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997B1 -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997B1
KR101764997B1 KR1020160012371A KR20160012371A KR101764997B1 KR 101764997 B1 KR101764997 B1 KR 101764997B1 KR 1020160012371 A KR1020160012371 A KR 1020160012371A KR 20160012371 A KR20160012371 A KR 20160012371A KR 101764997 B1 KR101764997 B1 KR 10176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pair
finishing
fixed suppo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종복
Original Assignee
주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복 filed Critical 주종복
Priority to KR1020160012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4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ixed directly to the wall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6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와 마감패널 사이에 금속판이 구비되고, 간격조절부는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간격조절부의 자성을 이용하여 금속판에 견고하게 부착되므로, 간격조절부를 금속판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Fixing Structure of Exterior Materia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감패널 등의 건축용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밀집도가 높고 지가 수준이 높은 도심지 등에 건축되는 건축물들은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고층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대형 건축물은 철골을 이용하여 철골 구조물을 먼저 시공한 후에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체를 시공하고,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벽에 마감재를 고정시켜서 건축물을 완성한다. 이러한 대형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날로 발전해 왔으며, 건축물의 발전 기술과 더불어 대형 건축물의 외관 특히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벽을 마감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기술 또한, 날로 발전해 왔다.
상기 건축용 외장재는 벽돌이나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의 시공으로는 이루지 못하는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장재는 미리 공장에서 제작한 마감패널 등을 건축물의 외벽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외장재의 재료로는 유리, 석재, 금속, 합성섬유 등이 있고, 이러한 외장재를 건물의 프레임 등에 고정하는 수단으로는 앙카, 간격조절부 등의 고정장치를 건물 외벽에 고정시킨 후, 상기 간격조절부에 외장재를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외장재가 건축물의 외면에 배치될 때, 서로 인접한 외장재 간의 이격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외장재 간의 간격을 작업자의 감각으로 조절하게 되어, 공기가 오래 걸리고, 숙련공이 아닌 작업자가 시공할 경우, 외장재 간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도록 시공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214186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감패널 등의 건축용 외장재를 건축물의 외벽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건축물의 벽체에 상호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 상호 마주보는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는 금속판; 상기 금속판의 외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마감패널; 및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자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상기 간격조절부가 끼워질 때,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끼워진 후 상기 자성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호 나란하도록 벽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부; 상기 금속판이 결합되도록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외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마감지지부; 및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상호 마주보는 일면 중 어느 한 일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 일면에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마감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공간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에 상기 볼록부가 삽입될 때,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에 충전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충전공간부에 충전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연결부에 결합부가 일체로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결합부가 관통되도록 각각 제 1 홀과 제 2 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홀 또는 상기 제 2 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의 단면은 'U' 또는 'ㄷ' 또는 'V'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지지부와 가깝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오목부와, 상기 마감지지부와 가깝도록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는 제 1 고정지지부와 제 2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고정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직렬로 배열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 1 고정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 중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해당되지 않는 상기 제 1 고정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의 단부는 상호 어긋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금속판은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단열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덮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금속판을 덮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되, 상기 마감패널의 크기는 상기 금속판의 크기와 같거나 다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를 덮도록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서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끼워지도록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복수 개의 지지부재가 상호 병렬로 배치되는 지지부재 배치과정; 상호 마주보는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단열재가 끼움 결합되는 단열재 결합과정;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 