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766A -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766A
KR20140137766A KR1020130058674A KR20130058674A KR20140137766A KR 20140137766 A KR20140137766 A KR 20140137766A KR 1020130058674 A KR1020130058674 A KR 1020130058674A KR 20130058674 A KR20130058674 A KR 20130058674A KR 20140137766 A KR20140137766 A KR 20140137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waste
vibration transferring
chute
transferring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9187B1 (ko
Inventor
정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to KR20130058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18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8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using centrifugal forc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 발생되어 파쇄된 폐골재들사이에 섞인 토사분말(폐토사)를 선별하고 다량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손쉽게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양질의 토사분말(폐토사)를 선별하도록 하며, 양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고, 제2이송컨베이어 및 진동이송슈트상에서 흡입수집부 및 에어세퍼레이터로 폐골재들사이에 섞인 이물질을 흡입하여 원심집진기 및 흡입배출송풍부로 토사분말(폐토사) 및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초기 투자 비용 및 유지 보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폐기물 재생설비의 신뢰성을 향상하도록 한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The foreign material sorting apparatus which is contained in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은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건축물에서 발생되어 파쇄된 폐골재들사이에 섞인 토사분말(폐토사)를 선별하고 다량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손쉽게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양질의 토사분말(폐토사)를 선별하도록 하며, 양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고, 제2이송컨베이어 및 진동이송슈트상에서 흡입수집부 및 에어세퍼레이터로 폐골재들사이에 섞인 이물질을 흡입하여 원심집진기 및 흡입배출송풍부로 토사분말(폐토사) 및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초기 투자 비용 및 유지 보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폐기물 재생설비의 신뢰성을 향상하도록 한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과정에서 생겨난 많은 구조물, 즉 교량이나 도로 및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화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주거문화의 개선을 위해 많은 지역에서 재건축 및 재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노후 구조물의 해체나 재건축 및 재개발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에는 매립지의 확보가 힘들 뿐 아니라 매립비용이 많이 들며, 환경에도 막대한 영향을 주게 됨으로 자연환경의 보호와 함께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2가지 측면에서 건설폐기물을 재활용 처리하기 위한 갖가지 대책들이 강구되어 왔으며, 국내에서도 건설폐기물에 대한 여러 가지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친환경적 측면 및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건설 및 건축 구조물의 해체시에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은 매립되지 않고 소정의 장소로 수집된 후 파쇄공정, 이물질 선별공정, 재생골재와 모르타르 선별공정 및 재생골재 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박리공정 등 일련의 중간처리과정을 통해 양질의 자원으로 생산되고 있다.
한편, 건설폐기물은 폐목재류를 비롯하여, 스티로폼 등의 폐 합성수지류, 철근과 같은 금속류, 폐 종이류, 시멘트 강화제로 사용되는 폐 섬유류 등이 포함되는 혼합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불순물이 혼재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은 처리과정을 통해서 소각용 및 재생용으로 분리하게 된다.
여기서, 대부분의 재생골재를 얻기 위한 이물질 선별과정에서 습식이나 건식 재생골재 생산설비는 통상 죠 크라셔에 의해 건설폐기물을 파쇄시켜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쇠붙이 철편 분리기인 자력선별기를 거치면서 철근과 같은 금속물질을 분리시키는 한편 진동식 스크린에 의해 일부 토사 및 이물질을 분리시킨 다음, 진동스크린에서 바로 낙하시키는 과정에서 진동식 스크린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일부 가벼운 쓰레기들을 분리시키는 구조를 기본적으로 갖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종래의 이물질 선별과정에서는 진동식 스크린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가 구조적으로 바로 전방의 일부 가벼운 이물질만 날려 보낼 뿐, 송풍기에서 먼곳에 위치해 낙하되는 이물질이나, 다소 크기가 큰 이물질은 제대로 분리시킬 수 없기 때문에, 양질의 재생골재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있었다.
