나 찻잔에서 마시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마실 수 있도록 일회용 뚜껑을 개발하기 위한 이전의 노력들은 그들의 유용성을 제한하는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사용하기 쉬운 일회용 음료컵 또는 용기용 뚜껑 설계를 제공할 필요성이 남아있다. 이러한 뚜껑은 일회용 소재로 제공되어야만 더욱 유리할 것이다. 이러한 뚜껑 설계가 사용자에게 액체의 제공(presentation) 방식 및/또는 사용자에게 음료수의 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즐거운 음용 경험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새로운 음용 형태의 음료용기 뚜껑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뚜껑 및 용기들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음용 경험의 즐거움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이러한 뚜껑은 사용자가 컵 또는 찻잔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음료를 조금씩 마실 수 있도록 드링크 웰 베이스를 액체로 채울 수 있는 음료 배출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은 하부 가장자리를 갖는 림을 구비한 베이스 및 내측 비드 밀봉부(interior bead sealing portion)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림은 환형상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를 통해 음료컵의 개방 단부를 밀봉식으로 맞무는 크기 및 형상이다. 대다수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음료컵의 상부에 설치된 비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원형 개구부가 음료컵에 제공되며, 이들 경우에 있어서,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는 음료컵의 비드를 밀봉식으로 맞문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용 뚜껑(drink-through lid)이 음료용기에 사용될 때,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는 음료컵의 비드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질 수 있다. 중공의 융기된 립부가 뚜껑에 제공되며, 이 립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부, 외부 립부 및 상기 외부 립부로부터 하단부들로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내측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공의 융기된 립부의 내측부는 상기 외부 립부로부터 내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드링크 웰 베이스(drink well base)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는 하단부들을 따라 주변부(peripheral side)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진 플로어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는 상기 림의 하부 가장자리 위 및 상기 외부 립부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의 플로어의 최하부는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의 중심선 위에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의 플로어의 최하부는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의 중심선에 수직 레벨로 또는 이 수직 레벨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의 플로어의 최하부는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의 중심선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는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의 중심선 아래에서 또는 위에서 약 0.5 인치(1.27 cm)의 레벨로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가 제공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는 상기 중공의 융기된 립부의 상기 내측부 내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 벽 및 상기 주변 가장자리에 근접한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의 출구부를 따라 연장되는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의 일부는 약 40°내지 약 90°범위의 각도(α)로 상기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표면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평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의 일부는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를 따라 연장되는 제2 면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평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과 제2 표면이 반경 만곡부(radiused curve)를 따라 결합될 때 상기 음료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평면과 제2 평면은 반경 만곡부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쇼울더가 상기 중공의 융기된 립부의 내측부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음료 개구부는 상기 내측으로 돌출하는 쇼울더를 따르는 개구 절단부(opening cut)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으로 돌출하는 쇼울더는 상방향으로 향하는 아치형 중앙부를 갖는 아치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음용 뚜껑은 이 음용 뚜껑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을 더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V자 형상 벽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은 음료 개구부의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에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은 가장자리에서 가장자리로 연속되는 형상, 즉 상기 벽의 제1 릿지(ridge)와 제2 릿지를 연결하는 밸리(valley)를 통하여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뚜껑을 가로지르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길이 "LS"의 슬릿(slit)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의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에 의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은 그 안에 배플(baffle)을 위치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슬릿을 포함하는 음용 뚜껑은 이 슬릿 내에 삽입된 배플 없이 음료컵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플은 슬릿을 갖는 음용 뚜껑에 사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사용자의 코를 향하여 증기를 펌핑하고 안내하는 것에 의해 음용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선택된 음료컵의 폭과 높이를 포함하는 내부 치수에 상보적인 가변 배플 높이 및 폭을 갖는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플에는 그의 하부에 설치된 액체 통로를 형성하는 슬롯(slot)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플에는, 뚜껑에 대해 배플을 수직으로 단단하게 위치시키고, 뚜껑이 음료용기 내로 스냅맞춤될 때 배플의 측면들과 음료용기의 내부 벽 사이의 밀접한 끼워맞춤 맞물림을 보장하도록, 록킹부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들)은 설명을 위해 예시적인 실시예들로서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소비를 위해 액체가 빠져나오는 드링크 웰 베이스를 갖고,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로 액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음용 뚜껑의 사시도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3개의 증기 통로를 나타낸다.
도 2는 접선(line tangent)으로부터 뚜껑의 외측 가장자리의 거리(L1)의 선을 따르는 가장자리 벽에 의해 형성된 하부를 구비하는 음료 배출구를 갖는 뚜껑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컵용 뚜껑의 저면도로서, 뚜껑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한 접선은 음료 개구부에 중심이 맞춰진 대향 단부를 갖는 선에 직교하며; 달리 말하면, 뚜껑의 외측 가장자리에 대한 그리고 음료 개구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가장자리 벽에 대한 접선은 평행하며, 적어도 하나의 표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평면을 위한 베이스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베이스를 따라 음료 개구부가 배향된다.
도 2a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컵용 뚜껑의 저면도로서, 활모양(bow shaped) 가장자리 벽에 의해 형성된 하부 벽을 갖는 음료 배출구를 제공하여, 뚜껑의 외측 가장자리도 또한 활모양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상보적인 형상 및 연속적인 구성으로 도시된다.
도 3은 음료 소비자에게 자연적인 음용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같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뚜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뚜껑의 제1 음료 기능을 도시하며, 컵 내의 액체를 신속하게 음료 개구부의 하부에 도달시키고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의 설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흐름의 증가 또는 감소를 최소화시키거나 회피시키기 위해 도 2의 음료 개구부를 어떻게 배향시키는 지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상당도이며, 음료 소비자에게 자연적인 음용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과 같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뚜껑을 나타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뚜껑의 제2 음료 기능을 도시하며, 액체는 드링크 웰 베이스 위의 중공의 융기된 립 뒤의 드링크 웰 베이스에 수용되고, 그리고 융기된 림 상에 소형 개구부를 갖는 종래의 컵에서와 같이 융기된 개구부로부터 직접적으로 액체를 취하는 것에 의해 소비하지 않기 때문에, 음용 고객이 그들의 입술로 액체를 어떻게 조금씩 마시는 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뚜껑의 사시도로서, 중공의 융기된 립부가 드링크 웰 베이스 위에 어떻게 제공되는지를 도시하며, 또한, 평면일 수 있는 제1 표면을 교차 해칭으로 나타내며, 이 평면을 따라 음료 개구부는 중공의 융기된 립부 내로 상방향으로 절개된 제1 가장자리 벽뿐만 아니라 드링크 웰 베이스 내로 절단된 하부의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에 의해 배향되고 형성된다.
도 6은 도 5와 유사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새로운 뚜껑의 사시도로서, 중공의 융기된 립부가 드링크 웰 베이스 위에 어떻게 제공되는지를 도시하며, 또한, 평면일 수 있는 제1 표면을 교차 해칭으로 나타내며, 이 평면을 따라 음료 개구부는 융기된 립부 내로 상방향으로 절개된 제1 가장자리 벽뿐만 아니라 드링크 웰 베이스 내로 절단된 하부의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에 의해 배향되고 형성된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전술한 뚜껑과 유사한, 새로운 뚜껑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음용 컵 내에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음용 컵의 상하방향으로 경사지는 측벽들과 맞물리도록 측방으로 연장되는, 파선으로 도시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배플을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폭으로 뚜껑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선을 따라 중앙으로 배향된 슬릿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뚜껑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뚜껑에 대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서, 배플, 뚜껑 및 컵을 사용상태로 결합하는 조립을 추가적으로 도시하며, 또한 배플을 뚜껑에 고정하는 대향 록킹 노치들을 포함하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배플에 대한 실시예를 묘사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뚜껑에 대한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컵 내로 삽입하기 위해 록킹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배플의 일부 묘사들을 추가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새로운 뚜껑과 배플의 조합의 기능적 도해를 제공하는 도면으로서, 음료로부터의 증기를 함유하는 향이 중앙 증기 통로로부터 사용자의 코를 향하여 어떻게 향하는지를, 및 음료로부터의 증기가 액체 표면 접근과 같은, 액체의 표면으로부터 사용자의 입술을 지나서 사용자의 코를 향하여 어떻게 향하는지를 및 음용 개구부로 어떻게 도달하는지의 나타내는 제1 배플의 기능적 도해를 도시하며, 더 나은 압력 평형 및 액체 유동의 허용을 위한 압력 완화를 위한 하나 이상의 증기 안내 통로를 통한 외부 공기의 통과가 또한 도시된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새로운 뚜껑과 배플의 조합의 기능적 도해를 제공하는 도면으로서, 드링크 웰 베이스, 즉 음료 배출구의 외부에 있는 액체 유지 영역이 액체로 채워지고, 사용자가 이러한 증기를 흡입하는 것에 의해 증기를 포함하는 이러한 향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때, 음료로부터의 증기를 함유하는 향이 어떻게 사용자의 코를 향하는지를 나타내는 제2 배플의 기능적 도해를 나타내며, 또한, 뚜껑과 배플을 사용하는 컵이 중앙에 위치된 증기 통로로부터 사용자의 코를 향하여 증기를 어떻게 향하게 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새로운 뚜껑과 배플의 조합의 기능적 도해를 제공하는 도면으로서, 컵이 직립 위치로 복귀될 때 음료 배출구의 외부에 있는 액체 유지 영역이 어떻게 배출되는지를 나타내는 제3 배플의 기능적 도해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의 상당도로서, 슬릿을 더 포함하고 슬릿을 통과하는 배플을 수용하는 뚜껑의 실시예의 저면도이며, 또한, 중앙에 위치된 증기 통로, 및 다른 증기 통로들을 도시하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배플과 조합하기에 적합한 새로운 뚜껑의 기능적 도해를 나타내며, 또한 드링크 웰 베이스의 출구부를 따르는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에 의해 형성된 음료 개구부의 하부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의 선 14-14를 따라 취한 부분 측면도로서,뚜껑 내에 위치되어 컵 내로 위치되는 배플을 도시한다.
도 15는 도 13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로서, 내측 및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의 중앙 측벽들, 뚜껑 내의 슬릿에 수용되는 배플 및 작동 위치에서의 배플, 및 뚜껑 내의 증기 안내 통로들을 도시한다.
