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096A -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096A
KR20140138096A KR20140134236A KR20140134236A KR20140138096A KR 20140138096 A KR20140138096 A KR 20140138096A KR 20140134236 A KR20140134236 A KR 20140134236A KR 20140134236 A KR20140134236 A KR 20140134236A KR 20140138096 A KR20140138096 A KR 20140138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mounting
vehicle
storage uni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34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영
Original Assignee
조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영 filed Critical 조수영
Priority to KR20140134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8096A/ko
Publication of KR2014013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로서, 차량에 설치되어 휴대단말기를 내부에 수납하거나 차량의 탑승자가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기 편하도록 세워 놓을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분리하여 차량의 주차번호판으로 이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바닥판의 테두리에 측면부가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며 전면에는 숫자 또는 문자가 표시되는 알림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부에는 휴대단말기가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지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로부터 휴대단말기가 분리되면, 상기 알림판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 또는 문자가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Cradling pad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로서, 차량에 설치되어 휴대단말기를 내부에 수납하거나 차량의 탑승자가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기 편하도록 세워 놓을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를 분리하여 차량의 주차번호판으로 이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각종 정보 검색 및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다양하고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간편한 장점으로 인해 그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차량 내에서도 그 사용이 가능하며, 차량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거치대가 개발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2746호에는 휴대단말기 거치 크래들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휴대단말기 거치 크래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카멀티미디어 헤드유닛에 일체로 형성되고, 휴대단말기의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말기 크래들; 상기 단말기 크래들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가 상기 단말기 크래들에 거치될 때 충전/통신 단자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접촉단자;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단말기 거치 크래들은 차량 내의 설치 위치가 한정되어 있고, 운전자가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보기 위해서는 고개를 숙여야 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가 흔들리거나 단말기 크래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거치몸체 및 제2거치몸체에 의해 휴대단말기가 강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를 단말기 크래들에 결합시키거나 단말기 크래들로부터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차량의 대시보드 상부에 단말기 크래들을 설치할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자의 시야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휴대단말기를 수납하거나 세워 거치시키기 용이하여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편리하고, 차량의 주차번호판으로 이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바닥판의 테두리에 측면부가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며 전면에는 숫자 또는 문자가 표시되는 알림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부에는 휴대단말기가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지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로부터 휴대단말기가 분리되면, 상기 알림판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 또는 문자가 차량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알림판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부에 상하로 포개어져 수납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숫자 또는 문자가 노출된다.
상기 알림판에는 다수의 숫자/문자 카드가 탈착되고, 상기 숫자/문자 카드의 교환 및 재배열이 가능하다.
상기 거치홈은, 상기 측면부에서 좌우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거치부와, 상기 제1거치부와 이격되고, 상기 측면부에서 좌우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거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거치부의 휴대단말기 거치각도는 상기 제1거치부의 휴대단말기 거치각도보다 크다.
상기 수납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납부의 장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측면부는 중심부에서 장축방향 단부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낮아진다.
상기 수납부의 단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측면부에는 분리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휴대단말기를 수납부의 내부에 수납하거나 거치홈에 삽입하여 거치하기 용이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단말기를 수납부로부터 분리하면 알림판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전화번호)가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어 주차번호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거치홈은 제1거치부와 제2거치부로 이루어져 휴대단말기의 거치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의 장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측면부는 중심부에서 장축방향 단부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형성됨으로써, 측면부의 중심부에 형성된 거치홈에 휴대단말기를 거치시킬 경우 휴대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거치시킬 수 있고, 측면부의 단부 방향에 형성된 거치홈에 휴대단말기를 거치시킬 경우 휴대단말기가 측면부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에 분리홈이 형성됨으로써, 수납부로부터 휴대단말기를 분리하기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 거치 크래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알림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서 휴대단말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서 휴대단말기가 거치홈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알림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서 휴대단말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3에서 휴대단말기가 거치홈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10)와 알림판(120)으로 이루어진다.
수납부(110)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1)의 테두리에 측면부(11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휴대단말기(200)가 수납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수납부(110)를 책상 등에 놓아두고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수납부(110)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111)의 하면에 접착제나 테이프를 구비하여 차량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바닥판(11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양한 크기로 출시되는 휴대단말기(2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휴대단말기(200)의 크기보다 크게 제작된다.
측면부(112)는 상기 바닥판(111)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휴대단말기(200)가 수납된다.
이러한 측면부(112) 중 상기 수납부(110)의 장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측면부(112)는 중심부에서 장축방향 단부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낮아진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112)에는 휴대단말기(200)가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111)에 대하여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지는 거치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거치홈(113)은 제1거치부(114)와 제2거치부(115)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제1거치부(114)는 상기 측면부(112)에서 좌우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거치홈(113)이다.
제2거치부(115)는 상기 제1거치부(114)와 이격되고, 상기 측면부(112)에서 좌우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다른 한 쌍의 거치홈(113)이다.
그리고 상기 제2거치부(115)의 휴대단말기(200) 거치각도는 상기 제1거치부(114)의 휴대단말기(200) 거치각도보다 크다.
즉, 차량의 탑승자가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거치부(115)에 거치되는 휴대단말기(200)는 더 후방으로 눕혀지도록 거치된다.
이와 같이 측면부(112)에 상기 제1거치부(114)와 제2거치부(115)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휴대단말기(200)를 차량 탑승자가 원하는 각도로 세워 놓을 수 있다.
상기 거치홈(1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거치부(114)와 제2거치부(115)로 구분되지만,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한 쌍의 거치홈(113)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더 많이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납부(110)의 단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측면부(112)에는 분리홈(11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부(110)의 내부에 수납된 휴대단말기(200)나 알림판(120)을 상기 수납부(110)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하다.
상기 분리홈(116)은 상기 수납부(110)의 내부에 수납된 알림판(120)을 꺼내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그 깊이를 바닥판(111)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바닥판(111)의 상면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할 수도 있다.
알림판(120)은 상기 수납부(110)의 내부에 꼭 맞게 삽입 배치되도록 얇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알림판(120)은 상기 수납부(110)로부터 휴대단말기(200)가 분리되면, 상기 알림판(120)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 또는 문자가 차량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차량 탑승자가 상기 수납부(110)에 휴대단말기(200)를 수납하였다가 하차하면서 휴대단말기(200)를 상기 수납부(110)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알림판(120)에 표시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어 주차번호판이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알림판(120)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삽입하여 차량 탑승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림판(120)에는 다수의 카드(121)가 탈착되도록 하고, 상기 카드(121)의 교환 및 재배열이 가능하도록 하여, 차량 탑승자가 원하는 숫자나 문장을 차량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카드(121)는 자석으로 제작하여 자기력에 의해 상기 알림판(120)에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주차번호판을 구입할 필요가 없고, 주차번호의 표시뿐만 아니라 다양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드(121)가 별도로 탈착되도록 하지 않고, 상기 알림판(120)에 직접 수기로 작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알림판(120)을 구비하여 상기 수납부(110)에 상하로 포개어져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탑승자가 원하는 알림판(120)을 선택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200)를 수납부(110)의 내부에 수납하거나 거치홈(113)에 삽입하여 거치하기 용이함으로써, 휴대단말기(200)의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단말기(200)를 수납부(110)로부터 분리하면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판(120)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전화번호)가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어 주차번호판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 수납부, 111 : 바닥판, 112 : 측면부, 113 : 거치홈, 114 : 제1거치부, 115 : 제2거치부, 116 : 분리홈,
120 : 알림판, 121 : 카드,
200 : 휴대단말기,