또한, 종래의 진동식 스크린과 송풍기구조로 상기 진동식 스크린상에 파쇄된 골재와 섞인 이물질들의 그 크기가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골재들에 섞인 이물질들이 손쉽게 제거되지 않아 양질의 재생골재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물질 선별과정에서 먼지 및 이물질이 주변으로 비산되어 환경오염이 심각하고 작업환경에도 악영향을미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민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물질 선별과정에서 폐골재들에 섞인 이물질에서 토사분말(폐토사)은 무게비중이 거의 동일하여 이물질은 제거하나 토사분말(폐토사)을 선별하지 못하여 토사분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 발생되어 파쇄된 폐골재들사이에 섞인 토사분말(폐토사)를 선별하고 다량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손쉽게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양질의 토사분말(폐토사)를 선별하도록 하며, 양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고, 제2이송컨베이어 및 진동이송슈트상에서 흡입수집부 및 에어세퍼레이터로 폐골재들사이에 섞인 이물질을 흡입하여 원심집진기 및흡입배출송풍부 로 토사분말(폐토사) 및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초기 투자 비용 및 유지 보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폐기물 재생설비의 신뢰성을 향상하도록 한 새로운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폐건축물에서 발생되어 파쇄된 폐골재(A)를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10) 및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로부터 상기 폐골재(A)를 상면에 공급받고, 그 하부에 설치된 진동수단(E)으로 상면을 진동하여 상면에서 상기 폐골재를 펼쳐주며, 상기 폐골재(A)를 이송시키는 진동이송슈트(20)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후방과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전방사이 설치되어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면에 에어를 불어주어 상기 진동이송슈트(20)상에 상기 폐골재들사이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송풍수단(30) 및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이송슈트(20)상에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선별된 상기 폐골재(A)를 공급받는 제2이송컨베이어(40)와; 상기 제2이송송컨베이어(40)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와 마주하도록 흡입공(51)이 형성된 지지대(52)와, 상기 지지대(52)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상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진동이송슈트(20)에서 투입되는 폐골재가 유입되는 유입구(53a)를 갖는 흡입수집부(53)와, 상기 흡입수집부(53)의 상부에 하부가 연통되어 설치되고 흡입팬(54)을 구비하여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 및 진동이송슈트(20)상의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을 흡입하는 에어세퍼레이터(55)와, 상기 에어세퍼레이터(55)와 연결된 덕트(56a)가 일측면에 연결설치된 원심집진기(56)와, 상기 원심집진기(56)의 상부와 연결설치된 덕트(56b)와, 상기 덕트(56b)와 연결된 흡입배출송풍부(57)로 구성된 흡입원심배출장치(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세퍼레이터(55)의 내측에는 하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의 종류 및 이물질의 흡입량에 따라 조절되는 선별흡입조절장치(55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심집진기(56)의 하부에는 상기 원심집진기(56)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폐골재에 흡입한 이물질을 선별되어 하부로 낙하되는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더블플랫댐퍼(58a) 또는 로타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배출송풍부(57)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공(57a)에 상기 덕트(56b)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배출송풍부(57)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57b)에 설치된 덕트(56c)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공(57a)과 상기 덕트(56b)사이에 댐퍼(59a)가 설치되어 상기 덕트(56c)에서 유입되는 공기유입량 및 공기속도를 상기 댐퍼(59a)가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덕트(56b)와 상기 댐퍼(59a)의 사이와, 상기 배출공(57b)에 집진여과기(57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수집부(53)에는 다수개의 관찰창(53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일측에 다수개의 측면송풍수단(30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수단(30) 및 상기 측면송풍수단(30a)은 회동송풍구(31)와, 상기 회동송풍구(31)의 하부에 연결관(32)이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32)의 상부에 설치된 회동부재(33)와 연동되어 상기 회동송풍구(31)가 회동되며, 상기 연결관(32)과 연결되는 송풍기(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33)는 상기 회동송풍구(31)의 하부외주연에 설치된 랙기어(33a)와, 상기 랙기어(33a)와 모터(33b)의 구동축(33c)에 설치된 기어(33d)와 맞물려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는 일측은 낮고 타측은 높게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하부에는 각도조절부재(R)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부 타측에는 외측으로 만곡된 이물질 안내만곡부(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안내만곡부(21)는 "