도 1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뚜껑의 실시예의 측면도로서, 간결하게 저장하기 위해 뚜껑이 어떻게 적층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17은 음료용기용 일회용 뚜껑에 대한 설계의 사시도로서, 증기 및 액체 양쪽의 유동에 대한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코를 향하여 향을 향하게 하도록 뚜껑은 동적인 유체 유동을 이용하는 것에 의한 음용 경험의 향상을 위해 배플을 수용하는 슬롯을 갖는다.
도 18은 일회용 뚜껑에 대한 설계의 부분 단면도로서, 드링크 웰 베이스의 플로어의 하단부가 뚜껑의 내측 비드 밀봉부의 중심선에 또는 이 중심선에 대하여 어떤 레벨로 위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일회용 뚜껑에 대한 설계의 부분 단면도로서, 드링크 웰 베이스의 플로어의 하단부가 뚜껑의 내측 비드 밀봉부의 중심선 아래에서 어떤 레벨로 위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일회용 뚜껑에 대한 설계의 부분 단면도로서, 드링크 웰 베이스의 플로어의 하단부가 뚜껑의 내측 비드 밀봉부의 중심선 위에서 어떤 레벨로 위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일회용 뚜껑에 대한 설계의 단면도로서, 음료 배출구의 반경방향 최내측 단부와 반경방향 최외측 단부는 뚜껑의 내측 비드 밀봉부의 내부 벽으로부터 거리 "R1"과 "R0"로 위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뚜껑의 직경 "D3"의 내측 비드 밀봉부 내의 상보적인 크기의 음료용기의 개구 단부에 대해 일회용 뚜껑의 적절한 스냅 끼워맞춤을 허용하는 뚜껑의 간섭 끼워맞춤 최소 직경 "D2"를 도시한다.
도 22는 일회용 뚜껑에 대한 설계의 부분 단면도로서, 음료 배출구를 밀봉시키고 뚜껑을 45°로 기울이는 것에 의해 드링크 웰 체적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3은 일회용 뚜껑에 대한 설계의 부분 단면도로서, 하방향으로 향하는 다이 커터의 사용에 의해 절단을 용이하게 하고, 열성형된 재료를 제거하고, 그리고 음료 배출구의 가장자리들을 형성시키기 위해, 중공의 융기된 립부의 내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쇼울더가 표면에 존재하는 실시예에 대한 구성의 특징들에 대한 묘사를 도시한다.
도 24는 컵용 음용 뚜껑의 부분 사시도로서, 소비를 위해 액체를 배출시키는 드링크 웰 베이스 및 드링크 웰 베이스에 대한 액체 통로용의 복수의 음료 배출구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25는 컵용 음용 뚜껑의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소비를 위해 액체를 배출시키는 드링크 웰 베이스 및 뚜껑을 통해 증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제공된 제1 및 제2 통기부가 제공된, 하방향으로 돌출하는 슬릿을 도시한다.
도 26은 컵용 음용 뚜껑의 실시예의 저면도로서, 소비를 위해 액체를 배출시키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드링크 웰 베이스 및 뚜껑을 통해 증기를 유동시키기 위해 제공된 제1 및 제2 통기부가 제공된, 하방향으로 돌출하는 슬릿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하방향으로 돌출하는 부재를 도시한다.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상기 도면들은,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원리들을 이용하는 음료용기용 일회용 뚜껑에 대한 최종 구성 또는 음료용기용의 임의의 배플 및 뚜껑의 최종 구성에서 존재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뚜껑, 배플 및 용기들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고, 제공된 도면들에 일반적으로 묘사된 바와 같은 원리들을 이용하여, 다른 변형된 뚜껑 설계 및 배플 설계는 약간 다른 기계적 구조체, 기계적 배열, 액체 유동 구성 또는 증기 유동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음료용기에 대한 예시적인 뚜껑 및 배플 설계의 이해를 위해 최소한으로 이들 요소들을 도시하는 방식으로 도면들을 그리는 것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묘사들은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일회용 뚜껑 설계 및 배플 설계의 사용자의 음용 즐거움을 형상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높은 품질의 개선된 음료용기 뚜껑들을 제공하기 위해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액체의 온도 및 증기압의 조정, 및 액체로부터의 증기에 생성된 향 함량과 같은 서비스 조건에 따라 컵, 뚜껑 및 배플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에 대해 유용한 다른 실시예에서 유용할 수 있는 바와 같은 다양한 특징들이,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배플의 수용을 위한 슬롯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다양한 뚜껑 설계에서의 유사한 특징들은 그들의 추가 언급없이 유사한 참조부호들 또는 다른 유사한 참조부호들을 사용하여 기술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음료용기(32)(도 3 참조)용 음용 뚜껑(30)이 제공되어 있다. 뚜껑(30)은, 액체(36)가 드링크 웰 베이스(40)를 채울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또는 고객(42)이 컵 또는 찻잔을 사용할 때와 유사한 방식으로 드링크 웰 베이스로부터 음료수를 조금씩 마실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34)로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음료 개구부를 제공한다. 뚜껑(30)은 하부 가장자리(48)를 갖는 림(46) 및 내측 비드 밀봉부(50)를 갖는 베이스(44)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림(46)은 환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44)는 음료용기(32)의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음료용기(32)의 개방 단부(개방 단부를 도시하지만 종종 원형이 아님)를 밀봉식으로 맞물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이다. 중공의 융기된 립부(54)가 제공되며, 이 립부는 드링크 웰 베이스(4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부(56), 외부 립부(60) 및 외부 립부(60)로부터 하단부(66)들로 하방향으로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내측부(62)를 구비한다. 액체(36)(도 3 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드링크 웰 베이스(40)가 제공된다. 드링크 웰 베이스(40)는 하단부(66)들 중 적어도 일부를 따르는 주변부(64)로부터 연장되는 플로어(floor)(63)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로어(63)는 주변부(64)로부터 상방향으로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드링크 웰 베이스(40)는 환형상의 플랜지부착 림(46)의 하부 가장자리(48) 위에 그리고 실질적으로 외부 립부(60)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34)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34)는 중공의 융기된 립부(54)의 내측부(62) 내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 벽(74) 및 주변부(64)에 근접한 드링크 웰 베이스(40)의 출구부(78)를 따라 연장되는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7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가장자리 벽(74)은 아치 형상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34)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일 수 있으며, 환형상의 플랜지부착 림(46)의 하부 가장자리(48)에 의해 형성된 평면(82)과 비교하여, 또는 임의의 경우에, 내측 비드 밀봉부(50)의 중심선(82')(예를 들어, 도 18 내지 도 21 참조)에 의해 형성된 평면과 비교하여, 약 40°내지 약 90°범위의 각도 "α"로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76)으로부터 연장되는, 표면(80)(도 3 참조)을 따라 배향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도 "α"는 약 50°내지 약 70°범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도 "α"는 약 60°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공의 융기된 립부(54)의 내측부(62)는, 제조 공정에서의 금형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선택된 각도인, 약 70°내지 거의 약 90°범위의 각도 "β"로 하방향으로 기울어지고, 그리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설계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약 70°내지 약 85°범위의 각도 "β"가 제공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환형상의 플랜지부착 림(46)이 외부 가장자리(92)를 구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료 배출구(34)의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76)은 환형상의 플랜지부착 림(46)의 외부 가장자리(92)에 접하는 선(94)으로부터 거리 "L1"만큼 떨어진 선을 따라 형성된다. 환형상의 플랜지부착 림(46)의 외부 가장자리(92)에 접하는 선(94)은 음료 배출구(34)의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76)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질 수 있는 대향 단부(98)를 갖는 선(96)에 직교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배출구(34)의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76)은 "W1"의 개구 폭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76)은 환형상의 플랜지부착 림(46)의 외부 가장자리(92)에 접하는 선(94)에 평행하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폭 "W1"은 약 2 인치(5.08 cm) 이하의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폭 "W1"은 약 1 인치(2.54 cm) ± 50%의 전체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폭 "W1"은 약 1 인치(2.54 cm) ± 25%의 전체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한 실시예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a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뚜껑(30')의 저면도로서, 제1 측벽(74')과 외측방향으로 활모양의 형상을 이루는 길쭉한 가장자리 벽(76') 사이에 형성되는 음료 배출구(34')를 제공한다. 따라서,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76')은 제1 단부(761)와 제2 단부(762) 사이에서 만곡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배출구(34)와 일치되는 표면(80)의 부분(3480)에 의해 형성된 음료 배출구(34)는, 음용 뚜껑(30)의 내측 비드 밀봉부(50)로부터 떨어져 이격되지만 이 밀봉부에 인접하며, 이에 따라 음용 뚜껑(30)을 이용하는 음료용기(32)가 수직 위치로부터 기울어질 때, 음료 배출구(34)는 플로어(63)를 따라 드링크 웰 베이스(40) 위에 액체(34)가 신속하게 채워진다. 뚜껑(130)에 관하여 도 21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료 배출구(34)의 제1 가장자리 벽(74)의 반경방향 최외부 지점(R0)은 뚜껑(30)의 내측 비드 밀봉부(50)에 위치된 기준면(PR)으로부터 약 0.3 인치(0.762 cm) 이하의 거리(S)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도 2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0.06 평방인치(0.3871 평방센티미터)에 이르는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34)들의 전체 개구 통로 영역이 내측 비드 밀봉부에 위치된 기준면(PR)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0.5 인치(1.27 cm) 내의 위치에 제공되는, 음용 뚜껑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내측 비드 밀봉부에 위치된 기준면(PR)과 그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의 0.5 인치(1.27 cm) 이하의 위치 사이의 위치 내에,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34)들의 전체 개구 통로 영역의 모두가 제공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34)들의 적어도 일부 개구 영역은 내측 비드 밀봉부에 위치된 기준면(PR)과 그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의 0.4 인치(1.016 cm) 이하의 위치 사이에 위치되는, 음용 뚜껑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드링크 웰 베이스(40)의 플로어(63)는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76)에 위치될 수 있는 액체 드레인(liquid drain)을 제공하는 플로어(63) 내의 하부점(low point)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드레인은 액체 배출구(34)의 반경방향 내측점(RI)에 위치되어, 그와 함께 공통 말단(co-terminus)을 이룰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플로어(63)는 중공의 융기된 립부(54)의 내측부(62)를 향하여 외측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질 수 있다.
