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299A -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및 그의 라텍스 - Google Patents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및 그의 라텍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299A
KR20140137299A KR20140056779A KR20140056779A KR20140137299A KR 20140137299 A KR20140137299 A KR 20140137299A KR 20140056779 A KR20140056779 A KR 20140056779A KR 20140056779 A KR20140056779 A KR 20140056779A KR 20140137299 A KR20140137299 A KR 20140137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independently
methacrylate
acrylate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5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구아르 카르도엥
앤드류 휴스
아이언 제이. 드레이크
토마스 에이치. 칼란타르
랄프 씨. 이븐
티안랜 장
Original Assignee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Publication of KR20140137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29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08G18/3228Polyamin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3Block or graft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 to polymers
    • C08G18/633Block or graft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 to polymers onto 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3Block or graft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 to polymers
    • C08G18/636Block or graft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on to polymer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a dispersion-stabilis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54Aqueous solutions or dispers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i)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및 ii)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스테르, 또는 스티렌 모노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하나 이상의 구조 단위를 가지는 폴리머 입자의 안정한 수성 분산물; 및/또는 b) i)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입자 및 ii)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스테르, 또는 스티렌성 폴리머 입자,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수성 혼합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폴리우레아 마크로머는 하기 화학식 I로 특정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25

상기 식에서, A1, A2, R1, R2 및 R3은 각각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측면으로, 본 발명은 화학식 I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조성물은 저온 필름 형성, 강성 및 가요성이 뛰어난 균형을 이루는 코팅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및 그의 라텍스{POLYUREA MACROMER AND LATEXES THEREOF}
본 발명은 각종 에멀젼 폴리머의 수성 분산물 제조에 유용한 폴리우레아 마크로머(PUM)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 폴리머 및 폴리우레탄의 수성 분산물은 일반적으로 유사한 시장 구분을 가진다. 폴리우레탄 분산물(PUD)은 전형적으로 코팅 적용시 아크릴 분산물에 비해 필름 형성, 가요성, 및 강성에서 뛰어난 균형을 이루고, 접착제 적용시 인성, 내마모성 및 기계적 유연성에서 뛰어난 균형을 이룬다. 한편, 아크릴은 PUD 보다 더 비용 효율적으로 우수한 옥외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제공할 수 있다.
PUD와 아크릴의 서로 다른 성능 프로파일은 그들의 폴리머 연쇄 구조의 상당한 차이에 기인할 수 있다. 비용과 성능의 균형 압력으로 PUD 사용자들은 PUD/아크릴 블렌드 및 혼성물을 평가하기에 이르렀으며 제한적인 성공을 이루었다 (참조예: R. A. Brown et al.,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properties of urethane/acrylic hybrids with those of corresponding blends of urethane dispersions and acrylic emulsions," Progress in Organic Coatings 2005, 52 (1), 73-84; and H. T. Lee et al.,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queous polyurethane/polytert-butylacrylate hybrid dispersions," Journal of Polymer Research 2005, 12 (4), 271-277; and U.S. 5,650,159).
아크릴 및 PUD의 목적하는 특성을 비용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당업계에서 진일보된 것일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20이고;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C2-C20 알칸디일 그룹, C3-C20 사이클로알칸디일 그룹, C6-C20 아렌디일 그룹, 또는 C7-C20 아르알칸디일 그룹이고;
X 및 Y는 독립적으로 O 또는 NR4이고, 여기서 R4는 H 또는 C1-C6-알킬이되, X 및 Y의 적어도 하나는 NH이며;
A1 및 A2의 적어도 하나는 -C(O)-(Z)m-R5; -CH2CH(OH)R6; -CR7=CH-C(O)O(CH2)pR8; -C(O)-Y'-(CH2)pR9; 또는 CH2-CH2-C(O)-O-R10이고;
여기서 각 R5는 독립적으로 C2-C20 알킬 그룹, C3-C20 사이클로알킬 그룹, C6-C20 아릴 그룹, 또는 C7-C20 아르알킬 그룹이되, 적어도 하나의 R5는 카복실산 그룹 또는 중합성 올레핀 그룹, 또는 이 둘 다로 작용기화되며;
각 R6은 독립적으로 -CH2-아크릴레이트, -CH2-메타크릴레이트, 또는 -(CH2)p-COOH이고;
각 R7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각 R8은 독립적으로 아크릴레이트 그룹, 메타크릴레이트 그룹, 또는 COOH이고;
각 R9는 독립적으로 아크릴레이트 그룹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그룹이고;
각 R10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H2CH=CH2이고;
Y'는 O 또는 NR4이고;
m은 0 또는 1이고;
각 p는 독립적으로 2 내지 6이고;
화합물은 500 내지 8,000 달톤 범위의 Mn을 가진다.
