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539A -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539A
KR20140137539A KR1020130058090A KR20130058090A KR20140137539A KR 20140137539 A KR20140137539 A KR 20140137539A KR 1020130058090 A KR1020130058090 A KR 1020130058090A KR 20130058090 A KR20130058090 A KR 20130058090A KR 20140137539 A KR20140137539 A KR 20140137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ousing
housing
wind
rotating bod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일민
Original Assignee
손일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일민 filed Critical 손일민
Priority to KR102013005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7539A/ko
Publication of KR2014013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4Blades characterised by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563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6/00Fluid reaction surfaces, i.e. im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부를 회전하지 않고, 바람을 공급하는 회전체가 가상의 수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측방 360도 전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어 선풍기 사용에 따른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모터 함체를 연결 파이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선풍기의 일부가 고장 또는 파손되는 경우, 고장이 발생한 부분만 교체함에 따라 선풍기 사용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조작 스위치 및 표시 엘이디가 상부면에 형성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상부면 중앙 부분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모터 함체, 상기 모터 함체 내부에 매설되는 모터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에 결합되되, 측방 360도 전범위로 바람을 공급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감싸고 상기 측방으로 공급되는 바람의 공급 높이를 조절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송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ENERGY CONSERVATION TYPE ELECTRIC FAN}
본 발명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부를 회전하지 않고, 바람을 공급하는 회전체가 가상의 수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측방 360도 전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어 선풍기 사용에 따른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모터 함체를 연결 파이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선풍기의 일부가 고장 또는 파손되는 경우, 고장이 발생한 부분만 교체함에 따라 선풍기 사용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풍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내부에 조작수단 및 제어수단을 구비한 스탠드(1), 상기 스탠드(1) 상측으로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연결 파이프(3)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파이프(3)의 상단에는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가 내장되어 있는 모터 함체(5)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 축에는 날개(9)가 고정되고, 이 날개(9)를 감싸도록 안전망(11)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탠드(1)는 대체로 깔대기 형상을 가지고, 내부 하측 단에는 받침판이 삽입 배설되고, 상기 스탠드(1)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이 배설되며, 일측면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돌출배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조작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다수의 발광소자가 상기 조작스위치에 인접되게 배설되고, 상기 조작 스위치 및 발광소자 등은 상기 제어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탠드(1)는 포스트 및 커버의 역할을 겸하도록 PVC 등의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탠드(1)의 버튼으로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5)가 동작하고 함께 취부되어 있는 날개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선풍기는 회전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일반적인 선풍기는 회전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 방향으로만 바람을 공급한다. 상기 선풍기에 의한 송풍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반드시 선풍기의 회전 기능을 동작시켜야 한다.
상기 선풍기의 송풍 범위를 넓히기 위한 회전 기능 사용은 전력 손실을 배가시키고, 선풍기의 기계적 마모를 증가시키며, 선풍기의 기계적 고장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회전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일정 각도 범위로만 바람을 공급할 뿐, 360도 전 방향에 대하여 바람을 공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기존 선풍기와 같이 송풍부를 회전하지 않고, 바람을 공급하는 회전체가 가상의 수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측방 360도 전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어 선풍기 사용에 따른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모터 함체를 연결 파이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선풍기의 일부가 고장 또는 파손되는 경우, 고장이 발생한 부분만 교체함에 따라 선풍기 사용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조작 스위치 및 표시 엘이디가 상부면에 형성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상부면 중앙 부분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모터 함체, 상기 모터 함체 내부에 매설되는 모터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에 결합되되, 측방 360도 전범위로 바람을 공급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감싸고 상기 측방으로 공급되는 바람의 공급 높이를 조절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송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측면에 연결되어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수직으로 