도 3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융기된 립부(54)의 외부 립부(60)는 음료 배출구(34)의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76) 위에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음료 배출구(34)의 반경방향 최외부 가장자리(RI)에서 약 0.4 인치(1.016 cm) 내지 약 0.9 인치(2.286 cm) 범위의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직 면 거리(V)는 중공의 융기된 립부(54)의 내측부(62)에 대해 약 0.24 인치(0.6096 cm) 내지 약 0.69 인치(1.7526 cm)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뚜껑(130)의 특징들과 관련된 수직 면 거리(V) 및 관련 구조들을 이하의 도 21에 도시된 것으로 알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34)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34)들은 약 0.06 평방인치(0.3871 평방센티미터) 내지 약 0.25 평방인치(1.613 센티미터) 범위의 전체 개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34)들은 약 0.075 평방인치(0.4839 평방센티미터) 내지 약 0.2 평방인치(1.2903 센티미터) 범위의 전체 개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34)들은 약 0.13 평방인치(0.8387 평방센티미터) 내지 약 0.2 평방인치(1.2903 센티미터) 범위의 전체 개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들은 약 0.2 평방인치(1.2903) 이하의 전체 개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 뚜껑(30)은 선택된 액체 체적 "LV"의 액체(99)를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의 드링크 웰 베이스(4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드링크 웰 베이스(40)는, 뚜껑(30)이 45°각도(θ)로 기울어지고, 액체 배출구(34)가 밀봉되어 폐쇄되고, 그리고 뚜껑(30)이 외부 립부(60)의 한계까지 액체(99)로 채워졌을 때, 약 0.16 액량 온스(fluid ounce)(4.73 밀리리터) 이상의 액체 체적(LV)을 수용하는 크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용 뚜껑(30)은 증기 돔(vapor dome)(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증기 돔(100)은 베이스(44)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융기된 측벽(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돔은 제1 측벽 단부(104)와 제2 측벽 단부(106)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치형상일 수 있다. 상단부(109)와 하단부(111)를 가지며, 제1 측벽 단부(104)로부터 제2 측벽 단부(106)로 뚜껑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내측 증기 돔 벽(108) 및 융기된 측벽(102)과 상단부(109) 사이에 연장되는 증기 돔 면(114)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증기 돔(100)을 갖는 음용 뚜껑(30)은 적어도 하나의 증기 배출 웰(vapor vent well)(110)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증기 배출 웰(110)은 그 안에 적어도 하나의 증기 안내 통로(vapor-directing passageway)(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용 뚜껑(30)은 두 개 이상의 증기 배출 웰(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뚜껑(30)은,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음용 뚜껑(3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V자 형상의 구성으로 제공된 대체로 홈통 형상(trough shaped)의 벽(1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V자 형상 벽(120)은 음료 배출구(34)의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76)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증기 통로(122)들이 V자 형상 벽(120)을 통하여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증기 통로(122)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음료 배출구(34)로부터 빠져나가는 증기를 투사(project)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도 7, 도 8, 도 9, 도 13 및 도 21을 참조하면, 음용 뚜껑(130)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제공된다. 음용 뚜껑(130)은, 이 음용 뚜껑(13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벽(132)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홈통 형상의 벽(132)은 음료 배출구(34)의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76)에 평행하게 배향된,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길이 "LS"의 슬릿(140)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의 베이스에 대해 부분적인 코드선(partial chord line)(방향 등은 현(chord)으로 연장하지만 베이스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지 않음)일 수 있는, 선을 따라 형성된다. 슬릿(140)은 벽(132)에 의해 형성된 제1 가장자리(l46)와 제2 가장자리(l48)를 따라, 제1 단부(142)와 제2 단부(144) 사이에 제공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150)이 제공될 수 있다. 배플(150)은 상기 슬릿(140)을 통한 하방향으로의 삽입을 위해 길이 "LS"에 상보적인 전체 폭 "WB"를 갖는,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배플(150)이 뚜껑(130)에 삽입되기 전에, 도 8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140)은, 이 슬릿을 통해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제1 가장자리(146)와 제2 가장자리(l48)가 함께 압박되는 제1 안정화 상태를 형성한다. 다른 구성에 있어서,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장자리(146)와 제2 가장자리(l48)를 통해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가장자리(146)와 제2 가장자리(l48)가 배플(150)의 제1 측면(152)과 제2 측면(154)을 향하여 압박되는 제2 안정화 상태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150)은 가장자리 록킹부(160, 162)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장자리 록킹부(160, 162)들은 슬릿(140)의 제1 단부(142)와 제2 단부(144)와 록킹 맞물림되는 크기 및 형상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록킹부(160, 162)들은 배플(150) 내의 노치(16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150)은 하단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배플 벽(17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배플 벽(172)은, 음료용기(32)와 조합하여, 도 10,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32)의 저부(176) 위에서 액체 통로(17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32)는 대체로 절두원추형(frusto-conical) 형상의 내부 측벽(18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배플은 음료용기 내부 측벽(180)들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제1 측면(184)과 제2 측면(18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플(150)의 제1 측면(184)과 제2 측면(l86)은 음료용기 내부 측벽(180)들과 밀봉 맞물림되는 형상 및 크기이다.
배플(150)은 음료용기(32)를 적어도 제1 챔버(C1)와 제2 챔버(C2)로 분할하며,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배플(150)은 도 10에 참조 화살표(188, 189)들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 통로(174)를 사용하여, 음료용기 내의 액체(36)가 각각의 챔버(C1, C2) 사이를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위치되어 있다. 배플은 상기 슬릿(140)에서 음용 뚜껑과 효과적으로 밀봉되며, 음용 뚜껑(130)과 음료용기(32) 내의 액체(36) 사이에서, 제1 챔버(C1) 내의 증기(V1)가 제2 챔버(C2)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이 방식에 있어서, 각각의 챔버(C1, C2)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 안내 통로(들)(112)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 통로(들)(122)과 연관된다. 또한, 증기 안내 통로(112)들 및/또는 증기 통로(122)들은 배플(150)의 양측 상의 뚜껑(30)에 배치된다. 따라서, 음료용기(32)가 액체(36)를 수용하고 기울어질 때(도 11 참조), 참조 화살표(18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음료 배출구(34)로부터 액체가 흘러나오고, 제1 챔버(C1) 내의 증기(V1)는 참조 화살표(190)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증기 통로(122)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밀려나가며, 음료용기 외부의 공기는 참조 화살표(19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증기 안내 통로(112)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제2 챔버(C2) 내로 동시에 끌어들여진다. 유사하게, 음료용기(32)가 아래로 기울어지고, 음용을 마친 후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V2)는 참조 화살표(19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 안내 통로(112)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제2 챔버(C2)를 빠져나간다. 제1 챔버(C1) 내의 액체(36)가 후퇴(retreat)될 때, 외부 공기는 참조 화살표(19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챔버(C1) 내에 증기(V1)를 보충시키도록 증기 통로(들)(122)을 통과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증기 통로(122)들은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50)의 중심선(82')을 따르는 평면에 대하여 주로 수평인 방향으로 초기에 증기를 투사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뚜껑(30) 또는 배플(150)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열가소성 재료는 뚜껑(30)의 진공 성형에 적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플(150)은 종이 또는 판지 중 선택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음용 뚜껑(30 또는 130) 설계는, 음료 컵을 위한 다양한 종래 기술의 일회용 음용 뚜껑들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사용자가 커피 컵과 같은 개방된 용기에서 음용할 때 사용자가 커피 컵에서와 거의 같은 음용 경험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는, 음료컵(32)이 정상 음용 상태로 기울어질 때, 액체가 사용자의 입술에 부드럽게 부딪치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드러운(soft)" 느낌을 제공하도록, 드링크 웰 베이스(40)와 플로어(63)를 적절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공하는 것과 조합하여, 음료 배출구(34)의 크기 및 형상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하나의 관점에 있어서, 어떤 설계는 음용 시에, 액체가 사용자의 입술들에 접근할 때 넓고 비교적 천천히 움직이는 액체 표면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는, 음료 배출구에서 나오는 액체의 벡터(vector)에 의해 발생된 "분수(fountain)" 효과를 제공하는 액체 배출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분수" 효과는 용기 내부의 액체가 음료 배출구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을 때 발생된 수두압(head pressure)에 의해 공급된다. 액체의 높이는 음료컵(32)이 기울어지는 각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음료컵이 더 기울어지면, 액체의 높이가 음료 배출구와 비교하여 더 높아지고, 이에 따라, 더 높은 수두(hydraulic head)가 공급된다. 물론, 특정 지점에서의 수두압의 변화율 및 기간은, 드링크 웰 플로어가 액체로 얼마나 빨리 채워지는지를 결정한다. 분수 효과는 주로 음료 배출구(34)의 위치, 방향 및 크기에 의해 결정되며, 사용자의 입술에 대한 충전 벡터(fill vector)의 원점(origin)과 방향, 및 드링크 웰 충전을 위해 요구된 시간을 결정한다. 음료 배출구(34)의 크기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 벡터의 원점과 방향은, 음료컵(32)이 기울어질 때 주로 수직의 음용 방향인, 액체 배출 분수(emerging liquid fountain)를 제공한다. 따라서, 음료 배출구(34)의 크기는, 음용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음료컵(32)이 기울어질 때 액체 분수 투사를 어느 범위까지 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음료 배출구(34)의 적절한 크기와 관련하여, 음료 배출구(34)가 너무 작게 개방되면, 드링크 웰 베이스(40)가 충분히 빨리 채워지지 않으며, 사용자가 음료컵(32)을 과하게 기울일 수 있다. 또한, 음료 배출구(34)가 너무 작으면 액체 분수가 너무 높아지고, 이러한 "분수"는 안전하지 않은 방식으로 솟아올라 사용자의 입술에 부딪치게 될 것이다. 음료 배출구(34)가 너무 크면, 뚜껑(30)에 의해 제공된 튀김(splash) 및 흘러넘침(spill)에 대한 보호를 희생시킬 수 있다. (a) 사용자가 "지나치게 기울이지" 않고 과잉 수두압을 생성시키지 않도록 액체가 충분히 신속하게 사용자의 입술에 도달하는 지점에 대해 드링크 웰 베이스(40)의 충전이 얻어지고, 및 (b) 액체가 사용자의 입술에 도달했을 때 "난류가 아닌 평류"의 비교적 잔잔한(calm) 표면을 갖는 액체에 의해 드링크 웰 베이스(40)의 충전이 얻어지도록, 사용자에 의한 음료컵(32)의 기울기 비율(tip rate)를 부여하기 위해 충분히 큰 음료 개구부(34)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음료컵(32)이 기울어질 때, 액체 분수의 수직 성분은 신속하게 배출되는 액체를 제공하지만, 이 액체는 드링크 웰 베이스(40)에서 즉각적으로 퍼지며, 이에 따라 드링크 웰 베이스(40)가 채워질 때, 사용자의 입술들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인 액체의 선단 가장자리는 사용자의 입술을 향하여 폭넓고 천천히 퍼지게 된다.
