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7273A -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7273A
KR20140137273A KR20130094931A KR20130094931A KR20140137273A KR 20140137273 A KR20140137273 A KR 20140137273A KR 20130094931 A KR20130094931 A KR 20130094931A KR 20130094931 A KR20130094931 A KR 20130094931A KR 20140137273 A KR20140137273 A KR 20140137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nel
finishing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2766B1 (ko
Inventor
주종복
Original Assignee
주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복 filed Critical 주종복
Publication of KR20140137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마감패널 등의 건축용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 개의 단열재가 지지부재에 빈틈없이 끼움 결합되므로, 서로 인접한 단열재들 간의 기밀성이 뛰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체 단열 효율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 사이에 고정패널의 간격유지부가 삽입되어, 마감패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조절되므로, 서로 인접한 마감패널 간의 평활도가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에 결합수용부가 형성되고, 고정패널의 외측에 관통된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수용부에 삽입 결합되며, 이에 따라 결합부재가 지지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패널을 지지부재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고정패널 및 마감패널이 지지부재에 지지되면서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Combination Structure of Panel for External of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본 발명은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감패널 등의 건축용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밀집도가 높고 지가 수준이 높은 도심지 등에 건축되는 건축물들은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고층화 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대형 건축물은 철골을 이용하여 철골 구조물을 먼저 시공한 후에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체를 시공하고,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벽에 마감재를 고정시켜서 건축물을 완성한다. 이러한 대형 건축물의 시공 방법은 날로 발전해 왔으며, 건축물의 발전 기술과 더불어 대형 건축물의 외관 특히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벽을 마감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기술 또한, 날로 발전해 왔다.
상기 건축용 외장재는 벽돌이나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의 시공으로는 이루지 못하는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장재는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마감패널, 단열재 등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외장재의 재료로는 유리, 석재, 금속, 합성섬유 등이 있고, 이러한 외장재를 건물의 프레임 등에 고정하는 수단으로는 앙카, 고정부 등의 고정장치를 건물 외벽에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부에 외장재를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외장재는 주로 고층의 건축구조물에 사용되므로, 각각의 외장재 설치를 위하여 각각의 앙카 및 고정부를 고층의 건물 외벽에 일일이 시공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며, 이에 따라 공기가 길어지고 공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식은 넓은 단면을 가진 'ㅁ'형 각파이프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므로, 단열재들 사이가 긴밀하지 못하고 틈이 벌어지게 되어 단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장재가 설치되는 건축구조물의 외벽은 평활도가 좋지 않아, 고정부의 길이 조절을 통하여 외벽과 외장재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미세 수평을 맞추어야 하는데, 종래 고정부는 임의로 길이조절을 할 수 없으므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고정부를 여러 개 구비하여야 하며, 이는 작업을 더욱 복잡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는 용접 방식으로 앙카에 고정되다 보니, 철거시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외장재 간의 이격된 공간에 실리콘 등으로 실링을 하기 위해서는 실리콘이 지지되도록 서로 인접한 외장재 내측에 피스가 구비되어야 하는바, 시공이 복잡하여 공기가 오래 걸리며, 실리콘이 많이 사용되어, 시공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214186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용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부재의 공간부에 단열재를 빈틈없이 끼움결합시켜서 서로 인접한 단열재들이 긴밀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전체 단열효율이 우수해지도록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감패널 간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마감패널 간의 평활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벽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에 끼움결합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외면에 배치되는 마감패널; 및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마감패널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고정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패널은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이 상기 마감패널에 장착될 때,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패널에 간격유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패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외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마감지지부; 및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마감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부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는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서 상기 마감패널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호 면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돌출부와,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돌출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그 사이에 결합수용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상기 고정패널이 장착될 때,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패널과,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를 일체로 관통한 후, 상기 결합수용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이 상호 고정되고, 상기 고정패널이 제거되기 전에,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수용부에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수용부를 덮도록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결합안내판을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이격되는 너비는 상기 결합부재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상기 고정패널이 장착될 때,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패널과,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를 일체로 관통한 후, 상기 결합안내판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결합안내판이 상호 고정되고, 상기 고정패널이 제거되기 전에,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안내판에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되, 내부에 결합수용부가 구비되는 마감지지부; 및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마감지지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상기 수평지지부와 상기 마감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부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상기 고정패널이 장착될 때,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패널과,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를 일체로 관통한 후,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기 결합수용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이 상호 고정되고, 상기 고정패널이 제거되기 전에,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마감지지부에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연결부는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감지지부는,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결합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일측은 상기 벽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브라켓; 및 일측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타측에 면접촉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면부와, 상기 고정면부의 중앙에서 그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의 일측과 면접촉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면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그 양측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고정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고정체결공은 상기 고정면부의 양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면부의 위치가 상기 고정체결공의 길이를 따라 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결공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면과 타면에 면접촉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한 쌍의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서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길이방향 측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길이방향 측부를 일체로 감싸도록 구비되는 고정안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정안내판의 양측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고정부는 체결부가 관통 결합되도록 지지체결공과 결합체결공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결공 또는 상기 결합체결공은 상기 지지부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고정부 간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결공과 상기 결합체결공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제 1 결합면부와, 상기 제 1 결합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 중 일 고정지지부의 외측을 고정시키도록 연장되는 제 1 결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제 2 결합면부와, 상기 제 2 결합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 중 타 고정지지부의 외측을 고정시키도록 연장되는 제 2 결합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벽체 사이에 파이프가 개재되되, 상기 파이프는 브라켓에 의하여 상기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제 1 결합면부와 상기 제 2 결합면부가 상기 파이프에 면접촉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와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패널고정부가 구비되되, 상기 패널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측에 부착되고, 상기 패널고정부의 외면에 상기 마감패널이 부착되며, 상호 인접한 상기 패널고정부 사이 및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실링부가 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와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패널고정부가 구비되되, 상기 패널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도포되고, 상기 패널고정부에 상기 마감패널이 부착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부재 고정단계;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 결합수용부가 구비되는 지지부재 결합단계;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을 따라 다수 개의 단열재가 끼움 결합되는 단열재 결합단계; 마감패널 다수 개가 상기 단열재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마감패널 