본 발명의 화합물로 작용기화된 아크릴 에멀젼 폴리머의 코팅은 저온 필름 형성, 강성, 및 가요성의 뛰어난 균형을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20이고;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C2-C20 알칸디일 그룹, C3-C20 사이클로알칸디일 그룹, C6-C20 아렌디일 그룹, 또는 C7-C20 아르알칸디일 그룹이고;
X 및 Y는 독립적으로 O 또는 NR4이고, 여기서 R4는 H 또는 C1-C6-알킬이되, X 및 Y의 적어도 하나는 NH이며;
A1 및 A2의 적어도 하나는 -C(O)-(Z)m-R5; -CH2CH(OH)R6; -CR7=CH-C(O)O(CH2)pR8; -C(O)-Y'-(CH2)pR9; 또는 CH2-CH2-C(O)-O-R10이고;
여기서 각 R5는 독립적으로 C2-C20 알킬 그룹, C3-C20 사이클로알킬 그룹, C6-C20 아릴 그룹, 또는 C7-C20 아르알킬 그룹이되, 적어도 하나의 R5는 카복실산 그룹 또는 중합성 올레핀 그룹, 또는 이 둘 다로 작용기화되며;
각 R6은 독립적으로 -CH2-아크릴레이트, -CH2-메타크릴레이트, 또는 -(CH2)p-COOH이고;
각 R7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각 R8은 독립적으로 아크릴레이트 그룹, 메타크릴레이트 그룹, 또는 COOH이고;
각 R9는 독립적으로 아크릴레이트 그룹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그룹이고;
각 R10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H2CH=CH2이고;
Y'는 O 또는 NR4이고;
m은 0 또는 1이고;
각 p는 독립적으로 2 내지 6이고;
화합물은 500 내지 8,000 달톤 범위의 Mn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X 및 Y는 각각 NH이고; 바람직하게 화합물은 1000 달톤에서 6000 달톤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달톤 까지 범위의 Mn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R1은 1,6-헥산디올,
Figure pat00003
또는
Figure pat00004
이다.
바람직하게,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C2-C10 선형 또는 분지 알칸디일 그룹, 벤젠디일 그룹, 벤젠디메탄디일 그룹, 또는 사이클로헥산디일 그룹이고; 더욱 바람직하게,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 C3-C10-알칸디일 그룹이며; 가장 바람직하게, R2 및 R3은 각각 -CH2CH(CH3)- 그룹이다.
바람직하게, m은 0이고; 바람직하게 n은 2 내지 10이다.
A1 및 A2 그룹이 각각 카복실산 그룹, 중합성 올레핀 그룹, 또는 이 둘 다로 작용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1 및 A2에서 하나만이 카복실산 그룹 및/또는 중합성 올레핀 그룹으로 작용기화되는 경우, A1 및 A2의 다른 하나는 비반응 일차 아민일 수 있거나, 또는 분자량이 500을 넘지 않고 O, N, 또는 S 작용기를 임의로 가지는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화합물의 잔기일 수 있으며, 일차 아민 (예를 들어, C1-C20 알킬 할라이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페놀 또는 C1-C20 알콜)와 반응성이다. 적합한 R5 그룹의 예는
Figure pat00005
을 포함하며, 여기서 R11은 선형 또는 분지 C1-C15-알킬 그룹; 바람직하게는 C8-C10-선형 또는 분지 알킬 그룹이다.
더욱 바람직한 R5 그룹은 다음을 포함한다:
Figure pat00006
바람직하게, R6은 -CH2-메타크릴레이트 또는 -CH2CH2-COOH, 더욱 바람직하게는 -CH2-메타크릴레이트이고; R7은 바람직하게 H이고; R8은 바람직하게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COOH이고; R9는 바람직하게 메타크릴레이트이고; p는 바람직하게 2 또는 3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된다:
Figure pat00007
화합물 I (여기서 m = 0; X 및 Y는 각각 NH; R2 = R3; 및 각 R4는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카보닐 그룹을 형성한다)는 반응식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8
제1 단계에서,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화학양론적 과량의 디아민과 반응시켜 폴리우레아 디아민 마크로머 중간체를 형성하는데, 이때 분자량은 출발 물질의 화학양론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2 단계에서, 중간체를 하나 이상의 친전자성 시약, 바람직하게는 2개의 상이한 친전자성 시약 (E1 및 E2)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단계에서 첨가된다)과 반응시켜 말단 그룹 A1 및 A2를 가지는 PUM을 형성한다. E1 및 E2의 적어도 하나를 카복실산 그룹 또는 중합성 올레핀 그룹, 또는 이 둘 다로 작용기화한다. 적절히 작용기화된 친전자성 시약의 예로서는 1,2,4-벤젠트리카복실산 무수물, 2-(도데센-1-일)숙신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말레산 무수물, 메타크릴산 무수물, 아크릴산 무수물, 및 이타콘산 무수물과 같은 무수물;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에폭사이드; 메타크릴롤 클로라이드와 같은 아크릴롤 및 메타크릴롤 할라이드; 및 브로모펜탄 및 브로모헥산과 같은 알킬 할라이드를 들 수 있다.
E1 및 E2는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단계에서 첨가되는 무수물이다.
적합한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서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5-이소시아네이토-1-(이소시아네이토메틸)-1,3,3-트리메틸 사이클로헥산),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이소시아네이토-1-메틸벤젠, 및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적합한 디아민의 예로서는 1,2-에탄디아민, 1,2-프로판디아민, 1,3-프로판디아민, 1,6-헥산디아민, 및 1,8-옥탄디아민과 같은 C2-C20 알칸디아민; 1,4-사이클로헥산디아민 및 이소포론디아민과 같은 C3-C20-사이클로알칸디아민; 1,4-디아미노벤젠과 같은 C6-C20-아렌디아민; 및 1,4-페닐렌디메탄아민 및 4,4'-메틸렌디아닐린과 같은 C7-C20-아르알칸디아민을 들 수 있다.