또한, 드링크 웰 베이스(40), 및 음료 배출구(34)와 드링크 웰 베이스(40)와 의 상호작용을 위한 최적의 형상을 선택하는 것도 사용자의 음용 경험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그러나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드링크 웰 베이스(40)에 대한 적절한 형상은, 대체로 쐐기 형상의 체적으로 제공되고, 예를 들어, 대체로 작은 오렌지(또는 유사한 과일)의 세그먼트(segment)와 동일한 형상으로 설계되며, 이에 따라 이 세그먼트의 중심은 뚜껑을 가로지르며, 세그먼트의 일측은 수평이고 타측의 크기는 이 세그먼트의 중심으로부터 음료 배출구의 저부를 향하여 하방향으로 각도를 갖고 연장되어, 음용 뚜껑(30)의 융기된 중공 립부(54)의 내측부(62) 형상에 가까은 아치형 측면 형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형상은 도 22에서 쉽게 상상할 수 있으며, 중공의 융기된 립부(54)의 내측부(62)를 따라 액체(99)가 도시되어 있다. (드링크 웰의 하류에서 원 또는 타원형 형상의) 음료 배출구의 하부 접선 가장자리만을 갖는 다수의 종래 기술의 특허와 달리,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음용 뚜껑(30 또는 130)의 개발 동안의 실험에서, 길쭉한 저부의 적어도 일부, 즉 음료 배출구(34)의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76)이 어떤 종래 기술의 특허들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단순한 접선부보다는 드링크 웰 베이스(40)의 하류를 따라 제공되는 경우에, 더 나은 음용 경험이 얻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18,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드링크 웰 베이스의 형상 및 크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도 18에 있어서, 드링크 웰 베이스(40)에는 내측 비드 밀봉부(50)의 중심선(82')에서 또는 이 중심선에 대해 수직 레벨로 종단되는 주변부(peripheral side)(64) 및 음료 배출구(34)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심선(82')은 환형상의 플랜지부착 림(46)의 하부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 평면(82)에 평행할 수 있다. 도 19에 있어서, 드링크 웰 베이스(40')에는 내측 비드 밀봉부(50)의 중심선(82') 아래에서 수직 레벨 웰로 종단되는 주변부(64') 및 음료 배출구(34')가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드링크 웰 베이스(40')의 주변부(64')는 내측 비드 밀봉부(50)의 중심선(82') 아래에서 0.5 인치(1.27 cm) 이내여야 한다. 도 20에 있어서, 드링크 웰 베이스(40")에는 내측 비드 밀봉부(50)의 중심선(82') 위에서 수직 레벨로 종단되는 주변부(64") 및 음료 배출구(34")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의 입술 아래의 드링트 웰(40) 내의 "쐐기" 형상을 채우기 위해 필요한 액체의 체적은 음료컵에서 변하는 액체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드링크 웰은 다른 크기의 들이마심(slurp) 또는 음용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드링크 웰에 액체가 충분하게 수용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일 수 있다.
도 21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열성형된 음용 뚜껑에서의 전술한 이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일 실시예는 사용시에 중공의 융기된 립부를 갖는 음용 뚜껑에 가두어질 수 있는 액체의 양을 최소화하도록 개발되었다. 하나의 관점에 있어서, 이는, 중공의 융기된 립부(54)의 외부 립부(56)의 내부 측벽(200)과 음료 배출구(34)의 반경방향 최외측 가장자리(R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적어도 최적화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관련된 관점에 있어서, 이는, 음료컵의 내부 측벽과 중공의 융기된 립부(54)의 내측부(62)의 내측 벽(202) 사이의 대체로 수평인 간격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적어도 최적화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치수들은 충분한 깊이의 드링크 웰(40)과의 조합 및/또는 충분한 높이의 중공의 융기된 립부(54)와의 조합으로 제공되며, 음료 배출구(34)로부터 드링크 웰(40) 내로 유동하는 액체는, 액체가 음료 배출구(34)로부터 빠져나갈 때, 사용자의 입술에 바로 충돌하지 않는다. 다른 관점에 있어서, 일반적인 상부 개방형 컵의 음용 경험을 생성시키기 위해 드링크 웰(40)에 충분히 큰 액체 풀을 형성시키도록 음료 배출구(34)의 상부 가장자리 아래에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a) 음료 배출구(34)와 사용자의 입술에 대한 공간 모두가 드링크 웰(40)의 액체 레벨 위에 있도록, 중공의 융기된 립부(54)의 외부 립부(60)를 외측으로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 (b) 열성형 공정으로 제조 가능한 구성으로, 음료컵(30 또는 130)의 중공의 융기된 립부(54)의 내측부(62)를 약간 가파르게(하방향으로, 및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약간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만드는 것에 의해, (c) 적어도 일부가 중공의 융기된 립부(54)의 내측부(62) 내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음료 배출구(34)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새로운 음용 뚜껑 설계가 제공되고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수 D1, D2 및 D3과 관련하여, 음료용기(32)의 크기에 따라 뚜껑(30)의 이러한 치수들은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냉온 음료를 판매하는 대부분의 소매점에서의 소형, 중형 및 대형(또는 예를 들어, 높고(tall), 크고(grande), 벤트된(vente))과 같은 크기는 특정 소매점의 방침에 따라 유사하거나 또는 다른 크기들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음용 뚜껑(30)들의 제조에 적합한 방법을 더 잘 시각화할 수 있는 규모로, 예시적인 음용 뚜껑(30)의 더 상세한 구조가 제공된다. 음용 뚜껑(30)은 부분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음료컵(32)의 비드(52) 위에 스냅 끼움 방식(snap fit fashion)(도 21의 치수 "D2" 참조)으로 위치되는 내측 비드 밀봉부(50)를 도시한다.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뚜껑(30)에는 상면(212)을 따르는 소정 폭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쇼울더(shoulder)(210)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면(212)을 따르는 폭은 약 0.1 인치(0.254 cm) 이하일 수 있다. 참조 화살표(214, 216) 및 선(218)으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팅 다이(cutting die)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예를 들어 참조 화살표(214, 216)에서 표시된 면들을 따라 하방향으로 수직으로 이동하는 경화된 금속성 다이의 사용에 의해 만들어지는 절단부(cut)는 과잉 열가소성 재료를 제거하고 이에 따라 음료 배출구(34)들을 제공하기 위한 가장자리들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음료 개구부들의 이러한 스탬핑(stamping)은 열가소성 재료의 진공성형에 이은 이미 알려진 방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설계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쇼울더(210)의 사용에 의해 열가소성 재료의 절단에 필요한 두께가 최소화되어, 음용 뚜껑의 제조 공정이 간략화된다. 내측으로 돌출하는 쇼울더(210)의 제공에 의해, 본 발명의 설계의 완전한 이점이 용이하게 실현되며, 이러한 뚜껑들은 대규모의 제조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각도 "α"는,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료 배출구(34)의 방향에 대해 언급된 바와 같이 평면(82)과 평면(80) 사이로 표시되는 것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내측으로 돌출하는 쇼울더(210)가 이용될 때, 각도 "α"의 위치가 약간 오프셋되지만 이러한 각도 "α"의 특정 사항에 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논의된다.
다음에, 도 2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련의 음료 배출구(O1 ~ ON)(여기서, N은 양의 정수)들을 포함한다. 추가의 예에서와 같이, 일련의 음료 배출구(O1, O2, 03, ON -1 ~ ON)(여기서, N은 양의 정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4에 있어서, 음료 배출구(O1, O2, 03)들이 제공되어 있다. 일련의 음료 배출구(O1, O2, 03, ON -1 ~ ON)(여기서, N은 양의 정수)들의 각각과 연관하여, 예를 들어 W, W, W, Wn -1, Wn(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을 포함하는 W1의 복수의 세그먼트이다. 또한, 도 24에는 타원형 배출구를 갖는 통풍로(vent passageway)(122)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컵용 음용 뚜껑(3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5는 뚜껑(300)의 평면도이며, 도 26은 뚜껑(300)의 저면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300)은 하부 가장자리(348)를 갖는 림(346)을 구비한 베이스(344) 및 내측 비드 밀봉부(350)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림(346)은 환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344)는, 전술한 방식으로, 음료용기 상의 비드(bea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음료용기(도 2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대부분 원형)의 개방 단부를 밀봉식으로 맞무는 크기 및 형상이다. 중공의 융기된 립부(354)가 제공되며, 이 립부는 드링크 웰 베이스(34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부(356) 및 외부 립부(360)로부터 하단부(366)들로 하방향으로 내측으로 기울어진 내측부(362)를 구비한다. 액체(도 3 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드링크 웰 베이스(340)가 제공된다. 드링크 웰 베이스(340)는 하단부(366)들 중 적어도 일부를 따르는 주변부(364)로부터 연장되는 플로어(363)를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334)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334)는 중공의 융기된 립부(354)의 내측부(362) 내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 벽(374) 및 주변부(364)에 근접하여 드링크 웰 베이스(340)의 출구부(378)를 따라 연장되는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37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 뚜껑(300)은 음용 뚜껑(300)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하방향 연장 벽(38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홈통 형상의 벽(380)은 하방향으로 향하는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홈통 형상의 벽(380)은 현 등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홈통 형상의 벽(380)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382)과 제2 부분(384)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반경방향 연장부들은 원형 형상의 베이스(344)에 대하여 부분적인 코드선(방향 등은 현으로 연장하지만 베이스(344)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지는 않음)과 같이 정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벽(380)에 의해 형성된 제1 가장자리(392)와 제2 가장자리(394)를 따라, 제1 단부(388)와 제2 단부(390) 사이에 슬릿(386)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400)가 벽(38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개구부는 제1 통기부(vent portion)를 형성하는 제1 가장자리(392)의 제1 가장자리 벽(402) 및 제2 통기부를 형성하는 제2 가장자리(394)의 제2 가장자리 벽(404)에 의해 형성된다. 벽(380)의 제1 가장자리 벽(402)과 제2 가장자리 벽(404)에 의해 제공된, 제1 통기부와 제2 통기부는 함께 뚜껑을 통한 증기의 유동을 허용한다.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뚜껑과 음료컵의 조합은 한번만 사용하기 위해 의도된 점에서, 일회용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도에 대해, 매우 저가의 열가소성 재료들이 뚜껑(30)의 제조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용도에 있어서, 종이 또는 판지로 제조된 일회용 배플(150)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교시된 바와 같은 단지 뚜껑(30)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술한 예시적인 구조 기술 이외에, 그러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더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이 다른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 제조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더 자연스러운 음용 경험을 제공하는 음료용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일회용 뚜껑의 설계 및 향이 음용자의 코에 도달하는 것을 보장하는 일회용 배플을 더 포함하고 이 일회용 배플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향상된 일회용 뚜껑을 위한,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묘사들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의 어떤 부분은 유용한 실시예들, 또는 특정하게 선택된 또는 다른 개시된 실시예들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설명적인 목적을 위해, 다양한 상대적인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단지 참조의 관점에 대한 상대적인 용어는 절대적인 제한으로 해석될 것은 아니며, 대신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관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방법에서의 다양한 작업 또는 행위는 본 발명의 이해에 가장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차례로 복수의 개별 행위로서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설명의 순서는 이러한 행위가 반드시 순서에 의존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특히, 특정 동작이 반드시 프리젠테이션의 순서로 정확하게 수행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작업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일부가 제거되거나 또는 전체가 제거되거나, 또는 다른 행위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어구 "일 실시예에 있어서"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반복적으로 사용된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 어구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실시예를 언급하는 것이 아니며; 그러나 그럴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용어 "구성하는", "구비하는" 및 "포함하는"은 문맥에 따라 달리 지정하지 않는 경우, 동의어로 간주해야한다.