Figure pat00001
" 또는 "
Figure 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걸림바(22)를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둘레에 설치되는 분사노즐(2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23)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면으로 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23)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후방의 양측과, 그 전방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폐건축물에서 발생되어 파쇄된 폐골재들사이에 섞인 토사분말(폐토사)를 선별하고 다량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손쉽게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양질의 토사분말(폐토사)를 선별하도록 하며, 양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고, 제2이송컨베이어 및 진동이송슈트상에서 흡입수집부 및 에어세퍼레이터로 폐골재들사이에 섞인 이물질을 흡입하여 원심집진기 및 흡입배출송풍부로 토사분말(폐토사) 및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선별하여 초기 투자 비용 및 유지 보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폐기물 재생설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이송슈트의 전방 및 측면에 송풍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진동이송슈트상에서 이송되는 폐골재와 폐골재들에 섞인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진동이송슈트의 둘레에 분사노즐을 다수개로 구성하여 진동이송슈트상에 에어를 불어주는 송풍수단에 의해 진동이송슈트상에 발생되는 비산분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이송슈트상에 다수개의 걸림바를 설치하여 걸림바에 폐골재와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이 통과시 폐골재들의 안쪽이 섞인 이물질을 바깥쪽으로 노출시켜 이물질을 보다 송풍수단 및 측면송풍수단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송풍수단과 측면송풍수단을 진동이송슈트상에서 회동되게 하여 진동이송슈트상의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집진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배출송풍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수단 및 측면송풍수단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송슈트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송슈트의 개략단면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집진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배출송풍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수단 및 측면송풍수단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송슈트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이송슈트의 개략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는 제1이송컨베이어(10)와, 진동이송슈트(20)와, 송풍수단(30) 및 측면송풍수단(30a)과, 제2이송컨베이어(40)와, 흡입원심배출장치(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의 하부에 상기 진동이송슈트(20)가 설치되고,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하부에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와, 상기 진동이송슈트(20)는 일측은 낮고 타측은 높게 경사지도록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하부에 각도조절부재(R)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와, 상기 진동이송슈트(20)는 일측은 낮고 타측은 높게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부면에서 상기 폐골재(A)들과 이에 섞인 이물질들이 자유낙하식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는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를 파쇄하여 파쇄된 상태의 폐골재(A)들을 공급받아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파쇄된 상기 폐골재(A)들에는 폐건축물을 부술시 발생된 폐건축물의 이물질들이 섞여서 파쇄되어 진다.
이러한 상기 폐골재(A)들에 섞인 이물질들을 후술되는 진동이송슈트(20), 송풍수단(30), 측면송풍수단(30a)으로 선별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즉, 이러한 상기 폐골재(A)들을 상부면(20a)에 공급받아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동스크린(20)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진동이송슈트(20)는 그 하부에 설치된 각도조절부재(R)로 일측은 낮고 타측은 높게 경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진동이송슈트(20)는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에서 상기 폐골재(A)들을 공급받는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부면(20a)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하부에 설치된 진동수단(E)으로 진동되어,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부면(20a)에 있는 상기 폐골재(A)들 및 상기 폐골재(A)들에 섞인 이물질들을 그 상부면에 고르게 펼쳐주도록 구성된다.
이러하게 상기 진동스크린(20)의 상부면(20a)이 상기 진동수단(E)에 의해 요동되어지면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부면(20a)의 상기 폐골재(A)들과 상기 폐골재(A)들에 섞인 이물질들을 상기 폐골재(A)들에서 분리하여 상기 폐골재(A)와 이물질들이 분리되어 상기 상부면(20a)에서 균일하게 펼쳐진다.