배치단계;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패널이 장착되어 상기 마감패널 간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상호 고정되는 고정패널 장착단계; 상기 고정패널과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결합부재가 일체로 관통한 후,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된 결합수용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이 상호 결합되는 결합부재 결합단계; 상기 마감패널이 상기 단열재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고정되는 마감패널 고정단계; 및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수용부에서 탈거되고, 상기 고정패널이 상기 마감패널에서 제거되는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 고정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의 지지브라켓의 일측이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타측과 면접촉되는 단계; 및 상기 지지브라켓과 면접촉된 상기 고정부에 체결부가 관통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 고정단계에서,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고정부에 상기 체결부가 관통 결합될 때,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되는 지지체결공 또는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고정체결공 중 어느 한 체결공은 상기 지지부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고정부 간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 후,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결합단계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외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마감지지부와,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서 상기 마감패널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호 면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돌출부와,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돌출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호 이격 위치된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그 사이에 상기 결합수용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용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결합단계에서,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수용부를 덮도록 결합안내판이 결합되되,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이격되는 너비는 상기 결합부재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재 결합단계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패널과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를 일체로 관통한 후, 상기 결합안내판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결합안내판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결합단계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되, 내부에 상기 결합수용부가 구비되는 마감지지부와,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마감지지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결합단계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길이방향 측부를 일체로 감싸도록 구비되는 고정안내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될 때, 상기 고정안내판이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 배치단계에서, 상기 마감패널이 상기 단열재 외측에 배치될 때, 다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이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되, 다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의 상호 마주보는 꼭지점이 상기 기준점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패널 장착단계는, 상기 고정패널이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다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의 상기 꼭지점의 외면에 결합되는 단계; 및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고정패널에 형성된 간격유지부가 삽입되어 상기 마감패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 배치단계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패널고정부에 상기 마감패널이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 고정단계는,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실링부가 실링되어 상기 마감패널이 상기 단열재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울퉁불퉁한 건축물의 벽체와 지지부재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지지부재에 단열재들이 빈틈없이 끼움 결합되므로, 서로 인접한 단열재들 간의 기밀성이 뛰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체 단열 효율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패널이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 간의 간격이 고정패널에 의하여 미세하게 조절되므로, 마감패널 간의 평활도가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 사이에 고정패널의 간격유지부가 삽입되어, 마감패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재를 벽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앙카 등을 단열재의 개수에 맞추어 일일이 시공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공기가 단축되고, 공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의 지지브라켓과 고정부가 체결부 등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용접 등을 하지 않아도 되어, 화재의 위험이 없으며, 철거시, 분해가 가능하여, 각 부품들의 재활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가 용접으로 고정되지 않고, 볼트,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되므로, 지진의 충격을 받는다 하더라도 고정부재와 벽체 또는, 고정부재와 지지부재 간의 견고한 결속 상태가 유지되어, 내진 설계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고정부에 의하여 단열재와 마감패널이 상호 고정되며, 상기 패널고정부는 마감패널 사이에 실리콘 등이 실링될 때, 피스 역할을 하게 되여, 실링에 사용되는 실리콘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에 결합수용부가 형성되고, 고정패널의 외측에 관통된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수용부에 삽입 결합되며, 이에 따라 결합부재가 지지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패널을 지지부재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고정패널 및 마감패널이 지지부재에 지지되면서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의 결합수용부의 너비가 결합부재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므로, 결합부재가 고정패널과 마감패널을 일체로 관통한 후, 지지부재에 삽입될 때, 결합부재를 결합수용부의 중앙에 정확하게 맞출 필요 없이, 눈대중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지지부재에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의 길이가 임의로 조절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지지부재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단열재에 마감패널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패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와 지지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와 지지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지지부재에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와 지지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와 지지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와 지지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단열재와 마감패널과 고정패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단열재와 마감패널과 고정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지지부재에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는 건축물의 벽체(W)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0)와, 고정부재(10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200)와, 지지부재(200)에 끼움 결합되는 단열재(300)와, 단열재(300)의 외면에 배치되는 마감패널(400)을 포함한다.
고정부재(100)는 후술하는 지지부재(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벽체(W)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배치되며, 앙카볼트 등에 의하여 벽체(W)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브라켓(110)과 고정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하기 도 2을 통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부재(200)는 제 1 지지부(210: 도 4 도시)와 제 2 지지부(220: 도 4 도시)가 상호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H빔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가 벽체(W)에 수평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00)의 세부 구성은 하기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방에 공간부(240)가 구비되며, 한 쌍의 공간부(240)를 따라 다수의 단열재(300)가 각각 끼움결합된다.
단열재(300)는 열을 차단하는 성질을 가진 것으로, 암면, 폼 폴리스티렌, 경질 우레탄 폼, 등으로 구성된다. 단열재(300)는 건물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건물을 보온함에 있어, 결로의 방지, 실내 환기의 조화, 열손실 방지에 따른 에너지 절약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단열재(300)는 판형 등으로 형성되며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공간부(240)를 따라 다수 개가 끼움 결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다수 개의 단열재(300)가 지지부재(200)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끼움 결합되므로, 단열재(300)를 벽체(W)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앙카 등을 단열재(300)의 개수에 맞추어 일일이 시공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공기가 단축되고, 공사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재(300)는 수축, 팽창이 가능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재(300)가 일부 수축되거나 팽창된다 하더라도, 단열재(300)는 지지부재(200)에 끼움 결합된 상태이므로, 단열재(300)가 지지부재(200)에서 떨어져 나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단열재(300)는 지지부재(200)의 공간부(240)의 폭보다 조금 작아도, 유격이 발생된 채로 지지부재(2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렇게 결합된 단열재(300)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부재(200)에 접착될 수도 있고, 별도의 결합부(미도시)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마감패널(400)은 단열재(300)의 외면에 배치되어, 단열재(300)를 커버하는 한편,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으로, 단열재(300)를 덮도록 판형 등으로 형성되며, 알루미늄패널, 대리석, 합성수지판재, 시멘트압축강화보드, 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패널(400)이 단열재(300)에 배치되는 과정은 하기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부재(100)는 지지브라켓(110)과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지지브라켓(110)은 단면이 “ㅏ”자 형태로 형성되어, 벽체(W)에 고정되는 고정면부(112)와, 고정면부(112)의 외측 중앙에서 그 외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돌출부(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면부(112)의 양측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113)가 삽입되어 고정면부(112)가 벽체(W)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고정면부(112)의 양측에는 고정체결공(112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결공(112a)은 그 양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재(113)가 고정체결공(112a)에 삽입되어 벽체(W)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때, 고정체결공(112a)의 길이를 따라 고정면부(112)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돌출부(114)에는 지지부재(200) 방향으로 지지체결공(115)이 길게 형성된다. 지지체결공(115)은 한 개 또는 다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150)가 지지체결공(115) 및 후술하는 고정부(120)의 제 1, 2 결합체결공(132a, 142a)에 일체로 결합된다.