상기로부터, 신규한 음료용기 뚜껑 및 이 음료용기 뚜껑과 사용하기 위한 신규한 배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을 한정할 의도는 없다. 오히려,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중요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고 주장된 관점들과 실시예들은 제공된 신규한 교시 및 이점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이들로부터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또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모든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들 및 그의 구조적 균등물뿐만 아니라 균등한 구조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상기 교시의 관점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제공되는 보호는 단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및 법적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56)

  1. 개방 단부를 갖는 음료컵용 음용 뚜껑에 있어서,
    하부 가장자리를 갖는 림 및 내측 비드 밀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음료컵의 상기 개방 단부를 밀봉식으로 맞무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부, 외부 립부 및 상기 외부 립부로부터 하단부들로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내측부를 구비하는 중공의 융기된 립부;
    상기 하단부들에 인접한 주변부로부터 연장되는 플로어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립부 아래에 위치된, 드링크 웰 베이스; 및
    상기 중공의 융기된 립부의 상기 내측부 내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 벽 및 상기 주변부에 근접한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의 출구부를 따라 연장되는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에 의해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약 40°내지 약 90°범위의 각도(α)로 상기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표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를 포함하는, 음용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는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의 상기 출구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표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향되는, 음용 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의 상기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 및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의 상기 출구부는 폭(W1)을 따라 인접한, 음용 뚜껑.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폭(W1)은 약 1 인치(2.54 cm) ± 약 50%인, 음용 뚜껑.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의 상기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은 외측방향으로 활모양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음용 뚜껑.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는 일련의 음료 배출구들(O1 ~ ON)(여기서, N은 양의 정수)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음료 배출구를 포함하는, 음용 뚜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음료 배출구(O1 ~ ON)(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의 각각과 연관하여, 상기 폭(W1)은 복수의 세그먼트 폭 W ~ Wn(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을 포함하는, 음용 뚜껑.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융기된 립부의 상기 내측부는 상기 외부 립부로부터 상기 하단부들을 향하여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음용 뚜껑.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컵의 상기 개방 단부는 비드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음용 뚜껑의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는 상기 비드를 밀봉식으로 단단하게 맞물리는 크기 및 형상인, 음용 뚜껑.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는 약 50°내지 약 70°범위인, 음용 뚜껑.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융기된 립부의 상기 내측부는 약 70°내지 약 85°범위의 각도(β)로 하방향으로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음용 뚜껑.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림은 외부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음료 배출구의 상기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은 상기 림의 외부 가장자리에 접하는 선으로부터 거리(L1)만큼 떨어진 선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림의 외부 가장자리에 접하는 선은 상기 음료 배출구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진 대향 단부를 갖는 선에 직교하는, 음용 뚜껑.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뚜껑을 이용하는 음료컵이 수직 위치로부터 기울어질 때 상기 음료 배출구가 액체로 신속하게 채워지도록, 상기 음료 배출구의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로부터 떨어져 이격되지만, 이 밀봉부에 인접하는, 음용 뚜껑.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배출구의 반경방향 최외부 가장자리(Ro)는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에 위치된 기준면(PR)으로부터 약 0.3 인치(0.762 cm) 이하의 거리(S)에 위치하는, 음용 뚜껑.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융기된 립부의 상기 외부 립부의 높이(H)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의 반경방향 최외부 가장자리(RI) 위에서 약 0.4 인치(1.02 cm) 내지 약 0.9 인치(2.29 cm) 범위인, 음용 뚜껑.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융기된 립부의 상기 내측부의 수직 면 거리(V)는 약 0.24 인치(0.61 cm) 내지 약 0.69 인치(1.753 cm) 범위인, 음용 뚜껑.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들은 약 0.06 평방인치(0.387 평방센티미터) 내지 약 0.25 평방인치(1.613 평방센티미터) 범위로 전체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음용 뚜껑.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들은 약 0.13 평방인치(0.8387 평방센티미터) 내지 약 0.2 평방인치(1.2903 평방센티미터) 범위로 전체 개구 영역을 형성하는, 음용 뚜껑.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는 선택된 액체 체적(LV)을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인, 음용 뚜껑.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체적(LV)은 약 0.16 액량 온스(4.73 밀리리터) 이상인, 음용 뚜껑.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는 비드 중심선을 따라 위치되며,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의 주변부는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의 상기 비드 중심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되는, 음용 뚜껑.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는 비드 중심선을 따라 위치되며,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의 주변부는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의 상기 비드 중심선 위에서 수직으로 위치되는, 음용 뚜껑.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배출구의 상기 제1 가장자리 벽은 아치 형상인, 음용 뚜껑.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뚜껑은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음용 뚜껑.
  2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0.06 평방인치(0.3870 평방센티미터)의 전체 영역이,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에 위치된 기준면(PR)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0.5 인치(1.27 cm) 내의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 내에 제공되는, 음용 뚜껑.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의 모두에 의해 제공된 전체 개구 영역은,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에 위치된 기준면(PR)과 이 기준면으로부터 반경반향 내측으로 0.5 인치(1.27 cm) 이하인 위치 사이에 위치되는, 음용 뚜껑.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의 개구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에 위치된 기준면(PR)과 이 기준면으로부터 반경반향 내측으로 0.4 인치(1.016 cm) 이하인 위치 사이에 위치되는, 음용 뚜껑.
  28. 제 1 항에 있어서,
    증기 돔을 더 포함하며,
    상기 증기 돔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측벽 단부와 제2 측벽 단부 사이에서 아치형상을 이루는 융기된 측벽;
    상단부와 하단부를 갖고, 상기 제1 측벽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측벽 단부로 상기 뚜껑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내측 증기 돔 벽; 및
    상기 융기된 측벽과 상기 상단부 사이에 연장되는 증기 돔 면을 포함하는, 음용 뚜껑.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돔 면은, 적어도 하나의 증기 배출 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증기 배출 웰은 그 안에 하나 이상의 증기 안내 통로를 갖는, 음용 뚜껑.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증기 안내 통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의 중심선을 따르는 평면에 대하여 주로 수평인 방향으로 초기에 증기를 투사하도록 배향되는, 음용 뚜껑.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뚜껑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통 형상의 벽; 및
    상기 베이스에 대해 부분적인 코드선을 따라 형성된 길이(LS)의 슬릿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릿은 상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통 형상의 벽에 의해 형성된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제공되는, 음용 뚜껑.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통 형상의 벽은 V자 형상 벽을 포함하는, 음용 뚜껑.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통 형상의 벽을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증기 통로를 더 포함하는, 음용 뚜껑.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뚜껑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통 형상의 벽;
    상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통 형상의 벽에 의해 형성된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및 제2 반경방향 연장부들을 따라 형성된,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길이(LS)의 슬릿; 및
    상기 제1 및 제2 반경방향 연장부들 사이에 위치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가장자리의 제1 가장자리 벽 및 상기 제2 가장자리의 제2 가장자리 벽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장자리 벽은 제1 통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가장자리 벽은 제2 통기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통기부와 상기 제2 통기부는 상기 개구부를 제공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뚜껑을 통한 증기의 유동을 허용하는, 음용 뚜껑.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을 통한 하방향으로의 삽입을 위해 길이(LS)에 상보적인 전체 폭 (WB)을 갖는,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공된 배플을 더 포함하는, 음용 뚜껑.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이 슬릿을 통해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가장자리가 함께 압박되는 제1 안정화 상태를 형성하며,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플을 향하여 상기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가장자리가 압박되는 제2 안정화 상태를 형성하는, 음용 뚜껑.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하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배플 벽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배플 벽은 상기 음료용기와 조합하여 액체 통로를 형성하는, 음용 뚜껑.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뚜껑은 대체로 절두원추형 형상의 내부 측벽들을 갖는 음료용기에 사용하며,
    상기 배플은 상기 내부 측벽들과의 밀봉 맞물림을 위해 상보적인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음용 뚜껑.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음료컵을 적어도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효과적으로 분할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음료용기 내의 액체가 상기 각각의 챔버 사이를 자유롭게 유동할 있는 형상으로 위치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슬릿에서 상기 음용 뚜껑과 효과적으로 밀봉되며, 상기 음용 뚜껑과 상기 음료컵 내의 액체 사이에서, 상기 제1 챔버 내의 증기가 상기 제2 챔버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되는, 음용 뚜껑.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뚜껑은, 상기 각각의 챔버와 연관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기 안내 통로, 또는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기 통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음용 뚜껑.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안내 통로들 및 상기 증기 통로들은 상기 배플의 양측 상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음료컵이 액체를 수용하고 기울어질 때, 상기 음료 배출구로부터 액체가 흘러나오고, 상기 제1 챔버 내의 증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기 통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밀려나가며, 상기 음료컵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기 안내 통로들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제2 챔버 내로 동시에 끌어들여지는, 음용 뚜껑.