세워진 판이 "S"자 형상으로 휘어진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모터 함체의 상단과 결합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에 대향 배치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의 테두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되,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되, 인접하는 지지대 사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고, 측방으로 공급되는 바람의 공급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송풍 높이 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함체는 상기 연결 파이프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연결 파이프 상단에는 상기 모터 함체를 수용할 수 있는 함체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함체 수용부 바닥면에는 전원연결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 함체 하부면에는 상기 전원연결단자에 삽입 연결되는 전원연결코드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 함체가 상기 함체 수용부에 삽입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전원연결코드가 상기 전원연결단자에 삽입 연결되며, 상기 모터 함체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딩부가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함체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모터 함체가 상기 함체 수용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와 맞물려서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에 의하면, 기존 선풍기와 같이 송풍부를 회전하지 않고, 바람을 공급하는 회전체가 가상의 수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하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측방 360도 전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어 선풍기 사용에 따른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터 함체를 연결 파이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선풍기의 일부가 고장 또는 파손되는 경우, 고장이 발생한 부분만 교체함에 따라 선풍기 사용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풍부가 회전하지 않고 측방 360도 전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송풍부 회전에 따른 기계적 마모, 고장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선풍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의 구성요소인 모터 함체와 함체 수용부의 결합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를 구성하는 송풍부의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술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선풍기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지 않고, 새로운 도면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함께 설명하고, 서로 다른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는 바닥에 안착되는 스탠드(10), 상기 스탠드(10)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연결 파이프(30), 상기 연결 파이프(30)의 상단에 결합되는 모터 함체(50) 및 상기 모터 함체(50)에 결합되어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탠드(10)는 보통의 선풍기와 같이, 조작 스위치 및 표시 엘이디가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각 종 제어 모듈 및 제어선이 매설되어 있다. 상기 조작 스위치는 송풍 세기, 송풍 시간 등의 송풍 모드를 위한 스위치들을 포함하나, 상기 송풍부(90)의 회전 동작을 위한 스위치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는 회전 기능을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상기 표시 엘이디는 상기 조작 스위치에 대응하여 엘이디 램프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현재 조작 상태를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탠드(10)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연결 파이프(30)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파이프(30)는 상기 스탠드(10)의 상부면 중앙 부분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결 파이프(30)는 기존 선풍기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선풍기는 회전 기능이 필요 없기 때문에, 상기 송풍부(90)의 회전을 위한 회전 구조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다만, 상기 스탠드(10)에 구비되는 조작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모터 함체(50)에 매설되어 있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 파이프(30) 내부에는 제어선이 매설되어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파이프(30) 상단에는 상기 모터 함체(50)를 상기 연결 파이프(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함체 수용부(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연결 파이프(30) 상단에는 모터를 내장하고 있는 모터 함체(50)가 결합된다. 상기 모터 함체(50)는 내부에 모터를 포함하고 있고, 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는 회전축(50a)이 수직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50a)이 수직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이 회전축(50a)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상기 송풍부(90)를 구성하는 회전체(70)는 가상의 수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즉, 상기 회전체는 종래의 일반적인 선풍기와 같이, 가상의 수평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선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상기 모터 함체(50)는 상기 연결 파이프(30)에 완전 고정 결합될 수도 있지만,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연결 파이프(30) 또는 스탠드(10)가 파손 또는 고장난 경우이거나 상기 모터 함체(50) 및 송풍부(90)가 파손 또는 고장난 경우에는 해당 고장난 부분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선풍기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상기 모터 함체(50)의 상부에는 상기 송풍부(90)가 부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부(90)는 바람을 발생하여 공급하는 회전체(70)와 상기 회전체를 감싸고 사용자의 보호 기능을 수행하는 프레임(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70)는 상기 모터 함체(50) 내부에 매설되는 모터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회전축(50a)에 결합된다. 