디아민을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예컨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이소프로판올의 존재 하에 디이소시아네이트와 접촉시켜 수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 달톤 내지 바람직하게는 7000 달톤,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 달톤,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0 달톤인 중간체를 제공한다.
과량의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식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아민과 접촉시켜 제2의 중간체 하위그룹을 얻고 이를 하나 이상의 친핵성 시약, 바람직하게는 2개의 친핵성 시약 (Nuc1 및 Nuc2)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단계에서 첨가된다)과 반응시켜 중간체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친핵성 시약은 카복실산 그룹 또는 중합성 올레핀 그룹 또는 이 둘 다로 작용기화된다. 적절히 작용기화된 친핵성 시약의 예로서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및 3-하이드록시프로판산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9
PUM-함유 에멀젼 폴리머의 형성을 위해 본 발명의 PUM을 편의상 하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예컨대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스테르, 및 스티렌성 모노머와 접촉시킬 수 있다.
적합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예로서는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프로필헵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적합한 메타크릴레이트의 예로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아세토아세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우레이도 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적합한 비닐 에스테르의 예로서는 비닐 아세테이트 및 네오데칸산의 비닐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적합한 스티렌의 예로서는 스티렌, 비닐 톨루엔, 및 α-메틸스티렌을 들 수 있다. PUM-함유 에멀젼 폴리머의 제조를 위해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카복실산 모노머 및 그의 염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및 이타콘산, 및 그의 염); 황산 모노머 및 그의 염 (예를 들어,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판설폰산 및 스티렌 설폰산 및 그의 염); 및 포스포러스산 모노머 및 그의 염 (예를 들어, 포스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폰산 및 그의 염)을 포함한 다른 보조적인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다.
접촉은 PUM과 다른 모노머의 코폴리머 또는 PUM과 에멀젼 코폴리머의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혼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모노머의 중합 도중 또는 그 후, 바람직하게는 도중에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제2 측면으로, 본 발명은 a) i) PUM 및 ii)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스테르, 또는 스티렌 모노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하나 이상의 구조 단위를 가지는 폴리머 입자의 안정한 수성 분산물; 및/또는 b) i) PUM 폴리머 입자; 및 ii)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스테르, 또는 스티렌성 폴리머 입자,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수성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구조 단위"란 중합 후 모노머 또는 마크로머의 잔기를 가리킨다. 따라서, A2 = -C(O)-R5(여기서, R5
Figure pat00010
이다)를 가지는 마크로머의 구조 단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Figure pat00011
상기 식에서, 점선은 폴리머 백본에 대한 결합 지점이다.
PUM과 에멀젼 코폴리머의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혼합물은 a) 고체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인 염기-중화된 PUM의 수성 분산물을 b)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pH로 조절된 에멀젼 코폴리머와 접촉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생성된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Z-평균 입자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10 nm에서 500 nm 까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nm 까지,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nm 까지인 나노분산물이다. 염기-중화된 PUM의 수성 분산물은 바람직하게는 물의 존재 하에 고온, 바람직하게는 60 ℃ 내지 100 ℃ 범위의 온도에서 염기, 바람직하게 NaOH 또는 KOH와 PUM을 함께 접촉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폴리머 입자는 2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의 PUM 구조 단위 및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8 중량%의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스테르 또는 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의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마크로머 구성을 위해 사용되는 화학성을 변경함으로써 최종 폴리머의 많은 성질들을 조정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은 PUD 특징을 아크릴 백본으로 도입하는데 편리한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마크로머는 수소-결합 세기, 콜로이드의 친수성/소수성 균형 및 라텍스 입자내 마크로머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PUD/아크릴 블렌드에서 관찰되는 화합성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하고, 따라서 최소 필름 형성 온도/강성 균형을 개선시킨다. 더욱더 많은 코팅이 0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0 VOC) 필요요건 쪽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후자의 성질이 중요하다.
실시예
중간체 1 - 폴리우레아 올리고머 전구체의 합성, Mn = 1480 달톤
Figure pat00012
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 300 mL) 및 1,2-프로판디아민 (1,2-PDA, 16 g)을 오버헤드 교반기, 응축기, 및 부가 깔때기가 장치된 1-L 4-구 플라스크에 N2 하에 가하였다.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40 g)를 부가 깔때기로 옮기고, 반응 플라스크에 1시간에 걸쳐 온도를 빙조에서 30 ℃로 유지하면서 첨가하였다. 올리고머 용액은 다음 단계에 그대로 사용되었다.
중간체 2 - 폴리우레아 올리고머 전구체의 합성, Mn = 5040 달톤
Figure pat00013
DMAc (425.75 g) 및 1,2-PDA (24 g)를 오버헤드 교반기, 응축기, 및 부가 깔때기가 장치된 1-L 4-구 플라스크에 N2하에 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250 rpm으로 교반하였다. IPDI (67.91 g)를 부가 깔때기로 옮기고, 18분 간 첨가하여 반응시켰다. 온도가 30 ℃를 넘으면, 반응 용기에 찬 공기를 불어 넣어 열을 제거하였다. 반응 동안, 용액 온도가 45.6 ℃에 이르렀다. 첨가가 끝나면 깔때기를 10.7 g의 DMAc를 사용하여 반응 플라스크로 세정하였다.