  42. 원형 개구부를 갖는 음료켭용 음용 뚜껑에 있어서,
    내측 비드 밀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음료컵의 상기 원형 개구부를 밀봉식으로 맞무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부, 외부 립부 및 상기 외부 립부의 상단부들로부터 하단부들로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내측부를 포함하는 중공의 융기된 립부;
    상기 하단부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로어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어의 하부점(low point)이 상기 외부 립부 아래에서 높이(H)로 위치되며, 액체 드레인을 제공하는 드링크 웰 베이스; 및
    상기 중공의 융기된 립부의 상기 내측부 내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 벽 및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의 출구부를 따라 연장되는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에 의해 형성되며, 약 40°내지 약 90°범위의 평균 각도(α)로 상기 제1 가장자리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표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를 포함하는, 음용 뚜껑.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H)는 약 0.4 인치(1.016 cm) 내지 약 0.9 인치(2.286 cm) 범위인, 음용 뚜껑.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융기된 립부의 상기 내측부는 약 70°내지 약 90°범위의 각도(β)로 하방향으로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음용 뚜껑.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은 평면을 포함하는, 음용 뚜껑.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는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의 상기 플로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표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향되는, 음용 뚜껑.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면은 평면을 포함하는, 음용 뚜껑.
  48. 제 1 항 또는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의 상기 플로어는 반경방향 외측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음용 뚜껑.
  49.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는 약 50°내지 약 70°범위인, 음용 뚜껑.
  50.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는 약 60°인, 음용 뚜껑.
  51. 원형 개구부를 갖는 음료켭용 음용 뚜껑에 있어서,
    내측 비드 밀봉부를 갖는 림을 구비하고, 상기 음료컵의 상기 원형 개구부를 밀봉식으로 맞무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부, 외부 립부 및 상기 외부 립부의 상단부들로부터 하단부들로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내측부를 포함하는 중공의 융기된 립부;
    상기 하단부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로어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어의 하부점이 상기 외부 립부 아래에서 약 0.4 인치(1.016 cm) 내지 약 0.9 인치(2.286 cm) 범위인 높이(H)로 위치되며, 액체 드레인을 제공하는 드링크 웰 베이스; 및
    상기 중공의 융기된 립부의 상기 내측부 내로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장자리 벽 및 상기 드링크 웰 베이스의 출구부를 따라 연장되는 길쭉한 제2 가장자리 벽에 의해 형성되며, 약 40°내지 약 90°범위의 평균 각도(α)로 상기 제1 가장자리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표면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향되며,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에 위치된 기준면(PR)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0.5 인치(1.27 cm) 내의 적어도 0.05 평방인치(0.3226 평방센티미터)의 개구 영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료 배출구의 상기 제1 가장자리 벽은 상기 외부 립부로부터 적어도 0.4 인치(1.016 cm)의 거리(V)에 위치되는, 음용 뚜껑.
  52. 제 42 항 또는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뚜껑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하방향 연장 V자 형상 벽; 및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부분적인 코드선을 따라 형성된 길이(LS)를 갖고, 상기 V자 형상 벽에 의해 형성된 제1 가장자리 및 제2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제공된, 슬릿을 더 포함하는, 음용 뚜껑.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V자 형상 벽을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증기 통로를 더 포함하는, 음용 뚜껑.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증기 안내 통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의 중심선을 따르는 평면에 대하여 주로 수평인 방향으로 초기에 증기를 투사하도록 배향되는, 음용 뚜껑.
  55. 개구부를 갖는 음료컵용 음용 뚜껑에 있어서,
    내측 비드 밀봉부를 갖는 림을 구비하고, 상기 음료컵의 상기 개구부를 밀봉식으로 맞무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부, 외부 립부 및 상기 외부 립부의 상단부들로부터 하단부들로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내측부를 포함하는 중공의 융기된 립부;
    상기 하단부들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로어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어의 하부점이 상기 외부 립부 아래에서 약 0.4 인치(1.016 cm) 내지 약 0.9 인치(2.296 cm) 범위인 높이(H)로 위치되며, 액체 드레인을 제공하는 드링크 웰 베이스; 및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에 위치된 기준면(PR)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0.5 인치(1.27 cm) 내의 적어도 0.05 평방인치(0.3226 평방센티미터)의 공통(collective) 개구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를 포함하는, 음용 뚜껑.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비드 밀봉부에 위치된 기준면(PR)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0.4 인치(1.016 cm) 내의 적어도 0.10 평방인치(0.6452 평방센티미터)의 공통 개구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음료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음용 뚜껑.
KR1020147026233A 2012-03-23 2013-03-12 음료용기용 뚜껑 및 증기 안내 배플 KR201401387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14955P 2012-03-23 2012-03-23
US61/614,955 2012-03-23
PCT/US2013/030612 WO2013142160A1 (en) 2012-03-23 2013-03-12 Lid and vapor directing baffle for beverage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751A true KR20140138751A (ko) 2014-12-04

Family

ID=4922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233A KR20140138751A (ko) 2012-03-23 2013-03-12 음료용기용 뚜껑 및 증기 안내 배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8950623B2 (ko)
EP (1) EP2828175A4 (ko)
JP (1) JP6240150B2 (ko)
KR (1) KR20140138751A (ko)
CN (1) CN104220340B (ko)
AU (1) AU2013235574A1 (ko)
CA (1) CA2865933C (ko)
IN (1) IN2014DN08329A (ko)
WO (1) WO2013142160A1 (ko)
ZA (1) ZA2014069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524A (ko) * 2018-09-28 2020-04-07 씨제이제일제당 (주)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3235574A1 (en) 2012-03-23 2014-10-30 Douglas H. Fleming Lid and vapor directing baffle for beverage container
US9833960B2 (en) 2012-07-17 2017-12-05 Cleveland Benedict Crudgington Spill resistant disposable travel cup lid
US10351318B2 (en) 2012-08-08 2019-07-16 Harl-Bella Holdings, Llc Lid for container
US10433664B2 (en) 2012-08-08 2019-10-08 Harl-Bella Holdings, Llc Lid for container
US8881938B2 (en) 2012-08-08 2014-11-11 Harl-Bella Holdings, Llc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D736623S1 (en) 2013-08-08 2015-08-18 Harl-Bella Holdings, Llc Lid with egg shaped basin
USD756773S1 (en) 2013-08-08 2016-05-24 Harl-Bella Holdings, Llc Lid with tear line
USD739729S1 (en) 2013-08-08 2015-09-29 Harl-Bella Holdings, Llc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D737142S1 (en) 2013-08-08 2015-08-25 Harl-Bella Holdings, Llc Lid with triangular shaped basin
USD833870S1 (en) * 2013-08-08 2018-11-20 Harl-Bella Holdings, Llc Lid for container
WO2015109006A1 (en) * 2014-01-15 2015-07-23 Crudgington Cleveland Benedict Spill resistant disposable travel cup lid
US9751665B2 (en) 2014-02-11 2017-09-05 Douglas H. Fleming Drink-through beverage container lids with spill resistant tabs
USD751396S1 (en) * 2014-02-11 2016-03-15 Douglas H. Fleming Spill resistant tab for drink-through lids
USD735577S1 (en) * 2014-02-28 2015-08-04 Greeno Products, Llc Lid for food and beverage container
US20150342379A1 (en) * 2014-04-30 2015-12-03 Valentin T. Pentchev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beverage with reduced neck strain
WO2015170302A2 (en) * 2014-05-08 2015-11-12 Santos Iii Alfred M Improvements for containers and covers
USD794449S1 (en) * 2014-05-21 2017-08-15 Ruumi Cup Lid with immersible nose depression
US9603471B2 (en) 2014-07-18 2017-03-28 Marie Green Beverage lid cover for enhancing aroma
US10226142B2 (en) 2014-07-18 2019-03-12 Marie Green Aroma enhancing beverage containers and lids
USD752436S1 (en) 2014-07-24 2016-03-29 Cleveland B. Crudgington Disposable cup lid
US10723522B1 (en) * 2014-11-17 2020-07-28 Roman Staczek Hot cup lid system
USD807746S1 (en) * 2015-09-24 2018-01-16 Vaporpath, Inc. Cup lid for tea
US9617046B1 (en) 2015-10-09 2017-04-11 Nathan Sato Beverage lid apparatuses for directing scent to a user
USD799321S1 (en) * 2015-10-26 2017-10-10 Aptargroup, Inc. Closure
US10329057B2 (en) 2015-11-11 2019-06-25 Oculus Design LLC Spill resistant cup lid
USD782308S1 (en) 2016-06-20 2017-03-28 Tariq Khalaf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20170367511A1 (en) * 2016-06-24 2017-12-28 Richard Dean Neff Self chilling beverage system
US10264902B2 (en) 2016-08-12 2019-04-23 Ahmed Thaher Althaher Cup lid with wide drinking edge and interior baffle wall
USD827437S1 (en) 2017-02-10 2018-09-04 Gpcp Ip Holdings Llc Beverage lid
USD831483S1 (en) * 2017-02-28 2018-10-23 Inteplast Group Corporation Cup lid with support for smart phone
US11814212B2 (en) * 2017-04-05 2023-11-14 Gpcp Ip Holdings Llc Reclosable cup lid with sliding member
US10577159B2 (en) 2017-04-07 2020-03-03 Berry Plastics Corporation Drink cup lid