결국 상기 회전체(70)는 가상의 수직선(상기 연결 파이프가 연장 형성되는 방향의 선)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70)는 측방 360도 전범위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체(70)는 상기 송풍부(90)가 회전되지 않더라도, 측방의 360도 전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70)는 날개(73)가 회전하기 때문에, 사용자를 보호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80)이 상기 회전체(7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80)은 상기 회전체(70)를 감싸면서 동시에 상기 측방으로 공급되는 바람의 공급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80)은 상기 회전체(70)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측방으로 공급하되, 상기 바람이 정 측방, 하측방 또는 상측방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송풍 높이 조절판(87)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는 상기 송풍부(90)를 회전하지 않고, 측방 360도 전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선풍기 회전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절약할 수 있고, 측방 전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선풍기 주위로 위치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바람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를 구성하는 송풍부(90)는 기존과 다른 차별화된 구조로 구성되고, 차별화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송풍부(90)를 구성하는 상기 회전체(70)는 상기 모터 함체(50)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축(50a)에 연결되는 연결구(71)와 상기 연결구(71)의 측면에 연결되어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날개(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71)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구(71)의 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복수개의 날개(73)가 부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부(90)는 측방 360도 전범위로 바람을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송풍부(90)를 구성하는 상기 날개(73)는 수직으로 세워진 판의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날개들이 회전함에 따라, 발생된 바람은 측방 360도 전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날개(73)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바람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날개의 회전에 따른 부하를 감소하기 위하여, 상기 날개(73)의 형상은 단순히 수직으로 세워진 판의 형상을 채택하는 것이 아니라, 상측에서 바라볼 때, "S"자 형상을 가질 수 있는 형상을 채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날개(73) 각각은 수직으로 세워진 판이 "S"자 형상으로 휘어진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날개(73)를 "S"자 형상으로 구성하면, 상기 평평한 날개로 구성한 경우보다, 날개 회전을 위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바람을 안에서 보아 밖으로 던지는 형태로 바람을 공급하기 때문에, 측방으로 강한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회전체(70) 주변에는 상기 프레임(80)이 감싸고 있다. 상기 프레임(80)은 상기 회전체(70)에 의한 사용자 외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바람에 대한 공급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80)은 상기 모터 함체(50)의 상단과 결합되는 하부판(81), 상기 하부판(81)에 대향 배치되는 상부판(83), 상기 상부판(83)과 하부판(81)의 테두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되,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85)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85)를 서로 연결하되, 인접하는 지지대(85) 사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고, 측방으로 공급되는 바람의 공급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송풍 높이 조절판(8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판(81) 및 상부판(83)은 상기 프레임(80)의 상부 및 하부를 구성하는 판으로서, 통풍구가 형성되지 않는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체(70)에서 발생되는 바람은 측방으로만 모아서 강하게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바람의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판(81) 및 상부판(83)은 바람이 새지 않도록 통풍구가 없는 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판(81) 및 상부판(83)은 평평한 판 형상일 수도 있고, 굴곡이 있는 판 형상일 수도 있다. 즉, 하부판(81)은 하방향으로 다소 함몰된 형상이고, 상부판(83)은 상방향으로 다소 함몰된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대(85)는 상기 하부판(81)과 상부판(83)을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지지대(85)는 상기 상부판(83)과 하부판(81)의 테두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되, 각각의 지지대(85)는 서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이격 배치되는 지지대(85) 사이에는 송풍 높이 조절판(87)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의 일단은 특정 지지대(85)에 연결되고, 타단은 인접하는 지지대(85)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대(85)는 상기 측방으로 공급되는 바람의 공급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호 인접하는 지지대 사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고, 긴 판 형태를 가진다.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은 인접하는 지지대(85) 사이에서 수평하게 걸쳐져서 배치되되, 복수개가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송풍 높이 조절판(87)이 모두 수평한 상태를 유지되면(판이 눕혀진 상태를 유지하면), 특정 측방으로 공급되는 바람은 정 측방으로 공급되고,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송풍 높이 조절판(87)이 모두 상측으로 기울어지면(측면에서 바라볼 때, 송풍 높이 조절판의 하부면이 기울어진 상태로 보이는 경우), 특정 측방으로 공급되는 바람은 상 측방으로 공급되며,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송풍 높이 조절판(87)이 모두 하측으로 기울어지면(측면에서 바라볼 때, 송풍 높이 조절판의 상부면이 기울어진 상태로 보이는 경우), 특정 측방으로 공급되는 바람은 하 측방으로 공급된다.