중간체 3 - 폴리우레아 올리고머 전구체의 합성, Mn = 1620 달톤
Figure pat00014
DMAc (170 g) 및 1,2-PDA (20 g)를 오버헤드 교반기, 응축기 및 부가 깔때기가 장치된 500-mL 4-구 플라스크에 N2 하에 가하였다. 용액을 13 ℃에서 300 rpm으로 교반하였다. 별도로, ISONATETM OP-50 MDI (The Dow Chemical Company 또는 그 계열사의 등록상표, 55 g) 및 DMAc (55 g)를 준비하고, 부가 깔때기로 옮긴 다음, 반응 플라스크에 13분 간 첨가하였다. 반응 동안 용액 온도가 24 ℃에 이르렀고, 이때 교반 속도를 420 rpm으로 증가시켰다. 추가의 DMAc (201 g)를 최종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실시예 1 - 폴리우레아 마크로머의 합성, M n = 1960 달톤
Figure pat00015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8.65 g)을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70 mL, DMF)에 용해시키고, 50 ℃에서 30분 간 DMAc 중 중간체 1의 용액을 함유한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DMAc (50 mL) 중 도데센-1-일 숙신산 무수물 (14.73 g)의 용액을 반응 플라스크에 15분 간 온도를 50 ℃로 유지하면서 적가하였다. 적가를 마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한 다음, 냉 아세톤으로 침전하였다. 조대 고체를 메탄올에 재용해시키고, 냉 아세톤에서 이차 침전시켰다. 여과 후, 조대 백색 고체를 진공 중에 35 ℃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2 - 폴리우레아 마크로머의 합성, M n = 5370 달톤
Figure pat00016
오버헤드 교반기 및 응축기가 장치된 1 L 4-구 플라스크에 중간체 2 (112.17 g)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250 rpm으로 교반하고, 반응물을 50 ℃로 가열하였다. 말레산 무수물 (0.488 g)을 10분 간 첨가한 뒤,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1.13 g)을 2분 간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10 ℃에서 아세톤중에 침전시켰다. 이어 샘플을 여과하고, 눈금이 매겨진 유리 용기로 옮긴 다음, 총 부피가 300 mL가 되도록 MeOH를 충전하였다. 슬러리를 50 ℃로 가온하고, 고체를 1시간에 걸쳐 용해하였다. 샘플을 냉 아세톤에서 다시 침전시켰다. 여과 후, 조대 백색 고체를 진공 중에 35 ℃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3 - 폴리우레아 마크로머의 합성, M n = 1800 달톤
Figure pat00017
오버헤드 교반기 및 응축기가 장치된 1-L 4-구 플라스크에 중간체 1로서 제조된 화합물 (400 g)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250 rpm으로 교반하고, 반응물을 50 ℃로 가열하였다. 말레산 무수물 (6.21 g)을 한번에 첨가한 뒤,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12.7 g)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10 ℃에서 아세톤중에 침전시켰다. 이어 샘플을 여과하고, 눈금이 매겨진 유리 용기로 옮긴 다음, 총 부피가 400 mL가 되도록 MeOH를 충전한 후, 밤새 교반하여 용해시켰다. 샘플을 냉 아세톤에서 다시 침전시켰다. 여과 후, 조대 백색 고체를 진공 중에 35 ℃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4 - 폴리우레아 마크로머의 합성, M n = 2100 달톤
Figure pat00018
중간체 3 (142 g, 15% 올리고머)을 오버헤드 교반기 및 응축기가 장치된 500-mL 4-구 플라스크에 가하였다. 용액을 350 rpm으로 교반하고, 반응 용기를 50 ℃로 가열하였다. 도데센-1-일 숙신산 무수물 (4.23 g)을 용기에 첨가하고, DMAc (24.0 g)로 세척하였다. 반응 온도를 20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3.07 g)을 DMAc (21.0 g)에 첨가한 뒤, 50 ℃에서 10분에 걸쳐 반응기에 첨가한 다음,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생성물을 실온에서 4 L 아세톤에 천천히 떨어뜨려 침전시켰다. 이어 샘플을 여과한 뒤,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필터 케이크를 용기로 옮기고, 진공 중에 35 ℃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5 - 폴리우레아 마크로머의 합성, M n = 1900 달톤
Figure pat00019
오버헤드 교반기 및 응축기가 장치된 1-L 4-구 플라스크에 중간체 1 (100 g)에 이어 DMF (46.27 g)를 차례로 첨가하였다. 용액을 250 rpm으로 교반하고, 반응물을 50 ℃로 가열하였다.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6.12 g)을 반응기에 분말로서 첨가하였고, 수 분에 걸쳐 빠르게 용해되었다. 30분 후, 반응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냉 아세톤에서 침전시켰다. 이어 샘플을 여과하고, 눈금이 매겨진 유리 용기로 옮긴 다음, 총 부피가 400 mL가 되도록 MeOH를 충전하였다. 슬러리를 50 ℃로 가온하고, 고체를 1시간에 걸쳐 용해하였다. 샘플을 냉 아세톤에서 다시 침전시켰다. 여과 후, 조대 백색 고체를 진공 중에 35 ℃에서 건조시켰다.
