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622A - 더미 파이프 조립체 - Google Patents

더미 파이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622A
KR20140137622A KR1020130058347A KR20130058347A KR20140137622A KR 20140137622 A KR20140137622 A KR 20140137622A KR 1020130058347 A KR1020130058347 A KR 1020130058347A KR 20130058347 A KR20130058347 A KR 20130058347A KR 20140137622 A KR20140137622 A KR 20140137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ipe assembly
dummy pipe
connect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건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8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7622A/ko
Publication of KR2014013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6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더미 파이프 조립체는 선박의 배관과 연결되는 제1플랜지; 육상의 배관과 연결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연결하고,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미 파이프 조립체{Dummy pipe assembly}
본 발명은 더미 파이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NG선의 배관연결작업 시 길이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더미 파이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등과 같이 다량의 물건을 운반하는 대형 선박은 큰 출력을 필요로 하므로, 상대적으로 큰 출력을 안정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디젤 기관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디젤 기관은 가솔린 기관보다 배기가스의 배출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배기가수 중에 상당량의 NOx, SOx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고가의 화학연료(예를 들어, 경유 또는 중유)를 디젤 기관의 연료로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연료는 액화천연가스(LPG)보다 상당히 비싸므로, 선박 운항의 경제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들어, 전술된 문제점들을 위한 방법으로 이중연료 디젤-전기(DFDE: Dual Fuel Diesel Electric) 추진방식의 엔진이 개발되었다. 이 이중연료 디젤-전기 추진방식의 엔진은 디젤기관과 전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므로, 큰 출력을 발휘하면서도 배기가스의 배출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중연료 디젤-전기 추진방식의 엔진은 연료 공급관을 비롯하여 다수의 배관을 가지므로, 각각의 배관을 일일이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각각의 배관은 선주가 주문한 선박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길이조정이 필요하므로, 현장에서 배관의 길이조정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더미 파이프 조립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한편, 이중연료 기관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선박용 이중연료 기관의 고압탱크 연료공급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이러한 이중연료 기관을 갖는 선박의 정박상태에서 연료공급용 배관의 연결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해서는 전혀 인식하고 있지 않다.
KR 2012-0005780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관연결작업의 편의성과 현장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더미 파이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파이프 조립체는 선박의 배관과 연결되는 제1플랜지; 육상의 배관과 연결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연결하고,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파이프 조립체에서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에는 다수의 볼트 체결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파이프 조립체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반경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배치되는 다수의 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파이프 조립체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 구멍과 동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파이프 조립체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곡선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파이프 조립체에서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는 동일한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DFDE 추진방식의 엔진을 갖는 선박의 배관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의 더미 파이프 조립체보다 상당히 가벼우므로, 작업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운반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관작업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파이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더미 파이프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더미 파이프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파이프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파이프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더미 파이프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더미 파이프 조립체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파이프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파이프 조립체(100)는 제1플랜지(110), 제2플랜지(120), 연결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더미 파이프 조립체(100)는 부가적으로 손잡이(도 4 참조), 바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더미 파이프 조립체(100)는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더미 파이프 조립체(100)는 연결대상인 선박의 배관 또는 선박의 연결 노즐 크기에 따라 그 크기가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더미 파이프 조립체(100)의 크기는 작업자가 운반할 수 있는 질량 및 크기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제1플랜지(110)는 대체로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플랜지(110)는 선박에 장착된 배관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1플랜지(110)의 크기가 상기 배관의 형상 및 크기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플랜지(110)는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플랜지(110)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1플랜지(110)의 재질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
제1플랜지(110)에는 다수의 체결 구멍(112)이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플랜지(110)에는 제1플랜지(110)를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 구멍(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멍(112)은 제1플랜지(110)의 반경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 배치될 수 있으며, 볼트 체결을 위한 구멍으로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다수의 체결 구멍(112)들이 형성하는 가상 원의 지름(D1)은 제1플랜지(110)의 지름(D)보다 작을 수 있다.
제2플랜지(120)는 대체로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플랜지(120)는 선박에 장착된 배관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제2플랜지(120)의 크기가 상기 배관의 형상 및 크기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플랜지(120)는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플랜지(120)는 제1플랜지(110)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제2플랜지(120)의 재질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
제2플랜지(120)에는 다수의 체결 구멍(122)이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플랜지(120)에는 제2플랜지(120)를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 구멍(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구멍(122)은 제2플랜지(120)의 반경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 배치될 수 있으며, 볼트 체결을 위한 구멍으로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다수의 체결 구멍(122)의 배치 간격 및 형상은 제1플랜지(110)의 체결 구멍(112)과 동일할 수 있다.
연결 부재(130)는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 사이에 배치되며,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를 연결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연결 부재(130)는 대체로 원형 단면을 갖는 봉 형상일 수 있으며, 체결 구멍(112, 122)과 마찬가지로 플랜지(110, 120)의 반경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연결 부재(130)의 배치 간격과 체결 구멍(112, 122)의 배치 간격은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 부재(130)의 수와 체결 구멍(112, 122)의 수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130)와 체결 구멍(112, 12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4개일 수 있다. 그러나 연결 부재(130) 및 체결 구멍(112, 122)의 수가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130) 및 체결 구멍(112, 122)의 수는 플랜지(110, 120)의 반경(D)이 기준대상보다 크면 증가하고, 플랜지(110, 120)의 반경(D)이 기준대상보다 작으면 감소할 수 있다.
연결 부재(130)는 원형 단면을 갖는 중실 파이프 또는 중공 파이프일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130)의 단면 반지름은 R2일 수 있으며, 상기 반지름(R2)은 체결 구멍(112, 122)의 반지름(R1)과 같거나 또는 이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연결 부재(130)의 반지름(R2)이 체결 구멍(112, 122)의 반지름(R1)보다 항시 작은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이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130)의 반지름(R2)은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130)는 작업자가 더미 파이프 조립체(100)를 운반하는 손잡이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연결 부재(130)의 길이(L, 도 3 참조)는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130)의 길이(L)는 더미 파이프 조립체(100)가 설치되는 선박의 유형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더미 파이프 조립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복수의 배관(200, 300)을 임시로 연결할 수 있다. 즉, 더미 파이프 조립체(100)는 상기 배관들(200, 300)을 실질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가요성 배관의 제작 전에 상기 배관들(200, 3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더미 파이프 조립체(100)는 연결 부재(13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더미 파이프 조립체(100)의 운반 손잡이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 사이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구실을 하므로, 배관(200, 300)의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파이프 조립체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더미 파이프 조립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30)의 형상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연결 부재(130)는 직선이 아닌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아울러, 연결 부재(130)는 1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부재(130)의 단면 지름은 전술된 실시 예보다 클 수 있으며, 연결 부재(130)에 별도의 손잡이(1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더미 파이프 조립체(100)는 연결대상의 배관들(200, 300)이 비스듬하게 배치된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더미 파이프 조립체
110 제1플랜지
120 제2플랜지
130 연결 부재