복수 개의 금속판이 결합되는 금속판 결합과정; 상기 금속판을 커버하도록 상기 금속판의 외측에 복수 개의 마감패널이 결합되는 마감패널 배치과정;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간격조절부가 끼워지는 간격조절부 장착과정; 및 상기 간격조절부가 상기 마감패널에서 제거되는 제거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 장착과정에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자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상기 간격조절부가 끼워질 때,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자성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배치과정은: 상호 나란하도록 벽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부와, 상기 금속판이 결합되도록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외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마감지지부와,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부재가 상호 병렬로 배치되는 배치단계; 및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연결부 중 일 연결부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타 연결부에 형성되는 볼록부가 상호 삽입 결합되는 삽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 결합과정에서, 상기 단열재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마감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공간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치단계에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는 제 1 고정지지부와 제 2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고정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직렬로 배열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 1 고정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 중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해당되지 않는 상기 제 1 고정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의 단부는 상호 어긋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배치과정은: 상기 삽입단계 이후,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의 충전공간부에 충전재가 충전되는 충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배치과정은: 상기 삽입단계 이후, 한 쌍의 상기 연결부에 결합부가 일체로 관통 결합되는 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단계는,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홀과 제 2 홀에 상기 결합부가 관통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 1 홀 또는 상기 제 2 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금속판 결합과정은, 복수 개의 상기 금속판이 상기 단열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감패널 배치과정은, 상기 금속판과 같거나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이 상기 금속판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 장착과정에서, 상기 간격조절부의 고정판이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를 덮을 때, 상기 간격조절부의 돌출부가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벽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의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제 1 연결부의 오목부에 제 2 연결부의 볼록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므로, 지지부재가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목부와 볼록부 사이의 충전공간부에 충전재가 충전되므로, 오목부와 볼록부가 보다 견고하게 접착 결합되며, 충전재는 공기를 차단하고 방수 역할을 하므로, 제 1, 2 고정지지부와 제 1, 2 마감지지부 사이가 충전재에 의하여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연결부의 제 1 홀과 제 2 연결부의 제 2 홀에 결합부가 결합되어,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 간의 결합 및 오목부와 볼록부 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홀을 제 1 홀에 마주보도록 위치시킬 때, 제 1 홀은 길게 형성되어 있어, 그 크기가 제 2 홀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제 2 홀을 용이하게 제 1 홀과 마주보도록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가 상호 대향되도록 위치될 때, 제 1 지지부의 제 1 고정지지부의 단부와 제 2 지지부의 제 2 고정지지부의 단부가 상호 어긋나도록 위치되므로,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제 1 연결부의 단부는 제 2 연결부에 지지되고,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제 2 연결부의 단부는 제 1 연결부에 지지되어, 지지부재의 강도가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재와 마감패널 사이에 금속판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화재 발생시 금속판이 내외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고, 화재 진화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패널은 지지부재가 아닌, 금속판을 덮도록 구성되므로, 지지부재의 위치와 상관없이 마감패널을 배치할 수 있어, 복수 개의 마감패널은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금속판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패널을 다양한 형상으로 금속판에 고정시킬 때, 지지부재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속도가 빨라지고, 별도의 난해한 스킬이 필요하지 않아 인건비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격조절부는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간격조절부의 자성을 이용하여 금속판에 견고하게 부착되므로, 간격조절부를 금속판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다양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간격조절부가 마감패널 사이로 끼워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는 건축물의 벽체(미도시)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00), 지지부재(100)에 끼움 결합되는 단열재(200), 지지부재(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금속판(300), 금속판(300)의 외측에 배치되는 마감패널(400) 및 마감패널(40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500, 510, 52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00)는 벽체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그 단면은 예를 들면 'H'빔 또는 'I'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00)는 예를 들면, 제 1 지지부(110: 도 3 도시)와 제 2 지지부(120: 도 3 도시)가 상호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H빔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 개가 벽체에 병렬로 배열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00)의 세부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지지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방에 결합공간부(140: 도 3 도시)가 구비되며,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결합공간부(140)를 따라 다수의 단열재(200)가 각각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00)와 벽체 사이에 'L' 형 브라켓 등의 고정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부가 지지부재(100)를 벽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열재(200)는 열을 차단하도록 암면, 폼 폴리스티렌, 경질 우레탄 폼 등으로 구성된다. 