하기 실시예에서 동적 광산란을 이용하여 Z-평균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6 -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안정화된 결합제 (60 BA/20 MMA/20 PUM)
오버헤드 교반기 및 응축기가 장치된 1-L 4-구 플라스크에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제조된 PUM (20 g), NaOH (수중 50 wt%, 3 g) 및 탈이온수 (90 g)를 첨가하였다. 반응기를 N2 하에 120 rpm으로 교반하면서 30분 동안 85 ℃로 가열하였다. 탈이온수 (20 g)에 용해시킨 과황산암모늄 (0.52 g)을 반응기에 단발로 첨가하였다. 온도가 82 ℃로 하강하였고, 2분 간 85 ℃로 상승시켰다. 부틸 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 (BA/MMA (60 g/20 g))을 케틀에 1시간에 걸쳐 첨가한 후, 탈이온수 (5 g)를 세척을 위해 첨가하였다. 반응기 내용물을 그 온도에서 30분 유지한 후, 20분에 걸쳐 65 ℃로 냉각하였다. 이어, t-아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 (1 mL 물중 0.1 g) 및 FeSO4.7H2O/테트라소듐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의 용액 (각각 1 mL 탈이온수중 0.61 mg)을 케틀에 직접 첨가하였다. 이어서, Bruggolite FF6 M 환원제 (3 mL 탈이온수중 0.045 g)를 30분 간 첨가하였다. 라텍스를 100-메쉬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응고물을 분리한 뒤 무게를 달았다. 측정된 입자 크기는 108 nm이고, 최종 pH는 8.7이며, 고체는 40.6%이었다. 에멀젼으로부터의 건조 막에서 0 ℃ 아래의 최소 필름 형성 온도 (MFFT), 및 26 s의 쾨니히 경도 (Koenig hardness)를 얻었다. 동적 기계 분석 (DMA)으로 측정된 물질의 140 ℃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100 MPa이었다.
실시예 7 -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안정화된 결합제 (60 BA/20 MMA/20 PUM)
오버헤드 교반기 및 응축기가 장치된 500-mL 4-구 플라스크에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제조된 PUM (9 g), NaOH (수중 50 wt%, 0.828 g) 및 탈이온수 (46.57 g)를 첨가하였다. 반응기를 N2 하에 120 rpm으로 교반하면서 30분 동안 85 ℃로 가열하였다. 탈이온수 (6 g)에 용해시킨 과황산암모늄 (0.232 g)을 반응기에 단발로 첨가하였다. 온도가 82 ℃로 하강하였고, 2분 간 85 ℃로 상승시켰다. 부틸 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 (BA/MMA (27 g / 9 g))을 케틀에 1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기 내용물을 그 온도에서 30분 유지한 후, 20분에 걸쳐 65 ℃로 냉각하였다. 이어, t-아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 (1.75 mL의 물중 0.045 g) 및 FeSO4.7H2O/테트라소듐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의 용액 (각각 1 mL 탈이온수중 0.28 mg)을 케틀에 직접 첨가하였다. 이어서, 무 포름알데하이드 환원제, Bruggolite FF6 M (1.75 mL의 탈이온수중 0.02 g)을 30분 간 첨가하였다. 라텍스를 100-메쉬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응고물을 분리한 뒤 무게를 달았다. 측정된 입자 크기는 113 nm이고, 최종 pH는 7.14이며, 고체는 41.49%이었다. 에멀젼으로부터의 건조 막에서 0 ℃ 아래의 최소 필름 형성 온도 (MFFT) 및 42 s의 쾨니히 경도를 얻었다.
실시예 8 -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안정화된 결합제 (60 BA/28.9 MMA/11.1 PUM)
오버헤드 교반기 및 응축기가 장치된 500-mL 4-구 플라스크에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제조된 PUM (4.5 g), NaOH (수중 50 wt%, 0.71 g) 및 탈이온수 (46.57 g)를 첨가하였다. 반응기를 N2 하에 120 rpm으로 교반하면서 30분 동안 85 ℃로 가열하였다. 탈이온수 (6 g)에 용해시킨 과황산암모늄 (0.232 g)을 반응기에 단발로 첨가하였다. 온도가 82 ℃로 하강하였고, 2분 간 85 ℃로 상승시켰다. 부틸 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 (BA/MMA (27 g/11.7 g))을 케틀에 1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기 내용물을 그 온도에서 30분 유지한 후, 20분에 걸쳐 65 ℃로 냉각하였다. 이어, t-아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 (1.75 mL의 물중 0.045 g) 및 FeSO4.7H2O/테트라소듐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의 용액 (각각 1 mL 탈이온수중 0.28 mg)을 케틀에 직접 첨가하였다. 이어서, Bruggolite FF6 M 환원제 (1.75 mL의 탈이온수중 0.02 g)를 30분 간 첨가하였다. 라텍스를 100-메쉬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응고물을 분리한 뒤 무게를 달았다. 측정된 입자 크기는 103 nm이고, 최종 pH는 6.66이며, 고체는 41.63%이었다. 에멀젼으로부터의 건조 막에서 0 ℃ 아래의 최소 필름 형성 온도 (MFFT) 및 5.6 s의 쾨니히 경도를 얻었다.