이러하게 상기 상부면(20a)에 균일하에 펼져지는 상기 폐골재(A)와 이물질들을 후술되는 상기 진동이송슈트(20)에 공급하여 준다.
상기 진동이송슈트(20)는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에서 상기 폐골재(A)와 이물질들을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전방에는 후술되는 송풍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일측에 다수개의 측면송풍수단(30a)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측면송풍수단(30a)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송풍수단(30a)은 회동송풍구(31)와, 상기 회동송풍구(31)의 하부에 연결관(32)이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32)의 상부에 설치된 회동부재(33)와 연동되어 상기 회동송풍구(31)가 회동되며, 상기 연결관(32)과 연결되는 송풍기(34)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송풍구(31)의 하부내측둘레는 상기 연결관(32)의 상부외측둘레에 결합하여 상기 회동송풍구(31)가 상기 연결관(32)의 상부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송풍구(31)의 내측에 상하부면에 에어를 상,하로 유도하는 에어상하방향유도구(31a)가 설치되어 상기 회동송풍구(31)의 에어를 상,하로 송풍할 수 있도록구성된다.
상기 에어상하방향유도구(31a)는 방향조절수단(31b)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3)는 상기 회동송풍구(31)의 하부외주연에 설치된 랙기어(33a)와, 상기 랙기어(33a)와 모터(33b)의 구동축(33c)에 설치된 기어(33d)와 맞물려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측면송풍수단(30a)이 상기 회동송풍구(31)로 회동되게 구성하는 것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상에 있는 상기 폐골재(A)들에 섞여 노출되는 이물질들을 손쉽게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부 타측에는 외측으로 만곡된 이물질 안내만곡부(2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물질 안내만곡부(21)는 "
Figure pat00003
" 또는 "
Figure pat00004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이물질 안내만곡부(21)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폐골재(A)들에 섞인 이물질들이 상기 송풍수단(30)과 상기 측면송풍수단(30a)의 송풍으로 상기 이물질 안내만곡부(21)를 용이하게 타고 넘어가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걸림바(22)를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걸림바(22)는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부면에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바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걸림바(22)의 상부는 상기 폐골재(A) 및 이물질들이 손쉽게 타고 넘어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바(22)가 경사진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부면에 다수개로 거리를 두고형성하는 것은 상기 폐골재(A)와 상기 폐골재(A)들에 섞인 이물질이 상기 걸림바(22)의 상부를 타고 넘어갈시, 상기 폐골재(A)의 하부와 상부를 뒤집어지게 하며, 상기 폐골재(A)들사이에 섞인 이물질들이 외부로 쉽게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송풍수단(30) 및 상기 측면송풍수단(30a)에 의해 이물질을 쉽게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둘레에 설치되는 분사노즐(23)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23)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면으로 향하게 설치되어 구성되나, 상기 분사노즐(23)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후방의 양측과, 그 전방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23)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폐골재(A)와 상기 폐골재(A)들에 섞인 이물질들이 서로 뒤섞일시 발생되는 분진을 억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흡입원심배출장치(50)는 상기 제2이송송컨베이어(40)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와 마주하도록 흡입공(51)이 형성된 지지대(5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52)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상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진동이송슈트(20)에서 투입되는 폐골재가 유입되는 유입구(53a)를 갖는 흡입수집부(53)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흡입수집부(53)에는 다수개의 관찰창(53b)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흡입수집부(53)의 상부에 하부가 연통되어 설치되고 흡입팬(54)을 구비하여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 및 진동이송슈트(20)상의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을 흡입하는 에어세퍼레이터(55)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세퍼레이터(55)와 연결된 덕트(56a)가 일측면에 연결설치된 원심집진기(5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세퍼레이터(55)의 내측에는 하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의 종류 및 이물질의 흡입량에 따라 조절되는 선별흡입조절장치(55a)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심집진기(56)의 상부와 연결설치된 덕트(56b)로 구성된다.