단열재(200)는 건물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건물을 보온함에 있어, 결로의 방지, 실내 환기의 조화, 열손실 방지에 따른 에너지 절약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단열재(200)는 판형 등으로 형성되며 지지부재(100)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다수 개가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00)에 끼워진 단열재(200)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부재(100)에 접착될 수도 있고, 볼트 등의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금속판(30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사각형 등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판(300)은 단열재(200)와 지지부재(100)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금속판(300)의 크기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판(300)은 화재 발생시 내외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고, 화재 진화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마감패널(400)은 금속판(300)의 외측에 배치되어, 금속판(300)을 커버하는 한편, 건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으로, 금속판(300)을 덮도록 판형 등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면 알루미늄패널, 대리석, 합성수지판재, 시멘트압축강화보드, 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감패널(400)은 그 내부에 빈 공간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빈 공간에 충전부(미도시)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는 단열성, 방수성, 불연성 등의 성질을 갖는 글라스울, 우레탄폼 등의 합성수지 또는 아스팔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마감패널(400)의 내부에 상기 충전부가 구비되므로, 건물 외부의 열 또는 냉기가 벽체 방향으로 전달되지 않고, 건물 내부의 열 또는 냉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아, 단열성능 및 냉방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불연성 재질로 구성되므로, 화재시 화염이 마감패널(400)을 타고 확산되지 않아, 화재의 확산 방지 및 진화에 유리하다. 한편, 마감패널(400)은 지지부재(100)가 아닌, 금속판(300)을 덮도록 구성되므로, 지지부재(100)의 위치와 상관없이 마감패널(400)을 배치할 수 있어, 복수 개의 마감패널(400)은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금속판(300)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패널(400)을 다양한 형상으로 금속판(300)에 고정시킬 때, 지지부재(100)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속도가 빨라지고, 별도의 난해한 스킬이 필요하지 않아 인건비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간격조절부(500, 510, 520)는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간격을 조절하고자 하는 마감패널(40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 1 간격조절부(500), 제 2 간격조절부(510) 및 제 3 간격조절부(520)를 포함한다. 이들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는 도 9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재(100)는 이중으로 구성되어 제 1 지지부(110)와 제 2 지지부(120)를 포함하며, 제 1, 2 지지부(110, 120)는 상호 결합되어 그 단면이 전반적으로 'H'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지지부재(100)를 제 1 지지부(110)와 제 2 지지부(12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경우에 따라 'H'빔 또는 'I'빔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지지부(110)는 벽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 1 고정지지부(112)와, 상기 제 1 고정지지부(112)의 외측에 수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마감지지부(114)와, 상호 마주보는 제 1 고정지지부(112)와 제 1 마감지지부(114)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부(116)를 포함한다.
제 2 지지부(120)는 제 1 지지부(110)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고정지지부(112)의 내측과 만나도록 상호 나란하게 일렬로 배치되는 제 2 고정지지부(122)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122)의 외측에 수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마감지지부(124)와, 상호 마주보는 제 2 고정지지부(122)와 제 2 마감지지부(124)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고정지지부(112)와 제 1 마감지지부(114) 사이의 이격 공간 및 제 2 고정지지부(122)와 제 2 마감지지부(124) 사이의 이격 공간에 결합공간부(14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간부(140)를 따라 다수의 단열재(200)가 각각 끼움결합된다.
한편, 제 1 연결부(116)와 제 2 연결부(126)의 상호 마주보는 내면에는 각각 오목부(117)와 볼록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17)는 제 1 연결부(116)의 내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볼록부(127)는 제 2 연결부(126)의 내면에 상기 오목부(117)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부(117)와 볼록부(127)는 제 1 연결부(116)와 제 2 연결부(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목부(117)의 크기는 볼록부(127)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오목부(117)에 볼록부(127)가 삽입될 때, 오목부(117)와 볼록부(127) 사이에는 충전공간부(130)가 형성되고, 충전공간부(130)에는 실리콘 등의 충전재(132)가 충전된다. 그리고 오목부(117)와 볼록부(127)는 경우에 따라 제 1 연결부(116)와 제 2 연결부(126)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제 2 연결부(126)와 제 1 연결부(116)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오목부(117)와 볼록부(127)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 1 연결부(116)와 제 2 연결부(126)가 결합될 때, 오목부(117)에 볼록부(127)가 삽입되므로, 제 1 연결부(116)와 제 2 연결부(126)는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목부(117)와 볼록부(127) 사이의 충전공간부(130)에 충전재(132)가 충전되므로, 오목부(117)와 볼록부(127)가 보다 견고하게 접착 결합되며, 충전재(132)는 공기를 차단하고 방수 역할을 하므로, 제 1, 2 고정지지부(112, 122)와 제 1, 2 마감지지부(114, 124) 사이가 충전재(132)에 의하여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다양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오목부(117)는 'U'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볼록부(127)는 오목부(117)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오목부(117')는 'ㄷ'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볼록부(127')는 오목부(117')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오목부(117'')는 'V'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볼록부(127'')는 오목부(117'')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지지부재(100)의 제 1 연결부(116)와 제 2 연결부(126)에 구비되는 오목부(117)와 볼록부(127)는 복수 개, 예를 들면 2개씩 구비되어 제 1, 2 오목부(117a, 117b)와, 제 1, 2 볼록부(127a, 127b)를 포함한다. 