Claims (6)

  1. 선박의 배관과 연결되는 제1플랜지;
    육상의 배관과 연결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연결하고,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더미 파이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에는 다수의 볼트 체결 구멍이 형성되는 더미 파이프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의 반경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배치되는 다수의 봉인 더미 파이프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 구멍과 동수인 더미 파이프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곡선 형상인 더미 파이프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는 동일한 지름을 갖는 더미 파이프 조립체.
KR1020130058347A 2013-05-23 2013-05-23 더미 파이프 조립체 KR201401376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347A KR20140137622A (ko) 2013-05-23 2013-05-23 더미 파이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347A KR20140137622A (ko) 2013-05-23 2013-05-23 더미 파이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622A true KR20140137622A (ko) 2014-12-03

Family

ID=5245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347A KR20140137622A (ko) 2013-05-23 2013-05-23 더미 파이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76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5920A (ko) * 2022-07-28 2024-02-06 (주)테크니컬코리아 밸브 대체용 더미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5920A (ko) * 2022-07-28 2024-02-06 (주)테크니컬코리아 밸브 대체용 더미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895B1 (ko) Lng 탱크
US9664317B2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pipe to a LNG tank
KR100961868B1 (ko) 가스연료용 연료탱크를 가지는 컨테이너선
CN101525048B (zh) Lng船上连接燃气阀组和发动机的双壁管道及其安装方法
KR101681723B1 (ko) 선박의 연료탱크 설치구조
US20160231050A1 (en) Expandable lng processing plant
KR20120113398A (ko) 듀얼 연료시스템이 마련된 액화석유가스 운반선
CN202320725U (zh) 一种液化气运输船舶
Tuswan et al. Representative application of LNG-fuelled ships: a critical overview on potential GHG emission reductions and economic benefits
KR20140137622A (ko) 더미 파이프 조립체
WO2014168124A1 (ja) Lng船
KR20180036240A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KR20120013254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펌프타워 구조체
KR20110027441A (ko) 이종연료 추진 시스템을 가지는 부유식 구조물
KR20190076422A (ko) 액화가스 연료탱크용 펌프타워
JP2019108082A (ja) 洋上浮体式設備、洋上浮体式設備の建造方法、洋上浮体式設備の設計方法、及び洋上浮体式設備への改造方法
Kjartansson A feasibility study on LPG as marine fuel
KR20150118365A (ko) 독립형 lng 저장탱크를 구비한 선박 및 그 선박 건조방법
KR102123724B1 (ko) 펌프타워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Hume Ammonia As Maritime Fuel
Lukman The application of dual-fuel technology in inland waterway tankers
KR20150002276U (ko) 이중연료 엔진용 지지 구조물
Namba et al. Transportation of clean energy at sea. Mitsubishi LNG carrier, at present and in future.
Giernalczyk et al. Analysis concerning possibilities of reduction of toxic substances and CO2 emission by use of dual fuel diesel engines for seagoing ships main propulsion
KR20150115230A (ko) 복합형 lng 이송라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