US20190002171A1 (en) * 2017-07-03 2019-01-03 Harl-Bella Holdings, Llc Lid for a container
US10617097B2 (en) * 2017-07-03 2020-04-14 Charles T. Whitney Dripless dog bowl
US11111059B2 (en) 2017-07-21 2021-09-07 Vaporpath, Inc. Drink-through reclosable spill resistant beverage cup lid with vent structure
WO2019032564A1 (en) 2017-08-07 2019-02-14 Berry Glob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OFORMING AN ARTICLE
US10278543B2 (en) * 2017-08-19 2019-05-07 Denver McClure Shaker container with inner beams
KR101955208B1 (ko) * 2017-12-18 2019-03-07 엘앤피코스메틱 (주) 화장액 보관용 앰플
USD875528S1 (en) * 2018-02-02 2020-02-18 Joanna Houliaris Beverage can protective cover
JP2019158754A (ja) * 2018-03-15 2019-09-19 サーモス株式会社 液体容器及び管理システム
US11242180B2 (en) 2018-05-25 2022-02-08 Dart Container Corporation Drink lid for a cup
USD907997S1 (en) 2018-08-10 2021-01-19 Berry Global, Inc. Drink cup lid
USD887203S1 (en) * 2018-08-22 2020-06-16 Wei-Chih Pan Cup lid
USD890568S1 (en) * 2018-12-21 2020-07-21 Dart Container Corporation Container lid
USD900605S1 (en) * 2019-01-17 2020-11-03 Hsin-Chieh LI Cup lid
EP3921369A4 (en) 2019-02-06 2022-10-05 Berry Global, Inc. POLYPROPYLENE SHEETS AND ARTICLES
CA3129224A1 (en) 2019-02-06 2020-08-13 Berry Global, Inc. Process of forming polymeric material
CA188901S (en) 2019-02-19 2020-10-07 Starbucks Corp Cup lid
USD911168S1 (en) 2019-03-05 2021-02-23 Berry Global, Inc. Drink cup lid
CN110053864B (zh) * 2019-05-21 2024-05-14 星巴克公司 一种超声波焊接式防漏饮料杯盖
US11092473B1 (en) * 2020-02-14 2021-08-17 Olababy Incorporated Cup having measurement indicators
TWI722918B (zh) * 2020-06-09 2021-03-21 林春成 可防止液體外濺的杯蓋
US11840384B2 (en) 2022-05-14 2023-12-12 Alexander J. Simakovsky Container closur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2354A (en) 1942-03-21 1944-11-07 Paul C Clovis Splash dampener for beverage containers
US2358600A (en) 1943-03-25 1944-09-19 Bernard A Selten Drinking unit
US3400855A (en) 1965-06-07 1968-09-10 Edwin S. Alexander Spillproof containers
US3360161A (en) 1965-10-21 1967-12-26 Marlin B Smith Splashproof drinking vessel
US3977559A (en) 1972-10-30 1976-08-31 Jerome Kreeger Lid for food container
US3868043A (en) 1973-09-14 1975-02-25 Howard R Freemyer No-spill hot cup lid
US3938695A (en) 1974-01-18 1976-02-17 Stanley Ruff Drink-through slosh-inhibiting closure lids for potable open-top containers
US3994411A (en) 1975-04-21 1976-11-30 Anna J. Elfelt Container lid with foldback drink opening
US4090660A (en) 1976-12-16 1978-05-23 Schram Robert A Disposable drinking cup lid
US4245752A (en) 1979-07-26 1981-01-20 Prueher Andrew B Lid for drinking container
US4361249A (en) 1981-02-25 1982-11-30 Tuneski Richard J Beverage container lid
US4582214A (en) 1981-11-04 1986-04-15 Dart Container Corporation Non-spill drink-through lid
US4503992A (en) * 1982-04-27 1985-03-12 Sitko Jerry A Detachable cover for disposable drinking cups, container and the like
CA1167414A (en) 1983-05-16 1984-05-15 Kenneth Mills Disposable lid for drinking cups
US4589569A (en) 1983-10-24 1986-05-20 Solo Cup Company Lid for drinking cup
JPS60106958U (ja) * 1983-12-27 1985-07-20 青谷 敬太 飲食用容器の蓋体
US4586625A (en) 1984-01-11 1986-05-06 Top Notcher Enterprises, Inc. Single use beverage container top
USD287919S (en) 1984-08-22 1987-01-27 Solo Cup Company Drinking cup lid
US4986437A (en) 1985-03-18 1991-01-22 Farmer Herbert B Spill resistant lid
US4609124A (en) 1985-04-01 1986-09-02 Malloy Wilson J Universal gravity actuated container-lid
USD299010S (en) 1985-10-10 1988-12-20 Wall Dean H Cup lid
US4619372A (en) 1986-04-21 1986-10-28 Mcfarland Joseph R Cap for hot beverage cup
US4768674A (en) 1987-07-07 1988-09-06 Sip Development Corporation Baffle for fluid containers
US4938377A (en) 1989-11-02 1990-07-03 Jarvis Robert B Device for preserving aroma and flavor of potable liquid including a buoyant lid
US4949865A (en) 1990-01-02 1990-08-21 Williams Industries, Inc. Container lid with integral stopper
US5111961A (en) 1990-12-10 1992-05-12 Amhil Enterprises Ltd. Cup lid
USD345673S (en) 1992-03-18 1994-04-05 Dark Richard C G Resealable drinking cup cap
CA2063541C (en) 1992-03-19 1996-11-12 Peter K. Boller Drink through container lid
USD342097S (en) 1992-10-30 1993-12-07 Westvaco Corporation Hand held sign
JP2600723Y2 (ja) * 1993-02-24 1999-10-25 株式会社日本デキシー 飲料用容器及びその蓋
US5398843A (en) 1993-12-02 1995-03-21 Letica Corporation Drink-through lid for disposable cup
US5370258A (en) 1994-04-18 1994-12-06 Fair; Rick K. Baffle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US5490609A (en) 1994-09-16 1996-02-13 Bailey Marketing Group, Inc. Beverage cup lid having peripheral locking means for drinking opening closure member
US5540350A (en) 1995-02-16 1996-07-30 Mallory Industries Inc. Splash/slosh guard for drinking vessels
USD377810S (en) 1995-02-24 1997-02-04 Chaperon William J Golfing accessory
US5624053A (en) 1995-06-06 1997-04-29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Drink-thru cup lid
US5542670A (en) 1995-07-17 1996-08-06 Playtex Products, Inc. Flow control element and covered drinking cup
US5613619A (en) 1995-10-27 1997-03-25 Amhil Enterprises Ltd. Foldback cup lid having comfortable drinking characteristics
GB2307633B (en) 1995-11-28 1999-12-29 Amt Enterprises Ltd Amt Espres Sip-through lid allowing stacking of take-away cups
JPH09156661A (ja) 1995-12-06 1997-06-17 Zojirushi Corp 液体容器の蓋
USD377313S (en) 1996-01-23 1997-01-14 Tipp Raymond P Bottle carrier
US5820016A (en) 1996-05-13 1998-10-13 Dunkin' Donuts Incorporated Cup and lid
US5897019A (en) * 1996-05-13 1999-04-27 Dunkin' Donuts Incorporated Frustroconical beverage cup and fitted lid
US5798079A (en) 1996-08-20 1998-08-25 Fort Jam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drink-thru cup lids
US6311863B1 (en) 1996-10-11 2001-11-06 Douglas H. Fleming Vapor directing beverage container
US6375033B1 (en) 1996-10-11 2002-04-23 Douglas H. Fleming Vapor director beverage container
US5988426A (en) 1996-11-08 1999-11-23 Stern; Brett Leakproof vented beverage lid
US5894952A (en) 1996-12-14 1999-04-20 Mendenhall; Robert Scott Spill-resistant cup lid with condiment funnel and stirring rod
US6070752A (en) 1997-09-26 2000-06-06 East End, Inc. Combined merchandise container and display device
USD416755S (en) 1998-08-06 1999-11-23 Punch Products Usa Mug lid design with pivotal closure
CA2245369A1 (en) 1998-09-09 2000-03-09 Christopher W. J. Guest Coffee cup lid shield
US6003711A (en) 1998-12-15 1999-12-21 Bilewitz; Leon Drink through cap for drinking cup or mug
US6089397A (en) 1999-04-09 2000-07-18 Amhil Enterprises Cup lid having improved drink-through opening
US6079586A (en) * 1999-04-15 2000-06-27 Hanneman; Amy L. Combination cup and food container
US6220476B1 (en) * 1999-06-21 2001-04-24 David B. Waller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6431390B1 (en) * 1999-06-21 2002-08-13 David B. Waller Lid for beverage container
GB9925205D0 (en) 1999-10-25 1999-12-22 Weston Terence E Improvements to snap-action closures
US6260727B1 (en) 1999-12-21 2001-07-17 Amhil Enterprises Disposable cup lid having fold back retainer
US6419112B1 (en) * 2000-06-01 2002-07-16 Farmarte, Llc Spill resistant lid
US6488173B2 (en) * 2000-07-06 2002-12-03 Michael Milan Beverage container lid having baffle arrangement for liquid cooling
USD458844S1 (en) 2000-09-19 2002-06-18 Donald Lee Shea Paint can adapter
US6419105B1 (en) 2000-09-26 2002-07-16 Bruce-Warrer Development Corporation Spill resistant lid with openable and closeable drinking opening
US6702145B2 (en) 2000-09-26 2004-03-09 Alexander R. Malcolm Splash-proof lid for a cup
US6325236B1 (en) 2000-10-16 2001-12-04 Fu Hong Industries Ltd. Drinking device
US6571973B1 (en) 2001-05-07 2003-06-03 Lazaros C. Tripsianes Cup lid with cooling spillover chamber
USD456713S1 (en) 2001-05-17 2002-05-07 J. L. Clark, Inc. Oval lid for a container
GB2375531A (en) 2001-05-17 2002-11-20 Insulpak Ltd Container lid
US6929143B2 (en) 2001-09-14 2005-08-16 M & N Plastics, Inc. Plastic drink-through cup lid with fold-back tab
JP2005525270A (ja) * 2001-11-13 2005-08-25 ダート コンテナー コーポレーション 閉鎖プラグを有する開閉蓋
US6905044B1 (en) * 2002-01-11 2005-06-14 Robert Russo Splash inhibiting beverage container lid
US6889859B1 (en) * 2002-01-18 2005-05-10 Richard Joseph Leon Lid for beverage containers
USD480754S1 (en) 2002-05-01 2003-10-14 Southworth Company Business card
US20030218017A1 (en) 2002-05-22 2003-11-27 Fort James Corporation Drink-through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USD485758S1 (en) 2002-06-07 2004-01-27 Solo Cup Company Container lid