이처럼 오목부(117)와 볼록부(127)가 복수 개로 구성되므로, 제 1 연결부(116)와 제 2 연결부(126)가 결합될 때, 제 1, 2 오목부(117a, 117b)에 제 1, 2 볼록부(127a, 127b)가 삽입되어, 제 1 연결부(116)와 제 2 연결부(126)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 1 오목부(117)는 제 1 고정지지부(112)와 가깝도록 제 1 연결부(116)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 2 오목부(117)는 제 1 마감지지부(114)와 가깝도록 제 1 연결부(116)의 타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볼록부(127)는 제 2 고정지지부(122)와 가깝도록 제 2 연결부(126)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 2 볼록부(127)는 제 2 마감지지부(124)와 가깝도록 제 2 연결부(126)의 타측에 형성된다. 이처럼 제 1 오목부(117)와 제 2 오목부(117)가 제 1 고정지지부(112)와 제 1 마감지지부(114)에 근접하도록 제 1 연결부(116)의 양측에 형성되고, 제 1 볼록부(127)와 제 2 볼록부(127)가 제 2 고정지지부(122)와 제 2 마감지지부(124)에 근접하도록 제 2 연결부(126)의 양측에 형성되면, 제 1, 2 오목부(117a, 117b)와 제 1, 2 볼록부(127a, 127b)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재(132)가 제 1 연결부(116)와 제 2 연결부(126) 사이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제 1 연결부(116)와 제 2 연결부(126) 사이를 통하여 이동되는 물, 공기 등이 완벽하게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재(100)의 제 1 연결부(116)에는 제 1 홀(116a)이 관통 형성되고 지지부재(100)의 제 2 연결부(126)에는 상기 제 1 홀(116a)과 마주보도록 제 2 홀(126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 1 홀(116a)은 제 1 연결부(116)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측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제 2 홀(126a)은 제 2 연결부(126)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양측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지지부(110)와 제 2 지지부(120)가 결합되어 제 1, 2 오목부(117a, 117b)에 제 1, 2 볼록부(127a, 127b)가 삽입되면, 제 1 홀(116a)과 제 2 홀(126a)에 볼트, 쇄기 등의 결합부(129)가 일체로 삽입되고, 결합부(129)에 너트(129a)가 결합되어, 오목부(117)와 볼록부(127) 간의 결합 및 제 1 연결부(116)와 제 2 연결부(126) 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홀(116a)은 제 1 연결부(116)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지지부(110)와 제 2 지지부(120)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제 2 홀(126a)을 제 1 홀(116a)에 마주보도록 위치시킬 때, 제 1 홀(116a)은 길게 형성되어 있어, 그 크기가 제 2 홀(126a)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제 2 홀(126a)을 용이하게 제 1 홀(116a)과 마주보도록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제 2 홀(126a)이 제 1 홀(116a)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오목부(117)와 볼록부(127) 사이에 충전공간부(130: 도 3 도시)가 구비되고, 충전공간부(130)에 충전재(132)가 충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각각의 지지부재(100)는 그 길이에 따라 복수 개의 제 1 지지부(110)와 복수 개의 제 2 지지부(120)가 직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지지부(110)의 제 1 고정지지부(112)와 제 2 지지부(120)의 제 2 고정지지부(122)는 지지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직렬로 배열된다. 이때, 제 1 고정지지부(112)와 제 2 고정지지부(122)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면, 제 1 고정지지부(112)의 단부와 제 2 고정지지부(122)의 단부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지지부재(100)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지지부재(100)가 무너질 위험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제 1 지지부(110)와 복수 개의 제 2 지지부(120)가 직렬로 배열되어 지지부재(100)가 완성될 때, 각각의 제 1 고정지지부(112)의 길이와 제 2 고정지지부(122)의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어, 복수 개의 제 1 고정지지부(112)와 제 2 고정지지부(122) 중 지지부재(10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해당되지 않는 제 1 고정지지부(112)와 제 2 고정지지부(122)의 단부가 상호 어긋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마감지지부(114)와 제 2 마감지지부(124)는 제 1 고정지지부(112)와 제 2 고정지지부(122)에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연결부(116)는 제 1 고정지지부(112)와 제 1 마감지지부(114)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제 2 연결부(126)는 제 2 고정지지부(122)와 제 2 마감지지부(124)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100)의 길이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제 1 연결부(116)의 단부는 제 2 연결부(126)에 지지되고,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제 2 연결부(126)의 단부는 제 1 연결부(116)에 지지되어, 지지부재(100)의 강도가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간격조절부가 마감패널 사이로 끼워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부재(100)에 단열재(200)가 배치된 후, 금속판(300)이 지지부재(100)와 단열재(200)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그 후, 마감패널(400)이 금속판(300)의 외면에 배치되고, 이어서 후술하는 간격조절부가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 사이로 삽입된다. 이때, 금속판(300)과 마감패널(400) 사이에 별도의 패널고정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고정부는 접착 성능을 가진 개스킷 등과 같은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며, 마감패널(400)과 마주보는 금속판(30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고정부에 마감패널(400)이 부착되어, 마감패널(400)이 금속판(30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패널(400)은 상기 패널고정부에 견고하게 부착된 것이 아니므로, 후술하는 간격조절부에 의하여 미세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 사이의 공간에 실리콘 등의 실링부(미도시)를 실링하여, 마감패널(400) 사이의 빈 틈을 메우도록 할 수도 있다.