실시예 9 -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안정화된 결합제 (60 BA/20 MMA/20 PUM)
오버헤드 교반기 및 응축기가 장치된 500-mL 4-구 플라스크에 실시예 4에서와 같이 제조된 PUM (9 g), NaOH (수중 50 wt%, 1.21g) 및 탈이온수 (46.57 g)를 첨가하였다. 반응기를 N2 하에 120 rpm으로 교반하면서 30분 동안 85 ℃로 가열하였다. 탈이온수 (6 g)에 용해시킨 과황산암모늄 (0.232 g)을 반응기에 단발로 첨가하였다. 온도가 82 ℃로 하강하였고, 2분 간 85 ℃로 상승시켰다. 부틸 아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혼합물 (BA/MMA (27 g / 9 g))을 케틀에 1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기 내용물을 그 온도에서 30분 유지한 후, 20분에 걸쳐 65 ℃로 냉각하였다. 이어, t-아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 (1.75 mL의 물중 0.045 g) 및 FeSO4.7H2O/테트라소듐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의 용액 (각각 1 mL 탈이온수중 0.28 mg)을 케틀에 직접 첨가하였다. 이어서, Bruggolite FF6 M 환원제 (1.75 mL의 탈이온수중 0.02 g)를 30분 간 첨가하였다. 라텍스를 100-메쉬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응고물을 분리한 뒤 무게를 달았다. 측정된 입자 크기는 182 nm이고, 최종 pH는 6.35이며, 고체는 42.43%이었다. 에멀젼으로부터의 건조 막에서 3 ℃의 최소 필름 형성 온도 (MFFT) 및 39 s의 쾨니히 경도를 얻었다. 동적 기계 분석 (DMA)으로 측정된 물질의 140 ℃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100 MPa이었다.
비교 실시예 1 - 대조 에멀젼 1 (60BA/36.8MMA/3.2MAA//0.3 DS-4)
실시예 5의 폴리우레아 마크로머-안정화된 에멀젼 제조에 대해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법을 따랐다. 본 비교 실시예에서는, 소듐 도데실벤젠 설포네이트 (1.333 g, 22.5% 활성, DS-4), 메타크릴산 (3.23 g), NaOH (50 wt% 용액, 0.54 g) 및 물을 먼저 플라스크에 가하고. N2 하에 85 ℃로 가열하였다. 나머지 반응은 PUM-안정화된 에멀젼 합성과 동일하였다. 측정된 입자 크기는 105 nm이고, 최종 pH는 6이며, 고체는 43.1%이었다. 에멀젼으로부터의 건조막에서 7 ℃의 MFFT 및 5.6 s의 쾨니히 경도를 얻었다. DMA로 측정된 물질의 140 ℃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1 MPa이었다.
비교 실시예 2 - 대조 에멀젼 2 (60 BA/38 MMA/2 MAA)
물 (127 g), FES-32 계면활성제 (9.52 g의 30% FES-32 용액), 부틸 아크릴레이트 (162 g),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02.5 g) 및 메타크릴산 (5.5 g)을 첨가하여 모노머 에멀젼 (ME)을 제조하였다. ME로부터 ME 시드 (9.9 g)를 제거하였다. 반응기 케틀에 물 (103 g), FES-32 계면활성제 (1.9 g의 30% FES-32 용액), 및 탄산나트륨 완충액 (탈이온수중 5.6% 용액 5.1 g)을 첨가하고, 케틀을 89 ℃로 가열하였다. 89 ℃에서, ME 시드 (9.9 g) 및 과황산암모늄 (3.0 g의 탈이온수중 0.99 g)을 반응기에 2개의 별도 샷 첨가로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2분 후, 나머지 ME 및 과황산암모늄 (11.9 g의 탈이온수중 0.15 g)을 반응기에 90분 간 공급하였다. 공급 동안 반응기 온도를 89 ℃에서 등온으로 유지하였다. ME 및 과황산암모늄의 공급을 마친 후, 탈이온수 (5.0 g)를 ME 용기에 가하여 남은 모노머를 반응기로 세정하였다. 이어, 반응기 온도를 10분 간 70 ℃로 냉각하였다. 70 ℃에서, FeSO4.7H2O의 용액 (1.95 g의 0.15 wt% 탈이온수 용액)을 추가의 탈이온수 (2.6 g)와 합해 케틀에 직접 첨가하였다. 반응기 케틀을 15분 간 60 ℃로 더 냉각하였다. 반응기를 60 ℃로 냉각한 후, t-아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 (0.1 g), FES-32 계면활성제 (0.05 g의 30% FES-32 용액) 및 탈이온수 (1.49 g)의 유화된 용액을 케틀에 직접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소아스코르브산 (3.0 g의 탈이온수중 0.054 g)을 15분 간 첨가하였다. 라텍스를 100-메쉬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응고물을 분리한 뒤 무게를 달았다. 측정된 입자 크기는 120 nm이고, 최종 pH는 4.5이며, 고체 함량은 49.5%이었다. 에멀젼으로부터의 건조막에서 0 ℃의 MFFT, 2.8 s의 의 쾨니히 경도 및 20분의 물 노출 후 0의 수백화값을 얻었다.
수백화는 물 방울을 에멀젼의 건조 투명 필름에 놓아 두는 정량적 시험이다. 일정 시간 후, 물 방울을 표면에서 신속히 닦아내고, 막의 백화에 대해 육안으로 관찰한다 (0은 막의 백화 없음, 10은 막의 완전 백화를 의미한다). 이하 PUM과 결합제의 비공유적으로 결합된 혼합물이 실시예 10 및 11에 기술된다.