상기 덕트(56b)와 연결된 흡입배출송풍부(57)로 구성된 흡입원심배출장치(5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흡입배출송풍부(57)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공(57a)에 상기 덕트(56b)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흡입배출송풍부(57)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57b)에 설치된 덕트(56c)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흡입공(57a)과 상기 덕트(56b)사이에 댐퍼(59a)가 설치되어 상기 덕트(56c)에서 유입되는 공기유입량 및 공기속도를 상기 댐퍼(59a)가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56b)와 상기 댐퍼(59a)의 사이와, 상기 배출공(57b)에 집진여과기(57c)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심집진기(56)의 하부에는 상기 원심집진기(56)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폐골재에 흡입한 이물질을 선별되어 하부로 낙하되는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더블플랫댐퍼(58a) 또는 로타리밸브(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하게 상기 흡입원심배출장치(50)로 상기 진동이송슈트(20) 및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상에서 이동되는 폐골재(A)들에 섞인 이물질 및 분말토사(폐토사)중에서 이물질을 상기 진동이송슈트(20)에서 1차적으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에서 2차적으로 흡입하여 제거하여 분말토사(폐토사)를 선별하도록 하여 기존의 폐골재(A)에 섞인 이물질 및 분말토사(폐토사)중 이물질과 분말토사의 무게비중이 같이 분말토사(폐토사)를 선별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토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상기 송풍수단(30)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후방과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전방사이 설치되어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면에 에어를 불어주어 상기 진동이송슈트(20)상에 상기 폐골재들사이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송풍수단(30)은 회동송풍구(31)와, 상기 회동송풍구(31)의 하부에 연결관(32)이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32)의 상부에 설치된 회동부재(33)와 연동되어 상기 회동송풍구(31)가 회동되며, 상기 연결관(32)과 연결되는 송풍기(34)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송풍구(31)의 하부내측둘레는 상기 연결관(32)의 상부외측둘레에 결합하여 상기 회동송풍구(31)가 상기 연결관(32)의 상부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송풍구(31)의 내측에 상하부면에 에어를 상,하로 유도하는 에어상하방향유도구(31a)가 설치되어 상기 회동송풍구(31)의 에어를 상,하로 송풍할 수 있도록구성된다.
상기 에어상하방향유도구(31a)는 방향조절수단(31b)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33)는 상기 회동송풍구(31)의 하부외주연에 설치된 랙기어(33a)와, 상기 랙기어(33a)와 모터(33b)의 구동축(33c)에 설치된 기어(33d)와 맞물려 회동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송풍수단(30)이 상기 회동송풍구(31)로 회동되게 구성하는 것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상에 있는 상기 폐골재(A)들에 섞여 노출되는 이물질들을 손쉽게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는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순수한 상기 폐골재(A)를 이송시키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50)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제1이송컨베이어 20: 진동이송슈트
21: 이물질 안내만곡부 22: 걸림바
23: 분사노즐 30: 송풍수단
30a: 측면송풍수단 31: 회동송풍구
32: 연결관 33: 회동부재
33a: 랙기어 33b: 모터
33c: 구동축 33d: 기어
34: 송풍기 40: 제2이송컨베이어
50: 흡입원심배출장치 51: 흡입공
52: 지지대 53: 흡입수집부
53a: 유입구 53b: 관찰창
54: 흡입팬 55: 에어세퍼레이터
55a: 선별흡입조절장치 56: 원심집진기
56a, 56b, 56c: 덕트 57: 흡입배출송풍부
57a: 흡입공 57b: 배출공
57c: 집진여과기 58a: 더블플랫댐퍼
59a: 댐퍼 A:폐골재
E: 진동수단 R: 각도조절부재

Claims (16)

  1. 폐건축물에서 발생되어 파쇄된 폐골재(A)를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10) 및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로부터 상기 폐골재(A)를 상면에 공급받고, 그 하부에 설치된 진동수단(E)으로 상면을 진동하여 상면에서 상기 폐골재를 펼쳐주며, 상기 폐골재(A)를 이송시키는 진동이송슈트(20)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후방과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전방사이 설치되어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면에 에어를 불어주어 상기 진동이송슈트(20)상에 상기 폐골재들사이에 섞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송풍수단(30) 및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이송슈트(20)상에서 이물질이 제거되어 선별된 상기 폐골재(A)를 공급받는 제2이송컨베이어(40)와;