고정부(120)는 지지브라켓(110)의 돌출부(114)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 1 고정부(130)와 제 2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부(130)는 지지브라켓(110)의 돌출부(114)의 일면과 면접촉되는 제 1 결합부(132)와, 제 1 결합부(132)의 단부에서 지지부재(200)의 후술하는 제 1 고정지지부(212: 도 4 도시)의 외측을 감싸 수용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1 수용부(134)를 포함한다. 제 2 고정부(140)는 지지브라켓(110)의 돌출부(114)의 타면과 면접촉되는 제 2 결합부(142)와, 제 2 결합부(142)의 단부에서 지지부재(200)의 후술하는 제 2 고정지지부(222: 도 4 도시)의 외측을 감싸 수용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2 수용부(1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고정부(130)의 제 1 결합부(132)에는 지지부재(200) 방향으로 제 1 결합체결공(132a)이 형성되고, 제 2 고정부(140)의 제 2 결합부(142)에는 지지부재(200) 방향으로 제 2 결합체결공(14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브라켓(110)에 고정부(120)가 위치될 때, 지지브라켓(110)의 지지체결공(115)과 고정부(120)의 제 1, 2 결합체결공(132a, 142a)이 상호 연통되도록 위치되며, 볼트 등의 체결부(150) 하나 또는 다수 개가 상기 지지체결공(115)과, 제 1, 2 결합체결공(132a, 142a)에 일체로 관통 결합되어, 지지브라켓(110)과 고정부(120)가 상호 고정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지지브라켓(110)과 고정부(120)가 체결부(150) 등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용접 등을 하지 않아도 되어, 화재의 위험이 없으며, 철거시, 분해가 가능하여, 각 부품들의 재활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100)가 용접으로 고정되지 않고, 볼트, 너트 등의 체결부(150)를 사용하여 고정되므로, 지진의 충격을 받는다 하더라도 고정부재(100)와 벽체(W) 또는, 고정부재(100)와 지지부재(200) 간의 견고한 결속 상태가 유지되어, 내진 설계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의 길이가 임의로 조절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브라켓(110)의 돌출부(114)에 제 1 고정부(130)의 제 1 결합부(132)와 제 2 고정부(140)의 제 2 결합부(142)가 상호 면결합된 후, 체결부(150)가 관통되어, 이들 지지브라켓(110)과 고정부(120)가 상호 고정된다. 이때 제 1, 2 고정부(130, 140)의 제 1, 2 결합부(132, 142)는 제 1, 2 결합체결공(132a, 142a)의 길이 또는 지지브라켓(110)의 돌출부(114)에 형성되는 지지체결공(115)의 길이를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2 고정부(130, 140)의 제 1, 2 결합부(132, 142)는 도 3의 (a)와 같이, 지지브라켓(110)의 고정면부(112) 방향으로 이동된 후 고정되어, 고정부재(10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3의 (b)와 같이, 지지브라켓(110)의 고정면부(112)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 후 고정되어, 고정부재(100)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고정부재(1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건축물의 벽체(W)와 단열재(300)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단열재(300)들 간의 미세 수평을 맞추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 개의 단열재(300)가 지지부재(200)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빈틈없이 끼움 결합되므로, 서로 인접한 단열재(300)들 간의 기밀성이 뛰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체 단열 효율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4의 (a)는 지지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00)는 고정부재(100)에 고정되며, 그 양측에 단열재(300)가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이중으로 구성되어 제 1 지지부(210)와 제 2 지지부(220)를 포함하며, 제 1, 2 지지부(210, 220)는 상호 결합되어 그 단면이 전반적으로 'H'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00)를 제 1 지지부(210)와 제 2 지지부(220)로 구성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결합부재(520)가 용이하게 삽입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부재(200)의 외측에 결합수용부(230)를 구비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지지부재(200)를 제 1 지지부(210)와 제 2 지지부(22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H'빔 또는 'I'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부재(520)가 삽입되도록 요홈 형상의 결합수용부(미도시)를 다수 개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1 지지부(2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그 외측이 고정부재(100)의 제 1 수용부(134)에 삽입되는 제 1 고정지지부(212)와, 상기 제 1 고정지지부(212)의 외측에 수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마감지지부(214)와, 일측은 제 1 고정지지부(212)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마감지지부(214)의 내측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2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연결부(215)는 제 1 고정지지부(212)의 내측에서 마감패널(40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돌출부(216)와, 일측은 제 1 고정돌출부(216)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마감지지부(214)의 내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 1 수용돌출부(217)를 포함한다.
제 2 지지부(220)는 제 1 지지부(210)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제 1 지지부(210)와 결합된다. 이러한 제 2 지지부(220)는 제 1 고정지지부(212)의 내측과 만나도록 상호 나란하게 일렬로 배치되며, 그 외측이 고정부재(100)의 제 2 수용부(144)에 삽입되는 제 2 고정지지부(222)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222)의 외측에 수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마감지지부(224)와, 일측은 제 2 고정지지부(222)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 2 마감지지부(224)의 내측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2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마감지지부(214)와 제 2 마감지지부(224)는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2 연결부(225)는 제 2 고정지지부(222)의 내측에서 마감패널(4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고정돌출부(216)와 상호 면결합되는 제 2 고정돌출부(226)와, 일측은 제 2 고정돌출부(226)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제 2 마감지지부(224)의 내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 2 수용돌출부(2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마감지지부(214)와 제 2 마감지지부(224)는 상호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 1 수용돌출부(217)와 제 2 수용돌출부(227) 또한,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제 1 수용돌출부(217)와 제 2 수용돌출부(227) 사이의 이격 공간에 결합수용부(230)가 구비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결합부재(520)가 고정패널(500)과 마감패널(400) 사이를 일체로 관통한 후, 상기 결합수용부(230)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400)과 상기 고정패널(500)이 상호 고정된다. 이는 하기 도 6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결합수용부(230)의 내측 즉, 제 1 수용돌출부(217)와 제 2 수용돌출부(227)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는 결합부재(520)가 결합수용부(230)에 삽입될 때, 상호 간에 볼트 결합되도록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고정지지부(212)와 제 1 마감지지부(214)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제 2 고정지지부(222)와 제 2 마감지지부(224) 사이의 이격 공간에 공간부(240)가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240)를 따라 다수의 단열재(300)가 각각 끼움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지지부재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00)는 이중으로 구성되어 제 1 지지부(210)와 제 2 지지부(220)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도 4와 동일하다. 다만, 제 1 지지부(210)의 제 1 고정지지부(212)와 제 1 고정돌출부(216)의 상호 연결되는 단부 및 제 1 고정돌출부(216)와 제 1 수용돌출부(217)의 상호 연결되는 단부가 부드럽게 라운드 처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지지부(220)의 제 2 고정지지부(222)와 제 2 고정돌출부(226)의 상호 연결되는 단부 및 제 2 고정돌출부(226)와 제 2 수용돌출부(227)의 상호 연결되는 단부가 부드럽게 라운드 처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수용돌출부(217)와 제 2 수용돌출부(227) 사이 공간, 즉, 결합수용부(230)는 그 수직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 1, 2 수용돌출부(217, 227)의 절곡되는 부분은 부드럽게 라운드 처리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단열재에 마감패널이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패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열재(300)가 끼움결합된 후, 각각의 단열재(300)의 외측에 마감패널(400)이 배치된다. 이때, 단열재(300)와 마감패널(400) 사이에 패널고정부(600)가 구비되는데, 패널고정부(600)는 접착 성능을 가진 개스킷 등과 같은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지지부재(200)의 외면, 상세하게는 마감패널(400)과 마주보는 지지부재(200)의 제 1, 2 마감지지부(214, 224)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측에 부착된다. 그리고 패널고정부(600)의 외면에 마감패널(400)이 부착되어, 지지부재(200)의 제 1, 2 마감지지부(214, 224)에 마감패널(400)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패널(400)은 패널고정부(600)에 견고하게 부착된 것이 아니므로, 후술하는 고정패널(500)에 의하여 미세하게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단열재(300)에 다수의 마감패널(400)이 배치될 때, 서로 인접한 마감패널(400) 간의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마감패널 간의 간격을 작업자의 감각으로 조절하게 되어, 공기가 오래 걸리고, 마감패널 간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도록 시공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마감패널(400)을 패널고정부(600)에 임시로 부착시킨 후, 다수의 마감패널(400)에 고정패널(500)이 결합되어, 4개의 마감패널(4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절한다. 