실시예 10 - NaOH-중화된 블렌드 PUM 및 에멀젼 폴리머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제조된 화합물 (11.0 g)을 자석 교반바가 들어 있는 유리 바이알중의 탈이온수 (24.2 g)에 첨가하고, 이어 NaOH (50 wt% 용액, 1.1 g)를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밀폐시키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1시간 동안 85 ℃로 가열하여 pH가 12.0이고, 고체 함량이 30.3%이며, 평균 입자 크기가 21.0 nm인 NaOH-중화된 PUM 나노입자의 스톡 분산물을 얻었다. NH4OH 용액 (0.13 g의 28% NH4OH 용액)을 대조 에멀젼 2 (23.05 g)에 첨가하여 대조 결합제의 pH를 9.1로 만들었다. 스톡 PUM 나노입자 분산물의 일부 (9.5 g)를 예비-중화된 대조 결합제 2 (60 BA/38 MMA/2 MAA, 23.18 g)에 첨가하였다. 최종 pH는 9.1이고, 고체 함량은 43.4%인 것으로 나타났다. 에멀젼으로부터의 건조 막에서 0 ℃의 MFFT, 21.0 s의 쾨니히 경도 및 20분 간 물 노출 후 10의 수백화값을 얻었다.
실시예 11 - NH 4 OH-중화된 PUM 및 에멀젼 폴리머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제조된 화합물 (10.05 g)을 자석 교반바가 들어 있는 유리 바이알중의 탈이온수 (14.1 g)에 첨가하고, 이어 NH4OH 용액 (9.0 g의 28% NH4OH 용액)를 첨가하였다. 바이알을 밀폐시키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1시간 동안 85 ℃로 가열하였다. 바이알 뚜껑을 느슨하게 하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6시간 더 75 ℃에서 가열하여 pH가 10.0이고, 고체 함량이 30.3%이며, 평균 입자 크기가 23.0 nm인 NH4OH-중화된 PUM 나노입자의 스톡 분산물을 얻었다. 스톡 PUM 나노입자 분산물의 일부 (9.0 g)를 대조 에멀젼 2 (23.04 g)에 첨가하였다. 최종 pH는 10.0이고, 고체 함량은 44.10%인 것으로 나타났다. 에멀젼으로부터의 건조 막에서 0 ℃의 MFFT, 16.8 s의 쾨니히 경도 및 20분 간 물 노출 후 3의 수백화값을 얻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PUM 구조 단위를 함유하지 않는 라텍스에 비해 낮은 MFFT 및 높은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라텍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6 및 비교 실시예 1은 이러한 개선을 증명한다: PUM을 함유하는 라텍스는 0 ℃의 MFFT 및 140℃에서 100 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반면, 하나 이상의 PUM 구조 단위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 실시예 1의 라텍스는 7 ℃의 MFFT 및 140℃에서 0.1 MPa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라텍스는 단일 제제에서 PUD 및 아크릴 기반 라텍스의 원하는 특성을 가진다.

Claims (10)

  1. a) i)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및 ii)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스테르, 또는 스티렌 모노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하나 이상의 구조 단위를 가지는 폴리머 입자의 안정한 수성 분산물; 및/또는 b) i)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입자 및 ii)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에스테르, 또는 스티렌성 폴리머 입자,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수성 혼합물을 포함하고, 여기서 폴리우레아 마크로머는 하기 화학식 I로 특정되는 조성물:
    Figure pat00020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20이고;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C2-C20 알칸디일 그룹, C3-C20 사이클로알칸디일 그룹, C6-C20 아렌디일 그룹, 또는 C7-C20 아르알칸디일 그룹이고;
    X 및 Y는 독립적으로 O 또는 NR4이고, 여기서 R4는 H 또는 C1-C6-알킬이되, X 및 Y의 적어도 하나는 NH이며;
    A1 A2의 적어도 하나는 -C(O)-(Z)m-R5; -CH2CH(OH)R6; -CR7=CH-C(O)O(CH2)pR8; -C(O)-Y'-(CH2)pR9; 또는 CH2-CH2-C(O)-O-R10이고;
    여기서 각 R5는 독립적으로 C2-C20 알킬 그룹, C3-C20 사이클로알킬 그룹, C6-C20 아릴 그룹, 또는 C7-C20 아르알킬 그룹이되, 적어도 하나의 R5는 카복실산 그룹 또는 중합성 올레핀 그룹 또는 이 둘 다로 작용기화되며;
    각 R6은 독립적으로 -CH2-아크릴레이트, -CH2-메타크릴레이트, 또는 -(CH2)p-COOH이고;
    각 R7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각 R8은 독립적으로 아크릴레이트 그룹, 메타크릴레이트 그룹, 또는 COOH이고;
    각 R9는 독립적으로 아크릴레이트 그룹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그룹이고;
    각 R10은 독립적으로 H 또는 -CH2CH=CH2이고;
    Y'는 O 또는 NR4이고;
    m은 0 또는 1이고;
    각 p는 독립적으로 2 내지 6이고;
    화합물은 500 내지 8,000 달톤 범위의 Mn을 가진다.