또한, 특정 측 방향에 형성된 상기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송풍 높이 조절판(87) 모두를 닫으면(측면에서 바라볼 때, 송풍 높이 조절판의 일면이 정면으로 보이는 경우), 상기 특정 측 방향으로 바람 공급은 차단되고, 다른 측 방향으로 바람 공급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측방으로 공급되는 바람의 공급 높이를 조절하거나, 특정 측 방향으로 바람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즉, 측면에서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을 바라볼 때, 보이는 판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이를 위한 단순한 방법으로는,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의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지지대에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의 양 끝단에 돌기를 형성시키고, 상기 지지대(85)의 측부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는 삽입홈을 형성시켜,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은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각도로 위치 변경된 후, 상기 바람에 의한 힘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각도로 다시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의 양 끝단 중, 한 쪽 단은 자유 회전되지 않고, 외력이 있는 경우에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은 회전 다이얼(89)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 다이얼(87)은 상기 지지대(85)에 삽입 고정 설치되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다이얼(87)은 상기 복수의 지지대(85)에 모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격순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6개의 지지대(85)로 구성되는 경우, 첫번째, 세번째 및 다섯번째 지지대에 상기 회전 다이얼(87)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 다이얼(87)은 내측 기어 다이얼(89a)과 상기 내측 다이얼(89a)의 외주연에 맞물려 결합되는 외측 기어 다이얼(89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다이얼(89a)의 회전축에는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의 일단이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의 일단은 특정 지지대(85)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 다이얼(87)의 내측 기어 다이얼(89a)의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특정 지지대(85)에 인접하고 있는 지지대(85)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의 타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85)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 회전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기어 다이얼(89b)를 사용자가 돌리면, 이 외측 기어 다이얼에 맞물려 있는 내측 기어 다이얼(89a)이 회전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내측 기어 다이얼(89a)의 회전축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은 특정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87)의 타단은 인접하는 지지대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송풍 높이 조절판의 회전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측 기어 다이얼(89a)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서로 다른 송풍 높이 조절판(87)의 일단이 고정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 다이얼(89)을 돌리면, 상기 회전 다이얼이 설치되는 지지대의 양쪽에 결합되는 각각의 송풍 높이 조절판이 함께 회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는 송풍부(90)의 회전 없이, 측방 360도 전 방향으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는 상기 모터 함체(50)가 상기 연결 파이프(30)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 모터 함체(50)는 상기 연결 파이프(30)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함체(50)는 상기 연결 파이프(30)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 파이프(30) 상단에는 상기 모터 함체(50)를 수용할 수 있는 함체 수용부(31)가 구비된다. 상기 함체 수용부(31)는 상기 모터 함체(50)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함체 수용부(31)는 상기 모터 함체(50)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측이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연결 파이프(30)에 내장된 제어선과 상기 모터 함체(50) 내부의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가 채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 수용부(31) 바닥면에는 전원연결단자(33)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 함체(50) 하부면에는 상기 전원연결단자(33)에 삽입 연결되는 전원연결코드(51)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 함체(50)가 상기 함체 수용부(31)에 삽입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전원연결코드(51)가 상기 전원연결단자(33)에 삽입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모터 함체(50)가 상기 함체 수용부(31)에 수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코드(51)가 상기 전원연결단자(33)에 정확하고 쉽게 삽입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 함체(5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딩부(53)가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함체 수용부(31)의 내측면에는 상기 모터 함체(50)가 상기 함체 수용부(31)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53)와 맞물려서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딩부(3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상기 모터 함체(50)의 외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부(53)를 상기 가이딩부(3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모터 함체(50)를 하측 방향으로 눌러서 상기 함체 수용부(31)로 수용시키면, 상기 전원연결코드(51)가 상기 전원연결단자(33)에 정확하게 삽입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53)가 상기 가이딩부(35)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모터 함체(50)는 상기 함체 수용부(31)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도 않고, 움직임도 발생하지 않는다. 결국, 상기 모터 함체는 상기 함체 수용부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 함체(50)가 상기 함체 수용부(3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모터 함체 및 송풍부(90)가 파손 또는 고장난 경우이거나 또는 상기 연결 파이프(30) 및 상기 스탠드(10)이 파손 또는 고장 난 경우에는 해당 부분만 교체하여 정상적인 선풍기를 재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선풍기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선풍기 재활용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스탠드 30 : 연결 파이프