    상기 제2이송송컨베이어(40)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와 마주하도록 흡입공(51)이 형성된 지지대(52)와, 상기 지지대(52)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상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진동이송슈트(20)에서 투입되는 폐골재가 유입되는 유입구(53a)를 갖는 흡입수집부(53)와, 상기 흡입수집부(53)의 상부에 하부가 연통되어 설치되고 흡입팬(54)을 구비하여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40) 및 진동이송슈트(20)상의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을 흡입하는 에어세퍼레이터(55)와, 상기 에어세퍼레이터(55)와 연결된 덕트(56a)가 일측면에 연결설치된 원심집진기(56)와, 상기 원심집진기(56)의 상부와 연결설치된 덕트(56b)와, 상기 덕트(56b)와 연결된 흡입배출송풍부(57)로 구성된 흡입원심배출장치(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세퍼레이터(55)의 내측에는 하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의 종류 및 이물질의 흡입량에 따라 조절되는 선별흡입조절장치(55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집진기(56)의 하부에는 상기 원심집진기(56)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폐골재에 흡입한 이물질을 선별되어 하부로 낙하되는 이물질을 배출하도록 더블플랫댐퍼(58a) 또는 로타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출송풍부(57)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공(57a)에 상기 덕트(56b)가 설치되고, 상기 흡입배출송풍부(57)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57b)에 설치된 덕트(56c)가 설치되며, 상기 흡입공(57a)과 상기 덕트(56b)사이에 댐퍼(59a)가 설치되어 상기 덕트(56c)에서 유입되는 공기유입량 및 공기속도를 상기 댐퍼(59a)가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56b)와 상기 댐퍼(59a)의 사이와, 상기 배출공(57b)에 집진여과기(57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출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집부(53)에는 다수개의 관찰창(53b)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일측에 다수개의 측면송풍수단(30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30) 및 상기 측면송풍수단(30a)은 회동송풍구(31)와, 상기 회동송풍구(31)의 하부에 연결관(32)이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32)의 상부에 설치된 회동부재(33)와 연동되어 상기 회동송풍구(31)가 회동되며, 상기 연결관(32)과 연결되는 송풍기(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33)는 상기 회동송풍구(31)의 하부외주연에 설치된 랙기어(33a)와, 상기 랙기어(33a)와 모터(33b)의 구동축(33c)에 설치된 기어(33d)와 맞물려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10)는 일측은 낮고 타측은 높게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하부에는 각도조절부재(R)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부 타측에는 외측으로 만곡된 이물질 안내만곡부(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안내만곡부(21)는 "
    Figure pat00005
    " 또는 "
    Figure pat00006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부면에는 다수개의 걸림바(22)를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둘레에 설치되는 분사노즐(2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부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23)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상면으로 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23)은 상기 진동이송슈트(20)의 후방의 양측과, 그 전방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KR20130058674A 2013-05-23 2013-05-23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KR101479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8674A KR101479187B1 (ko) 2013-05-23 2013-05-23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8674A KR101479187B1 (ko) 2013-05-23 2013-05-23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766A true KR20140137766A (ko) 2014-12-03
KR101479187B1 KR101479187B1 (ko) 2015-01-05