간격조절부(500, 510, 520)는 간격을 조절하고자 하는 마감패널(400)의 개수, 위치 등에 따라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호 인접한 4개의 마감패널(4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제 1 간격조절부(500), 상호 인접한 2개의 마감패널(400) 사이와 벽체의 가장자리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제 2 간격조절부(510) 및 상호 인접한 2개의 마감패널(4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제 3 간격조절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간격조절부(500)는 상호 인접한 4개의 마감패널(400) 사이의 간격을 덮도록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 1 고정판(502)과, 제 1 고정판(502)의 일면에 '+' 형상으로 돌출되며 자성을 갖는 제 1 돌출부(50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돌출부(504)가 상호 인접한 4개의 마감패널(400)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어, 이들의 간격을 조절한다. 제 2 간격조절부(510)는 상호 인접한 2개의 마감패널(400)과 벽체의 가장자리 사이를 덮도록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 2 고정판(512)과, 제 2 고정판(512)의 일면에 ‘ㅜ’ 형상으로 돌출되며 자성을 갖는 제 2 돌출부(5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2 돌출부(514)는 상호 인접한 2개의 마감패널(400)과 벽체의 가장자리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의 간격을 조절한다. 제 3 간격조절부(520)는 상호 인접한 2개의 마감패널(400) 사이를 덮도록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제 3 고정판(522)과, 제 3 고정판(522)에 ‘ㅣ'형상으로 돌출되며 자성을 갖는 제 3 돌출부(5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3 돌출부(524)는 상호 인접한 2개의 마감패널(400)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처럼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은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에 의하여 그들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조절되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마감패널(400)들의 평활도가 우수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는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제 1, 2, 3 돌출부(504, 514, 524)의 자성을 이용하여 금속판(300)에 견고하게 부착되므로,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를 금속판(300)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마감패널(400)들 사이에 끼워진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는 마감패널(40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한 이후, 마감패널(400)에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의 자성보다 강한 외부 압력을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에 가하면,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와 금속판(300) 간의 자성 결합이 떨어지게 되므로, 간편하게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를 마감패널(400)들 사이에서 제거할 수 있어,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의 설치 및 해제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를 모두 포함하거나,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은 먼저, 건축물의 벽체에 복수 개의 지지부재(100)가 병렬로 배열되도록 설치한다(S100). 이를 위하여, 지지부재(100)의 제 1 지지부(110)와 제 2 지지부(120)가 상호 대향되도록 위치시킨 후, 제 1 지지부(110)의 오목부(117)에 제 2 지지부(120)의 볼록부(127)가 삽입되도록 하여 제 1 지지부(110)와 제 2 지지부(120)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오목부(117)와 볼록부(127) 사이에 충전재(132)가 충전될 수도 있고, 오목부(117)와 볼록부(127)에 결합부(129)가 일체로 관통 결합될 수도 있다.