즉, 다수의 마감패널(400), 예를 들면 4개의 마감패널(400)이 가상의 기준점(미도시)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지지부재(200)의 제 1, 2 마감지지부(214, 224)에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점은 제 1, 2 마감지지부(214, 224)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후, 4개의 상기 마감패널(400)의 상호 마주보는 꼭지점이 상기 기준점 방향에 위치되도록 정렬된 후, 판형으로 형성된 고정패널(500)이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4개의 마감패널(400)의 꼭지점의 외면을 일체로 커버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좌우에 위치되는 상기 마감패널(400) 사이의 이격된 간격부(402)에 상기 고정패널(500)에서 상기 간격부(40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간격유지부(510)가 삽입되어, 상기 마감패널(40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조절된다. 상기 간격유지부(510)는 상기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좌우에 위치되는 상기 마감패널(400) 사이의 이격된 간격부(402)를 따라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처럼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은 고정패널(500)에 고정되면서, 그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조절되므로, 마감패널(400) 간의 평활도가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패널(500)은 4개의 마감패널(400)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2개의 마감패널(400) 또는 그 이상의 마감패널(400)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패널(500)이 마감패널(400)의 외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마감패널(400)이 지지부재(2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합부재(5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재(520)는 마감패널(400)의 외면 사이에 고정패널(500)이 장착될 때, 고정패널(500)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홀(502)과,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 사이의 상기 기준점을 일체로 관통한 후, 지지부재(200)의 결합수용부(230)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볼트, 쇄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결합부재(520)가 지지부재(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패널(500)을 지지부재(20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고정패널(500) 및 마감패널(400)이 지지부재(200)에 지지되면서 상호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패널(500)과 결합부재(520)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마감패널(400) 사이의 간격부(402)에 실링부(610: 도 8 도시)가 실링되어 마감패널(400)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이는 하기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패널(500)과 결합부재(520)가 결합된 후,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 사이의 간격부(402: 도 7 도시)에는 실리콘 등의 실링부(610)가 실링된다. 이때, 실링부(610)는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 사이 즉, 간격부(402)를 지나 단열재(300)와 마감패널(40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실링부(610)는 단열재(300)와 마감패널(400)을 부착시키는 패널고정부(600)에 안내되어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그 사이에서 경화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링을 위하여 마감패널(400)의 내측에 피스 등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실링에 사용되는 실리콘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링부(610)에 의하여 마감패널(400)이 단열재(300)의 외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마감패널(400)을 지지하고 있던 결합부재(520) 및 마감패널(40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고정패널(500)을 각각 제거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결합부재(520)가 제거된 결합수용부(230)에 실리콘 등이 실링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160)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고정부재(100: 도 2 도시)와는 상이한 구조로 구성된다. 즉, 고정부재(160)는 지지부재(200)를 사이에 두고 벽체(W)에 고정되도록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결합부(161)와 제 2 결합부(165)를 구비한다. 제 1 결합부(161)는 벽체(W) 등에 고정되는 제 1 결합면부(162)와, 제 1 결합면부(162)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부재(200)의 제 1 고정지지부(212)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벽체(W)와 수평하게 이격되는 제 1 결합돌출부(1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결합부(165)는 벽체(W)에 고정되는 제 2 결합면부(166)와, 제 2 결합면부(166)의 단부에서 지지부재(200)의 제 2 고정지지부(222)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벽체(W)와 수평하게 이격되는 제 2 결합돌출부(168)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부재(200)의 제 1 고정지지부(212)의 일측은 제 1 결합돌출부(164)와 벽체(W)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고, 지지부재(200)의 제 2 고정지지부(222)의 타측은 제 2 결합돌출부(168)와 벽체(W)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며, 볼트, 접착부 등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 1, 2 결합부(161, 165)의 제 1, 2 결합돌출부(164, 168)에 지지부재(200)가 끼움 결합되므로, 별도의 용접 등을 하지 않아도 되어, 화재의 위험이 없으며, 철거시, 분해가 가능하여, 각 부품들의 재활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벽체(W)와 고정부재(160) 사이, 즉, 벽체(W)와 고정부재(160)의 제 1, 2 결합부(161, 165) 사이에는 별도의 파이프(170)가 더 개재될 수도 있다. 상기 파이프(170)는 단면이 사각형, I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L' 형 브라켓(172) 등에 의하여 벽체(W)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170)는 벽체(W)보다 평평하게 형성되므로, 제 1, 2 결합부(161, 165)의 제 1, 2 결합면부(162, 166)가 파이프(170)에 면접촉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72)의 길이를 조절하여 파이프(170)가 벽체(W)에 수평하게 이격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은 먼저, 고정부재(100)의 지지브라켓(110)을 건축물의 벽체(W)에 후술하는 지지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고정시킨다(S10). 그리고 고정부재(100)의 고정부(120)에 지지부재(200)의 제 1, 2 고정지지부(212, 222)를 결합시킨다(S20). 그리고 고정부재(100)에 지지부재(200)의 제 1, 2 고정지지부(212, 222)을 결합시키기 전 또는 후에, 고정부재(1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후술하는 마감패널(400)들의 평활도가 좋도록 설치한다. 그 후, 지지부재(200)의 공간부(240)에 다수의 단열재(300)를 끼움 결합시킨다(S30). 이어서, 마감패널(400) 다수 개, 예를 들면 4개의 마감패널(400)을 가상의 기준점(미도시)을 중심으로 하여 단열재(300)의 외측에 시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시킨 후, 4개의 상기 마감패널(400)의 상호 마주보는 꼭지점이 상기 기준점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시킨다(S40). 이때, 마감패널(400)은 패널고정부(600)에 의하여 지지부재(200)의 제 1, 2 마감지지부(214, 224)에 임시로 결합된다. 그 후, 판형으로 형성된 고정패널(500)을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4개의 마감패널(400)의 꼭지점의 외면에 일체로 커버되도록 장착시킨다(S50). 이때,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은 고정패널(500)에 의하여 상호 간의 이격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 후, 마감패널(400) 및 고정패널(500)이 상호 견고하게 지지부재(200)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부재(520)를 고정패널(500)의 삽입홀(502) 및 마감패널(400)의 상기 기준점에 일체로 관통시킨 후 지지부재(200)의 결합수용부(230)에 삽입 결합시킨다(S60). 그러면 결합부재(520)가 지지부재(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패널(500)을 지지부재(20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어, 고정패널(500) 및 마감패널(400)이 지지부재(200)에 지지되면서 상호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 후,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의 간격부(402)에 실리콘 등의 실링부(610)를 실링하여, 마감패널(400) 사이의 빈 틈을 메워서 마감패널(400)이 단열재(300)의 외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S70). 이어서, 결합부재(520) 및 고정패널(500)을 마감패널(400)에서 제거한다(S80).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00) 및 지지부재(250: 도 12 도시)의 형상이 상이하고, 마감패널(400: 도 14 도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고정패널(500: 도 14 도시)의 고정방식이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는 건축물의 벽체(W: 도 14 도시)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0)와, 고정부재(10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250)와, 지지부재(250)에 끼움 결합되는 단열재(300: 도 14 도시)와, 단열재(300)의 외면에 배치되는 마감패널(400)을 포함한다.
고정부재(100)는 지지부재(2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브라켓(110)과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지지브라켓(110)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나 고정체결공(112a)과 지지체결공(115a)이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된다. 즉, 지지브라켓(110)은 고정면부(112)와 돌출부(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면부(112)의 양측에 한 쌍의 고정체결공(112a)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고정체결공(112a)은 그 양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113)가 고정체결공(112a)에 삽입되어 고정면부(112)가 벽체(W)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고정체결공(112a)의 길이를 따라 고정면부(112)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돌출부(114)에는 지지부재(250)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체결공(115)이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150)가 지지체결공(115) 및 후술하는 고정부(120)의 제 1, 2 결합체결공(132a, 142a)에 일체로 결합된다.