US6886707B2 (en) 2002-12-20 2005-05-03 Capitol Cups, Inc. Lid for disposable drink cups having a flap wherein the lid/cup assembly is leak and drop resistant
US6752287B1 (en) * 2003-04-08 2004-06-22 Shin-Shuoh Lin Splash-proof beverage lid slide closure
USD510266S1 (en) 2003-07-25 2005-10-04 Masterchem Industries, Llc Spout
US7275652B2 (en) 2003-10-07 2007-10-02 Morris Jeffrey M Cup lid apparatus
US7246716B2 (en) 2003-10-29 2007-07-24 Amhil Enterprises Disposable cup lid with condiment tab
US7591393B2 (en) 2004-02-06 2009-09-22 Crudgington Jr Cleveland Benededict Disposable drinking cup lid
US7185781B2 (en) * 2004-03-16 2007-03-06 Constance Linda Pitts Hot drink cup lid with cooling air-flow
US7100790B2 (en) 2004-04-15 2006-09-05 Dark Richard C G Spill-resistant metered flow cap for a cup
CA2539528C (en) 2005-03-15 2014-07-08 Fort James Corporation Disposable container with deformable brim and lid therefor
US7992741B2 (en) 2005-04-11 2011-08-09 New Wincup Holdings, Inc. Cup lid having a perimeter portion adapted to cause liquid to drain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lid
USD533778S1 (en) 2005-05-16 2006-12-19 Prairie Packaging, Inc. Disposable cup lid
USD546180S1 (en) 2005-07-13 2007-07-10 Rayner Andrew Jowett Drinking cap for a beverage can
USD539649S1 (en) 2005-09-27 2007-04-03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Upper panel of a drink cup lid
USD539650S1 (en) 2005-09-27 2007-04-03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Upper panel of a drink cup lid
USD635855S1 (en) 2005-09-27 2011-04-12 Solo Cup Operating Corporation Drink cup lid
US8205768B2 (en) 2005-11-15 2012-06-26 Tech Ii, Inc. Container lid and associated assembly
US7757886B2 (en) 2006-02-28 2010-07-20 Edison Nation, Llc Low cost spill-and-glug-resistant cup and container
US7641070B2 (en) 2006-02-28 2010-01-05 Edison Nation, Llc Low cost spill-resistant cup for liquids
USD592952S1 (en) 2006-04-11 2009-05-26 New Wincup Holdings, Inc. Contoured profile domed lid
US20080011762A1 (en) * 2006-06-13 2008-01-17 Boone Rick H Splash-proof cup lid
USD547605S1 (en) 2006-08-10 2007-07-31 Cdi International, Inc. Lid
US8113379B2 (en) 2006-08-31 2012-02-14 Dopaco, Inc. Hot cup lid
US20080061069A1 (en) 2006-09-13 2008-03-13 Cdi International, Inc. Drink cup lid
USD566552S1 (en) 2006-11-20 2008-04-15 Tetra Gmbh Cover with closing arrangement
US7556172B2 (en) 2006-11-30 2009-07-07 Thermos, L.L.C. Spill resistant lid assembly for a drink container
US7959029B2 (en) 2007-01-12 2011-06-14 Aslan Guild, Llc Splash and spill resistant insulating lid
US7784641B2 (en) 2007-04-03 2010-08-31 Shin-Jai Chou Beverage cup lid with a pull back type sipping hole closure
WO2009008587A1 (en) 2007-07-12 2009-01-15 Guem Duck Park A cup lid
USD592056S1 (en) 2008-02-14 2009-05-12 International Paper Company Lid
USD634192S1 (en) 2008-02-15 2011-03-15 Christopher Michael Mueller Mint lid
US20090266829A1 (en) * 2008-04-24 2009-10-29 Craig Bailey Disposable foam enhancing espresso drink lid
US20090294459A1 (en) 2008-05-30 2009-12-03 Tadhe Hovsepian Coffee cup lid
US20090294460A1 (en) 2008-05-30 2009-12-03 Tadhe Hovsepian Coffee cup lid
SE534309C2 (sv) * 2008-10-07 2011-07-05 Onecafe Internat Ab Förslutning för dryckesbehållare
US9061796B2 (en) 2009-04-23 2015-06-23 H.J. Heinz Company Multi-function condiment container
EP2470437B1 (en) * 2009-08-28 2015-01-28 Solo Cup Europe Limited A lid, cup including a lid, and a method for forming a lid
USD637079S1 (en) 2009-09-02 2011-05-03 Solo Cup Europe Limited Container lid
CA134683S (en) 2009-09-30 2011-03-30 Wiberg Besitz Gmbh Straw can lid
US20110114655A1 (en) * 2009-11-16 2011-05-19 Bailey Craig D Disposable drink cup lid
US8733583B2 (en) * 2009-11-16 2014-05-27 Foam Aroma Cup lid for beverages with foam
USD622995S1 (en) 2009-11-18 2010-09-07 Janette Beraha Children's mat
USD627827S1 (en) 2010-01-22 2010-11-23 Rogers Kevin W Polyline identification tag
USD679753S1 (en) 2010-02-08 2013-04-09 Avery Dennison Corporation Note sheets and related pads of note sheets
USD643245S1 (en) 2010-04-26 2011-08-16 Pacific Market International, Llc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8424711B2 (en) 2010-04-30 2013-04-23 Green Bean Packaging, Llc Disposable beverage lid
USD632174S1 (en) 2010-04-30 2011-02-08 Jonathan Charbonnet Disposable beverage lid
USD656023S1 (en) 2010-07-21 2012-03-20 Conagra Foods Rdm, Inc. Dispenser
USD652300S1 (en) 2010-10-28 2012-01-17 The Gillette Company Package card for a personal care product
CN103476681A (zh) * 2011-02-02 2013-12-25 D-M·萨布咖 饮用容器
USD655161S1 (en) 2011-04-18 2012-03-06 Daniel Isaac S Removable sanitary lid cover
USD675524S1 (en) 2011-05-20 2013-02-05 Ebsco Industries, Inc. Cup lid
USD655162S1 (en) 2011-07-14 2012-03-06 Daniel Isaac S Protective lid with scrollable cover and a removable element
US8616405B2 (en) 2011-07-22 2013-12-31 Berry Plastics Corporation Drink cup lid
USD692756S1 (en) 2011-10-04 2013-11-05 Whirley Industries, Inc. Container lid
USD660718S1 (en) 2011-11-10 2012-05-29 H.J. Heinz Company Condiment container
USD681453S1 (en) 2012-01-31 2013-05-07 Gift Card Impressions, LLC Transaction card packet
USD690988S1 (en) 2012-02-13 2013-10-08 Euro-Pro Operating Llc Lid
USD704054S1 (en) 2012-03-23 2014-05-06 Douglas H. Fleming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D704055S1 (en) 2012-03-23 2014-05-06 Douglas H. Fleming Lid for beverage container
AU2013235574A1 (en) * 2012-03-23 2014-10-30 Douglas H. Fleming Lid and vapor directing baffle for beverage container
USD691847S1 (en) 2012-06-27 2013-10-22 Pacific Market International, Llc Beverage container lid
US10351318B2 (en) 2012-08-08 2019-07-16 Harl-Bella Holdings, Llc Lid for container
USD708515S1 (en) 2012-09-26 2014-07-08 Douglas H. Fleming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D711226S1 (en) 2012-09-26 2014-08-19 Douglas H. Fleming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USD713685S1 (en) 2013-03-07 2014-09-23 Ets Express, Inc. Beverage container
USD709366S1 (en) 2013-03-12 2014-07-22 Douglas H. Fleming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D709367S1 (en) 2013-03-12 2014-07-22 Douglas H. Fleming Lid for beverage container
CA152541S (en) 2013-04-04 2014-08-06 Nestle Sa Travel mug
USD721271S1 (en) 2013-05-17 2015-01-20 Thomas Mickey Fabiszewskl Beverage can tab
USD722498S1 (en) 2013-12-10 2015-02-17 Vaporpath, Inc.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USD751396S1 (en) 2014-02-11 2016-03-15 Douglas H. Fleming Spill resistant tab for drink-through lids
US9751665B2 (en) 2014-02-11 2017-09-05 Douglas H. Fleming Drink-through beverage container lids with spill resistant tabs
USD807746S1 (en) 2015-09-24 2018-01-16 Vaporpath, Inc. Cup lid for te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524A (ko) * 2018-09-28 2020-04-07 씨제이제일제당 (주)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20340A (zh) 2014-12-17
JP2015535779A (ja) 2015-12-17
WO2013142160A1 (en) 2013-09-26
CN104220340B (zh) 2016-10-12
CA2865933A1 (en) 2013-09-26
AU2013235574A1 (en) 2014-10-30
EP2828175A1 (en) 2015-01-28
ZA201406918B (en) 2015-11-25
IN2014DN08329A (ko) 2015-05-15
US20140042177A1 (en) 2014-02-13
JP6240150B2 (ja) 2017-11-29
US20170303713A1 (en) 2017-10-26
US9642483B2 (en) 2017-05-09
US10729262B2 (en) 2020-08-04
US8950623B2 (en) 2015-02-10
EP2828175A4 (en) 2015-11-11
CA2865933C (en) 2019-04-16
US20150182049A1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8751A (ko) 음료용기용 뚜껑 및 증기 안내 배플
US9387961B2 (en)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US7185784B2 (en) Drinking containers
US7992741B2 (en) Cup lid having a perimeter portion adapted to cause liquid to drain toward a central portion of the lid
US5624053A (en) Drink-thru cup lid
US4767019A (en) Splash resistant cup lid
US6375033B1 (en) Vapor director beverage container
AU2002357706A2 (en) Recloseable lid with closure plug
US5065880A (en) Splash resistant cup lid
US9751665B2 (en) Drink-through beverage container lids with spill resistant tabs
WO2010071790A1 (en) One-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US10329057B2 (en) Spill resistant cup lid
US20140251996A1 (en) Splash-resistant lids, container assemblies including such lids and related methods
WO2011024012A1 (en) A lid, cup including a lid, and a method for forming a lid
CN113679233A (zh) 用于榨汁机的壶和盖
US10906707B2 (en) Disposable lid for beverage containers
WO2001046027A1 (en) Vapor directing beverage container
CA2195456C (en) Drink-through cup lid
WO2015109006A1 (en) Spill resistant disposable travel cup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