그 후, 상호 인접한 지지부재(100)들 사이에 다수의 단열재(200)를 끼움 결합시킨다(S110). 이어서, 지지부재(100)와 단열재(200)의 외측에 복수 개의 금속판(300)이 결합되도록 한다(S120). 이때 금속판(300)은 지지부재(100) 또는 단열재(2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 후, 마감패널(400) 다수 개, 예를 들면 4개의 마감패널(400)을 금속판(300)의 외측에 사분면 형상으로 배열시켜서 마감패널(400)이 금속판(300)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한다(S130). 이때, 마감패널(400)은 금속판(300)에 임시로 결합된다. 그 후, 간격조절부 예를 들면,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를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마감패널(400) 사이에 끼워서,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의 제 1, 2, 3 고정판(502, 512, 522)은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의 외면 사이를 덮도록 위치되고,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의 제 1, 2, 3 돌출부(504, 514, 524)는 마감패널(400)의 간격 사이에 삽입된 후 자성에 의하여 금속판(300)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위치된다(S140). 이에 따라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는 별도의 결합수단 없이,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 간의 간격을 오랫동안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호 인접한 마감패널(400) 사이의 공간에 실리콘 등의 실링부(미도시)를 실링하여, 마감패널(400) 사이의 빈 틈을 메우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 1, 2, 3 간격조절부(500, 510, 520)를 마감패널(400)에서 제거한다(S150).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지지부재 110: 제 1 지지부
112: 제 1 고정지지부 114: 제 1 마감지지부
116: 제 1 연결부 117, 117', 117'': 오목부
117a: 제 1 오목부 117b: 제 2 오목부
116a: 제 1 홀 120: 제 2 지지부
122: 제 2 고정지지부 124: 제 2 마감지지부
126: 제 2 연결부 127, 127', 127'': 볼록부
127a: 제 1 볼록부 127b: 제 2 볼록부
126a: 제 2 홀 129: 결합부
129a: 너트 130: 충전공간부
132: 충전재 140: 결합공간부
200: 단열재 300: 금속판
400: 마감패널 500: 제 1 간격조절부
502: 제 1 고정판 504: 제 1 돌출부
510: 제 2 간격조절부 512: 제 2 고정판
514: 제 2 돌출부 520: 제 3 간격조절부
522: 제 3 고정판 524: 제 3 돌출부

Claims (19)

  1.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건축물의 벽체에 상호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
    상호 마주보는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는 금속판;
    상기 금속판의 외측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마감패널; 및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결합되거나 또는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는 자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상기 간격조절부가 끼워질 때,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끼워진 후 상기 자성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호 나란하도록 벽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부;
    상기 금속판이 결합되도록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외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마감지지부; 및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상호 마주보는 일면 중 어느 한 일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 일면에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열재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마감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공간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는 제 1 고정지지부와 제 2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고정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직렬로 배열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 1 고정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 중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해당되지 않는 상기 제 1 고정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의 단부는 상호 어긋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 상기 볼록부가 삽입될 때,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에 충전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충전공간부에 충전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연결부에 결합부가 일체로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결합부가 관통되도록 각각 제 1 홀과 제 2 홀이 형성되되, 상기 제 1 홀 또는 상기 제 2 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단면은 'U' 또는 'ㄷ' 또는 'V'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지지부와 가깝도록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오목부와, 상기 마감지지부와 가깝도록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단열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덮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금속판을 덮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되, 상기 마감패널의 크기는 상기 금속판의 크기와 같거나 다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를 덮도록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서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끼워지도록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12. 건축물의 벽체에 복수 개의 지지부재가 상호 병렬로 배치되는 지지부재 배치과정;
    상호 마주보는 상기 지지부재들 사이에 단열재가 끼움 결합되는 단열재 결합과정;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 복수 개의 금속판이 결합되는 금속판 결합과정;
    상기 금속판을 커버하도록 상기 금속판의 외측에 복수 개의 마감패널이 결합되는 마감패널 배치과정;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에 간격조절부가 끼워지는 간격조절부 장착과정; 및
    상기 간격조절부가 상기 마감패널에서 제거되는 제거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조절부 장착과정에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자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상기 간격조절부가 끼워질 때,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자성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부재 배치과정은:
    상호 나란하도록 벽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부와, 상기 금속판이 결합되도록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외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마감지지부와, 일측은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상기 마감지지부의 상호 마주보는 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부재가 상호 병렬로 배치되는 배치단계; 및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연결부 중 일 연결부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타 연결부에 형성되는 볼록부가 상호 삽입 결합되는 삽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 결합과정에서, 상기 단열재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고정지지부와 상기 마감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결합공간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배치단계에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고정지지부는 제 1 고정지지부와 제 2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고정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직렬로 배열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 1 고정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 중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해당되지 않는 상기 제 1 고정지지부와 상기 제 2 고정지지부의 단부는 상호 어긋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배치과정은:
    상기 삽입단계 이후,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의 충전공간부에 충전재가 충전되는 충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배치과정은:
    상기 삽입단계 이후, 한 쌍의 상기 연결부에 결합부가 일체로 관통 결합되는 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는,
    한 쌍의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홀과 제 2 홀에 상기 결합부가 관통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 1 홀 또는 상기 제 2 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 결합과정은, 복수 개의 상기 금속판이 상기 단열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감패널 배치과정은, 상기 금속판과 같거나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기 마감패널이 상기 금속판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 장착과정에서, 상기 간격조절부의 고정판이 상호 인접하게 구비된 상기 마감패널의 외면 사이를 덮을 때, 상기 간격조절부의 돌출부가 상호 인접한 상기 마감패널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60012371A 2016-02-01 2016-02-01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6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371A KR101764997B1 (ko) 2016-02-01 2016-02-01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371A KR101764997B1 (ko) 2016-02-01 2016-02-01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4997B1 true KR101764997B1 (ko) 2017-08-04

Family

ID=5965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371A KR101764997B1 (ko) 2016-02-01 2016-02-01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49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258A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제이비하우징 자성을 이용한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KR102199017B1 (ko) * 2020-04-13 2021-01-06 고강록 건축용 경량 대리석 패널
KR102632880B1 (ko) * 2023-05-30 2024-02-05 주식회사 엘파워 이음매 마감캡에 의해 난연성을 향상시킨 지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지붕 일체형 태양광발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968B1 (ko) * 2010-03-29 2010-08-18 이태한 탈부착 및 재활용이 가능한 자석 도포층을 갖는 내장마감용 패널 설치구조
KR101550156B1 (ko) * 2014-11-24 2015-09-03 주종복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968B1 (ko) * 2010-03-29 2010-08-18 이태한 탈부착 및 재활용이 가능한 자석 도포층을 갖는 내장마감용 패널 설치구조
KR101550156B1 (ko) * 2014-11-24 2015-09-03 주종복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258A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제이비하우징 자성을 이용한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KR102036502B1 (ko) * 2017-11-01 2019-10-25 주식회사 제이비하우징 자성을 이용한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KR102199017B1 (ko) * 2020-04-13 2021-01-06 고강록 건축용 경량 대리석 패널
KR102632880B1 (ko) * 2023-05-30 2024-02-05 주식회사 엘파워 이음매 마감캡에 의해 난연성을 향상시킨 지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지붕 일체형 태양광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766B1 (ko)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550156B1 (ko)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64997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00116924A (ko) 커튼월용 외벽 단열 유니트 패널 및 그 설치구조
KR102212515B1 (ko) 오메가홈 하지 멀리언 및 접합클립으로 구성된 테라코타 세라믹 패널용 내진 하지철물 유닛 및 그의 시공방법
WO2008113207A1 (fr) Panneau mural extérieur et son procédé de montage
US11091906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0730901B1 (ko) 건축물 창호 보강 시스템
KR20170052943A (ko) 자성을 이용한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11880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525046B1 (ko) 따뜻한 집 건축을 위한 창틀 단열 공법
KR101309734B1 (ko) 조립식 단위벽체틀을 위한 문틀프레임
KR101679321B1 (ko) 타이 수평 직조립형 단열재폼 패널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KR101555260B1 (ko) 창틀 단열 공법을 이용한 단차 단열재
KR101654979B1 (ko)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211396117U (zh) 隔墙顶板连接组件及隔墙系统
KR20200041561A (ko) 강도 보강형 건축 마감용 외장재의 결합구조
CN211172533U (zh) 墙面连接组件
KR101289241B1 (ko) 하이브리드 패널을 이용한 벽 및 하이브리드 패널을 이용한 벽의 형성방법
KR101559723B1 (ko) 창틀 단열 공법에 사용되는 단차 단열재
CN205296464U (zh) 一种凸面龙骨、凹面龙骨和墙体连接结构
JP6190002B2 (ja) 複合パネル及び複合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583703B1 (ko) 불연복합패널의 오픈조인트시공조립체
KR101394726B1 (ko) 슬래브 착탈형 고정유닛을 이용한 공동 주택의 창호 프레임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