고정부(120)는 지지브라켓(110)의 돌출부(114)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 1 고정부(130)와 제 2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부(130)는 지지브라켓(110)의 돌출부(114)의 일면과 면접촉되는 제 1 결합부(132)와, 제 1 결합부(132)의 단부에서 지지부재(260: 도 12 도시)의 제 1 고정지지부(262: 도 12 도시)의 외측을 감싸 수용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1 수용부(134')를 포함한다. 제 2 고정부(140)는 지지브라켓(110)의 돌출부(114)의 타면과 면접촉되는 제 2 결합부(142)와, 제 2 결합부(132)의 단부에서 지지부재(260)의 제 2 고정지지부(264: 도 12 도시)의 외측을 감싸 수용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2 수용부(144')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수용부(134')와 제 2 수용부(144')의 절곡되는 부분은 부드럽게 라운드 처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고정부(130)의 제 1 결합부(132)에는 지지부재(250) 방향으로 한 쌍의 제 1 결합체결공(132a)이 형성되고, 제 2 고정부(140)의 제 2 결합부(142)에는 지지부재(250) 방향으로 한 쌍의 제 2 결합체결공(14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브라켓(110)에 고정부(120)가 위치될 때, 지지브라켓(110)의 지지체결공(115)과 고정부(120)의 제 1, 2 결합체결공(132a, 142a)이 상호 연통되도록 위치되며, 볼트 등의 체결부(150) 하나 또는 다수 개가 상기 지지체결공(115)과, 제 1, 2 결합체결공(132a, 142a)에 일체로 관통 결합되어, 지지브라켓(110)과 고정부(120)가 상호 고정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의 (a)는 지지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의 (b)는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50)는 고정부재(100)에 고정되며, 그 양측에 단열재(300)가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지지부(260), 제 2 지지부(270), 고정안내판(290) 및 결합안내판(295)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2 지지부(260, 270)는 상호 결합되어 그 단면이 전반적으로 'H'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지지부(26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그 외측이 고정부재(100)의 제 1 수용부(134')에 삽입되는 제 1 고정지지부(262)와, 상기 제 1 고정지지부(262)의 외측에 수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마감지지부(264)와, 일측은 제 1 고정지지부(262)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마감지지부(264)의 내측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265)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연결부(265)는 제 1 고정지지부(262)의 내측에서 마감패널(40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돌출부(266)와, 일측은 제 1 고정돌출부(266)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제 1 마감지지부(264)의 내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 1 수용돌출부(267)를 포함한다.
제 2 지지부(270)는 제 1 지지부(260)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제 1 지지부(260)와 결합된다. 이러한 제 2 지지부(270)는 제 1 고정지지부(262)의 내측과 만나도록 상호 나란하게 일렬로 배치되며, 그 외측이 고정부재(100)의 제 2 수용부(144')에 삽입되는 제 2 고정지지부(272)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272)의 외측에 수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마감지지부(274)와, 일측은 제 2 고정지지부(272)의 내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 2 마감지지부(274)의 내측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27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마감지지부(264)와 제 2 마감지지부(274)는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2 연결부(275)는 제 2 고정지지부(272)의 내측에서 마감패널(40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고정돌출부(266)와 상호 면결합되는 제 2 고정돌출부(276)와, 일측은 제 2 고정돌출부(276)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제 2 마감지지부(274)의 내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 2 수용돌출부(27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마감지지부(264)와 제 2 마감지지부(274)는 상호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 1 수용돌출부(267)와 제 2 수용돌출부(277) 또한,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제 1 수용돌출부(267)와 제 2 수용돌출부(277) 사이의 이격 공간에 결합수용부(280)가 구비된다. 이때, 제 1 마감지지부(264)와 제 2 마감지지부(274) 사이의 이격되는 너비는 후술하는 결합부재(520)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결합수용부(280)의 너비 또한 결합부재(520)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520)가 고정패널(500)과 마감패널(400) 사이를 일체로 관통한 후, 후술하는 결합안내판(295)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400)과 상기 고정패널(500)이 상호 고정된다. 이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안내판(290)은 제 1 고정지지부(262)와 제 2 고정지지부(272)의 외측을 일체로 덮도록 형성되는 고정안내판부(292)와, 상기 고정안내판부(292)의 양측에서 제 1 고정지지부(262)와 제 2 고정지지부(272)의 측부를 감싸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측부(29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고정지지부(262)와 제 2 고정지지부(272)가 고정부재(100)에 삽입될 때, 고정측부(294)의 양측이 고정부재(100)의 제 1, 2 수용부(134', 144': 도 11 도시)에 삽입되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된다.
결합안내판(295)은 제 1 마감지지부(264)와 제 2 마감지지부(274)의 외측을 일체로 덮어, 상기 결합수용부(280)가 덮어지도록 구비되는 결합판부(296)와, 결합판부(296)의 양측에서 제 1, 2 마감지지부(264, 274)의 측부를 감싸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결합측부(298)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고정지지부(262)와 제 1 마감지지부(264)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제 2 고정지지부(272)와 제 2 마감지지부(274) 사이의 이격 공간에 공간부(282)가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282)를 따라 다수의 단열재(300)가 각각 끼움결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와 지지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건축물의 벽체(W)에 고정부재(100)의 지지브라켓(110)이 고정된 후, 제 1, 2 고정부(130, 140)가 지지브라켓(110)의 돌출부(114)에 고정된다. 그 후, 지지부재(250)의 제 1, 2 지지부(260, 270)가 상호 결합된 후, 제 1, 2 고정지지부(262, 272)의 외측에 고정안내판(290)과 결합안내판(295)이 결합되며, 고정안내판(290)의 양측은 고정부재(100)의 제 1, 2 수용부(134', 144')에 삽입되어, 고정부재(100)와 지지부재(250)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와 지지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부재(100)와 지지부재(250)가 상호 결합된 후, 지지부재(2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단열재(300)가 끼움결합되고, 각각의 단열재(300)의 외측에 마감패널(400)이 배치된다. 이때, 단열재(300)와 마감패널(400) 사이에 패널고정부(600)가 구비되는데, 패널고정부(600)는 접착 성능을 가진 개스킷 등과 같은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어 결합안내판(295)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측에 부착된다. 그리고 패널고정부(600)의 외면에 마감패널(400)이 부착되어, 지지부재(250)의 제 1, 2 마감지지부(264, 274)에 마감패널(400)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패널(400)은 패널고정부(600)에 견고하게 부착된 것이 아니므로, 고정패널(500)에 의하여 미세하게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500)은 예를 들면 4개의 마감패널(400)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절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패널(500)이 마감패널(400)의 외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마감패널(400)이 지지부재(25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부재(520)가 더 구비된다. 결합부재(520)는 마감패널(400)의 외면 사이에 고정패널(500)이 장착될 때, 고정패널(500)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홀(502)과,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을 일체로 관통한 후, 지지부재(250)의 결합안내판(295)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볼트, 쇄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250)의 결합안내판(295)은 결합부재(520)의 직경보다 큰 너비를 갖도록 구성되어, 결합부재(520)가 용이하게 지지부재(250)의 결합안내판(29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하기 도 15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지지부재에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지지부재(250)의 제 1 지지부(260)와 제 2 지지부(270)가 결합되면, 제 1 지지부(260)의 제 1 마감지지부(264)와 제 2 지지부(270)의 제 2 마감지지부(274) 사이의 이격 거리에 의하여, 제 1 지지부(260)와 제 2 지지부(270)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수용부(280)는 결합부재(520)의 직경보다 큰 너비를 갖게 된다. 그리고 결합안내판(295)은 결합수용부(280)를 덮도록 형성되므로, 결합안내판(295)의 너비 또한 결합부재(520)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결합안내판(295) 및 결합수용부(280)는 결합부재(520)의 직경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므로, 결합부재(520)가 고정패널(500: 도 14 도시)과 마감패널(400: 도 14 도시)을 일체로 관통한 후, 결합안내판(295)에 삽입될 때, 결합안내판(295)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중심선(L)에서 약간씩 어긋나도, 결합부재(520)가 결합안내판(295)에 삽입되는데 별 무리 없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결합부재(520)를 결합안내판(295)에 결합시킬 때, 결합부재(520)를 결합안내판(295)의 중앙에 정확하게 맞출 필요 없이, 눈대중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안내판(295)에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평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고정패널(500)과 결합부재(520)가 결합된 후,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 사이에는 실링부(610)가 실링된다. 이때, 실링부(610)는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 사이 즉, 간격부(402)를 지나 단열재(300)와 마감패널(40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실링부(610)는 단열재(300)와 마감패널(400)을 부착시키는 패널고정부(600)에 안내되어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그 사이에서 경화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실링을 위하여 마감패널(400)의 내측에 피스 등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실링에 사용되는 실리콘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링부(610)에 의하여 마감패널(400)이 단열재(300)의 외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마감패널(400)을 지지하고 있던 결합부재(520) 및 마감패널(40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고정패널(500)을 각각 제거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결합부재(520)가 제거된 결합수용부(280)에 실리콘 등이 실링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지지부재(250)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다수의 보조지지부재(299)가 더 끼워질 수 있다. 다수의 보조지지부재(299)는 볼트 등에 의하여 지지부재(250) 사이에 고정되어, 지지부재(250) 사이에 단열재(300)가 끼워질 때, 단열재(300) 사이사이에 보조지지부재(299)가 고정되어, 단열재(300)가 지지부재(250)와 보조지지부재(299)에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는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지지부재(700: 도 19 도시)의 형상이 상이하고, 마감패널(400: 도 22 도시)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고정패널(500: 도 22 도시)의 고정방식이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는 건축물의 벽체(W: 도 19 도시)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0)와, 고정부재(10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700)와, 지지부재(700)에 끼움 결합되는 단열재(300: 도 22 도시)와, 단열재(300)의 외면에 배치되는 마감패널(400)을 포함한다.