31 : 함체 수용부 33 : 전원연결단자
35 : 가이딩부 50 : 모터 함체
50a : 모터 회전축
51 : 전원연결코드 53 : 슬라이딩부
70 : 회전체 71 : 연결구
73 : 날개 80 : 프레임
81 : 하부판 83 : 상부판
85 : 지지대 87 : 송풍 높이 조절판
89 : 회전 다이얼 89a : 내측 기어 다이얼
89b : 외측 기어 다이얼 90 : 송풍부

Claims (4)

  1. 조작 스위치 및 표시 엘이디가 상부면에 형성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상부면 중앙 부분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연결 파이프;
    상기 연결 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모터 함체;
    상기 모터 함체 내부에 매설되는 모터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에 결합되되, 측방 360도 전범위로 바람을 공급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를 감싸고 상기 측방으로 공급되는 바람의 공급 높이를 조절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송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측면에 연결되어 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수직으로 세워진 판이 "S"자 형상으로 휘어진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모터 함체의 상단과 결합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에 대향 배치되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의 테두리 부분을 서로 연결하되,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서로 연결하되, 인접하는 지지대 사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고, 측방으로 공급되는 바람의 공급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송풍 높이 조절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함체는 상기 연결 파이프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연결 파이프 상단에는 상기 모터 함체를 수용할 수 있는 함체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함체 수용부 바닥면에는 전원연결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 함체 하부면에는 상기 전원연결단자에 삽입 연결되는 전원연결코드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 함체가 상기 함체 수용부에 삽입 수용되는 경우 상기 전원연결코드가 상기 전원연결단자에 삽입 연결되며,
    상기 모터 함체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두개의 슬라이딩부가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함체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모터 함체가 상기 함체 수용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와 맞물려서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
KR1020130058090A 2013-05-23 2013-05-23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 KR201401375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090A KR20140137539A (ko) 2013-05-23 2013-05-23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090A KR20140137539A (ko) 2013-05-23 2013-05-23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539A true KR20140137539A (ko) 2014-12-03

Family

ID=5245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090A KR20140137539A (ko) 2013-05-23 2013-05-23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75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6698A (zh) * 2018-10-30 2019-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风扇
CN110500302A (zh) * 2018-05-16 2019-11-2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风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0302A (zh) * 2018-05-16 2019-11-2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风扇
CN110500302B (zh) * 2018-05-16 2021-10-2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风扇
CN109236698A (zh) * 2018-10-30 2019-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风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8043B2 (en) Blower fan
CN107478047B (zh) 一种吹地机
EP3193088B1 (en) Upright air conditioner with swing louvers
KR20140137539A (ko) 에너지 절약형 선풍기
KR20120006702U (ko) 시로코팬이 적용되는 선풍기의 상하 풍향 각도 조절장치
KR20090015269A (ko) 360도 선풍기
JP2007278182A (ja) 遠心送風機および攪拌システム
CN109425032B (zh) 空调室内机
CN207262916U (zh) 一种吹地机
WO2018235947A1 (ja) 空調室内機
KR200390499Y1 (ko) 360도 선풍기
KR200486899Y1 (ko) 수직형 선풍기
CN209510701U (zh) 无极转动循环送风装置
CN210463220U (zh) 一种电暖器摇头旋转装置及其摇头电暖器
KR101454327B1 (ko)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CN208765209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US20120014785A1 (en) Structure of circulation fan
JP3240127U (ja) 多角度回転の首振り扇風機
CN211909527U (zh) Plc可编程控制柜
CN214660944U (zh) 一种轴流风机
CN213395718U (zh) 一种新风空气净化设备
KR200193113Y1 (ko) 360도 회전선풍기의 전원공급장치
CN220522851U (zh) 风扇
CN202937500U (zh) 一种风扇
CN212785149U (zh) 一种安全的变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