Claims (3)

  1.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고, 바닥판의 테두리에 측면부가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휴대단말기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며 전면에는 숫자 또는 문자가 표시되는 알림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측면부에는 휴대단말기가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지는 거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로부터 휴대단말기가 분리되면, 상기 알림판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 또는 문자가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알림판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부에 상하로 포개어져 수납된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숫자 또는 문자가 노출되며,
    상기 알림판에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숫자 또는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다수의 카드가 자력에 의해 탈착되고, 상기 카드의 교환 및 재배열이 가능하며,
    상기 거치홈은,
    상기 측면부에서 좌우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거치부와,
    상기 제1거치부와 이격되고, 상기 측면부에서 좌우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거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거치부의 휴대단말기 거치각도는 상기 제1거치부의 휴대단말기 거치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납부의 장축방향으로 형성된 측면부는 중심부에서 장축방향 단부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단축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측면부에는 분리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
KR20140134236A 2014-10-06 2014-10-06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 KR20140138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4236A KR20140138096A (ko) 2014-10-06 2014-10-06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4236A KR20140138096A (ko) 2014-10-06 2014-10-06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362A Division KR20140118447A (ko) 2013-03-29 2013-03-29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096A true KR20140138096A (ko) 2014-12-03

Family

ID=5245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34236A KR20140138096A (ko) 2014-10-06 2014-10-06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80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3095A1 (zh) * 2019-10-28 2021-05-06 新嘉数码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带插接遮阳板的置物垫支架
WO2021083094A1 (zh) * 2019-10-28 2021-05-06 新嘉数码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可变形置物垫支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3095A1 (zh) * 2019-10-28 2021-05-06 新嘉数码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带插接遮阳板的置物垫支架
WO2021083094A1 (zh) * 2019-10-28 2021-05-06 新嘉数码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可变形置物垫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2388B2 (en) Modules and connections for modules to couple to a computing device
US20170344065A1 (en) Mobile device case and peripheral system
US9196979B2 (en) Cable connector device
US8913380B2 (en) Docking station and electronic device
CN104080653A (zh) 磁性装置安装件
US10212264B2 (en) Mobile device vehicle dashboard shelf
US7583499B2 (en) Holder for electronic apparatus
KR20170134999A (ko) 스마트폰용 충전 장치
EP2975488A1 (en) Portable device cradle with built-in electronic system
KR20140138096A (ko)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
KR101879551B1 (ko) 통신단말기 거치수단
CN110445906B (zh) 摄像头弹出组件及电子设备
KR20140118447A (ko) 휴대단말기용 거치 패드
JPWO2018221394A1 (ja) 保持機構及び保持装置
JP6952805B2 (ja)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KR101746574B1 (ko) 멀티미디어 미러링 기능을 갖는 모니터 시스템
US8078241B2 (en) Universal console for portable telephones
US20150221187A1 (en) Docking device for credit card payment and cash drawer including the same
KR20150002726U (ko) 휴대폰 거치대
US20110045876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able case
EP1365562A1 (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holder for at least two memory cards
KR20130071039A (ko) 전자기기를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는 거치대
JP2016213626A (ja) 機能拡張装置
KR20080114341A (ko) 휴대용 단말기
CN215453018U (zh) 一种多功能的手机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