고정부재(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부재(7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재(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00)는 지지브라켓(110)과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지지브라켓(110)은 벽체(W)에 밀착되는 고정면부(112)와, 고정면부(112)에서 그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면부(112)의 양측에 한 쌍의 고정체결공(112a)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고정체결공(112a)은 그 양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볼트, 엥커볼트 등의 체결부재(113)가 고정체결공(112a)에 삽입되어 고정면부(112)가 벽체(W)에 고정된다. 이때 체결부재(113)에 너트 등의 체결부(113a)가 결합되어 고정면부(112)가 벽체(W)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체결공(112a)의 길이를 따라 고정면부(112)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돌출부(114)에는 지지부재(700)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체결공(115)이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150)가 지지체결공(115) 및 후술하는 고정부(120)의 제 1, 2 결합체결공(132a, 142a)에 일체로 결합된다.
고정부(120)는 지지브라켓(110)의 돌출부(114)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 1 고정부(130)와 제 2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제 1 고정부(130)는 지지브라켓(110)의 돌출부(114)의 일면과 면접촉되는 제 1 결합부(132)와, 제 1 결합부(132)의 단부에서 지지부재(700)의 고정지지부(710)의 길이방향 일측을 감싸 수용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1 수용부(134)를 포함한다. 제 2 고정부(140)는 지지브라켓(110)의 돌출부(114)의 타면과 면접촉되는 제 2 결합부(142)와, 제 2 결합부(132)의 단부에서 지지부재(700)의 고정지지부(710)의 길이방향 타측을 감싸 수용하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 2 수용부(1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고정부(130)의 제 1 결합부(132)에는 지지부재(700) 방향으로 한 쌍의 제 1 결합체결공(132a)이 형성되고, 제 2 고정부(140)의 제 2 결합부(142)에는 지지부재(700) 방향으로 한 쌍의 제 2 결합체결공(14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브라켓(110)에 고정부(120)가 위치될 때, 지지브라켓(110)의 지지체결공(115)과 고정부(120)의 제 1, 2 결합체결공(132a, 142a)이 상호 연통되도록 위치되며, 볼트 등의 체결부(150) 하나 또는 다수 개가 상기 지지체결공(115)과, 제 1, 2 결합체결공(132a, 142a)에 일체로 관통 결합되어, 지지브라켓(110)과 고정부(120)가 상호 고정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와 지지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지지부재(700)는 고정부재(100)에 고정되며, 그 양측에 단열재(300)가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지지부(710), 연결부(730) 및 마감지지부(720)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지지부(710), 연결부(730) 및 마감지지부(720)는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도 있고,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지지부(710), 연결부(730) 및 마감지지부(720)가 상호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압출성형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용접을 하지 않으므로, 화재 예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고정지지부(7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 일측은 고정부재(100)의 제 1 수용부(134)에 삽입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은 고정부재(100)의 제 2 수용부(144)에 삽입된다.
연결부(730)는 고정지지부(710)와 마감지지부(720)를 상호 연결시키는 것으로, 일측은 고정지지부(710)의 중앙에 연결되고, 타측은 마감지지부(720)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지지부(710)와 마주보는 마감지지부(720)의 내면 중앙에 연결된다.
마감지지부(720)는 한 쌍의 고정지지부(710)의 외측에 수평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기둥 형상, 예를 들면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마감지지부(720)는 연결부(730)의 타측에서 고정지지부(710)의 일측과 수평하도록 형성되는 제 1 내측판(722)과, 연결부(730)의 타측에서 고정지지부(710)의 타측과 수평하도록 형성되는 제 2 내측판(722)과, 제 1 내측판(722) 및 제 2 내측판(722)을 합친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되, 제 1, 2 내측판(722)의 외측으로 이격되는 외측판(726)과, 제 1 내측판(722)과 외측판(726)의 일측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 1 측부(723)와, 제 2 내측판(722)과 외측판(726)의 타측을 상호 연결시키는 제 2 측부(7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2 내측판(722)과 외측판(726) 사이의 이격 공간에 결합수용부(728)가 구비된다. 이때, 외측판(726)의 너비는 후술하는 결합부재(520)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결합수용부(728)(280)의 너비 또한 결합부재(520)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520)가 고정패널(500)과 마감패널(400) 사이를 일체로 관통한 후, 후술하는 결합안내판(295)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400)과 상기 고정패널(500)이 상호 고정된다. 이는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고정지지부(710)와 마감지지부(7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한 쌍의 공간부(735)가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735)를 따라 다수의 단열재(300)가 각각 끼움결합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와 지지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지지부재(750)는 상기 도 19에서, 고정지지부(760)와 연결부(780)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고정지지부(760)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고정지지부(762)와 제 2 고정지지부(764)를 포함하고, 제 1 고정지지부(762)와 제 2 고정지지부(764)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은 상호 맞닿도록 구성된다. 연결부(780)는 제 1 고정지지부(762)의 일측에서 마감지지부(77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1 연결부(780)와, 제 2 고정지지부(764)의 일측에서 마감지지부(77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 2 연결부(780)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연결부(780)와 제 2 연결부(780)의 마주보는 면은 상호 맞닿도록 구성된다. 마감지지부(770)는 제 1 연결부(780)와 제 2 연결부(780)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마감지지부(770)의 제 1 내측판(771)이 제 1 연결부(780)의 단부에 연결되고, 마감지지부(770)의 제 2 내측판(772)이 제 2 연결부(780)의 단부에 연결된다. 이처럼 제 1 고정지지부(762)와 제 2 고정지지부(764) 및 제 1 연결부(780)와 제 2 연결부(780)는 각각 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 1 고정지지부(762)와 제 2 고정지지부(764) 및 제 1 연결부(780)와 제 2 연결부(780)는 상기 도 19의 고정지지부(710: 도 19 도시) 및 연결부(730: 도 19 도시)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지지부재(750)가 고정부재(100)에 고정될 때, 고정부재(100)의 제 1 수용부(134')에 지지부재(750)의 제 1 고정지지부(762)가 삽입되고, 고정부재(100)의 제 2 수용부(144')에 지지부재(750)의 제 2 고정지지부(764)가 삽입된다. 이때, 고정부재(100)의 제 1, 2 수용부(134', 144')의 절곡되는 부분은 라운드처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와 지지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지지부재(750)는 상기 도 20에서, 고정안내판(79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안내판(790)은 제 1, 2 고정지지부(762, 764)의 외측, 즉 벽체(W)와 대향되는 제 1, 2 고정지지부(762, 764)의 외측을 일체로 덮도록 형성되는 고정안내판부(792)와, 상기 고정안내판부(792)의 양측에서 제 1 고정지지부(762)와 제 2 고정지지부(764)의 측부를 감싸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측부(79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고정지지부(762)와 제 2 고정지지부(764)가 고정부재(100)에 삽입될 때, 고정측부(794)의 양측이 고정부재(100)의 제 1, 2 수용부(134', 144')에 삽입되어, 상호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단열재와 마감패널과 고정패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고정부재에 고정된 지지부재에 단열재와 마감패널과 고정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고정부재(100)와 지지부재(750)가 상호 결합된 후, 지지부재(750)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다수의 단열재(300)가 끼움 결합되고, 각각의 단열재(300)의 외측에 마감패널(400)이 배치된다. 이때, 단열재(300)와 마감패널(400) 사이에 접착 기능을 가지는 패널고정부(650)가 구비되는데, 패널고정부(650)는 치오콜(Thiokol), 실리콘, 접착제 등으로 구성되어, 지지부재(750)의 외측판(726)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도포되거나 코팅된다. 그리고 패널고정부(650)에 마감패널(400)이 부착되어, 지지부재(750)의 외측판(726)에 마감패널(400)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패널(400)은 패널고정부(650)에 견고하게 부착된 것이 아니므로, 고정패널(500)에 의하여 미세하게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500)은 예를 들면 4개의 마감패널(400)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절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패널(500)이 마감패널(400)의 외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마감패널(400)이 지지부재(75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부재(520)가 더 구비된다. 결합부재(520)는 마감패널(400)의 외면 사이에 고정패널(500)이 장착될 때, 고정패널(500)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홀(502)과,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을 일체로 관통한 후, 지지부재(750)의 마감지지부(770)에 구비되는 외측판(726)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볼트, 쇄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마감지지부(770)의 외측판(726)은 결합부재(520)의 직경보다 큰 너비를 갖도록 구성되어, 결합부재(520)가 용이하게 지지부재(750)의 외측판(72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하기 도 24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지지부재에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지지부재(750)의 마감지지부(77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마감지지부(770)의 외측판(726)은 결합부재(520)의 직경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므로, 결합부재(520)가 고정패널(500: 도 22 도시)과 마감패널(400: 도 22 도시)을 일체로 관통한 후, 마감지지부(770)에 삽입될 때, 마감지지부(770)의 외측판(726)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상의 중심선(L)에서 약간씩 어긋나도, 결합부재(520)가 마감지지부(770)에 삽입되는데 별 무리 없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결합부재(520)를 지지부재(750)의 마감지지부(770)에 결합시킬 때, 결합부재(520)를 마감지지부(770)의 외측판(726)의 중앙에 정확하게 맞출 필요 없이, 눈대중으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마감지지부(770)의 외측판(726)에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 속도가 빨라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마감패널(400) 사이에 고정패널(500)이 결합되고, 고정패널(500)에 결합부재(520)가 결합되어 마감패널(400)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조절되면, 결합부재(520)를 고정패널(500)에서 탈거시킨 후, 고정패널(500)을 마감패널(400)에서 제거한다. 이 후,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 사이에 실리콘 등의 실링부(660)가 실링되어, 마감패널(400)의 결합이 마무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고정부재 110: 지지브라켓