Family

ID=5245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8674A KR101479187B1 (ko) 2013-05-23 2013-05-23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1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5143A (zh) * 2017-05-17 2017-10-03 巢湖学院 一种多级精密垃圾分类装置
CN108188027A (zh) * 2017-12-25 2018-06-22 界首市金龙机械设备有限公司 环保无尘振动筛
CN109433615A (zh) * 2018-12-03 2019-03-08 湖北叶威(集团)粮食有限公司 一种带三通进气管道的除尘系统
CN110180781A (zh) * 2019-05-29 2019-08-30 廊坊瑞康饲料有限公司 一种高效玉米过筛设备
CN111229597A (zh) * 2020-03-11 2020-06-05 安徽宇特机械有限公司 一种环保的谷物筛分用振动筛
KR102295856B1 (ko) * 2020-12-23 2021-09-01 주식회사 파워리텍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025B1 (ko) 2016-09-27 2016-12-09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KR101689211B1 (ko) 2016-09-27 2016-12-23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용 라인 디퓨저
KR102094862B1 (ko) * 2019-06-28 2020-03-30 씨앤이산업 주식회사 타격-진동-송풍-흡입 연속공정에 의한 건설폐토석 내 이물질 선별 장치
KR20210106615A (ko) 2020-02-20 2021-08-31 주식회사 리텍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흡입원심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270Y1 (ko) * 2001-08-31 2001-12-01 주식회사 신텍 폐기물 선별장치
KR200387254Y1 (ko) * 2005-03-30 2005-06-17 홍성평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생산용 건식 미분 분리장치
KR100850762B1 (ko) * 2006-12-21 2008-08-06 (주)금광 이 엔 지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872152B1 (ko) * 2008-02-01 2008-12-08 성안이엔티주식회사 골재 제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25143A (zh) * 2017-05-17 2017-10-03 巢湖学院 一种多级精密垃圾分类装置
CN107225143B (zh) * 2017-05-17 2019-11-29 巢湖学院 一种多级精密垃圾分类装置
CN108188027A (zh) * 2017-12-25 2018-06-22 界首市金龙机械设备有限公司 环保无尘振动筛
CN109433615A (zh) * 2018-12-03 2019-03-08 湖北叶威(集团)粮食有限公司 一种带三通进气管道的除尘系统
CN110180781A (zh) * 2019-05-29 2019-08-30 廊坊瑞康饲料有限公司 一种高效玉米过筛设备
CN111229597A (zh) * 2020-03-11 2020-06-05 安徽宇特机械有限公司 一种环保的谷物筛分用振动筛
CN111229597B (zh) * 2020-03-11 2021-11-09 安徽宇特机械有限公司 一种环保的谷物筛分用振动筛
KR102295856B1 (ko) * 2020-12-23 2021-09-01 주식회사 파워리텍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187B1 (ko)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187B1 (ko) 흡입원심배출장치를 구비한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KR101479188B1 (ko) 폐건축물에서 발생된 폐골재에 섞인 이물질 선별장치
KR101836832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유기성·무기성 이물질의 선별 시스템
KR100968793B1 (ko) 이물질처리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CN107282175A (zh) 一种建筑垃圾破碎处理用运输磁选设备
CN201823746U (zh) 生活垃圾组合分选装置
CN206996696U (zh) 一种建筑垃圾破碎处理用运输磁选设备
KR100953665B1 (ko) 폐기물의 이물질 선별분류장치
KR20110074042A (ko) 건식 모래 생산방법 및 장치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CN105396781A (zh) 振动风力分选机
CN204412616U (zh) 一种轻物质风选分离装置
CN107030081A (zh) 一种振动筛用进料防尘除尘装置
KR101346354B1 (ko)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KR102094862B1 (ko) 타격-진동-송풍-흡입 연속공정에 의한 건설폐토석 내 이물질 선별 장치
KR20120052617A (ko) 쇄석 골재의 선별 시스템
CN105618376A (zh) 建筑垃圾轻质物分拣分选设备
KR100937980B1 (ko) 순환골재의 송풍 선별장치
CN209255183U (zh) 一种可移动防尘式筛沙机
KR200351067Y1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050084718A (ko)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040013932A (ko) 사이클론을 이용한 건축폐기물의 경량쓰레기 분리방법 및그 장치
KR20030097339A (ko) 골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616502B1 (ko) 골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211303826U (zh) 一种风选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