  2. 제1항에 있어서, X 및 Y가 각각 NH이고; 화합물의 Mn은 1000 내지 6000 달톤의 범위이며; 폴리머 입자는 2 내지 30 중량%의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구조 단위 및 50 내지 98 중량%의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구조 단위를 포함하며, A1 A2는 각각 독립적으로 -C(O)-(Z)m-R5; -CH2-CH(OH)R6; -CR7=CH-C(O)-O-(CH2)pR8; -C(O)-Y'-(CH2)pR9; 또는 CH2-CH2-C(O)-O-R10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이 1,6-헥산디올,
    Figure pat00021
    또는
    Figure pat00022
    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 R3이 각각 독립적으로 C2-C10 선형 또는 분지 알칸디일 그룹, 벤젠디일 그룹, 벤젠디메탄디일 그룹, 또는 사이클로헥산디일 그룹이고;
    n은 2 내지 10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Figure pat00023

    이고;
    R2 R3이 각각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 C3-C10-알칸디일 그룹이고;
    화합물이 1000 내지 3000 달톤 범위의 Mn을 가지는 조성물.
  6.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이 0이고;
    R2 R3이 각각 -CH2CH(CH3)- 그룹이며;
    A1 A2가 독립적으로 -C(O)-(Z)m-R5이고;
    각 R5는 독립적으로
    Figure pat00024

    이며;
    여기서 각 R11은 독립적으로 선형 또는 분지 C1-C15 알킬 그룹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R5가 -CH=CHCH3인 조성물.
  8.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이 0이고;
    A1 A2의 적어도 하나는 -CH2-CH(OH)R6이며, 여기서 R6은 -CH2-메타크릴레이트 또는 -(CH2)p-COOH이고, 여기서 p는 2 내지 6인 조성물.
  9.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1 A2의 적어도 하나가 -CR7=CH-C(O)-O-(CH2)pR8이고, 여기서 R7은 H이며, R8은 메타크릴레이트 그룹 또는 COOH이고, p는 2 또는 3인 조성물.
  10.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1 A2의 적어도 하나가 -C(O)-O-(CH2)pR9이고, 여기서 R9는 메타크릴레이트 그룹이거나; 또는 A1 A2의 적어도 하나가 -CH2-CH2-C(O)-O-R10인 조성물.
KR20140056779A 2013-05-22 2014-05-12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및 그의 라텍스 KR201401372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26153P 2013-05-22 2013-05-22
US61/826,153 2013-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99A true KR20140137299A (ko) 2014-12-02

Family

ID=50735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6779A KR20140137299A (ko) 2013-05-22 2014-05-12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및 그의 라텍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217081B2 (ko)
EP (1) EP2805980B1 (ko)
KR (1) KR20140137299A (ko)
CN (1) CN104177967B (ko)
AU (1) AU2014201932B2 (ko)
BR (1) BR102014011023A2 (ko)
CA (1) CA2851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201932B2 (en) * 2013-05-22 2018-03-1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urea macromer and latexes thereof
CN107664608B (zh) * 2017-10-27 2021-02-02 湖北兴瑞硅材料有限公司 一种检测低乙烯基甲基乙烯基硅橡胶乙烯基含量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36017C2 (de) 1974-07-26 1983-08-25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harnstoffen
DE3927631A1 (de) 1989-08-22 1991-02-28 Basf Ag Umsetzungsproduk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amit herstellbares strahlungsempfindliches gemisch
US5451651A (en) 1993-12-17 1995-09-19 Bausch & Lomb Incorporated Urea and urethane monomers for contact lens materials
FR2721034B1 (fr) 1994-06-08 1996-09-13 Oreal Dispersions aqueuses de polymères choisis parmi les polyuréthannes et les polyurées, leur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cosmétiques et compositions cosmétiques les contenant.
CN1312212C (zh) * 2002-04-09 2007-04-25 罗姆和哈斯公司 含水聚合物共混物组合物
AU2014201932B2 (en) * 2013-05-22 2018-03-1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urea macromer and latex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5980A1 (en) 2014-11-26
CA2851118A1 (en) 2014-11-22
US20160068673A1 (en) 2016-03-10
EP2805980B1 (en) 2016-12-14
AU2014201932A1 (en) 2014-12-11
BR102014011023A2 (pt) 2016-05-24
US20140350170A1 (en) 2014-11-27
AU2014201932B2 (en) 2018-03-15
US9783669B2 (en) 2017-10-10
CN104177967B (zh) 2018-06-05
CN104177967A (zh) 2014-12-03
US9217081B2 (en)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3447B2 (en) Preparation of supramolecular polymers by copolymerization of monomers containing quadruple hydrogen bonding units with regular monomers
US8669331B2 (en) Polymeric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thereof
US20060142519A1 (en) Fluoroacrylate-multifunctional acrylate copolymer compositions
US10745583B2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A2940734A1 (en) Pigmented paint formulation with a phosphorus acid functionalized latex binder and an associative thickener
US9790394B2 (en) Floor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upramolecular polymers
US9771318B2 (en) Ethoxylate isocyanate compound and its use as a emulsifier
JP6254173B2 (ja) アニオン性イソシアネート化合物および乳化剤としてのその使用
KR20140137299A (ko) 폴리우레아 마크로머 및 그의 라텍스
CN111819214B (zh) 自乳化型多异氰酸酯组合物制造用亲水化剂、自乳化型多异氰酸酯组合物、涂料组合物、及涂膜
EP2805979B1 (en) Polyurea macromer and latexes thereof
JP4073047B2 (ja) 水系セミカルバジド化合物の製造方法
JPH10231281A (ja) セミカルバジド組成物
JP2010065153A (ja) 水性塗料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