112: 고정면부 112a: 고정체결공
113: 체결부재 113a: 체결부재
114: 돌출부 115: 지지체결공
120: 고정부 130: 제 1 고정부
132: 제 1 결합부 132a: 제 1 결합체결공
134, 134': 제 1 수용부 140: 제 2 고정부
142: 제 2 결합부 142a: 제 2 결합체결공
144, 144': 제 2 수용부 150: 체결부
160: 고정부재 161: 제 1 결합부
162: 제 1 결합면부 164: 제 1 결합돌출부
165: 제 2 결합부 166: 제 2 결합면부
168: 제 2 결합돌출부 170: 파이프
172: 브라켓 200: 지지부재
210: 제 1 지지부 212: 제 1 고정지지부
214: 제 1 마감지지부 215: 제 1 연결부
216: 제 1 고정돌출부 217: 제 1 수용돌출부
220: 제 2 지지부 222: 제 2 고정지지부
224: 제 2 마감지지부 225: 제 2 연결부
226: 제 2 고정돌출부 227: 제 2 수용돌출부
230: 결합수용부 240: 공간부
250: 지지부재 260: 제 1 지지부
262: 제 1 고정지지부 264: 제 1 마감지지부
265: 제 1 연결부 266: 제 1 고정돌출부
267: 제 1 수용돌출부 270: 제 2 지지부
272: 제 2 고정지지부 274: 제 2 마감지지부
275: 제 2 연결부 276: 제 2 고정돌출부
277: 제 2 수용돌출부 280: 결합수용부
282: 공간부 290: 결합안내판
292: 결합안내판부 294: 결합측부
295: 고정안내판 296: 고정안내판부
298: 고정측부 299: 보조지지부재
300: 단열재 400: 마감패널
402: 간격부 500: 고정패널
502: 삽입홀 510: 간격유지부
520: 결합부재 600: 패널고정부
610: 실링부 650: 패널고정부
660: 실링부 700: 지지부재
710: 고정지지부 720: 마감지지부
722: 내측판 723: 제 1 측부
724: 제 2 측부 726: 외측판
728: 결합수용부 730: 연결부
735: 공간부 750: 지지부재
760: 고정지지부 762: 제 1 고정지지부
764: 제 2 고정지지부 770: 마감지지부
771: 제 1 내측판 772: 제 2 내측판
773: 제 1 측부 774: 제 2 측부
776: 외측판 778: 결합수용부
780: 연결부 782: 제 1 연결부
784: 제 2 연결부 785: 공간부
790: 고정안내판 792: 고정안내판부
794: 고정측부

Claims (29)

  1. 건축물의 벽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벽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에 끼움결합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외면에 배치되는 마감패널; 및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마감패널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고정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패널은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이 상기 마감패널에 장착될 때,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패널에 간격유지부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패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외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마감지지부; 및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마감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부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는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서 상기 마감패널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호 면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돌출부와,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돌출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그 사이에 결합수용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상기 고정패널이 장착될 때,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패널과,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를 일체로 관통한 후, 상기 결합수용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이 상호 고정되고,
    상기 고정패널이 제거되기 전에,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수용부에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수용부를 덮도록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외측에 결합되는 결합안내판을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이격되는 너비는 상기 결합부재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상기 고정패널이 장착될 때,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패널과,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를 일체로 관통한 후, 상기 결합안내판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결합안내판이 상호 고정되고,
    상기 고정패널이 제거되기 전에,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안내판에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되, 내부에 결합수용부가 구비되는 마감지지부; 및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마감지지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상기 수평지지부와 상기 마감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부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상기 고정패널이 장착될 때,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패널과,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를 일체로 관통한 후,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기 결합수용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이 상호 고정되고,
    상기 고정패널이 제거되기 전에,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마감지지부에서 탈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연결부는 상호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지지부는,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결합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9.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측은 상기 벽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재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브라켓; 및
    일측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타측에 면접촉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지지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면부와, 상기 고정면부의 중앙에서 그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부의 일측과 면접촉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면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그 양측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도록 고정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고정체결공은 상기 고정면부의 양측에서 중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면부의 위치가 상기 고정체결공의 길이를 따라 조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결공은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면과 타면에 면접촉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한 쌍의 상기 결합부의 단부에서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길이방향 측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길이방향 측부를 일체로 감싸도록 구비되는 고정안내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고정안내판의 양측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고정부는 체결부가 관통 결합되도록 지지체결공과 결합체결공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체결공 또는 상기 결합체결공은 상기 지지부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고정부 간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결공과 상기 결합체결공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16.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제 1 결합면부와, 상기 제 1 결합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 중 일 고정지지부의 외측을 고정시키도록 연장되는 제 1 결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제 2 결합면부와, 상기 제 2 결합면부의 단부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 중 타 고정지지부의 외측을 고정시키도록 연장되는 제 2 결합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벽체 사이에 파이프가 개재되되, 상기 파이프는 브라켓에 의하여 상기 벽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제 1 결합면부와 상기 제 2 결합면부가 상기 파이프에 면접촉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18.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패널고정부가 구비되되,
    상기 패널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측에 부착되고, 상기 패널고정부의 외면에 상기 마감패널이 부착되며,
    상호 인접한 상기 패널고정부 사이 및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실링부가 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19.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와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패널고정부가 구비되되,
    상기 패널고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도포되고,
    상기 패널고정부에 상기 마감패널이 부착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20.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부재 고정단계;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 결합수용부가 구비되는 지지부재 결합단계;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을 따라 다수 개의 단열재가 끼움 결합되는 단열재 결합단계;
    마감패널 다수 개가 상기 단열재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마감패널 배치단계;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패널이 장착되어 상기 마감패널 간의 간격이 조절되면서 상호 고정되는 고정패널 장착단계;
    상기 고정패널과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결합부재가 일체로 관통한 후,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된 결합수용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이 상호 결합되는 결합부재 결합단계;
    상기 마감패널이 상기 단열재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고정되는 마감패널 고정단계; 및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결합수용부에서 탈거되고, 상기 고정패널이 상기 마감패널에서 제거되는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고정단계는,
    상기 고정부재의 지지브라켓의 일측이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타측과 면접촉되는 단계; 및
    상기 지지브라켓과 면접촉된 상기 고정부에 체결부가 관통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고정단계에서,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고정부에 상기 체결부가 관통 결합될 때,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에 형성되는 지지체결공 또는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도록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고정체결공 중 어느 한 체결공은 상기 지지부재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고정부 간의 전체 길이가 조절된 후,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결합단계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외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마감지지부와,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서 상기 마감패널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호 면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돌출부와,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돌출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호 이격 위치된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그 사이에 상기 결합수용부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용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결합단계에서,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외측에는 상기 결합수용부를 덮도록 결합안내판이 결합되되,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이격되는 너비는 상기 결합부재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재 결합단계에서,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고정패널과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를 일체로 관통한 후, 상기 결합안내판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마감패널과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결합안내판이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결합단계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부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외측에 배치되되, 내부에 상기 결합수용부가 구비되는 마감지지부와,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마감지지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
  26. 제 23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결합단계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길이방향 측부를 일체로 감싸도록 구비되는 고정안내판을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지지부재가 결합될 때, 상기 고정안내판이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 배치단계에서, 상기 마감패널이 상기 단열재 외측에 배치될 때, 다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이 기준점을 중심으로 하여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되, 다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의 상호 마주보는 꼭지점이 상기 기준점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패널 장착단계는,
    상기 고정패널이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다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의 상기 꼭지점의 외면에 결합되는 단계; 및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고정패널에 형성된 간격유지부가 삽입되어 상기 마감패널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
  28.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 배치단계는,
    상기 지지부재의 외면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패널고정부에 상기 마감패널이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
  29.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 고정단계는,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실링부가 실링되어 상기 마감패널이 상기 단열재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시공 방법.
KR1020130094931A 2013-05-22 2013-08-09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52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7869 2013-05-22
KR1020130057869 2013-05-22
KR1020130080221 2013-07-09
KR20130080221 2013-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273A true KR20140137273A (ko) 2014-12-02
KR101552766B1 KR101552766B1 (ko) 2015-09-11

Family

ID=5245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931A KR101552766B1 (ko) 2013-05-22 2013-08-09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7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3145A1 (ko) * 2015-07-02 2017-01-05 전순복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KR20170025256A (ko) 2015-08-28 2017-03-08 최원옥 건축물 외벽의 조립식 외장재 시공구조
CN107709678A (zh) * 2015-07-02 2018-02-16 全顺福 真空绝热材料设置组件及利用其的真空绝热材料设置方法
KR101885346B1 (ko) * 2017-05-26 2018-08-03 김훈식 안내판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내판
CN114837365A (zh) * 2022-05-12 2022-08-02 中建二局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岩板干挂施工装饰体系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6159B1 (ko) * 2016-08-26 2018-02-06 이형기 외단열 벽체용 브래킷
KR102002091B1 (ko) * 2019-01-10 2019-07-22 임영석 외벽 마감 시스템
KR102208199B1 (ko) * 2020-02-27 2021-01-27 (주)헤드어반스튜디오 인테리어용 조립식 창호 및 이를 이용한 창호 구조물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879Y1 (ko) * 2003-12-18 2004-03-06 김아름 타일 스페이서
KR101137228B1 (ko) 2010-08-13 2012-04-20 (주) 코인스이앤씨 건물 외벽용 유리 보강장치
KR101141158B1 (ko) * 2011-12-02 2012-05-02 신동일 외부 벽체 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KR101211481B1 (ko) 2012-03-21 2012-12-12 백승기 내진설계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3145A1 (ko) * 2015-07-02 2017-01-05 전순복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CN107709678A (zh) * 2015-07-02 2018-02-16 全顺福 真空绝热材料设置组件及利用其的真空绝热材料设置方法
US10508433B2 (en) 2015-07-02 2019-12-17 Soon-Bok JEO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CN107709678B (zh) * 2015-07-02 2020-12-08 全顺福 真空绝热材料设置组件及利用其的真空绝热材料设置方法
CN112663804A (zh) * 2015-07-02 2021-04-16 全顺福 真空绝热材料设置组件
KR20170025256A (ko) 2015-08-28 2017-03-08 최원옥 건축물 외벽의 조립식 외장재 시공구조
KR101885346B1 (ko) * 2017-05-26 2018-08-03 김훈식 안내판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내판
CN114837365A (zh) * 2022-05-12 2022-08-02 中建二局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岩板干挂施工装饰体系
CN114837365B (zh) * 2022-05-12 2023-10-03 中建二局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岩板干挂施工装饰体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766B1 (ko) 201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766B1 (ko)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50156B1 (ko)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19297B1 (ko) 진동흡수용 내진패널을 갖춘 벽체단열시스템조립체
KR101865154B1 (ko) 엠보싱패널을 갖춘 벽체단열시스템조립체
US11091906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20170081811A (ko) 세라믹 복합판넬 및 이를 이용한 양단열 거푸집 공법
KR20190112903A (ko) 단열재를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제작틀 설치방법
JP6054117B2 (ja) サイディング外壁パネル仕様の外壁構造
KR101826888B1 (ko)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지지바 및 이를 구비한 건물구조체
KR101566325B1 (ko)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KR101764997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93215B1 (ko) 횡벽 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KR101654979B1 (ko)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52070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의 두께 조절 및 연결장치
KR20170052943A (ko) 자성을 이용한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0095956A (ja) 外断熱パネルおよび外断熱構造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KR200480610Y1 (ko) 외장 패널용 고정구
KR10170571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11310B1 (ko) 곡률을 갖는 패널용 가변형 프레임 조립체
KR101289241B1 (ko) 하이브리드 패널을 이용한 벽 및 하이브리드 패널을 이용한 벽의 형성방법
KR20140104776A (ko)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43424B1 (ko) 앵커를 이용한 모서리 연결방식의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체결구조
KR100933040B1 (ko) 조립식 결합구조를 이용한 건축물
RU98020U1 (ru) Стеновая деревянная пан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